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6 13:46:47

강기덕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파일:kangkd.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자 / 호 춘곡(春谷) / 덕재(德齋)
본관 신천 강씨 [1]
출생 1886년 5월 4일[2]
함경도 덕원도호부 적전면 당상리[3]#
(現 강원도 원산시 적천동)
사망 몰년 미상[4]
함경북도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3.1 운동 당시 학생대표로서 민족대표 33인을 대신해 대규모 독립시위운동을 총지휘한 인물이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강규진은 그의 5촌 당질(堂姪)이다.

2. 생애

1886년 5월 4일 함경도 덕원도호부 적전면 당상리(現 강원도 원산시 적천동)에서 태어났다. 원산 춘성(春城)고등보통학교와 일본 아오야마가쿠인(靑山學院) 중등과, 보성전문학교 법과를 졸업하였다.

보성법률상업전문학교(고려대학교의 전신) 법과에 재학 중이던 1919년, 3.1 운동에 민족대표 48인 중 한 사람으로 참가하였다.[5] 주로 서북친목회(西北親睦會)·보성전문학교·보성고등보통학교·중앙학교·선린상업학교를 중심으로 동지들을 규합하였다.

3.1 운동 직전에는 이갑성으로부터 기미독립선언서 1,500장을 받아 제1회 학생지도자회의를 소집하여 각 중등학교 대표자들에게 이를 배부하고 학생 간의 연락책임을 맡았다.

3·1 운동 거사 당일, 민족대표들이 당초 탑골공원에서 기미독립선언서를 낭독하기로 한 약속을 갑자기 바꾸어 태화관에 모여 있자, 학생 대표로 태화관에 달려가서 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지 않느냐고 항의했다. 이들 33인의 민족대표들이 체포된 뒤에도 연희전문학교김원벽과 함께 중등학교 학생들을 규합하여 후속 시위를 주동하고 후배 정재용에게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게 하였다. 결국 거사 당일 현장에서의 독립시위운동은, 민족대표 33인이 아닌 강기덕이 주관한 셈이었다.

3월 5일에는 서울역에서 대규모 시위를 총지휘하였다. 5천 명의 군중이 모인 시위 현장에 흰 두루마기를 입고 대형 인력거를 탄 채 나타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수많은 인파들을 이끌었다. 시위대 최선두에 서서 행진하다가 일본 제국 경찰의 칼날을 이마에 맞고 쓰러졌으며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이 사건으로 지독한 고문을 당하고 징역 2년형을 선고 받아 1년 6개월간 복역했다.

이후 고향 땅인 함경남도 원산으로 돌아가 그 지역에 뿌리를 박고 일제강점기 내내 ‘불령선인[6]으로 평생을 보냈다. 예를 들어 무산 계급·농민 계급의 참상과 그들의 활로를 언급했다거나, 또는 일제 경찰의 고문 끝에 숨진 독립운동가 박휘병의 장례를 주관했다는 따위 이유로 감옥을 제 집 드나들 듯 했다.[7] 1920년 경성부에서 조선청년연합회가 결성되자 함경남도지부 위원장에 취임하였으며, 그 밖에 조선애국운동회 상임위원, 함경남도덕원청년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25년에는 김동명을 지원하여 일본에 유학을 갈 수 있게 해주었다.[8] 1927년에는 함남기자대회 사건에 연루되었고, 경성복심법원에서 금고 8월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9년 원산에서는 이주하 등이 주동하여 80일 간의 총파업투쟁이 일어났는데(이른바 '원산 총파업'), 강기덕은 그 원산총파업 투쟁기간 동안 노동자들과 사회주의 지도자, 민족지도자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주었다.

1930년대에는 신간회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주도하였다. 1930년 3월 21일 신간회 원산지회 정기총회에서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이해 11월 9일 신간회 중앙집행회에서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신간회 내에서 자치론을 주장하는 개량주의자들이 세를 얻기 시작하자, 이럴 바에는 신간회를 해체해버리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하여, 신간회 해소파(解消派)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그리고 1931년 5월 16일 신간회 전체대회에서 신간회 중앙집행위원장(中央執行委員長)으로 선출된 뒤에는 평소의 소신대로 신간회를 해산해버렸다.

1933년 12월 8일에는 원산노동계(元山勞動界)의 중진으로 원산노동회관 문제에 관련되어 경성지방법원 검사국에서 소위 공갈죄로 기소되었다. 그러나 판결결과는 알 수 없다.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가들의 절대 다수가 사회주의자들이었던 분위기에서, 그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주의적 성향을 띄었다.

1945년 일제가 패망한 후에는 초대 원산시장에 선출되었으나, 북한에 진주한 소련 병사들이 우리 여성들을 강간하고 민중의 재산을 약탈하며 행패 부리는 것을 목격하였다. 대다수 사회주의 지도자들이 이를 묵인하면서 신탁통치에 찬성하는 입장을 고수하자, 반탁운동에 가담했던 그는 곧 해임되어 자기 삶의 터전인 원산을 떠나 월남하였다.

1945년 9월 14일 여운형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건국을 선포한 조선인민공화국의 초대 농림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46년에는 건국대학교의 전신인 조선정치학관의 초대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건국대학교 역대 재단이사장 명단은 링크를 참조할 것.) 또한 이북5도위원회 개청 이래 초대 함경남도지사 역임 및 함경남도 중앙도민회 회장에 임명되었고 동북동지회 최고위원에 취임하기도 했다.

1947년 7월 여운형이 피살되고, 1948년 허헌이 월북한 뒤에도 계속 남한에 머물러서 중앙선거위원을 지냈다. 그러다가 1950년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1956년 6월까지 교화소 분소에서 구금되어 있다가 1956년 7월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9]가 결성될 때 안재홍, 조소앙과 함께 거기에 동원되었다.

그러나 이후 함경북도 방면으로 이주하였다는 설 외에는 행적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1990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1] 수안·덕원파(곡산계)[2] 1920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890년 5월 30일생으로, 1926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889년 5월 14일생으로 기재되어 있다.[3] 인근의 당중리·당하리와 함께 곡산(신천) 강씨 집성촌이다.[4] 1956년 이후 주측.[5] 3.1 운동 참가자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들은 역시 민족대표 33인이지만, 이들은 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사람들일 뿐이고, 실제로 3.1 운동을 기획하고 주도한 것은 강기덕이었다.[6] 不逞鮮人:후테이센진. 즉 반항적인 식민지 조선인.[7] <동아일보> 1926년 11월13일자. #[8] 그 후 김동명은 일본 아오야마(靑山) 학원 신학과를 졸업하고 조선으로 돌아와, 1930년 첫 시집 《나의 거문고》를 간행하는 등 시인으로 활동하였으며, 1947년에는 월남하여 1960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참의원 의원 등을 역임하였다.[9] 6·25전쟁 당시 납북된 남한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1956년 7월 2일 평양에서 결성된 단체이다. 북한의 대남선전과 통일전략에 납북인사를 활용하기 위한 의도에서 조직되었으며, 가입자 대부분은 비자발적으로 동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