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0:32:11

왕십리역

성동구청역에서 넘어옴
왕십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산 방면
옥 수
← 3.2 ㎞
춘천 방면
청량리
2.4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왕십리(성동구청)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외선순환
상왕십리
← 0.8 ㎞
2호선
(208)
내선순환
한양대
1.0 ㎞ →
방화 방면
행 당
← 0.9 ㎞
5호선
(540)

마 장
0.7 ㎞ →
왕십리역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문산 방면
응 봉
← 1.4 ㎞
경의·중앙선
(K116)
지평 방면
청량리
2.4 ㎞ →
용산 방면
옥 수
← 3.2 ㎞
경의·중앙선
'''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
청량리 방면
청량리
← 2.4 ㎞
수인·분당선
(K210)
인천 방면
서울숲
2.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서울 경전철 동북선|
동북
]]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시종착
동북선
건설 중
GTX-C
건설 중
수원·상록수 방면
삼 성

6.3 ㎞ →
}}}}}}}}} }}}}}}}}}
역명 표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왕십리
Wangsimni
往十里 / [ruby(往十里, ruby=ワンシムニ)]
분당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2호선 왕십리 (성동구청)
Wangsimni (Seongdong-gu Office)
往十里 / [ruby(往十里, ruby=ワンシムニ)]
5호선 }}}}}}}}}
주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분당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광장로 17 (행당동 168)
2호선 5호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지하300 (행당동 192)
동북선
서울특별시 성동구 도선동
GTX-C
서울특별시 성동구 행당동
}}}}}}}}} ||
관리역 등급 및 소속 영업사업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보통역 / 3급
(청량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분당선
2호선 동대문영업사업소 왕십리(2)역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5호선 동대문영업사업소 왕십리(5)역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
}}}}}}}}} ||
운영 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한국철도공사
분당선
2호선 서울교통공사
5호선
동북선 동북선도시철도(주)
}}}}}}}}} ||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원선 1911년 10월 15일
분당선 2012년 10월 6일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2012년 11월 1일
수도권 전철
1호선
1978년 12월 9일
2호선 1983년 9월 16일
5호선 1995년 11월 15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분당선 2012년 10월 6일
수인·분당선 2020년 9월 12일
동북선 2026년 7월 예정
GTX-C 2028년 12월 예정 }}}}}}}}}
역사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지상 1층 경원선 분당선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지하 2층[1] 2호선
지하 5층 (심도 30m) 5호선 }}}}}}}}}
승강장 구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 수인·분당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2호선, 5호선)
}}}}}}}}}
철도거리표
용산 방면
응 봉
← 1.4 ㎞
경원선
왕십리
백마고지 방면
청량리
2.4 ㎞ →
기점 분당선
왕십리
수원 방면
서울숲
2.2 ㎞ →
유실물센터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 ☎ 02-6311-6765, 6768

1. 개요2. 역 정보
2.1. 역사
2.1.1. 지하철 개통 전2.1.2. 지하철 2호선 및 5호선 개통2.1.3. 민자역사 완공2.1.4. 분당선 개통2.1.5. 미래
2.2. 환승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사건 사고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왕십리역.jpg
현 역사 (2008년 준공)
도시인의 일상을 함께하는 왕십리역
왕십리역은 1911년 10월 15일 독도역이라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1914년 용산 ~ 원산 간의 경원선 개통과 함께 역사가 건립되면서 왕십리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78년 용산 ~ 성북 간 전동차가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1983년 지하철 2호선, 1995년 5호선이 개통되고 뒤이어 2012년 분당선이 개통, 수도권과 서울 동북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더불어 2008년 지하 3층, 지상 17층의 민자역사 준공으로 출퇴근, 문화체험, 스포츠, 쇼핑 등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함께할 수 있는 주민 친화적인 공간이 되었는데, 특히 역무 시설과 상업 시설 뿐만 아니라 지역 문화와 커뮤니티를 위한 광장이 있어 이벤트와 문화전시의 장으로 발전하였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2. 역 정보

파일:왕십리역(2) 안내도(2023.7).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서울 동북부의 중심지 중 하나이자 경기도 동부 및 남부 (구리, 남양주, 하남, 양평, 성남, 용인 등) 지역에서 서울 도심으로 진입하는 주요 교통 거점 중 하나이다. 그리고 다양한 환승역 기록을 가지고 있다.
왕십리역은 현재 서울 지하철 2호선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만나는 4개 환승역이다. 수도권 전철은 1978년에 용산 ~ 성북 구간의 전동차 운행이 시작되면서 운영을 개시했으며, 1983년에 2호선, 1995년 5호선 영업을 시작하면서 국내 최초 3개 노선 환승역이 되었다. 2012년 10월 6일에 분당선 연장과 함께 4개 노선 환승역으로 발전했다. 향후 동북선GTX-C가 개통하면 6개 노선의 환승역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ITX-청춘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여 운행 중이나, 정차 횟수는 서울 동북부의 환승 중심지임에도 불구하고 정차횟수가 하루에 왕복 6회뿐이다. 특히 정차 횟수당 승하차량은 청량리역보다도 높다.

현재 4개 노선 모두 스크린도어가 가동된다. 중앙선(현 경의·중앙선)은 2010년에 설치되었으며, 분당선(현 수인·분당선) 승강장에는 2013년 말까지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2019년 1월 3일부터 4월 18일까지 5호선의 스크린도어를 재설치했다.

역명은 '왕십리역'이지만, 여러 번의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행정구역상으로는 왕십리동이 아니라 행당동이다. 행당동 뿐만 아니라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사근동 등 주변 지역 모두 왕십리역의 역세권에 해당한다.

분당선과 경원선을 잇는 연결선로가 있다. 따라서 분당선이나 신분당선, 경강선의 신차 반입은 이 역을 반드시 거친다. 그 전에는 수서차량기지를 통해서 분당선 연결선로를 거쳤으나, SRT 수서역 건설 과정에서 철거되었다.

편의점은 2호선 구역에 IGA 마트가 입점해 있다가 사라져 5호선 구역에 세븐일레븐과 한국철도공사 구역에 스토리웨이가 남아있다. 또한, 민자역사 1층에 CU가 있으며, 6, 13번 출구로 나가면 한양대학교 상권이 잘 형성되어 있어 편의점을 쉽게 찾을 수 있다. 혹은 12번 출구로 나오면 눈 앞에 이마트 왕십리점이 위치하고 있어 이마트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5호선 역사에는 4번 출구 옆에 지상에서 지하 4층 맞이방(운임구역)으로 바로 이어지는 엘리베이터가 있다. 지하 4층에서 내리자마자 옆에 있는 간이 개찰구에 교통카드를 대지 않으면 부정 승차로 간주되므로, 반드시 간이 개찰구에 승하차 태그 후 이용하여야 한다.

2.1. 역사

2.1.1. 지하철 개통 전

파일:옛 왕십리역.jpg
구 역사 (1911년 준공, 1978년 철거)
파일:external/www2u.biglobe.ne.jp/ozonephoto-cheong-wangshimni-hyou.gif
경원선 시절 역명판
경원선 개통과 함께 1911년 10월 15일에 독도역(纛島驛)으로 열었다. 纛島는 '뚝섬'의 한자 표기로, '뚝도'라고도 하였다. 1914년 4월 11일 현재역명으로 바뀌었다.[4]

1930년에는 노면전차경성궤도가 개통되어 서쪽으로는 동대문까지, 동쪽으로는 성동교를 건너 뚝섬이나 광장동까지 갈 수 있었다. 그러나 6.25 전쟁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고 운영난을 겪다가 1960년대에 폐선되었다. 이때는 수많은 측선 사이에 섬식 승강장 하나만 있었다.

1978년 4월 1일부터 서빙고역과 함께 전철 공사로 인해서 당분간 여객 취급을 중지한 적이 있다.[5]

2.1.2. 지하철 2호선 및 5호선 개통

1978년에 국철 용산 ~ 성북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철 영업을 개시하였다. 전동차가 들어온 뒤로는 역사와 승강장을 잇는 과선교 정도만 설치하고 그대로 사용하였다.
파일:wangsimni.png
2호선 개통 때의 역명판
파일:attachment/왕십리역/2013_08_31_16_13_28-1.jpg
2호선 승강장 옛 역명판
양택식 서울시장1기 지하철 계획에서 2호선은 을지로에서 왕십리를 지나 강남으로 갔고, 5호선은 동대문 ~ 신설동 ~ 답십리 구간을 경유하고 일부 구간을 서울 지하철 1호선 선시공 부분과 공유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선시공된 부분은 계획이 바뀌면서 쓰지 못하고, 2기 지하철 계획에서 철도 음영 지역을 최대한 줄이고자 금호동과 행당동을 경유하면서 5호선도 왕십리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구자춘 시장이 계획을 뜯어 고치면서 2호선은 순환선으로 계획이 변경되었으나, 을지로 ~ 왕십리 구간은 이전 계획과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2호선 역은 1980년에 착공되어 1983년에 을지로입구역 ~ 성수역 구간과 함께 개통했다. 2호선의 원래 역명은 ‘하왕십리역’으로 붙여질 예정이었으나 ‘왕십리역’으로 개통했다. 이는 상왕십리역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2호선이 개통하면서 철도청이 운영하는 경원선은 역무 시설을 지하로 이전했는데, 사실상 철도청 역사를 없애고 과거의 신도림역이나 창동역처럼 개찰 업무를 맡긴 셈이다. 이 때문에 한동안 창동역처럼 화물 업무만 맡았다. 개찰구도 없어서 역무 업무도 서울지하철공사가 대신 하였다.

1995년 11월 15일에는 5호선 왕십리역 ~ 상일동역 구간이 개통하면서 5호선 역이 영업을 시작했다. 1996년 10월 11일 군자역이 7호선과의 환승역이 되기 전까지 5호선 왕십리역은 5호선 강동 구간에서 타 노선과 환승할 수 있는 유일한 역이었다.
파일:왕십리역1.jpg
2003년 11월 국철 왕십리역
파일:왕십리역2.jpg
2003년 11월 국철 왕십리역

2.1.3. 민자역사 완공

파일:왕십리역민자역사.png
왕십리역 민자역사(비트플렉스)
[ 민자역사 사업자 개요 펼치기 · 접기 ]
||<-2><bgcolor=#ccc,#323232> 왕십리역 민자역사 ||
정식명칭 주식회사 비트플렉스
영어명칭 BITPLEX CO., LTD
설립일 1992년 4월 9일
업종명 부동산서비스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기업규모 중소기업
모회사 비트컴퓨터
홈페이지

1980년대에 철도청민자역사 사업을 시작하면서 5호선 개통 전인 1990년대 초반부터 민자역사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에 1992년 삼미유통이 사업권을 획득하여 지하3층, 지상9층 규모에 백화점을 포함한 민자역사 개발을 추진하였으나, 삼미그룹의 경영난으로 인해 청구에게 사업권을 매각했다.

사업권을 인수한 청구는 당시 국내 백화점 최대 규모였던 롯데백화점 본점의 12,000평을 뛰어넘는 12,500평 규모의 백화점을 구상했으나, IMF 외환위기로 의해 청구그룹 또한 경영난을 겪게 되어 두 번이나 사업주체가 도산하는 불운을 겪게 되었고, 이에 따라 민자역사 개발 사업 역시 계속 지연되었다.

이후 2000년 청구그룹이 갖고 있던 사업권을 비트컴퓨터가 인수한 뒤 사업을 재개하여 2008년 9월 간신히 완공되었다. 이로 인해 철도청의 후신인 한국철도공사가 25년 만에 이 역의 지상과 지하 역사에 자사 개찰구를 갖추었다.

공사 업체와 사업 주체 간 갈등 때문에 몇몇 상가의 입점이 지연되었다. 2008년 8월에 입점한다고 하던 CGV 왕십리는 2008년 12월 24일에야 영업을 개시했다. 포시즌 워터파크 입점도 2009년 2월로 예정되었으나 같은 해 6월 9일에 개점했다. 영등포구 씨랄라에 이은 서울 내 2번째 실내 워터파크였으나, 2013년에 영업을 종료하였으며 그 자리에는 웨딩홀이 영업 중이다. 워터파크 부속으로 딸려 있던 찜질방과 목욕탕은 한동안 유지되다가 2017년에 폐점했다.

쇼핑몰 가운데 하나로 엔터식스(ENTER6)가 있는데, 내부 인테리어가 아름답다. 특히 원형분수대가 잘 알려져 있는데 도쿄 오다이바 비너스 포트에서 모방했고, 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치안 호텔을 모방했다.

한때는 불법 건물이라는 오명을 쓴 적도 있었다. 건설 과정에서 주변 부지를 매입해서 기부채납을 해야 했는데 임시 승인만 받은 채로 영업하던 것이다. 성동구는 2012년 연말까지 준공 승인을 못 받으면 퇴거 조치하겠다는 경고문을 보냈다.[6] 2013년 3월 25일에 운영사인 비트플렉스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기부채납을 위한 도로부지계약을 체결하였다.[7] 2014년 4월 15일에 기부채납을 완료하여 준공 승인을 받았다.

민자역사 사업과 연계하여 성동구와 비트플렉스의 합작으로 왕십리광장을 조성했다.

정면에서 보면 서울역이나 용산역 급으로 규모가 상당히 거대하다.

2.1.4. 분당선 개통

2012년에는 분당선이 연장 개통하였다. 분당선이 현재의 왕십리 ~ 분당 경로로 확정된 1990년대부터 계획에 있었지만, 한강과 중랑천을 하저터널로 넘어가는 것이 확정되면서 난공사가 예상됐고, 이런저런 사정 때문에 설계만 해 놓은 채로 무기한 연기되다가 2003년에 공사를 시작해 2012년에야 개통한 것이다.
파일:attachment/angsi.jpg
W자 불이 나간 왕십리역 전광판
분당선 승강장은 민자역사를 완공하면서 마련했다. 분당선 개통 전에는 임시로 중앙선 용산 방면 타는 곳으로도 썼었다. 연장 개통에 맞춰서 안내 시설을 교체했는데 이 때 수 많은 오류가 난 적이 있다. 예를 들면 Tracks를 Trcaks로 오타 내거나[8] 전광판의 W자 불이 나가면서 십리역이 된 적도 있다. 'Trcaks' 오타는 개통 직전 수정되었는데, ca를 잘라내고 그 자리에 ac를 인쇄한 스티커로 땜질했다가 2012년 12월 1일에 망포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새 것으로 교체했다.

2018년 12월 31일부터 분당선이 청량리역까지 연장되었지만 여전히 실질적으로는 대부분의 열차가 왕십리역에서 시·종착한다.

2020년 9월 12일에 수인선수원역까지 완전 개통하면서 분당선과 수인선이 수인·분당선이라는 이름으로 직결되어 환승 없이 화성, 안산, 시흥, 인천 지역으로도 갈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직결로 인해 성남, 용인, 수원을 거친 뒤 해당 지역에 가게 되어 상대적으로 우회하는 선형을 나타내고 있다.

2.1.5. 미래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서울 경전철 동북선과 현재 추진 중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이 개통하면 6개 노선의 환승역이 되어 환승거점 역할이 더 강해질 것이다. 고산자로, 고려대, 종암동, 장위동, 월계로, 상계동·중계동·하계동 수요까지 합쳐서 이곳으로 내려온다. 혼잡도는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다. 게다가 기존에 환승되던 노선들은 노원, 강북방향으로 가지 않으므로 이 노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며, 강북구 쪽은 강남 방향으로 가는 더욱 빠른 경로가 생겼기 때문에 수요가 늘 것이다.

우이신설선 또한 이 역으로 연장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바 있고, 실제로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값이 1.21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으나 무산되었다.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지하에 광케이블이 있고, 전방의 1호선과 2호선 성수지선을 연결하는 선로에 가로막혀 난공사가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다시 설계를 하고 연장하기에는 착공 지연이 우려되어 결국 우이신설선은 신설동역까지만 지었다. 하지만 강북구 등 우이신설선 연선에서 왕십리역 연장 재추진을 시도하고 있으며, 실제로 이순희 현 강북구청장의 공약으로 우이신설선 왕십리역 연장 추진에 대해 언급되어 있다.

경춘선 또한 해당 역을 지나는 경의·중앙선과 직결하자는 이야기가 나온 바 있으며 향후 GTX-B가 개통되면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이 이 역 하부를 통과하는 노선으로 바뀌면서 정차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타당성 조사 결과 추개 공사비로 3,000억이 추산되었지만, 추정된 30년간 운임 수입이 이를 뛰어넘는 6,000억에 육박하는 것으로 예상되었고, 일 예상 이용객은 8만 명으로 추정되어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9] 이에 GTX-C에 입찰한 민자 컨소시엄 3곳 모두 왕십리역 정차안을 제출하여 정상적으로 추진 중이다.[10]

2.2. 환승

1기 지하철과 2기 지하철이 만나는 역 치고는 환승 거리가 평범하지만, 내부 구조가 상당히 복잡해서 길을 잃는 경우가 간혹 있다.

한때 5호선에서 중앙선으로 환승할 때에는 반드시 2호선 타는 곳으로 들어 갔다가 다시 나와야 했던 적도 있다. 민자역사 공사 완료 뒤에는 거치지 않아도 되는데, 새로 생긴 통로가 2호선 외선순환 타는 곳 바로 옆에 붙어서 지나간다.

2호선 외선순환 열차에서 5호선으로 갈아탈 때의 원래 환승 동선은 5호선 개찰구 방향으로 돌아가도록 되어 있지만, 타는 곳 중간의 환승 통로 입구에서 바로 왼쪽 계단을 이용해서 내려가면 환승 거리가 상당히 줄어든다.

2호선 내선순환 열차에서 내리면 바로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쪽으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쪽과 2호선 외선순환 쪽도 연결되기 때문에 경의·중앙선 / 수인·분당선 열차가 도착하면 외선순환 쪽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한때 중앙선이 분당선 공사로 인해 1, 4번 타는 곳을 썼다. 분당선이 2, 3번 타는 곳을 쓰면 금정역 같은 개념환승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했다. 이는 회기역과 비슷한 사례로 수인·분당선 선로는 이 역에서 벗어나자마자 남동쪽 지하 터널로 빠지지만 경의·중앙선 선로는 남서쪽 응봉역으로 빠지기 때문에 경의·중앙선 문산행과 수인·분당선 왕십리행(2번을 종착으로, 3번을 출발로 썼다고 가정)이 평면교차로 꼬이기 때문이다.

추후 완공될 동북선 왕십리역의 환승 통로는 5호선 승강장 방향으로 연결되어 2호선 및 5호선과의 환승은 비교적 무난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의·중앙선과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다소 거리가 있어 환승 난이도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최 직전 강릉선 KTX가 개통될 무렵에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는 왕십리역도 KTX 정차역으로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무산되었다. 대중교통 편리성, 유동인구, 상권 모두 왕십리역이 청량리역보다 더 뛰어난데도 불구하고 왕십리역과 청량리역 간의 선로 용량 포화로 인해 청량리역이 KTX 정차역으로 선정된 것이다. 또한, 수인·분당선 개통과 급행 편성으로 인해 KTX 열차가 왕십리역을 경유하도록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았다. 결국 한 정거장 차이로 수도권 전철은 왕십리역을 이용해야 하고 KTX는 청량리역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3. 역 주변 정보


역사 내부에 서울 동북권의 최대 복합 쇼핑몰 중 하나인 왕십리 민자역사(비트플렉스)가 자리하고 있어 이마트 왕십리점, CGV 왕십리, 엔터식스, 영풍문고 등 다양한 시설들을 한 곳에서 즐길 수 있다. 민자역사에 가고자 할 경우, 2호선 또는 5호선을 이용하여 가는 경우 지하의 6-1번 출구를, 경의·중앙선 또는 수인·분당선을 이용하여 가는 경우 2층의 12번 출구를 통해 찾아가면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정식명칭은 상기한대로 '비트플렉스'이지만 사실 그렇게 부르는 사람은 거의 없고 그냥 왕십리역으로 통한다. 어차피 왕십리역에서 모이자고 한다면 필히 민자역사에서 보자는 뜻이지 승강장 플랫폼에서 보자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왕십리역이라고만 불러도 소통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

공공기관의 경우, 인근에 성동종합행정마을이 자리잡고 있어 성동구청을 필두로 성동구의회, 성동광진교육지원청, 서울성동경찰서, 성동청소년센터 등 각종 공공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다만 성동구청 바로 앞에 출구가 나있지 않기 때문에 4, 5번 출구에서 도보로 3분 가량 이동해야 한다. 추후 서울 경전철 동북선 개통 시 성동구청 앞에 출구가 하나 생길 예정이다. 성동종합행정마을 외 지역에도 성동우체국, 성동소방서, 왕십리119안전센터, 소월아트홀, 행당1동주민센터, 왕십리2동행정복지센터 등 다양한 공공기관이 자리잡고 있다.

금융기관도 밀집해 있다. 은행으로 NH농협은행 성동금융센터, 우리은행 왕십리역금융센터, KB국민은행 왕십리역, 신한은행 성동구청지점이 있다. 제2금융권 상호금융기구로는 성동우리새마을금고 본점, 무지개새마을금고 본점, 왕십리중앙새마을금고 본점, 무학교회 신용협동조합, NH저축은행 왕십리지점이 있으며, 증권사로는 미래에셋증권 성동WM, NH투자증권 성동금융센터가 있다.

2010년대 이전까진 행당삼부아파트(現 서울숲삼부아파트)를 필두로 한 구축 아파트와 단독주택들이 역 주변의 주된 주거지 형태였으나, 2010년대에 들어서는 일대의 단독주택들을 허물고 아파트를 올리는 크고 작은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업으로는 왕십리뉴타운이 있으며, 이 외에도 서울숲 더샵, 서울숲리버뷰자이 등 다양한 신축 아파트들이 생겨나고 있다.

또한 2호선 한양대역, 성수지선 용답역과 더불어 한양대학교 주변 상권에도 인접하여 6번 출구 또는 13번 출구를 이용한다면 편리하게 한양대학교 상권의 술집·음식점·자취촌을 갈 수 있다. 학교 캠퍼스로 갈 때에는 캠퍼스 바로 안에 있는 한양대역을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지만, 한양대학교병원 등 한양대역과 반대 방향에 있는 곳으로 갈 때에는 셔틀버스와 마을버스 성동03-2번이 운행 중인 왕십리역이 더 편리하다. 2호선 이외의 노선을 이용하여 이 역에 도착하면 2호선으로 환승해서 한양대역으로 가는 것보다 걸어서 혹은 성동03-2번을 이용하여 한양대학교에 가는 것이 나은 경우도 있다.

그 외 인근 교육 기관으로는 서울행당초등학교, 무학중학교, 동마중학교,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학교,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2012년부터 경기도 직행좌석버스가 운행하였으나, 왕십리역 일대 도로 혼잡 등의 사유로 현재는 경기 면허 시내버스가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있다.

4개 노선이 경유하는 편리한 전철 간 환승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지만, 전철과 버스 간 환승에서는 왕십리 광장을 직접 경유하는 마을버스4211번, 6010번을 제외하면 타 역에 비해 약간 까다롭다는 평을 듣는다. 이는 민자역사의 위치가 왕십리광장로 일대에 위치하여 왕십리로고산자로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는 점과 역 앞의 교차로가 오거리로 구성되어 다양한 노선을 포괄하기 위해서는 좌회전 공간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정류소를 중심지와는 조금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단점은 고산자로 상의 성동구청 정류소 인근에 동북선 출구가 신설된다면 일부 개선될 전망이다.

2015년에 들어서 성동구청에서 홍대거리건대거리 상권에 필적하는 한양대학교 주변 상권을 만들기 위해서 상왕십리역 - 왕십리역 - 한양대역 주변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했다.[12]

한때 역 남쪽에 행당 건널목이 있었는데, 현재 서울숲리버뷰자이아파트와 서울숲더샾아파트를 이어주는 육교가 위치한 자리에 있었다. 대중교통으로는 성동14번을 타고 '서울숲리버뷰자이아파트제2주차장'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일대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역 인근에는 소월아트홀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각종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왕십리(성동구청)역 출구 정보
1 상왕십리 방면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동부지사
2 왕십리119안전센터
성동구보건소 방면
서울특별시장애인치과병원
3 도선사거리
서울성동경찰서 방면
4 성동구청·성동구의회
서울성동경찰서
성동구육아종합지원센터
성동청소년센터
서울특별시성동광진교육지원청
5 왕십리광장
6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
동마중학교
마장국민체육센터
한양대부속중·고등학교
6-1 왕십리광장
7 왕십리로
서울숲삼부아파트
8 서울성동경찰서 교통정보센터
9 성동아트센터(소월아트홀)
행당1동주민센터
10 서울성동우체국
행당시장
11 하왕치안센터
12 왕십리광장
13 한양대학교병원
한양대학교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37b366><bgcolor=#37b366> 연도 ||
파일:ITX-청춘 BI.svg
|| 파일:Seoulmetro2_icon.svg || 파일:Seoulmetro5_icon.svg || 파일:GJLine_icon.svg 파일:SBLine_icon.svg ||<bgcolor=#37b366> 총합 ||<bgcolor=#37b366>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78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978년
파일:투명 10x10.png
1,143명
1979년 3,026명
1980년 3,270명
1981년 4,147명
1982년 5,119명
1983년 자료없음 6,905명 [13]
1984년
~
1993년
단독
개찰구
없음
1994년 31,047명
1995년 32,593명 자료없음
1996년 29,843명
1997년 23,265명
1998년 21,993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23,426명 10,450명 33,876명 비고
2001년 24,060명 10,436명 34,496명
2002년 24,646명 10,093명 34,739명
2003년 24,365명 10,194명 34,559명
2004년 25,855명 10,643명 36,498명
2005년 27,008명 11,177명 38,185명
2006년 27,756명 11,145명 38,901명
2007년 28,015명 10,884명 38,899명
2008년 29,868명 11,366명 13,004명 54,238명
2009년 31,334명 12,105명 16,812명 60,251명 }}}}}}}}}
2010년 33,306명 12,477명 19,162명 64,945명
2011년 35,088명 12,735명 20,319명 68,142명
2012년 275명 36,209명 12,695명 23,935명 72,839명 [14]
2013년 463명 37,948명 12,098명 36,302명 86,348명
2014년 605명 38,523명 12,050명 38,582명 89,155명
2015년 732명 38,136명 11,573명 39,457명 89,166명
2016년 726명 37,917명 11,445명 39,809명 89,171명
2017년 770명 36,460명 11,365명 39,561명 87,386명
2018년 933명 36,130명 11,332명 38,809명 86,271명
2019년 1,005명 36,479명 11,104명 38,769명 86,352명
2020년 890명 24,983명 7,989명 27,786명 61,648명
2021년 939명 24,447명 8,235명 27,512명 61,133명
2022년 1,007명 27,927명 9,004명 31,387명 69,325명
2023년 1,091명 28,963명 9,465명 33,306명 72,825명
출처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5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5]
파일:ITX-청춘 BI.svg 파일:GJLine_icon.svg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2023년 기준으로 네 노선의 이용객을 합하면 72,825명이다.

강북에서 이용객이 극적으로 늘어난 얼마 되지 않는 역이다. 2008년 민자역사의 준공이 중요한 변곡점으로, 그 전까지는 한양대 상권을 제외하면 별다른 시설물이 없어서 평범한 환승역 중 하나에 불과했다. 그러나 민자역사가 들어서면서 엔터식스, 이마트 왕십리점, CGV 왕십리를 필두로 수많은 상점들이 속속 오픈하여 성동구 일대 최고의 상권으로 주목받았고, 이용객 또한 급격하게 늘어났다. 이에 2000년 기준 일 33,876명에 불과했던 이용객 수가 민자역사 완공 직후 1.5배 증가하였고, 2019년에 이르러서는 하루 평균 86,352명이 타고 내리는 주요 거점 역으로 성장했다. 19년 전과 비교하면 2.6배 승객이 늘어난 셈이다. 도심 한복판의 종각역과 비교했을 때 2000년 기준으로는 종각역의 승객 수가 3.3배 많았으나, 2017년 왕십리역이 종각역의 이용객 수를 추월했다.

특이 사항은 경의·중앙선과 수인·분당선의 승하차객이 가장 많다는 점이다. 두 노선이 게이트를 공유하는 데다 왕십리역의 주 이용객은 민자역사 및 한양대학교와 일대 상권을 방문하기 때문이다. 역에서 한양대학교 방면으로 난 출구는 2호선 쪽의 6번 출구와 경의·중앙선과 수인·분당선이 공유하는 13번 출구인데, 이들 가운데 6번 출구의 계단 높이가 상당하여 13번 출구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많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2호선 대합실과 경의·중앙선 및 수인·분당선의 플랫폼 사이, 그리고 플랫폼과 12, 13번 출구 사이는 모두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이동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2·5호선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민자역사에 방문 목적이 없을 때도 한국철도공사 노선의 게이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게 나타난다. 비슷한 수치의 2호선은 34위로 중하위권 정도, 5호선은 43위로 하위권이다.

다만 5호선의 게이트 위치가 다른 노선에 비해 좋지 않기 때문에 실 이용객 수는 집계된 수치보다는 훨씬 많다. 이는 5호선 도심 구간 환승역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 때문에 5호선의 실제 이용객 수는 집계된 수치보다는 꽤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왕십리역에서 환승하는 이용객 수 또한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는데, 실제로 2022년 집계 기준 왕십리역의 평일 일 평균 환승인원 수는 전체 4위에 해당하는 168,848명을 기록했다.참고문헌

8호선 연장선인 별내선의 개통으로 수인·분당선의 강남권 환승수요가 감소될 가능성이 크다. 환승 없이 바로 강남권과 접속되는 잠실(2호선), 석촌(9호선), 가락시장역(3호선)으로 연계되며 승강장도 상대식으로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승강장

왕십리역은 4개 노선 모두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2호선과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 역이며, 경의·중앙선 및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도합 2면 7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상역이다. 특히 경의·중앙선과 수인·분당선 승강장은 타 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아서 이용객에 의해 매우 혼잡하여 출퇴근 시간대에 안전 지킴이 인력이 배치되고 있다.

5.1. 경의·중앙선, ITX-청춘수인·분당선 (지상 1층)

파일:왕십리역 경의중앙선.jpg 파일:경의중앙선 왕십리역 역명판.jpg
경의·중앙선 및 ITX 청춘 승강장 역명판
파일:수인분당선 왕십리역 승강장.jpg 파일:K210_왕십리_20201025_완.jpg
수인·분당선 승강장 역명판[16]
청량리
1 2 3 4
응봉 서울숲
1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
급행
덕소·용문 방면
1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평내호평·가평·춘천 방면
2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
급행
용산·대곡·문산 방면
2 경춘선 파일:ITX-청춘 BI.svg 용산 방면
3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완행 당역 종착
청량리 방면
4 완행 죽전·수원·인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용문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7-1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문산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8-2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1-1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3-4
이 역은 구배가 평지(L)이다. 지하로 다니는 2호선 열차가 들어오는 소리를 지상 승강장에서 뚜렷하게 들을 수 있다.

수인·분당선 왕십리행 열차는 보통 3번 승강장에 정차한 뒤 청량리 방면으로 연장된 회차선으로 들어간 다음 다시 4번 승강장으로 진입하지만, 열차 지연 등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4번 승강장으로 곧바로 정차하여 바로 하행 방면으로 운행을 시작한다.

수인·분당선이 연장 개통되면서 선릉역과 수서역이 더 이상 주박 기능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심야에 아래의 4대가 주박한다.4대의 열차들은 다음 날 아래의 열번으로 새벽에 출발한다.

5.2. 서울 지하철 2호선 (지하 2층)

파일:왕십리역_승강장.jpg
2호선 승강장(분당선, 하남검단산 표기 교체 전)
파일:왕십리역_역명판.jpg
2호선 역명판
2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역이다. 2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상왕십리 방면으로 7퍼밀 상구배가 있다.

내선순환 기준 2호선 강북 구간의 마지막 지하역이다. 다음 역인 한양대역반지하 역에 가깝고, 뚝섬역부터 완전한 지상역이 된다.
상왕십리
한양대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을지로3가·시청·홍대입구·영등포구청 방면
성수·잠실·교대·사당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 잠실 방면)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6-1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내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2-3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 신촌 방면)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5-4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8-4

5.3. 수도권 전철 5호선 (지하 5층)

파일:왕십리역 5호선.jpg
스크린도어 교체 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파일:FB_IMG_1569057058731.jpg
스크린도어 교체 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파일:935494619_3debf303ae_o.jpg
스크린도어 설치 전 5호선 승강장의 모습
파일:역명판왕십리역5.png
5호선 역명판
5호선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어진 지하역이다. 지하 깊은 곳에 만들어져 승강장이 2-arch 공법으로 설계되었다. 5호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행당
마장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여의도·김포공항·방화 방면
군자·하남검단산·마천 방면
노선 및 방면 빠른 환승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7-2
파일:Seoulmetro5_icon.svg 5호선 (방화 방면) 파일:Seoulmetro2_icon.svg 2호선,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파일:SBLine_icon.svg 수인·분당선 2-3
이 역부터 양평역까지 승강장이 기본 지하 4층이라서 심도가 깊어진다.

2019년 1월부터 스크린도어 재설치를 진행하였다. 방화 방면 및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승강장 모두 스크린도어는 이미 완공되었으며 가동 중이다.

5호선 구형 스크린도어(일명 띵동이) 중 특유의 띵동 소리가 잘 들렸다. 광화문역, 군자역도 있었지만 들리지 않아서 사실상 무음이었고 광화문역은 들리지 않았다. 구형 스크린도어는 우장산역만 유일하게 현역이었으나, 우장산역도 2019년 6월 8일부로 스크린도어 교체공사에 들어갔다.

열릴 때 안내음은 원래 '발빠짐 주의x3'에서 '승객이 다 내리신 후 타시기 바랍니다'이었다가 다시 '발빠짐 주의x3'로 바뀌었다. 닫힐 때에는 경고음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역에서 행당역 방향으로 왕십리행으로 운행한 열차들의 회차 및 주박을 위한 선로 변환기 및 측선이 존재한다. 또한, 선로 변환기와 측선에 앞서 방공호가 설치되어 있어, 전쟁 등 유사시에 대피할 수 있다. 심도가 깊은 2기 지하철 노선 중에서도 특히 심도가 깊은 5호선 특성상 거의 모든 구간에 전쟁 방호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5호선 왕십리역은 그 중 한 곳이다.

열차의 진입 속도가 상당히 빠르다. 거의 60~65km/h 정도의 속도로 진입하는데, 이로 인한 열차풍 때문에 스크린도어가 흔들린다. 5호선이 왕십리역 앞뒤로는 잘 뻗은 직선 구간이라 속도를 어느 정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5호선에서는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평일에는 방화 방향으로 각 2대가 존재하고 주말에는 양 방향 모두 각 1대씩 존재한다. 평일의 막차 두 대 모두 마천발 열차인데, 5706(하계 5696, 동계 5714) 열차는 00시 08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들어가 다음 날 하남검단산행 5003 열차로 운행하며, 5710(하계 5700, 동계 5718) 열차는 00시 59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방화행 5006 열차로 운행한다. 주말의 방화발 5187(명절 5159) 열차는 00시 08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하남검단산행 5003 열차로 운행하며, 하남검단산발 5186(명절 5160) 열차는 00시 59분 도착해 회차선으로 가지 않고 다음 날 방화행 5006 열차로 운행한다.

5.4. 서울 경전철 동북선 (예정)

파일:D101.jpg
동북선 왕십리역 조감도
시·종착
102정거장
서울 경전철 동북선 당역 종착
고려대·미아사거리·하계·상계 방면
성동지하차도 북측에 들어설 예정이다. 동북선이 개통되면 김포공항역처럼 5개 노선의 환승역으로 거듭나게 되며, 자세히 보면 서울 경전철 동북선 승강장은 환승 통로로 인해 두단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복선으로는 남측 연장이 어려운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5.5.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 (예정)

파일:GTX-C 왕십리역 조감도.png
GTX-C 왕십리역 조감도
청량리
삼성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선 청량리·창동·의정부·덕정 방면
삼성·금정·상록수·수원 방면

6. 연계 교통

6.1. 왕십리로

왕십리역 연계 버스 정보 1 (왕십리로)
정류소 구분 노선
왕십리역
(04133)
<colcolor=#ffffff> 지선
간선
심야
왕십리역
(04134)
지선
간선
심야

6.2. 고산자로

왕십리역 연계 버스 정보 2 (고산자로)
정류소 구분 노선
성동구청
(04112, 04671)
<colcolor=#ffffff> 마을
지선
간선
성동구청
(04574)
마을
지선
간선
왕십리역
(04135)
지선
간선

6.3. 왕십리광장로

왕십리역 연계 버스 정보 3 (왕십리광장로)
정류소 구분 노선
왕십리광장.왕십리역4번출구
(04302)
<colcolor=#ffffff> 마을 [양방향]
지선
왕십리역6-1번출구 (04897) 마을
왕십리역 (04781) 공항
왕십리광장.왕십리역7번출구
(04301)
마을
지선
왕십리광장.왕십리역7번출구 (04753) 마을
왕십리민자역사 (04510) 마을 [양방향] [양방향]

7. 사건 사고

8. 기타

9.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84d>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abe00>
##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구성 -
}}} ※ 볼드는 급행열차 정차역 (고색 ~ 죽전 구간)
기울임체는 급행열차 정차역 (인천 ~ 오이도 구간)}}}}}}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서울 경전철 동북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GreatTraineXpress_C.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06e5b>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원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여객영업 중지
}}}}}}}}}

분당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ae193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고속철도 경부고속선 · 수서평택고속선
준고속철도 중앙선
일반철도 경부선 · 경원선 · 경의선 · 경인선 · 경춘선 · 인천국제공항선
탑승
<rowcolor=#fff> 탑승역 등급 행선지
서울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 포항 · 목포 · 여수 · 강릉 · 동해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부산 · 신해운대 · 진주
무궁화호 부산 · 제천(충북선)
용산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목포 · 여수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새마을호 익산(장항선)
무궁화호 목포 · 여수 · 익산(장항선)
영등포역 파일:KTX BI_White, Red.svg · 파일:KTX-산천 BI_White.svg 부산 · 진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새마을호 익산(장항선)
무궁화호 부산 · 목포 · 여수 · 익산(장항선) · 제천(충북선)
수서역 파일:Untitled-1.png 부산 · 목포
청량리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안동 · 강릉 · 동해(강릉선)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안동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무궁화호 부전 · 동해(영동선)
상봉역 파일:KTX-이음 BI_White.svg 강릉 · 동해(강릉선)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왕십리역 파일:ITXCheongChun_WhiteLOGO.png 춘천
옥수역 }}}}}}}}}



[1] 엘리베이터에서는 지하 3층 표기[2] 개정 전 8번.[3] 대한민국 최초의 4개 노선 환승역은 서울역이지만, 당시 서울역은 1호선/4호선에서 공항철도 또는 경의선으로 갈아탈 때 간접환승이었다. 지금은 1호선/4호선/공항철도에서 경의중앙선으로 갈아탈 때 한정으로 간접환승이다.[4]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5] 철도청고시 제5호[6] 「[집중현장]-왕십리민자역사, 불법 건물로 전락하나?(1)」, 뉴스캔, 2011-10-21[7] 「왕십리민자역사 준공 움직임 빨라진다」, 아시아경제, 2013-03-25[8] 관련 게시글, 출처: 디시인사이드 HIT 갤러리[9] 「[단독]서울시 “하루 8만명 더 이용” GTX 왕십리역 신설 요구」, 중앙일보, 2021-02-26[10] 「GTX-C 노선에 왕십리역 신설 가능성…입찰 3사 모두 제안」, 연합뉴스, 2021-05-24[11] 「왕십리역 헬이라는 출구 찾기,,, 도대체 어떻길래? 직접 가봤다」, 14F 일사에프, 2021년 10월 30일[12] 「‘홍대·건대’ 부럽지 않은 ‘한양대’ 상권 만든다」, 이데일리, 2015-08-05[13] 9월 16일부터 2호선에 모든 여객 업무를 이관함에 따라서 모든 이용객이 2호선으로 집계된다.[14] ITX-청춘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30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10월 6일에 개통된 수인·분당선의 자료는 경의·중앙선의 자료에 합산되어 집계된다.[15]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16]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양방향] 양방향 모두 정차하는 정류소이다.[양방향] [양방향] [20] 5호선 게이트도 가능하지만 민자역사는 5호선보다 2호선과 더 가까우므로 2호선 게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5호선 게이트를 이용할 경우 승하차 모두 5호선 게이트로 해야 환승 인정된다.[21]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22] 관련 게시글, 출처: 인스티즈[23] 관련 영상, 출처: 유튜브[24] 중앙선 구간 급행열차라면 소요시간이 5호선과 같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