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colbgcolor=#0047a0> 자 | 계현(啓賢) |
호 | 하사(下沙), 사이(沙而) |
본관 | 순흥 안씨 |
출생 | 1865년 음력 9월 9일[1] |
경기도 지평현 상동면 상석리 (現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 섬실마을) | |
사망 | 1896년 5월 25일 |
충주부 제천군 현우면 화산리 화산 (現 충청북도 제천시 화산동 남산) | |
묘소 |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 목골마을 |
서훈 |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clearfix]
1. 개요
[2]의(義)로운 싸움은 비록 지더라도 이기는 것이요, 죽더라도 영광스러운 것이다.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의병장.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65년 음력 9월 9일(양력 10월 28일) 경기도 지평현 상동면 상석리(現 양평군 양동면 석곡리 섬실마을)에서 아버지 퇴앙(退央) 안종응(安鍾應)과 어머니 덕수 이씨[3]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안승우는 안향의 후손으로, 일찍이 아버지 안종응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다가 15세부터 이용강(李龍崗)의 서당을 드나들며 공부했고, 이후에는 이항로의 제자인 금계(錦溪) 이근원(李根元)의 문하에서 수학했다.그는 1896년 일제의 국권 침탈이 본격화되던 망국적 위기상황을 당하자, 고향인 춘천부 지평군에서 지평군수 이영춘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이후 충주부 제천군으로 옮겨 이필희를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군중 사무를 총괄하는 군무도유사(軍務都有司)의 직책을 맡았다. 이때 격고팔도열읍[4]을 발포하여 전 국민에게 의병에 대한 지지와 응원을 호소하였다.
제천의병은 단양으로 진군하여 관군과 전투를 벌여 큰 승리를 거두었다. 1896년 2월 화서학파의 종장인 의암 유인석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의병 연합전선을 구축하였다. 선생은 전군장을 맡아 의병의 선봉을 이끌었다.
제천의병은 관군과 일본군이 다수 집결해 있던 군사적 요충지 충주성을 공략하여 장악하고 한성부로 북상할 기반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제천의병은 관군과 일본군의 집요한 공격을 받아 전력이 크게 소실되고, 보급로도 차단당하자 3월 초 충주성을 포기하고 제천으로 돌아왔다.
그는 의병의 전열을 정비하고 문경의 이강년 의병장 등과 함께 충주, 단양 등지에서 일본군 병참 기지를 공격하여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다.
이후 관군이 의병의 해산을 요구하였으나 제천의병은 일제와 결탁한 집권세력이 개화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코 의병을 해산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항일투쟁을 이어 나갔다.
5월 26일 관군이 제천성을 공격하자 그는 최일선에서 의병을 지휘하여 여러 차례 관군을 물리쳤으나 우천으로 화승총을 쓸 수 없게 되면서 제천성이 함락되고 말았다. 선생은 전투 중 다리에 총상을 입고 체포되어 타살 당하였다. 그의 중군 종사로 있던 19세 청년 장수 홍사구도 스승을 지키다 장렬히 순국하였다.
3. 기타
정부는 애국헌신과 충절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국가보훈처에서 2016년 6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