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112 | 2113 | 2114 | 2115 | 2211 | |
2212 | 2221 | 2222 | 2224 | 2227 | |
2230 | 2233 | 2236 | 2311 | 2312 | |
2412 | 2413 | 2415 | 2416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3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용마문화복지센터)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황학동(신당역1번출구.서울중앙시장) | ||
종점 행 | 첫차 | 04:20 | 기점 행 | 첫차 | 04:57 |
막차 | 22:50 | 막차 | 23:32 | ||
평일배차 | 10~16분 | 주말배차 | 11~19분(명절 16~28분) | ||
운수사명 | 경성여객 | 인가대수 | 11대[1] | ||
노선 | 용마문화복지센터 - 혜원여중고후문 - 면목역 - 휘경여중고.휘경주공아파트앞 - 배봉초등학교.전농우성아파트[2] - 전농래미안크레시티아파트 - 용답휴식공원 - 마장역 - 마장금호아파트 - 한양대앞 - 왕십리역 - 상왕십리역 → 신당역1번출구.서울중앙시장 → 성동공업고등학교앞 → 황학동롯데캐슬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 상왕십리역 → 이후 역순 |
2. 개요
경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1.2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 자체는 아진교통이 운행했던 구 19번 도시형버스(도봉산 - 면목6동 - 도봉산) 노선에서 일부를 가져왔으며, 신설 당시 노선은 '중화중 - 서일대 - 면목역 - 사가정역 - 면목동길 - 화양리 - 성동교 - 한양대 - 왕십리 - 신설동 - 종로5가'였다.
- 2005년 4월 18일에 '상왕십리 - 종로5가'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5년 8월 1일에 난계로 경유에서 다산로 경유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5년 2월 27일에 463번 노선 조정으로 인한 마장역 미경유 대책으로 '면목역 - 사가정역 - 면목동길 - 화양리 - 성동교 - 한양대' 구간이 '면목역 - 겸재교 - 휘경여중.고교 - 배봉초교 - 마장역 - 한양대'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단 겸재교 완공이 늦어지면서 겸재교 완공일인 2015년 6월 22일까지는 '면목역 - 면목5동주민센터 - 장안교 - 배봉초교' 구간으로 우회하였다. 이 노선 변경 덕에 운행 거리 및 시간이 단축되었다.
- 2018년 6월 1일을 기해 토요일/공휴일의 운행 댓수가 기존보다 1대 줄은 9대가 되었다. 단, 이와 동시에 기존의 단축운행차량 2대중 1대가 정상투입차량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각각 1회씩만 감회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5월 23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91회/78회/78회에서 88회/75회/75회로 감회되었다. 그리고 본래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미미한 수준에 그칠 예정이었으나, 추후 상세 배차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평일 11~15분 간격 및 토요일/공휴일 14~16분 간격으로의 인가상 배차간격 조정 및 소급 적용이 동시에 실행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2년 6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한시적으로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다.[3] 다만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였기에, 해당 기간동안에도 1일 총 운행횟수와 배차간격에는 변동이 없었다.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본래 1대 존재하던 고정 예비차가 감차되었다.[4] 다만 비투입 예비차량 감차이기에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
- 2023년 2월 20일을 기해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1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 청계천 복개 상부 도로 포장 공사로 인해, 2023년 7월 14일부터 8월 15일 중 12일 동안, 22시부터 익일 06시까지 청계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회차 구간 중 마장로를 경유하여 우회운행한다. 이로 인해 성동공업고등학교앞~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했다.
4. 특징
- 임시로 다녔지만 장안교사거리에서 우회전하는 노선(역방향은 좌회전)은 이 노선이 최초였다.[5] 정확히는 동일로 구간에서이며 장안교사거리 사가정로 구간은 2227번이 최초.
- 2015년 6월 이후 겸재교가 완성되었고, 그곳을 건너는 최초의 버스 노선이 되었다(2번째는 2311번). 1213번과 함께 겸재로 구간 수요(특히 등하교 수요)[6]를 충분히 잡고 있다(굴곡으로 다니는 2112, 2233번 보완은 덤). 게다가 기존 면목동에서 휘경동, 전농동을 경유하는 덕분에 종전보다 한양대, 왕십리를 빠르게 갈 수 있게 되었다. 휘경동에서도 왕십리로 한 번에 갈 수 있어 유용하다. 특히, 북부운수 2112번, 2233번이 장한평역으로 돌아갈때 이 노선은 직선인 것이 특징이다.[7] 다만 이 변경으로 면목역 - 화양시장까지 이어주는 건 240번만 남게 됐고, 화양리 이후는 2012번이 대체하는 중이다.
- 기존의 휘경여고~왕십리역 노선은 145번 하나였지만, 2013번이 들어오고 나서 145번의 과부하 해소 역할도 하는 중이다. 단, 휘경동 안에서만 그렇고 이후 구간은 경로가 완전히 다르다. 2013번은 동대문중학교와 한양대학교를 경유하고 145번은 답십리역과 동대문구청을 경유한다. 둘다 신답역에서 다시 만나기는 하다가 다시 왕십리역에서 만난다.
- 마조로 및 마장역 인근 지역에서 121번과 함께 중요한 노선인데, 한양대병원교차로~전농동사거리까지 약 3km 구간이 두 노선의 공통 구간이며, 특히 한양대부속고등학교부터 신답역교차로까지는 이 두 노선밖에 다니지 않아서 중요하다. 공통 구간만 타는 이용객도 꽤 있는데 이런 이용객은 배차간격이 더 짧은 121번이 많이 쓸어간다. 그리고 두 노선이 이 3km 동안 계속 붙어가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8]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3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6,644명 | - |
2014년 | 6,600명 | ▽ 44 |
2015년 | 5,305명 | ▽ 1,295 |
2016년 | 5,717명 | △ 412 |
2017년 | 5,797명 | △ 80 |
2018년 | 5,925명 | △ 128 |
2019년 | 6,175명 | △ 250 |
2020년 | 4,865명 | ▽ 1,310 |
2021년 | 4,998명 | △ 133 |
2022년 | 5,471명 | △ 478 |
2023년 | 5,731명 | △ 260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5년 면목로~화양사거리~왕십리역에서 겸재로~마장동~왕십리역으로 변경되면서 승객이 줄어들었지만, 그 이후 2019년 기준 다시 거의 2015년 수치로 회복하였다. 겸재로 수요를 잡고 있기 때문이다.
4.2. 노선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3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청계8가.영도교 02230 | ← | 성동공업고등학교앞 02180 | |||
황학동롯데캐슬 02273 | ↓ | ↑ | 신당역1번출구.서울중앙시장 02181 | |||
청계9가.텐즈힐2단지 정문앞 04261 | 성동고등학교 02183 | |||||
청계벽산아파트.텐즈힐아파트 04107 | ↓ | ↑ | 왕십리센트라스아파트 04103 | |||
상왕십리역.센트라스아파트 04114 | 상왕십리역 04102 | |||||
이상 회차 구간 | ||||||
왕십리2동주민센터 04109 | ↓ | ↑ | 코스모타워.서울신용보증재단성동지점 04110 | |||
왕십리역 04133 | 왕십리역 04134 | |||||
행당1동주민센터.성동소방서 04136 | ↓ | ↑ | 서울숲삼부아파트 04137 | |||
한양대앞.한양시장 04127 | 한양대앞 04128 | |||||
한양대부속고등학교 04125 | ↓ | ↑ | 한양대부속고등학교 04126 | |||
마장동금호아파트 04123 | 마장동금호아파트 04124 | |||||
- | ↓ | ↑ | 성동노인복지관 04118 | |||
마장역 04117 | 마장역 04271 | |||||
마장동주민센터 04298 | ↓ | ↑ | 마장동주민센터 04116 | |||
용답휴식공원 04267 | 용답휴식공원 04268 | |||||
답십리1동주민센터.래미안위브 06203 | ↓ | ↑ | 답십리1동주민센터.래미안위브 06202 | |||
동대문중학교 06205 | 동대문중학교 06204 | |||||
대한노인회동대문구지회 06207 | ↓ | ↑ | 전농래미안크레시티아파트 06206 | |||
전농사거리 06209 | 전농사거리 06208 | |||||
전동초등학교.전농동SK아파트 06298 | ↓ | ↑ | 전동초등학교.전농동SK아파트 06304 | |||
- | 배봉초등학교.전농우성아파트 06210 | |||||
장안동현대아파트앞 06144 | ↓ | ↑ | 배봉산입구 06322 | |||
휘경여중고휘경주공아파트 06143 | 휘경여중고휘경주공아파트앞 06142 | |||||
휘경공고휘경주공아파트 06309 | ↓ | ↑ | 휘경공고.휘경주공아파트 06423 | |||
동서그랜드맨션 07222 | 동서그랜드맨션 07223 | |||||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4 | ↓ | ↑ | 하나은행면목지점 07225 | |||
면목복개천 07226 | 면목복개천 07227 | |||||
면목역2번출구 07228 | ↓ | ↑ | 면목역2번출구 07229 | |||
농협앞 07230 | 농협앞 07231 | |||||
혜원여중고후문 07232 | ↓ | ↑ | 혜원여중고후문 07233 | |||
서일대학교 07193 | 서일대학교 07194 | |||||
용마문화복지센터 07196 · 07195 |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답역[9], 왕십리역, 상왕십리역, 신당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마장역, 왕십리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면목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왕십리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
- 일반 철도역: 왕십리역(ITX-청춘)
[1] 토요일 / 공휴일 9대 운행[2] 신당동 방향만 정차.[3] 감차분은 이 기간동안 N62번 한시적 증차분으로 이동했었다.[4] 감차분은 N62번으로 이동되었다.[5] 지금은 2416번이 대체하게 된다. 단, 장한평역으로 가는 것이 차이점.[6] 휘경공고, 전동중학교, 휘경여중-고, 배봉초등학교(휘봉고교, 휘봉초등학교는 간접연계) 학생들이 주로 이용중이다. 그 외에는 동대문중학교, 한양사대부고 통학수요도 있다. 한양대 통학수요도 여전하지만, 한양대 연계 정류소 위치는 직접 연계였던 것이 사실상 간접 연계 수준으로 변경되었다(정류소 표기는 한양대가 맞지만, 실제로는 한양사대부고가 가깝다). 하지만 이 정류소 접근성의 약화 문제는, 면목로를 경유하던 과거에 비해 소요시간이 짧아진 점으로 만회된다.[7] 또한 2233번의 경우 휘경동 구간은 오직 장한평역(옥수동) 방향 편도로 다니고, 2112번은 휘경동 구간이 왕복이긴 하나 방향별로 경로가 좀 혼동되는 측면이 있는 반면 2013번은 그런 단점들이 없다.[8] 다만 이 노선의 신당역 방면/121번의 서울숲 방면의 경우 이 노선이 "한양대앞" 정류장에 정차하지만 121번은 정차하지 않는다. 정류장 통과 후 바로 좌측차로로 넘어가 좌회전이 어렵기 때문.[9] 용답휴식공원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