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09 10:51:11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41B27 0%, #872434 20%, #872434 80%, #641B27); color:#d7c9b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보성전문학교 교장 <rowcolor=#d7c9b1>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신해영 유성준 신해영 정영택 윤익선 <rowcolor=#d7c9b1>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고원훈 허헌 유성준 박승빈 김성수 <rowcolor=#d7c9b1> 제11대 제12대 제13대 김용무 김성수 현상윤 고려대학교 총장 <rowcolor=#d7c9b1> 초대 제2-4대 제5대 제6대 제7대 현상윤 유진오 이종우 김상협 차락훈 <rowcolor=#d7c9b1>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김상협 김준엽 이준범 이준범 김희집 <rowcolor=#d7c9b1>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홍일식 김정배 어윤대 이필상 이기수 <rowcolor=#d7c9b1>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김병철 염재호 정진택 김동원 }}}}}}}}}}}}
고원훈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61041, #062861 20%, #062861 80%, #06104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d1d1d,#e2e2e2 의장(조선총독부 정무총감) 초대
야마가타 이사부로 제2대
미즈노 렌타로 제3대
아리요시 주이치 제4대
시모오카 주지 제5대
유아사 구라헤이 제6대
이케가미 시로 제7대
코다마 히데오 제8대
이마이다 기요노리 제9대
오노 로쿠이치로 제10대
다나카 다케오 제11대
엔도 류사쿠 부의장 초대
김윤식 제2대
이완용 제3대
박영효 제4대
민병석 제5대
윤덕영 제6대
이진호 제7대
박중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1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colbgcolor=#fff,#1f2023> 고영희 권중현 민상호 박제순 송병준 이근상 이근택 이완용 이재곤 이지용 이하영 임선준 장석주 조중응 조희연 조민희 한창수 찬의 강경희 권봉수 김만수 김사묵 김영한 남규희 민상호 박경양 박승봉 박제빈 박중양 염중모 유맹 유정수 윤치오 이건춘 이겸제 이재정 이준상 정인흥 조영희 조희문 한창수 홍승목 홍종억 부찬의 고원식 구희서 권태환 김교성 김낙헌 김명규 김명수 김준용 김필희 김한규 김한목 나수연 민건식 민원식 박제환 박희양 서상훈 서회보 성하국 송지헌 송헌빈 신우선 신태유 어윤적 엄태영 오재풍 오제영 윤치오 이도익 이만규 이봉로 이원용 이항직 정동식 정병조 정진홍 조병건 조재영 조제환 조원성 최상돈 한동이 허진 홍우철 홍운표 홍재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2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고희경 권중현 민병석 민영기 박영효 송병준 이하영 윤덕영 이윤용 부찬의 김현수 칙임 참의 김영진 김영한 김한목 남규희 민상호 민영찬 민형식 박승봉 박이양 박기양 박상준 박승봉 박의병 박제빈 박중양 백인기 상호 서상훈 신석린 신응희 어윤적 엄준원 염중모 유맹 유성준 유정수 유혁로 이건춘 이겸제 정진홍 조민희 조진태 조영희 조희문 한상룡 한진창 주임 참의 강병옥 고원훈 권태환 김갑순 김교성 김기태 김명규 김명준 김상설 김상섭 김연상 김영무 김정태 김준용 김창한 김필희 김현수 나수연 노창안 박경석 민건식 민영은 박기동 박기순 박봉주 박이양 박제환 박종렬 박흥규 박희양 방인혁 서병조 선우순 송종헌 송지헌 신석우 신태유 신창휴 심준택 심환진 안병길 양재홍 오재풍 오태환 원덕상 유기호 유빈겸 유익환 유흥세 윤치소 이강원 이근우 이기승 이도익 이동우 이만규 이병렬 이병학 이택규 이택현 이항직 이흥재 이희덕 장대익 장도 장상철 장응상 장직상 장인원 전석영 정동식 정란교 정병조 정순현 정재학 정태균 정호봉 조병건 천장욱 최석하 피성호 한영원 한상봉 한창동 허명훈 홍성연 현은 참의 구연수 김윤정 김춘희 김한목 김희작 남규희 민병석 박기순 원응상 윤갑병 윤정현 장헌식 정건유 현기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193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문 민병석 윤덕영 이윤용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서규 김영진 김윤정 남궁영 민상호 † 박두영 박상준 박영철 박용구 박중양 서상훈 신석린 어담 엄준원 염중모 유정수 유진순 유혁로 윤갑병 이겸제 이범익 이진호 장헌식 정교원 조경하 조성근 조희문 주영환 최린 한규복 한상룡 한진창 홍종국 주임 참의 강동희 강번 고일청 김경진 김기수 김기홍 김도현 김두찬 김병규 김사연 김상설 김상형 김상회 김신석 김영택 김정석 김정호 김종흡 김진수 김창수 김한규 김한목 김한승 남백우 노영환 문종구 민병덕 박기석 박종렬 박보양 박봉진 박철희 박희옥 방의석 방태영 서병조 서병주 석명선 선우순 성원경 손재하 손조봉 송지헌 신희련 안종철 오세호 오태환 원덕상 유승흠 유태설 이경식 이교식 이근수 이근우 이기찬 이기승 이동우 이명구 이방협 이승우 이병렬 이선호 이은우 이종섭 이충건 이진호 이택규 이희덕 이희적 인창환 장대익 장석원 장직상 장헌근 정관조 정란교 정대현 정석모 정석용 정해붕 조병상 주영환 지희열 최남선 최양호 최연국 최윤 최윤주 최준집 최지환 최창조 하준석 한영원 현준호 현헌 홍치업 황종국 참의 강필성 김병원 김성규 김제하 박상준 어윤적 유만겸 유성준 진희규 홍정철
}}}}}}}}}[ 194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bgcolor=#062861><-5>
고문 ||
김윤정 박중양 윤치호 이범익 이진호 한상룡 칙임 참의 고원훈 김관현 김명준 김사연 김연수 김영배 김영진 김우영 김윤정 김태석 김화준 박두영 박상준 서상훈 신석린 안종철 원덕상 유만겸 유진순 이겸제 이경식 이계한 이병길 이원보 장직상 장헌식 정교원 정란교 † 정연기 진학문 최린 한규복 주임 참의 강이황 권중식 김경진 김동준 김병욱 김부원 김사연 김신석 김원근 김재환 김태집 노준영 민재기 박지근 박창하 박필병 방의석 서병조 손창식 송문화 신현구 양재창 원병희 위정학 이경식 이기찬 이승우 이신용 이영찬 이익화 이종덕 임창수 장용관 장윤식 장준영 장직상 전덕룡 조병상 조상옥 차남진 최윤 최승렬 최정묵 최준집 한익교 한정석 현준호 황종국 참의 김하섭 문명기 이승구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대한체육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제강점기
초대 장두현 제2대 고원훈 제3대 최린 제4대 박창하 제5대 이동식 일제강점기
제6대 김규면 제7대 신흥우 제8대 유억겸 제9대 윤치호 제10대 유억겸 일제강점기
하지 군정
하지 과도정부
제11대 여운형 제12대 유억겸 제13대 정환범 제14대 신익희 제15대 신흥우 장면 내각
송요찬 내각
제16대 조병옥 제17대 이기붕 제18대 이철승 제19대 김동하 제20대 이주일 김현철 내각
제21대 이효 제22대 민관식 제23대 김용우 제24대 김택수 제25대 박종규 최규하 정부
제26대 조상호 제27대 정주영 제28대 노태우 제29대 김종하 제30대 김종열 제31-33대 김운용 제34대 이연택 제35대 김정길 제36대 이연택 제37대 박용성 제38대 김정행 제39대 강영중 제40대 이기흥 제41대 이기흥 권한대행 김오영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45a> 대한축구협회 회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e6002d> 초대 박승빈 <colcolor=#e6002d> 제2대 여운형 <colcolor=#e6002d> 제3·4대 고원훈 <colcolor=#e6002d> 제5·6대 하경덕 <colcolor=#e6002d> 제7대 신익희 제8대 홍성하 제9대 윤보선 제10·11대 홍성하 제12대 장택상 제13대 이종림 제14대 현정주 제15·16대 김명학 제17·18대 김윤기 제19대 장기영 제20대 정문기 제21대 장기영 제22대 김윤기 제23대 장기영 제24대 황엽 제25대 김윤기 제26대 민관식 제27-30대 최치환 제31·32대 장덕진 제33·34대 고태진 제35-37대 김윤하 제38대 박준홍 제39-43대 최순영 제44대 이종환 제45·46대 김우중 제47-50대 정몽준 제51대 조중연 <bgcolor=#e0ffdb,#202210> 제52-54대 정몽규 }}}}}}}}}
[clearfix]일제강점기 의 관료이자 기업인, 친일반민족행위자 . 본관은 개성 (開城), 자는 형보(亨甫), 호는 추인(秋人). 음력 1881년 2월 29일 경상도 상주목 산남면 신전리(현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신전리)# 에서 아버지 고윤경(高允㯳)과 어머니 광주 노씨 사이에서 5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0년 7월 일본 메이지대학 법과 를 졸업하고 1911년 8월 조선총독부 의 경부(警部, 경찰의 계급)로 채용되었고, 1913년 보성법률상업학교로 옮겨 교수로 재직하다가 1920년 이 학교 교장이 되었다. 보성법률상업학교는 1921년 전문학교 인가를 받고 보성전문학교 로 승격했고, 그는 조선인이 세운 최초의 전문학교 교장이 되었다. 한편, 1920년 7월 조선체육회의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되었고, 1921년 같은 회의 회장이 되었다. 1924년 4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가 되었고, 도 참여관으로 관료의 길을 걸었다. 전라남도(1924년 12월), 경상북도(1926년), 평안남도(1929년), 경기도, 평안북도(1930년 4월)에서 참여관을 역임하고 1932년 9월에는 전라북도지사 가 되었다.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는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 쉽게 말해 친일파 . 1930년대 후반부터는 전쟁 지원에 적극 나서서 시국강연회에 참가하였다. 즉, 1937년 9월 경상북도 각지를 돌아다니며 내선일체 와 황도(皇道) 실천을 주장하는 강연을 하였고, 1938년 7월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에서 열린 총독부 후원의 시국대책강연회에서 '일본의 수호신이 되어라.'는 내용의 강연을 하였다. 또한, 같은 해 조선축구협회장을 맡았으며, 1940년 10월에 결성된 국민총력조선동맹에서는 이사와 연성부(鍊成部) 연성위원 등의 직책을 맡았다. 1941년 흥아보국단을 조직하여 상임위원이 되었는데, 이 단체의 결성식 때 좌장(座長)으로 선출되어 '출전장병의 노고에 감사한다.'는 강연을 하였다. 그리고,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1938년)에도 가담하고 1941년 8월 임전대책협의회를 조직하여 위원이 되었고, 1941년 10월 평양과 춘천에서 당시 결성예정에 있던 조선임전보국단의 사명을 해설하는 강연을 하였고, 이어 임전보국단을 결성하여 부단장이 되었다. 이즈음에 이른바 창씨개명을 권유하는 강연을 행하면서 자신도 성을 타카모토(高元), 이름을 쿤(勳)으로 고쳤다. 고원훈은 동광제사(東光製絲) 사장으로서 조선에서 손꼽히는 거부이기도 했다. 1944년 그는 일제의 침략전쟁에 사용할 비행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김연수 등과 더불어 조선항공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취체역이 되었다. 이 회사는 일제의 침략 전쟁에 동원될 비행기를 제작하는 기업이었다. 1945년 2월 대화동맹을 만들어 심의원이 되었고, 같은해 6월 대의당을 조직하여 위원직을 맡았다. 1950년 6.25 전쟁 중이던 7월 1일 납북되어 그해 11월경 자강도 강계시 근처 산중에서 강행 중 사망한 것으로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