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2:12:19

김성수(189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67F, #005BA6 20%, #005BA6 80%, #00467F); color: #ffc224;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22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이시영 김성수 함태영 장면
}}}}}}}}}
김성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f8184><tablebgcolor=#0f8184> 파일:동아일보 로고 화이트.svg동아일보
역대 사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박영효
제2대

김성수
제3대

송진우
직무대리

허헌
제4대

이승훈
제5대

김성수
제6대

송진우
직무대리

양원모
제7대

백관수
제8대

송진우
제9대

김성수
제10대

최두선
제11대

이희승
제12대

고재욱
제13대

김상만
제14대

이동욱
제15대

김상기
제16대

오재경
제17대

김성열
제18대

김병관
제19대

권오기
제20대

오명
제21대

김학준
제22대

김재호
}}}}}}}}} ||

파일:한국민주당 글씨(흰색).png 한국민주당 수석총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8000> 초대
송진우
2대
장덕수
3대
김성수
}}}}}}}}}}}}

파일:민주국민당(1949년) 글씨.svg 민주국민당 최고위원 및 위원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adff2f> 최고위원
김성수
백남훈
신익희
지대순
1대 위원장
신익희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보성전문학교 교주(校主)[1]
초대

이용익
2대

이종호
3대

손병희
1921년

재단법인 보성전문학교[2]
1932년

재단법인 중앙학원에 인수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초대

김성수
1-4대

이활
5-8대

김상만
9대

김용식
10대

채문식
11·12대

김병관
13대

현승종
14·15대

김정배
16-19대

김재호

[1] 학교의 주인 또는 경영자를 지칭하는 말[2] 1921년 김기태와 박인호 등 58명의 공동명의로 재단법인 설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41B27, #872434, #872434, #641B27); color: #d7c9b1;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보성전문학교 교장
<rowcolor=#d7c9b1>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신해영 유성준 신해영 정영택 윤익선
<rowcolor=#d7c9b1>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원훈 허헌 유성준 박승빈 김성수
<rowcolor=#d7c9b1> 제11대 제12대 제13대
김용무 김성수 현상윤
고려대학교 총장
<rowcolor=#d7c9b1> 초대 제2-4대 제5대 제6대 제7대
현상윤 유진오 이종우 김상협 차락훈
<rowcolor=#d7c9b1>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김상협 김준엽 이준범 이준범 김희집
<rowcolor=#d7c9b1>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홍일식 김정배 어윤대 이필상 이기수
<rowcolor=#d7c9b1>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김병철 염재호 정진택 김동원
}}}}}}}}} ||

파일:고려중앙학원 엠블럼.svg 학교법인 고려중앙학원 이사장
고려중앙학원
창 립
<colbgcolor=#b29d82,#7d684d> 초대
김성수
제1~4대
이활
파일:중앙고 백색로고.png 중앙고등학교 교장
제8대
류 근
제9대
김성수
제10대
송진우
제14대
박용희
제15대
김성수
제16대
현상윤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대한민국 제2대 부통령
김성수
金性洙 | Kim Seong-su
파일:IE002286745_STD.jpg
출생 1891년 10월 11일
전라도 흥덕현 부안면 인촌리
(前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 인촌마을)[A]
(現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봉암리 인촌마을)[A][3]
사망 1955년 2월 18일 (향년 63세)[4]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133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길 84-6)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금남리 산 8-1[5]
재임기간 제2대 부통령
1951년 5월 16일 ~ 1952년 6월 28일
서명 파일:김성수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울산 김씨[6]
부모 아버지 김경중(생부), 김기중(양부)
어머니 제주 고씨(생모), 전주 이씨(양모)
형제자매 남동생 김연수
여동생 김점효
배우자 고광석(사별)
이아주(재혼)
자녀 장남 김상만
장녀 김상옥
차남 김상기
삼남 김상선
사남 김상흠
차녀 김상숙
오남 김상오
삼녀 김상현
육남 김상종
칠남 김남
팔남 김상석
구남 김상겸
사녀 김순민
학력 영학숙 (졸업)[7]
세이소쿠영어학교[8] (수료 / 4학년)
긴조중학교 (졸업)[9]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부 (정치경제학 / 학사)
종교 유교 (성리학)개신교 (장로회)
천주교 (세례명: 바오로)
판석(判錫)
인촌(仁村) }}}}}}}}}
파일:김성수 부통령.jpg
동아일보 창간 시절[10]
1. 개요2. 경력3. 생애4. 행적에 관한 의견과 사후 영향력5. 평가6. 가족관계7. 선거 이력8. 소속 정당9. 관련 문서10. 창작물에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인촌 김성수 선생 동상 건립문: 민족자립의 대본이 첫째 교육에 있음을 깨닫고 일제의 억압과 싸워가며 이 사업을 완수한 이는 곧 인촌 김성수 선생이었다. 선생의 사업이 허다하지만 특히 교육은 그가 지상사명으로 삼아 물심을 기울여 일생을 여기에 바쳤던 것이다. 선생은 본시 고창출생으로 일본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을 마치고 돌아오자 단기 4248년 1915년 중앙학교를 맡아 일익확장, 다시 그 경영을 반석위에 놓고자 4262년 1929년 재단법인 중앙학원을 창설하였다. 그후 2년에 걸친 구미유람에서 또 깊이 느낀 바 있어 4265년 1932년 보성전문학교를 이어받아 전기 재단 경영 밑에 두고 안암동 넓은 지역을 택하여 괄목할 시설을 이룩하니 영재육성과 아올러 민족문화배양의 일대요람을 만들고자 함이었다. 갈망의 해방을 맞이하자 익 4279년 1946년 드디어 보성전문학교를 개편하여 고려대학교로 승격시키고 한층 더 내용을 확충하니 그의 포부는 실로 원대하였다. 아! 선생은 4288년 1955년 아깝게도 65세로 세상을 떠났으나 애국애족의 발로에서 교육사업에 진취조촉한 그 승고한 정신, 치밀한 경영, 거룩한 공헌은 길이 후세의 사표가 되고 남음이 있으리라. 고대교우가 중심이 되어 본교관계유지들과 함께 선생의 높은 덕행을 추모기념하고자 모교 교정에 이 동상을 모신 것이다.
- 단기 4292년 1959년 5월 5일 건립 고려대학교 교우회[11]
대한민국의 제2대 부통령.

1919년 경성방직주식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였고, 1920년 주변인들과 함께 동아일보를 창간하여 경영하였다. 1915년 중앙학교, 1932년 보성전문학교를 인수하여 운영하였다. 해방 후 1945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고, 인수했던 보성전문학교를 1946년 고려대학교로 개편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시켰으며,[12] 1949년 민주국민당 창당에도 참여해 1951년 제2대 대한민국 부통령을 역임하는 등 일제강점기대한민국 초기에 걸쳐 활동하였다. 호는 인촌(仁村)이다.

당시 최대 지주였던 김성수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면서 이승만 대통령이 주도한 농지개혁에 적극 동참하여 힘을 실어 주었고 이승만 정부와 틀어지고 나서는 반독재 운동에 가담하기도 하였다.

일제시대 실력양성운동 및 독립운동을 지원하고 해방 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사후인 1962년 박정희 정부 때 건국공로훈장 복장(複章, 지금의 대통령장)이 추서되었으나, 노무현 정부 때 출범한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일제 말기의 행적을 친일로 인정하여 2018년 문재인 정부 때 서훈이 취소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기도 하나, 1945년 일제강점기 극후반까지 창씨개명을 끝까지 거부하고 언론, 교육, 정치, 경제 등의 분야에 큰 족적을 남긴 점 등에서 여전히 평가는 상반되고 있다.

2. 경력

3.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성수(1891)/일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행적에 관한 의견과 사후 영향력

5.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성수(1891)/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가족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아일보/오너 일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51 제2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78 (51.32%)[26] 당선 (1위) 초선[27][28][29][30]

8.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1938 - 1940 정계 입문

국민총력조선연맹
1940 - 1945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5 정당 해산

[[한국국민당|
한국국민당
]]
1945 창당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1945 - 1949 합당[31]


1949 - 1955 합당[32]
사망

9. 관련 문서

10. 창작물에서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f8184> 파일:김성수 투명.svg김성수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f8184,#ddd> 일생 일생 · 평가
가족 남동생 김연수 · 아들 김상만 · 아들 김상기 · 아들 김상흠 · 아들 김남
역대 선거 제2대 부통령 선거
설립 기관 동아일보(오너 일가) · 고려대학교
관련 단체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국민총력조선연맹 · 한국국민당 · 한국민주당 · 민주국민당
}}}}}}}}} ||



[A] 전라북도 고창군 부안면 인촌안길 32-1.[A] [3] 정운천 의원은 여기에 태어나기도 했다.[4] 심근염, 위장병, 뇌일혈 등의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5] 원래 묘소는 그가 세운 고려대학교 경내에 있었으나, 묘가 있던 자리에 인촌기념관을 세우고 묘소는 1987년 남양주시로 이장하였다.[6] 35세손 ○수(洙) 항렬.[7] 전라남도 창평군에 만들어진 호남 최초의 신학문 학교로, 장인인 고정주가 운영하였다.[8] 現 세이소쿠가쿠엔고등학교[9] 세이소쿠영어학교에서 5학년 때 전학[10] 당시 사진가는 황실의 사진가로 황제대통령, 부통령, 총리만을 촬영했다.[11] 연도 표기는 고려대학교/서울캠퍼스의 건립문 그대로 인용하였으며 한자는 국문화 및 생략[12] 김성수는 와세다대학을 졸업하였는데, 고려대학교와 와세다대학은 학풍이 비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두 학교의 관계는 상당히 돈독하다.[13] 당시 법인명은 재단법인 중앙학원, 직함명은 주무이사였으나 후임인 이활 주무이사 때 주무이사의 명칭이 이사장으로 바뀌었다. 그래서 현재는 김성수를 초대 이사장으로 소급 적용한다.[14] 특히 중일전쟁 시기부터. 아무리 좋게 넘어간다 해도 태평양 전쟁 말기 1943년 말 이후.[15] 일제강점기 말기 한반도에 거주하던 돈 좀 있거나 머리에 먹물이 들었다라는 자들 대다수가 하던 친일 행위였으며 철문은 생각해 보면 엄청난 친일 같아 보이기는 한데 당시 철로 된 물건이라면 종이고 세숫대야고 몽땅 뺏어가던 시대였음을 고려해야 한다.[16] 관련 자료(모바일버전, PC버전), 증언 동영상(모바일버전, PC버전), 관련 논문(#1, #2, #3, #4), 관련 서적(#1, #2, #3)[17] 민족문제연구소에서 발간한 친일인명사전보다 대한민국 정부 대통령 직속에서 발간한 친일반민족행위자 진상규명위원회에서의 내용이 훨씬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즉, 민간 연구 단체에서 발간한 것보다 정부에서 발간한 보고서가 구체적으로 정리되었다는 얘기다.[18] 고려대학교 총장, 초대 법제처장 등을 역임한 헌법학자 유진오의 <양호기>를 기초로 나온 내용.[19] 일본은 창씨개명이 자발적인 것이라고 선전하기 위해 친체제 인사들 중 일부가 창씨개명을 하지 않더라도 별 말 하지 않았다.[20] 실제로 이를 근거로 들만한 것이 김승학의 보고서인데 김승학의 보고서에 '친일 기준'에 따르면 '경찰의 박해를 면하고 신변의 안전 또는 지위, 사업 등의 유지를 위하여 부득이 끌려다닌 자'로 김성수는 유억겸과 같은 분류로 기술되어 있다. 유억겸은 1920~1930년대까지만해도 나름 '합법적 공간'에서 신간회라든가 변호사 활동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유억겸 역시 1938년 중일전쟁 발발 시점 무렵에 터진 흥업구락부 사건을 전후로 변절한 친일파다.[21] 비슷한 사례가 적지 않은데 무어인의 지배를 받던 이베리아반도가톨릭 신자들이 표면상 이슬람교로 개종하는 모습을 보였던게 대표적이다.[22] 백산 안희제 선생이나 경주 최부자 최준 선생 같은 경우는 뭐냐는 반론이 있는데 이들은 김성수가 그런 식으로 불복종 운동을 했었다면 그의 식솔들 수천 명의 생계는 사실상 풍비박산이 났을 것이라 본다.[23] 2005년 5월 31일 대통령 소속으로 출범한 기구이다. 4년간의 활동을 마치고 2009년 11월 30일 해산하였다.[24] 당시 경향신문 기사[25] 장증손이다. 김성수의 장남 김상만의 장손.[26] 결선 투표에서의 결과[27] 전임자 이시영 1951.5.9 부통령직 사퇴[28] 2대 국회에서의 간접 선거.[29] 1차 투표 65표 43.05%로 1위[30] 2차 투표 68표 45.03%로 1위[31] 조선민족당과 신설 합당[32] 대한국민당과 신설 합당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