|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성명 | 국적 | 훈격 |
|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 일본 | 애국장 | |
| 궈타이치 | 중국 | 독립장 | |
| 탕지야오 | 중국 | 대통령장 | |
| 다이리 | 중국 | 독립장 | |
| 더글라스 스토리 | 영국 | 애족장 | |
| 데이지 호킹 | 호주 | 건국포장 | |
| 두쥔훼이 | 중국 | 애족장 | |
| 로버트 그리어슨 | 캐나다 | 독립장 | |
| 롤랜드 클린턴 베이컨 | 캐나다 | 애족장 | |
| 루이 마랭 | 프랑스 | 애국장 | |
| 마가렛 센더먼 데이비스 | 호주 | 애족장 | |
| 마수례 | 중국 | 독립장 | |
| 모더후이 | 중국 | 독립장 | |
| 모리스 윌리엄 | 호주 | 독립장 | |
| 미네르바 루이즈 구타펠 | 미국 | 건국포장 | |
| 사도덕 | 중국 | 독립장 | |
| 쉐웨 | 중국 | 독립장 | |
| 셀던 파머 스펜서 | 미국 | 애족장 | |
| 쑤징허 | 중국 | 애족장 | |
| 쑨커 | 중국 | 대통령장 | |
| 쑨원 | 중국 | 대한민국장 | |
| 쑹자오런 | 중국 | 대통령장 | |
| 쑹메이링 | 중국 | 대한민국장 | |
|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 | 캐나다 | 독립장 | |
| 스티븐 앰브로즈 백 | 미국 | 애족장 | |
| 아치볼드 해리슨 바커 | 캐나다 | 독립장 | |
| 어거스틴 스위니 | 영국 | 애족장 | |
| 어니스트 배델 | 영국 | 대통령장 | |
| 여천민 | 중국 | 대통령장 | |
| 올리버 R. 애비슨 | 캐나다 | 독립장 | |
| 왕주이 | 중국 | 독립장 | |
| 위빈 | 중국 | 대통령장 | |
| 윌리엄 린튼 | 미국 | 애족장 | |
| 류용야오 | 중국 | 독립장 | |
| 이사벨라 멘지스 | 호주 | 건국포장 | |
| 리수전 | 중국 | 애족장 | |
| 일라이 밀러 모우리 | 미국 | 독립장 | |
| 린썬 | 중국 | 대통령장 | |
| 장제스 | 중국 | 대한민국장 | |
| 장지 | 중국 | 독립장 | |
| 장췬 | 중국 | 독립장 | |
| 추푸청 | 중국 | 독립장 | |
| 제랄딘 피치 | 미국 | 독립장 | |
| 제이 제롬 윌리엄스 | 미국 | 독립장 | |
| 제임스 헨리 로버츠 크롬웰 | 미국 | 건국포장 | |
| 조지 쇼 | 영국 | 독립장 | |
| 조지 새넌 맥큔 | 미국 | 독립장 | |
| 조지 애쉬모어 피치 | 미국 | 독립장 | |
| 조지 윌리엄 노리스 | 미국 | 애족장 | |
| 존 웨슬리 스태거즈 | 미국 | 독립장 | |
| 주자화 | 중국 | 대통령장 | |
| 주칭란 | 중국 | 독립장 | |
| 천궈푸 | 중국 | 대한민국장 | |
| 천치메이 | 중국 | 대한민국장 | |
| 천청 | 중국 | 대통령장 | |
| 천리푸 | 중국 | 독립장 | |
| 찰스 스폴딩 토마스 | 미국 | 건국포장 | |
| 찰스 에드워드 러셀 | 미국 | 독립장 | |
| 토마스 다니엘 라이언 | 아일랜드 | 애족장 | |
| 패트릭 도슨 | 아일랜드 | 애국장 | |
| 폴 프레드릭 더글라스 | 미국 | 독립장 | |
| 프랭크 얼 크랜스턴 윌리엄스 | 미국 | 건국포장 | |
| 프랭크 스코필드 | 캐나다 | 독립장 | |
| 프레데릭 브라운 해리스 | 영국 | 독립장 | |
| 프레드 A. 돌프 | 미국 | 독립장 | |
| 프레더릭 매켄지 | 영국 | 독립장 | |
| 플로이드 윌리엄 톰킨스 | 미국 | 애국장 | |
| 하상기 | 중국 | 건국포장 | |
| 해리 찰스 화이팅 | 미국 | 애족장 | |
|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 미국 | 독립장 | |
| 호레이스 뉴튼 알렌 | 미국 | 독립장 | |
| 호머 헐버트 | 미국 | 독립장 | |
| 후쭝난 | 중국 | 독립장 | |
| 후한민 | 중국 | 대통령장 | |
| 황줴 | 중국 | 독립장 | |
| 황싱 | 중국 | 대통령장 | |
| 후세 다쓰지 | 일본 | 애족장 | }}}}}}}}} |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 | |
| 출생 | 1870년 7월 23일 |
| 영국령 뉴펀들랜드 식민지 세인트 존스 (現 캐나다 뉴펀들랜드-래브라도주 세인트 존스) | |
| 사망 | 1941년 |
| 미국 버지니아 주 리치몬드 | |
| 종교 | 개신교 (캐나다 장로교회) |
| 서훈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1. 개요
캐나다의 장로회 선교사이자 의사. 대한민국의 독립에 기여한 공로로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은 1870년 7월 23일 당시 영국 식민지였던 뉴펀들랜드 세인트 존스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6년 캐나다 장로회로부터 선교사의 직임을 부여받고 한국으로 파송되었다. 이후 용정으로 이동하여 캐나다장로회 선교부의 선교병원인 제창병원에서 병원장을 맡았다. 그러던 1919년 3월 13일 용정에서 한인들이 독립선언식을 갖고 만세시위를 벌였는데, 중국군이 출동하여 시위대를 향해 발포했다. 이로 인해 수십명의 부상자들이 제창병원으로 옮겨졌다.마틴은 사망자들의 시체를 병원 지하실에 안치하게 했고, 의료진과 함께 부상자들을 정성껏 치료해줬으며, 사망자들을 위한 합동 장례를 치러줬다. 이후 그는 제창병원과 그 부속건물들을 자주 독립운동을 모의하기 위한 독립운동가들의 집회장소와 숙박소로 제공해 주었다. 여기서 독립사상을 고취하기 위한 각종 문서들이 등사판으로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이에 간도 대한국민회는 그의 한국독립운동 지원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1920년 2월 기념패를 제작해 마틴에게 수여했다.
1920년 10월 일본군이 간도 참변을 자행하자, 마틴은 간호사들과 함께 일본군의 방화 및 학살 현장을 방문해 사진을 촬영했다. 그는 이러한 자료를 기반으로 '노루바위(장암동) 학살 사건' 이라는 보고서를 만들어 일본군의 학살 만행의 진상을 해외에 폭로했다. 이후 1927년까지 제창병원 원장으로 일하던 그는 서울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수 겸 부속병원 의사로 임명되어 서울로 이동했다. 그는 서울에서도 흉부외과 과장과 세브란스결핵병방지회장을 맡아 한국인 특히 청년층의 고질병인 폐결핵의 퇴치에 힘썼다.
그후 세브란스 병원에서 일하던 그는 미국과 일본의 전운이 감돌던 1940년 11월 16일 미국인이었던 부인과 함께 마리포사 호를 타고 한국을 떠났다. 이후 1941년경 미국 버지니아주 리치몬드에서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8년 스탠리 해빌랜드 마틴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