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5bb025>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112 | 2113 | 2114 | 2115 | 2211 | |
2212 | 2221 | 2222 | 2224 | 2227 | |
2230 | 2233 | 2236 | 2311 | 2312 | |
2412 | 2413 | 2415 | 2416 | ||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12px" |
1.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5번 | |||||
|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7가(동대문역사문화공원) | ||
종점 행 | 첫차 | 04:30 | 기점 행 | 첫차 | 05:25 |
막차 | 23:10 | 막차 | 00:09 | ||
평일배차 | 6~1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7~13분 / 공휴일 10~15분 | ||
운수사명 | 대원교통 | 인가대수 | 25대(예비 1대)[1] | ||
노선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역 - 신내교회.신내데시앙아파트 - 중랑구청사거리 - 망우역.망우지구대 - 상봉역 - 면목역 - 사가정역 - 배봉초등학교.전농우성아파트 - 전농사거리 - (→ 청솔우성아파트.답십리시장 → 답십리초등학교 → 답십리역.동부시장 →/← 동대문중학교 ←) - 신답역 - 동대문구청.용두역 - 성동구청 - 상왕십리역 - 신당역.서울중앙시장 → 충무아트센터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청계7가 → 성동공업고등학교 → 신당역.중앙시장 →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전농동 - 신내동 구간이 단축되고 번호도 2015번으로 변경되었다. 개포동 - 전농동 구간은 420번이 대체 노선이다.
- 2005년 말 ~ 2006년 초에 운수업체가 대원여객에서 대원교통으로 변경되었다.[2]
- 2010년 6월 24일부터 동대문운동장 방향만 경유하던 신내능마을과 신내검문소를 더 이상 들르지 않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1년 8월 25일에 청계7가, 동평화시장, 청평화노선 경유 회차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9년 7월 13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3년 6월 26일 1대가 감차되었다.
- 2023년 7월 14일부터 8월 15일까지, 청계천 복개 상부 도로포장 공사로 인해, 청계천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해 마장로를 경유하여 2012번과 같은 회차 경로로 회차한다. 이에 따라 청계7가.동평화.청평화시장~성동공업고등학교 정류소는 정차하지 않았다.
- 2023년 6월 26일자로 대원교통이 262번의 공동배차에서 철수하는 메트로버스를 대신해 새로 공동배차를 하게 된 여파로, 평일에 한해 2대 편성되어 있던 단축운행차량 중 1대가 262번에 투입되었다. 이번 감차와 동시에 나머지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결과적으로 각 요일별 1일 총 운행횟수와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부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 관련 공문
4. 특징
- 주력 노선으로, 첫차 시간대가 꽤 빠른 편이다. 또한 배차도 짧은 편이라 차가 살짝 밀리면 두~세신호당 한 대 씩 넘어온다. 주로 왕십리에서 밀려서 전농동으로 넘어올 때 차가 몰려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서 지나간다. 청계천 회차 구간에서 신당역사거리 인근과, 상왕십리역 일대가 상습 정체라 해당 구간에서 배차가 자주 깨지는 편이다.
- 면목동 → 상봉역 방향으로 운행하던 노선들은 전부 상봉역3번출구(07-166) 정류소에 정차 후 다시 상봉역2번출구(07-130) 정류소에 정차하여 제 갈길을 갔지만, 안전사고 및 정체유발로 전부 이 정류소를 통과하나, 이 노선은 유독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아직도 정차를 한다. 차가 막히지 않으면 정류소에 정차 후 약 4차로를 가로질러 버스전용차로로 진입하나, 차가 막히면 그런거 없다면서 좌회전 차로에서 승하차를 한다.[3]
- '전농동, 면목동 ~ 중랑구청사거리' 수요가 굉장히 많다. 특히, '전농동 ~ 사가정역' 구간은 2013번[5], 2230번, 2311번 등 장안동과 사가정역을 오가는 수요를 상호 분산해주고 있다. 2013번의 경우, '배봉초등학교 ~ 왕십리역(코스모타워) ~ 신당역' 구간을 오갈 때 2013번이 약간 빠르긴 하지만, 경우에 따라 2015번이 먼저 질러가는 경우도 있다.
4.1.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2015번 | ||
<rowcolor=#ffffff>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17,916명 | - |
2014년 | 18,248명 | △ 332 |
2015년 | 17,995명 | ▽ 253 |
2016년 | 16,870명 | ▽ 1,125 |
2017년 | 16,967명 | △ 97 |
2018년 | 16,583명 | ▽ 384 |
2019년 | 16,196명 | ▽ 387 |
2020년 | 12,691명 | ▽ 3,505 |
2021년 | 12,615명 | ▽ 76 |
2022년 | 13,392명 | △ 777 |
2023년 | 14,204명 | △ 812 |
2024년 |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5년 2013번의 전농동, 마장동 변경으로 인한 전농동~왕십리역 이용 승객의 이탈로 승차량이 1,100명 감소했다.
5. 연계 철도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답역[6], 왕십리역[A], 상왕십리역, 신당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용두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답십리역[8], 왕십리역[A],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신당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봉역, 면목역, 사가정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망우역, 상봉역, 왕십리역[A]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신내역, 망우역, 상봉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역[A]
- 일반 철도역: 상봉역(KTX, ITX-청춘[12]), 왕십리역(ITX-청춘)[A]
[1] 토요일 22대 / 공휴일 16대 운행[2] 정확히는 2005년 12월 16일에 대원교통의 2016번이 폐선되면서 그 차량들로 공동배차를 하다가 대원교통 단독으로 바뀐 것이다.[3] 진짜 꽉꽉 막히고, 좌회전 신호가 걸리지 않는 이상은 80%이상은 그렇게 한다.[4] 애초에 이곳을 정차해야 하는 이유는 수요다. 지하철역 환승 수요도 있고, 또 면목4동으로 가지 않으니 환승해야 하기 때문.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애초에 여기서 좌회전하려면 급 끼어들기를 해야 한다.[5] 전농동에서 만나지만, 사가정역을 거치지 않고 휘경동을 통해 면목역으로 간다.[6] 중랑차고지 방향만 경유.[A] 성동구청 하차[8] 동대문역사문화공원 방면만 경유[A] [A] [A] [12] 평일6회[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