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13:56:08

여천민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B005-C002-0632-01_L1.jpg
강기동 구춘선 권동진 권병덕 김경천
김동삼 김병조 김붕준 김상옥 김성수[A]
김완규 김익상 김지섭 김하락 나석주
나용환 나인협 남상덕 남자현 노백린
린썬 문창범 문태수 민긍호 민종식
박열 박승환 박용만 박은식 박준승
백용성 신규식 신돌석 신석구 신채호
신홍식 쑨커 안재홍 양기탁
양전백 양한묵 여운형
여천민 연기우 오세창 오화영 유동열
유여대 유인석 윤기섭 우빈 이갑성
이동녕 이동휘 이명룡 이범석 이범윤
이봉창 이상설 이상재 이승희 이위종
이은찬 이인영 이재명 이종일 이종훈
이필주 임예환 장건상 장인환 전명운
전해산 정환직 조성환 조완구 주시경
주자화 지청천 채상덕 천청 최석순
최성모 편강렬 홍기조 홍범도
홍병기 황싱 후한민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대한민국의 외국인 독립유공자
본적이 외국으로 되어있는 인물 (공훈전자사료관 기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훼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러시아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파일:여지이.jpg
출생 1881년 5월 17일
중화민국 윈난성
사망 1940년 3월 4일 (향년 59세)
중화민국 쿤밍시
국적 청나라중화민국 임시정부중화민국 북양정부중화민국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중화민국의 정치가. 1968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여천민은 1881년경 원난성 쓰마오현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은 여점동(呂占东)이며, 자는 천민(天民)이다. 1900년 향시에 급제해 거인(舉人)이 되었고, 1904년에 국비로 일본 와세다대학에 유학했다. 1905년 중국 동맹회에 가입해 총회평의, 원난 주맹인으로 추대되었으며, 1906년 <원난>지 주필을 맡아 중국 동맹회가 발행하는 <민보>에 논설을 기고했다.

1908년 3월, 여지이는 양진홍(杨振鸿) 등과 함께 원난성 독립대회를 열었다가 청 정부로부터 관비를 제명당하고 수배 대상으로 지목되었다. 이후 미얀마 양곤에서 '광화보'의 총주필, '진화보'의 주필을 맡았으며, 1909년 광화보에 "섭정왕[1]으로 흥하고 섭정왕[2]으로 망한 두 섭정"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해 청 조정의 행태를 풍자했다.

1911년 초, 여지이는 광저우 황화강 봉기에 참가해 격문 작성 및 밀지 전달 등을 맡았다. 황화강 봉기가 실패한 후, 그는 상하이로 가서 <민립보>의 주필을 맡았고, 1911년 7월 쑹자오런, 천치메이 등과 함께 중국 동맹회 중부총회를 창설했다. 1911년 9월, 그는 후베이의 혁명당인과 중국 동맹회 중부총회의 의뢰를 받아들이고 홍콩에서 황싱과 합세하고 청나라를 상대로 반란을 일으킬 예정인 우창의 신군과 합세하려 했다. 하지만 우창 봉기가 예정보다 일찍 발발하자, 여지이는 황싱의 지시에 따라 원난성으로 가서 원난성 도독부 참의를 맡았다.

이후 난징에서 열린 각 성도독부 대표연합회에 원난대표로서 참석한 그는 1912년 중화민국이 수립된 후 쑨원으로부터 난징 임시정부 사법부 차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중국동맹회 상하이 주재 기관부 부부장, 민국신문 편집장 등을 지낸 여지이는 1913년 민원국회의원, 헌법기초위원회 위원을오 선출되었고 계축전쟁에 참가하기도 했다. 1915년, 그는 쑨원의 명을 받들어 곤명으로 가서 호국전쟁에 가담했고, 1917년 광저우에서 쑨원이 조직한 호법군정부 사법부 차장을 지냈다.

1919년 중화혁명당이 중국 국민당으로 명칭을 변경했고, 여지이는 중국 국민당 소속 당원이 되었다. 이후 그는 광저우 군정부 사법부 차장, 내정부 차장, 내정장관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1922년 9월 중국 국민당 개선안 기안위원회 위원을 거쳐 중국 국민당 중앙참의를 맡았다. 또한 1923년 4월부터 광저우 대원수부 대리원장을 지내며 사법 및 행정 업무를 맡았으며, 1928년부터 국민정부 입법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러다가 1940년 곤명에서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여지이는 일찍이 독립운동가 신규식과 친교를 맺었다. 신규식은 박은식, 김규식, 신채호, 조소앙, 문일평, 박찬익, 민제호 등 30여 명의 인사들과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한 뒤 한국과 중국의 혁명지사를 서로 연결하고 두 국민 사이의 우의와 친선을 도모함으로써 한국의 독립을 촉진하고자 했다. 신규식은 여지이에게 자신의 취지를 설명하면서 협조를 요청했고, 여지이는 흔쾌히 승낙하고 쑹자오런, 천치메이, 호한민 등 30여 명을 설득해 동제사에 가입하게 했다. 이리하여 1912년, 한국과 중국의 지사들이 뭉쳐서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를 조직했다.

신아동제사는 중국의 혁명인사들이 한국의 국권 회복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협조한 1910년대 초 최대의 비밀 결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이 조직을 기반으로 해 상하이에서 중국 인사들의 협조를 받으며 정식으로 수립될 수 있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 점을 감안하여 1968년 여지이에게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1] 아이신기오로 도르곤[2] 2대 순친왕 재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