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 | 驛務員 |
영어 | Station employee, Staff |
1. 개요
철도 회사의 소속으로 철도역의 운영을 위해 역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역무원 중 최상급자를 역장이라 하며 업무보조로 인턴이나 근로장학생, 사회복무요원을 배치하기도 한다.고속철도와 일반철도 역무원의 경우 철도청 시절에는 공무원이었으나, 철도청 해체 이후에는 한국철도공사 소속[1] 공기업 직원이다. 도시철도 역무원도 대다수는 각 도시교통공사에 소속된 공기업 직원이며[2], 민자 철도노선[3]의 역무원은 사기업 직원이다.
2. 상세
고객 안내, 수익금 관리, 열차감시 등 역에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한다.역무자동화설비[4] 도입 등으로 인해 과거에 10명이 필요했던 역을 지금은 3~4명으로도 운영할 수 있을 정도로 업무 강도와 업무량이 줄어들었고, 이에 따라 각 역에 배치되는 인원도 감소 추세에 있다. 최소 2인 근무를 하고 있으나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경우 1인 근무를 할 정도로 인원이 줄어든 상태.
3. 주요 업무
- 고객 안내(대합실, 개찰구, 승강장, 유선 등)
- AFC 설비 관리[5]
- 부정승차 단속 및 질서저해자 계도
- 수익금 관리: 회수, 보충, 정산, 이관 등[6]
- 역사내 시설물 확인 및 점검
- 유실물 관리: 수배[7], 보관[8], 경찰서 이관[9] 등
- 환경미화: 보통 정거장마다 정리원이 배치되어 있지만, 정리원 근무시간이 아니거나 파견할 수 없는 경우 직접 시행한다.
- 운전취급: 운전취급상 중요한 정거장은 로컬관제원 및 운전팀장을 배치하여 LOCAL 취급을 하고 있다. 연동장치가 없는 정거장은 생략한다.
- 입환작업: 객화차의 연결 및 분리, 조성, 전선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입환작업이 잦은 정거장은 수송전담역무원(수송원)을 별도로 배치한다. 일례로 의왕역, 수색역 같은 정거장은 수송원의 비율이 더 높다.
- 철도사고 등 이례사항 발생 시 초기대응
- 민원(VOC)처리 : VOC를 통해 접수되는 민원 중 정거장에 관한 사항은 해당 역무원이 답변하고 있다.[10]
- 사회복무요원 근태 관리 : 사회복무요원이 배치된 정거장에 한하며 근무일정, 급여, 고충상담 등의 업무를 역무원과 역무팀장이 담당한다. '사회복무포털'로 전산화되어 있다.
개찰구 검표: 실제로 철도 개통 초기에는 자동 검표 기술과 원격 검표 기술이 미비했기 때문에, 개찰구에 역무원이 서서 마치 놀이동산이나 영화관, 관광지마냥 직접 수작업으로 검표하는 경우가 많았다.
4. 기타
- 유명인을 1일 명예역장으로 섭외하기도 한다.
- 철도 사회복무요원에게는 직장이 아님에도 근태를 담당하기 때문에 사실상 상사나 다름 없다. 그리고 케바케이긴 하지만 본인은 쉬면서 부려먹기만 하는 역무원이 있는가 하면, 일도 같이 하고 밥도 사주는 역무원도 있다.
- 간이역 중에 역무원이 상주하지 않는 역을 무배치간이역이라고 한다. 이 중 광역철도역은 위탁 지정되어 코레일네트웍스에서 인력이 파견되는데, 이 경우 역무원이 아니라 '매니저'라 칭한다. 여객철도역 중에도 업무분담역이라고 하여 코레일네트웍스 직원이 상주하는 곳들이 있는데, 이곳의 직원은 호칭이 '사원'이다.
- 2020년대 들어 역무원 대신 '역직원'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역무원'은 역무실, 또는 고객센터에서 근무하는 정직원만을 의미하는 반면, '역직원'은 역무원에 더해 철도 사회복무요원과 미화원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역에서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의미하는 말이다. 고객의 입장에서 역에서 만나는 직원은 역무원이든 사회복무요원이든 미화원이든 모두 '직원'이고, 단순 문의나 유실물 접수 등 대다수 고객의 요구는 모든 역직원이 접수할 수 있기 때문에 대외적으로 역무원 대신 역직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 광역철도기동팀도 서류상으로는 역무원(역무직렬)에 속한다. 서울교통공사 지하철보안관의 경우 법적으로는 역무서비스 제공자로서 역무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나, 내규상으로는 별도 직렬이다.
5. 작품 속의 역무원
- 2호선 세입자: 남 주인공이 역무원이다.
- 매일매일 출근가족: 주인공의 누나가 지하철 역무원이다.
- 벚꽃의 구름*스칼렛의 사랑: 사쿠라이 유키하가 역무원이다.
- 임창정 8집 《Different Color》타이틀곡인 《기다리는 이유》뮤직비디오에서 임창정이 역무원으로 나온다.[11]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철도를 소재로 한 작품답게 마이트가인의 머리는 역무원을 연상케 한다.
- 철도원: 주인공이 역장으로 등장한다.
- 테츠코의 여행에서 엑스트라로 일부 등장한다.
- RAIL WARS! -일본국유철도공안대-의 주인공들. 다만 이들은 철도경찰이다.
- 크레용 신짱: 12기에서 엑스트라로 나왔다. 짱구가 가족들과 같이 외식을 하러 나갈 때 짱구가 길을 잃고 그렇게 서로 헤어졌을 때 역무원들이 짱구를 찾느라 온갖 개고생을 하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안경 쓴 최고참 역무원이 케이크를 먹다가 실수로 흘리며 핸드폰으로 부하 역무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어떻게든 짱구 그 자식을 찾아내!"라고 부하 역무원들에게 역정을 내는 그 코너 맞다.
6. 관련 문서
[1] 일부는 주식회사SR 또는 코레일네트웍스 소속[2] 외주화 추세에 따라 공사 소속 역이라도 민간 용역업체나 개인사업자에 고용된 역무원이 일부 있다. 이들은 사기업 직원이다.[3] 인천국제공항철도, 신분당선,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화~신논현 구간, 부산김해경전철, 의정부 경전철, 용인 에버라인 등[4] 자동개집표기와 승차권 자동발매기로 대표되는 기계설비로, 현장에서는 AFC(Automated Fare Collection)라고 부른다. 과거 역무원의 업무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던 발권과 검표업무를 획기적으로 줄여준다.[5] 일상점검 등은 역무원의 업무이며 고장정비는 정보통신에서 담당한다.[6] 광역철도의 경우 인접 위탁역의 수익금을 같이 관리하기도 한다.[7] 고객으로부터 유실물 확인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열차에 승차하여 확인하거나, 인접역에 확인을 요청한다. 이외에도 다른 고객 및 승무원 등이 습득한 유실물을 인계받기도 한다.[8] (한국철도공사)보통역의 경우 1주간 보관 후 관리역으로 이관하며 관리역에서 추가로 1주간 보관한다. 관리역 자체 습득 유실물은 1주만 보관한다. (서울교통공사)각 노선별로 유실물센터가 지정되어 있어 해당 정거장에서 관리한다.[9] 보관일자가 경과된 유실물은 관할지역 경찰서로 이관된다. 이때 음식물은 종류나 포장상태에 관계 없이 모두 폐기 처리된다.[10] 열차이용 중 불편신고 등 통상적인 민원은 해당 지역본부 영업처, 경영인사처 등 관련부서에서 담당하며(한국철도공사에 한함), 본사에서 직접 처리하는 민원은 정보공개 청구, 부정부패 신고 등 중대한 사항에 한한다.[11] 뮤직비디오 상 주 무대는 경북선 용궁역으로 나오고 실제로 촬영도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다만 일부는 중앙선 구 지평역에서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