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7 22:01:05

최규동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2D57, #003380 20%, #003380 80%, #1B2D57); color: #fff; word-break: keep-all;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이춘호 장이욱 최규동 최규남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윤일선 권중휘 신태환 유기천 최문환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한심석 윤천주 고병익 권이혁 이현재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박봉식 조완규 김종운 이수성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제26대
이기준 정운찬 이장무 오연천 성낙인
직무대행 제27대 제28대
박찬욱 오세정 유홍림
}}}}}}}}} ||
제4대 서울대학교 총장
최규동
崔奎東
파일:최규동.png
<colcolor=#ffffff><colbgcolor=#00397F> 출생 1882년[1] 12월 30일
경상도 성주목 가천방 천동
(현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588번지)[2]
사망 1950년 10월 18일 (향년 67세)
평양시 북구 미림이리
(현 평양시 사동구역 미림동)
묘소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본관 영천 최씨[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97F><colcolor=#fff> 문경(文卿)
백농(白儂)
학력 고향 사숙(私塾) (한학 / 수학)
광성상업학교 (야학부 / 중퇴)
광신상업학교 (졸업)
정리사 (수학연구과 / 졸업)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약력 중동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총장
}}}}}}}}}

1. 개요2. 생애3. 친일 논란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의 교육자, 교육행정가. 제4대 서울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82년 12월 30일 경상도 성주목 가천방 천동(현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에서 아버지 최영한(崔永漢, 1844 ~ ?.6.17.)[4] 슬하 7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창천리 입향조인 참봉(參奉) 최준(崔濬, 1533 ~ 1595.11.12.)[5]의 10대 주손(胄孫)이다.

어려서는 사숙에서 한학을 수학했고, 19세 되던 1901년 신학문을 공부하기 위해 상경한다. 상경 도중 화성향교의 전신인 차씨 서당에서 하루를 묵으면서 처음 아라비아 숫자로 덧셈 뺄셈을 가르치는 것을 보게 되었고, 또 중교의숙(中橋義塾)[6]에 들렀다가 서양 산법을 보고 그 과학성과 명료함에 탄복하여 현대 셈법을 공부하겠다는 결심을 한다.

1905년부터 광성상업학교 야학부와 광신상업학교에서 일본어와 산술을 배웠으며, 이 무렵 안일영(安一英)[7]과 유일선(柳一宣)[8]을 만나게 된다.

이후 광성실업학교를 중퇴하고 광신상업학교를 졸업한# 그는, 유일선이 설립한 정리사(精理舍)[9] 수학연구과에 입학하여 졸업했다. 이 무렵 황성기독교청년회학관, 융희학교, 기호학교, 대성학교, 휘문의숙, 기명학교(箕明學校)[10]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12년 중동학교에 부임했다. 당시 최규동은 '최대수'로, 안일영[11]은 '안기하'로 불리며 장안의 화제가 될 정도로 수학 강의가 유명했다. 1918년에는 중동학교를 인수하여 교장에 취임했으며, 1919년 국내 최초로 중등교육 수학 교과서를 집필하여 출간했다.

1920년 6월 한규설, 남궁훈(南宮薰) 등과 함께 조선교육회(朝鮮敎育會)를 발기하여 평의원(評議員)에 선출되었으며, 노동독본 등 야학교재의 편찬 간행과 정기강연회를 실시했다.

1934년 5월에 국학 연구단체로서 진단학회(震檀學會)가 창립되자 그 찬조위원이 되어 이를 적극 지원하였으며, 덴마크코펜하겐에서 열린 세계언어학자 대회에 한국대표로 정인섭(鄭寅燮)을 파견하여 한글과 한국어의 과학성을 알리게 했다.

광복 후 미군정 학무국의 자문 기구인 한국교육위원회, 교육심의회 위원으로 교육행정을 담당하였고 서울시교육회 회장을 역임했다.

1948년 조선교육연합회 초대 회장에 취임하고 정기 간행물 '새교육'을 발간하였다. 1949년 제4대 서울대학교 총장에 취임했으나, 이듬해인 1950년 6.25 전쟁 중 납북되어 같은 해 10월 18일 평양시 북구 미림이리(현 평양시 사동구역 미림동)에서 공습으로 숨을 거두었다. 종전에는 1953년 6월에 별세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1991년 10월 1일 전 북한 정무원 부부장(차관급)을 지내다가 1980년대 중반 망명한 박병엽(朴炳燁, 필명 신경완申敬完)의 구술기록이 공개되면서 사실이 알려졌다.#

196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3. 친일 논란

1937년 조선신궁에서 중일전쟁의 승리를 기원하는 제례가 치러지자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에는 조선임전보국단 평의원에 선출되었다.[12]

1942년 6월에는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관변단체인 조선교육회 기관지 『문교의 조선』에 중동학교 교장 최규동 명의로 「죽음으로써 군은(君恩)에 보답하다」라는 제목의 일본어 글을 기고했다.

이 글은 '징병제도 실시의 감격'이라는 특집기획에 실린 네 편의 글 가운데 하나로[13] 설사 강요에 의해서 집필했더라도 일제의 침략전쟁에 협조하는 친일행위임에는 틀림없다.관련기사

다만 당시 백농 선생 모르게 서무실 직원이 써 주었다는 증언이 있고, 서울대학교 총장 임명시에도 문제제기가 있었으나 직접 쓰지 않은 것으로 해명이 되어 임용된 사실이 있다. 관련기사

2015년 3월 교육부는 최규동을 '3월의 스승'으로 선정했다. 이에 대해 상기한 친일 행적을 한 인물이 스승으로 떠받들어질 자격이 있느냐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당시 심사과정에서 최 선생의 친일행적 여부를 확인했다. 창씨개명 거부, 건국훈장 추서 등 대한민국 초기 교육발전에 기여한 공적이 인정됐다"고 해명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 논란에 대해 "일부 자료만을 갖고 전 생애를 친일행위로 매도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고 주장했다.#

4. 대중매체에서

1966년 영화 《남북천리》에서 배우 임운학이 연기했다.


[1] 1881년생으로 기록된 자료도 있다.[2] 디지털성주문화대전[3] #. 사정공파(司正公派)-참봉공파(參奉公派) 27세 동(東) 항렬.[4] 자는 경오(敬五).[5] 자는 문여(文汝).[6] 1896년 민영기가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종로구 중학동에 설립한 근대교육기관으로 1906년 폐교되었다.[7] 중동학교 발전에 큰 역할을 한 수학교사. 양주동 교수의 수필에 나오는 유년기 시절 '몇 어찌' 일화에서 '기하'라는 한자어의 유래를 알려준 사람이다.[8] 동경물리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했다. 한국인 최초로 근대수학을 전공한 인물로 정리사를 설립해 근대수학을 가르쳤다.[9] 1906년 서울에 설립되어 1912년까지 운영되었다.[10] 1905년 평양 성당에서 세운 가톨릭계 학교이다.[11] 이 사람을 사사했던 사람이 시인, 영문학자, 국문학자 양주동 교수다. 양 교수가 유년기에 시골에서 한학을 공부하고 도시로 나가 근대 학문을 배울 때 안 선생 문하에서 기하학을 배웠었다. 한문을 통으로 뗐던 양 교수가 생각하기에 幾何를 그대로 훈독하면 "몇 어찌"가 되니 뜻이 통하지 않아서 무슨 뜻이냐고 물어봤더니, 안 선생은 처음에 "너 한자 공부하고 왔다며? 진짜 몰라?"라고 반문했으나 양 교수가 "한문에는 이런 말이 전혀 없고 뜻도 통하지 않습니다."라고 했더니 이 단어가 명말 서광계가 geometry를 중국식 발음인 '지허'로 음/의역한 것이 지금에 이른 것이라고 답해주었다. 이때 목을 어루만지며 "때를 좀 씻거라."라고 지적했다는데, 이것은 견문의 부족을 비유한 것이다. 이 일화는 양 교수의 수필에 실제로 나오는 내용이다.[12] 디지털성주문화대전[13] 다른 세 편의 글을 쓴 사람은 연희전문학교장 윤치호, 한성상업학교장 김주익, 휘문학교장 홍산범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