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6 15:05:11

강순필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영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왕주이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영요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주칭란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추푸청 천리푸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줴
황현 후쭝난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colbgcolor=#0047a0> 출생 1889년
경상북도 상주시
사망 1921년
서대문형무소
이명 강병수(姜秉秀), 강병수(姜秉洙), 강순필(姜順弼), 강병수(姜炳洙)
직업 독립운동가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강순필은 1884년생이며, 경상북도 상주시 출신이다. 그는 이강년 의병장의 부대에 가담해 의병 활동을 수행했고, 1913년 풍기에서 결성된 풍기광복단(豊基光復團)에 참여했다. 이 단체는 의병에 가담했던 인사들로, 독립군 양성을 위해 무기를 구입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걸 목표로 삼았다. 그는 채기중(蔡基中)과 함께 영월의 일본인 중석광(重石鑛)에 광부를 가장하고 잠입하여 자금 탈취를 시도했으며, 자산가를 대상으로 군자금 수합 활동을 벌였다.

이후 1915년 풍기광복단과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이 통합하여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를 결성할 때 참여했다. 광복회는 국내에서 군자금을 조달하여 만주의 독립군기지에서 혁명군을 양성하고 국내에 확보한 혁명기지를 거점으로 적시에 봉기하여 독립을 쟁취할 것을 계획했다. 그들은 혁명기지를 각처에 설립한 곡물상으로 삼았고, 군자금 조달, 독립군 및 혁명군 기지 건설, 총독 처단 및 친일부호 암살 등을 추진했다. 강순필은 이 중 친일부호 처단을 맡아 채기중, 유창순, 임봉주(林鳳柱)와 함께 활동했다.

그러던 1917년 11월, 그들은 자신들에게 협조하지 않고 일본 경찰에 밀고하려 한 장승원(張承遠)[1]을 암살하고 광복회의 처단고시문을 벽에 붙여 그 이름을 세상에 알렸다. 그러나 이 일로 광복회 조직이 경찰에 발각되었고, 강순필은 1918년에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은 뒤 1921년 서대문형무소에서 교수형에 처해졌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강순필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1] 제2대 국무총리 장택상의 아버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