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1.#76
[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7호로 재지정[10]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2] 울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제8호로 재지정[13]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7]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제5로 직봉 - 고흥 마북산 봉수 유적
[37] 내동리 쌍무덤. 옥야리 장동 방대형 고분 4기 총 5기 | }}}}}}}}}}}} |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FFBF0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F5765> 경주 시내 | 경주읍성 ‧ 동궁과 월지 ‧ 국립경주박물관(성덕대왕신종) ‧ 첨성대 & 동부 사적지대, ‧ 대릉원(천마총, 황남대총) ‧ 노서 · 노동동 고분군(봉황대, 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 경주 월성 ‧ 분황사 ‧ 월정교 ‧ 일정교 ‧ 황룡사지 ‧ 황리단길 ‧ 금리단길 ‧ 계림 ‧ 교촌마을 ‧ 최씨고택 | |
| 북부 유교문화권 | 양동마을 ‧ 옥산서원 ‧ 독락당‧운곡서원‧ 흥덕왕릉 | ||
| 시내 서부‧현곡면 | 화랑마을 ‧ 금장대 ‧ 용담정 ‧ 진덕여왕릉‧경주예술의전당 | ||
| 송화산‧선도산 | 김유신장군묘 ‧ 태종무열왕릉 ‧ 서악동 고분군 | ||
| 소금강산 | 백률사 ‧ 소금강산 ‧ 탈해왕릉 ‧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 ||
| 남산 | 남산 ‧ 나정 ‧ 망덕사지 ‧ 배동 삼릉 ‧ 오릉 ‧ 포석정 ‧ 서출지‧용장사곡 삼층석탑 ‧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 탑곡마애조상군 ‧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 ‧ 미륵곡석불좌상 | ||
| 낭산(보문들) | 낭산 ‧ 사천왕사지 ‧ 선덕여왕릉 ‧ 능지탑지 ‧ 독서당 ‧ 황복사지 3층석탑 ‧ 진평왕릉 ‧ 효공왕릉 ‧ 수오재 | ||
| 단석산 | 단석산 ‧ 화랑의 언덕 ‧ 신선사 마애불상군 ‧ 건천 편백나무 숲내음길 | ||
| 토함산 | 토함산 ‧ 불국사(다보탑, 석가탑) ‧ 석굴암 ‧ 원성왕릉(괘릉) ‧ 토함산 자연 휴양림 | ||
| 동해안(동경주) | 감은사지‧ 봉길 대왕암 해변‧ 문무대왕릉 ‧ 이견대 ‧ 경주 양남 주상절리 ‧ 나정 고운 모래 해변 ‧ 오류 고아라 해변 ‧ 골굴사 ‧ 기림사 ‧ 흥덕왕릉 ‧ 장항리 사지 | ||
| 보문관광단지 | 보문관광단지 ‧ 경주월드(캘리포니아 비치) ‧ 신라밀레니엄파크 ‧ 경주세계문화엑스포(경주타워, 중도타워, 솔거미술관) ‧ 강동리조트 ‧ 강동워터파크 ‧ 경주화백컨벤션센터 (HICO)‧ 명활성 ‧ 보문호반길 ‧ 경주동궁원 ‧ 경주버드파크 ‧ 힐튼호텔 경주 | ||
| 교통 | 경주역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 경주시외버스터미널 ‧ 포항경주공항 ‧ 경주시 시내버스 | ||
|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밑줄 표시. | |||
| | }}}}}}}}} | ||
| 일정교 복원 조감도 |
1. 개요
日精橋통일신라 시대 서라벌에 축조한 누교. 춘양교(春陽橋), 효불효교(孝不孝橋), 칠성교 등 이름으로도 불렸다. 세트로 지어진 월정교와 함께 국왕이 사는 궁전인 경주 월성과 그 남쪽 남천 건너편 남산 쪽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다고 한다. 위치는 대략 현 국립경주박물관 방향이다. 지금 차가 다니는 월성교 교각의 남쪽. 현재는 나무로 된 다리는 사라지고 다리를 받치던 석조만 일부 남았다. 2004년 월정교와 함께 사적 제457호로 지정되었다.
2. 상세
| 복원도의 모습과 유사한, 중국 보수교의 모습 |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경덕왕 19년(790) 월정교와 함께 건설되었다. 건설 당시의 이름은 '춘양교'였지만 월정교와 이름을 맞추려 했는지 일정교(日淨橋)로 개칭. 이후 언젠가부터 깨끗할 정(淨) 자가 정할 정(精) 자로 바뀌어 일정교(日精橋)가 되었는데, 이 이름이 조선시대와 현대까지 주로 쓰였다. 신라가 멸망한 이후에도 다리는 남아 800여 년을 버티다 16세기 초반 이전에 관리부족으로 무너졌다고 추정한다.
| 춘양교 발굴 전경 |
다리의 규모는 길이 55미터, 너비 13미터로 월정교와 비교해보면, 길이 63미터 너비 12미터인 월정교에 비해 길이는 짧지만 다리 폭은 더 넓었다고 추정한다. 상판의 높이는 5미터. 물론 같은 시기에 세트로 지어진 만큼 교각이 하나 적고 규모가 약간 다르다는 점 외에 축조 방법, 석재의 재질, 색깔, 형태는 거의 똑같다.
2002년 2월 일정교 실측조사에서 일정교 동쪽 교대(橋臺)의 석축이 월성 방면으로 100 m 남짓 이어졌음을 확인했다. 연구소 심영섭 학예연구실장은 '이 정도 규모로 축대를 쌓은 것으로 보아 남천 동편에 궁궐 등 매우 중요한 건물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인터뷰했다. 그런데 2000년에 바로 일정교지 동쪽에서 남궁지인(南宮之印)이라고 새겨진 기와가 발견되기도 했으므로, 비록 현존 문헌에는 관련기록이 없지만 현 국립경주박물관 자리에 '남궁'이라는 궁궐이 있었으리라 학계에선 추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