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니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성씨에 대한 내용은 오타니(성씨) 문서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A9C>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투수 | 18 야마모토 · 26 곤솔린 · 28 밀러 · 29 그로브 · 31 글래스나우 · 35 스톤 · 43 반다 · 45 코펙 · 48 그라테롤 · 51 베시아 · 57 브레이저 · 59 필립스 · 60 엔리케스 · 63 허트 · 70 로블레스키 · 77 라이언 · 78 캐스패리우스 · 79 프라소 · 80 시핸 · 85 메이 · 96 낵 · # 드라이어 · # 스넬 | |
포수 | 15 반스 · 16 스미스 · 67 페두시아 · 76 카르타야 | ||
내야수 | 5 프리먼 · 9 럭스 · 11 로하스 · 13 먼시 | ||
외야수 | 3 테일러 · 25 에드먼 · 33 아웃맨 · 44 파헤스 · 50 베츠 | ||
투타겸업 | 17 오타니 | ||
'''''' 데이브 로버츠 대니 레만 마크 프라이어 애런 베이츠 · 로버트 반 스코욕 크리스 우드워드 · 디노 에벨 조시 바드 코너 맥기니스 스티브 실라디 밥 게런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 |
오타니 쇼헤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11번 | ||||
다르빗슈 유 (2005~2011) | → | 오타니 쇼헤이 (2013~2017) | → | 결번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17번 | |||||
셰인 로빈슨 (2016~2017) | → | 오타니 쇼헤이 (2018~2023) | → | 결번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17번 | |||||
조 켈리 (2023) | → | 오타니 쇼헤이 (2024~) | → | 현역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No.17 | |||
오타니 쇼헤이[1] [ruby(大谷, ruby=おおたに)] [ruby(翔平, ruby=しょうへい)] | Shohei Ohtani | |||
출생 | 1994년 7월 5일 ([age(1994-07-05)]세) | ||
이와테현 미즈사와시[2]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아네타이 소학교 (졸업) 미즈사와미나미 중학교 (졸업) 하나마키히가시 고등학교 (졸업) | ||
신체[3] | 193cm | 102kg[4] | B형 | 285mm[5] | ||
포지션 | 투타겸업(선발 투수, 지명타자)[6] | ||
투타 | 우투좌타 | ||
프로 입단 |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 (닛폰햄) | ||
소속팀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13~2017)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18~2023)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4~) | ||
계약 | 2024 - 2033 / $700,000,000[df] | ||
연봉 | 2025 / $2,000,000[df] | ||
등장곡 | 루페 피아스코 - 〈The Show Goes On〉 출처 | ||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 |||
응원가 | 닛폰햄 구단 자작곡[가사][10] | ||
기록 | 사이클링 히트 (2019.6.13.) 50-50 클럽 (2024)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가족 | ||
<colbgcolor=#005A9C><colcolor=#FFFFFF> 배우자 | 다나카 마미코(2024년 결혼~현재)[11] | ||
부모 | 아버지 오타니 토오루(徹)(1962년생)[12] 어머니 오타니 가요코(加代子)(1963년생)[13] | ||
형제자매 | 형 오타니 료타(龍太)(1988년 3월 20일생)[14] 누나 사스가 유카(結香)(1992년생)[15] | ||
반려견 | 데코핀(デコピン)[16] | ||
후원사 | 뉴발란스 | BOSS | ||
소속사 | Creative Artists Agency | }}}}}}}}} | |
|[17] |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소속 야구선수. 포지션은 선발 투수 겸 지명타자로 투타겸업을 하고 있다.[18]
2013년, 일본프로야구의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 입단하며 첫 해부터 투타겸업으로 프로 커리어를 시작했으며, 2016년에는 퍼시픽 리그 MVP를 차지하며 팀을 일본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었다.
2018년에 포스팅 시스템을 통한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입단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입성하였다. 에인절스에서는 첫 시즌인 2018년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수상, 2021년 만장일치 아메리칸 리그 MVP 수상, 2022년 15승-30홈런 달성과 규정 이닝/규정 타석 동시 충족, 2023년 10승-40홈런 달성과 아시아 출신 최초의 홈런왕 그리고 MLB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2회 수상 등을 기록하며 뚜렷한 족적을 남겼다. 국가대표로서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출전하였고 대회 MVP에 선정되며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의 우승을 이끌었다.
2023 시즌 종료 후 MLB에서 첫 FA 자격을 얻었고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 계약하며 이적했다. 이적 첫 해인 2024 시즌에는 야구 역사상 최초로 50-50 클럽에 입성하며 만장일치로 내셔널 리그 MVP를 수상하였고, 이를 통해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19], 최초의 지명타자 MVP 수상, 2번째 양대 리그 MVP 수상, 최초의 양대 리그 만장일치 MVP 수상 등의 기록을 경신하였다. 여기에 더해 포스트시즌에는 생애 최초 월드 시리즈 우승까지 차지하였다.
2. 선수 경력
오타니 쇼헤이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오타니 쇼헤이/선수 경력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포스팅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2012년 (U-18) | 2015년 프리미어12 | 2023년 WBC |
3. 수상 경력
3.1. MLB
오타니 쇼헤이의 MLB 수상 경력 |
월드 시리즈 우승 (2024) 아메리칸 리그 MVP 2회 (2021, 2023)[만장일치] 내셔널 리그 MVP (2024)[만장일치]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2023) 내셔널 리그 행크 애런 상 (2024) 아메리칸 리그 지명타자 실버 슬러거 2회 (2021, 2023) 내셔널 리그 지명타자 실버 슬러거 (2024)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2018) 아메리칸 리그 홈런 1위 (2023) 내셔널 리그 홈런 1위 (2024) 아메리칸 리그 출루율 1위 (2023) 내셔널 리그 출루율 1위 (2024) 아메리칸 리그 장타율 1위 (2023) 내셔널 리그 장타율 1위 (2024) 내셔널 리그 타점 1위 (2024) 내셔널 리그 득점 1위 (2024) 에드가 마르티네즈 상 4회 (2021, 2022, 2023, 2024) All-MLB 퍼스트 팀 5회 (2021, 2022, 2023[복수수상], 2024) All-MLB 세컨드 팀 2회 (2021, 2022) MLB 커미셔너 역사적 공로상 (2021) 올스타 4회 (2021~2024) |
3.2. NPB
오타니 쇼헤이의 NPB 수상 경력 |
일본시리즈 우승 (2016) 퍼시픽 리그 MVP (2016) 퍼시픽 리그 투수 베스트나인 2회 (2015, 2016) 퍼시픽 리그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2016) 퍼시픽 리그 다승 1위 (2015) 퍼시픽 리그 승률 1위 (2015) 퍼시픽 리그 방어율 1위 (2015) 퍼시픽 리그 배터리 어워드 (2015) 올스타 5회 (2013~2017) |
3.3.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오타니 쇼헤이의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MVP 2023 All-WBC Team 선발투수 2023 All-WBC Team 지명타자 |
2015 WBSC 프리미어 12 동메달 2015 WBSC 프리미어 12 All-World Team 선발투수 2015 WBSC 프리미어 12 최우수 평균자책점 |
4. 주요 기록
NPB 주요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기록 | 비고 |
2013년 | 고졸 야수의 데뷔시즌 개막전 선발출장 | [23] |
한 경기에서 한 선수가 야수 출장 후 투수 등판 | [24] | |
2014년 | NPB 역사상 최초의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 (11승-10홈런) | [25] |
2015년 | 퍼시픽 리그 투수 3관왕 (다승, 승률, 방어율) | |
2016년 | NPB 역사상 최초의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2회 기록 (10승-22홈런) | [26] |
MLB 주요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기록 | 비고 |
2018년 | 일본인 출신 메이저리거 역대 4번째 신인왕 (AL-2018) | [27] |
2019년 | 사이클링 히트 (2019.6.13.) | [28] |
2021년 | 올스타 최초 투수ㆍ타자 동시선발[기네스] | |
아시아인 역대 단일 시즌 최다 홈런 (46홈런) | [30] | |
非 미국인 선수 출신 올스타 이전 최다 홈런 타이 (33홈런) | [31] | |
단일 시즌 100K 이상 달성 투수의 최다 홈런 | [32] | |
아시아인 최초 2연속 아메리칸 리그의 월간 MVP 선정 (6, 7월) | [33] | |
21세기 최초이자 131년만의 트리플100[34] 달성 | [35] | |
단일 시즌 최초 퀀터플100 달성[기네스] | [37] | |
2022년 | MLB 역사상 104년만에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 (15승-34홈런) | [38] |
MLB 역사상 최초의 규정 이닝ㆍ규정 타석 동시 달성 | [39] | |
2023년 | MLB 역사상 최초의 2년 연속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 (10승-44홈런) | [40] |
MLB 역사상 최초의 더블헤더 1차전 완봉승ㆍ2차전 멀티홈런 | [41] | |
아시아인 출신 최초의 MLB 홈런왕 달성 (44홈런) | ||
2024년 | 개인 통산 3번째이자 시즌 1호 20-20 클럽 가입 | [42] |
아시아인 선수 최초 4년 연속 30홈런 달성 | ||
아시아인 최초 및 역대 최소경기 40-40 클럽 가입 | [43] | |
아시아인 출신 메이저리거 최다 홈런 달성 (219홈런~ / 2024.09.17.) | [44] | |
아시아인 출신 메이저리거 단일 시즌 최다 타점 (최종 130타점 / 2024.09.17.) | [45] | |
야구 역사상 최초의 50-50 클럽 가입 (2024.09.19.) | ||
다저스 구단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홈런 (54홈런) | [46] | |
다저스 구단 역사상 단일 경기 최다 타점 (10타점 / 2024.09.19.) | ||
다저 스타디움 단일 시즌 최다 홈런 (28홈런 / 2024.09.23.) | ||
아시아인 출신 메이저리거 최초 400루타 달성 (2024.09.26.) | [47] | |
다저스 구단 역사상 단일 시즌 최다 득점 (134득점 / 2024.09.27.) | ||
아시아인 출신 메이저리거 단일 시즌 최다 도루 (59도루 / 2024.09.27.) | [48] | |
MLB 단일 시즌 55도루 이상 성공자 중 성공률 1위 (93.65%) | ||
MLB 역사상 최초의 양대 리그 연속 홈런왕 (AL-2023 / 44홈런)(NL-2024 / 54홈런) | [49] | |
라이브볼 시대 최초 50도루 이상 기록한 홈런왕 |
5. 플레이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오타니 쇼헤이/플레이 스타일 문서 참고하십시오.6.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결론부터 얘기하면 아직 커리어 중반을 지나는 30세임에도 입성 자체는 거의 확정적이다. 누적 성적은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15승 34홈런, 10승 44홈런 등 투타겸업으로 쌓은 독보적인 임팩트, 프로야구 역사상 최초의 50홈런-50도루 달성 등 프라임타임의 임팩트로만 따지면 야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를 진지하게 논의할 만한 수준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타니 쇼헤이의 26세-29세 기간에 쌓아올린 fWAR과 bWAR은 유색인종이 통합된 1947년 이래 메이저리그 역대 1위이다.[50] 즉, 클래식으로 보든 세이버로 보든 상징성으로 보든, 오타니의 지난 4년은 명예의 전당에 못 들어가는 게 이상한 수준의 커리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오타니는 아직 전성기가 지나지 않았으며, 투수 복귀와 함께 리그 최고 선수의 위상을 계속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커리어가 꺾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때문에 50-50 클럽에 입성한 2024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도 이미 메이저리그 공식매체에서 오타니의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전망했을 정도이다.[51]오타니를 대표하는 수상 경력은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이다.[52] 특히 3회 중 2회는 콜로라도 로키스와 함께 현 시대 악성 윈나우 탱킹의 대명사인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에서 만들어낸 업적이기에 실로 더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53] 그리고 2024년부터는 지속 가능한 강팀의 대명사인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가게 되면서 더 좋은 성적을 쌓을 수 있으리라 기대되었고, 실제로 이적 후 첫 해부터 지명타자 성적만으로 WAR 9가 넘는 몬스터 시즌을 만들었다. 이러한 활약으로 프랭크 로빈슨 이후 메이저 리그 역대 2번째 양대리그 MVP 수상에도 성공했다.[54] MVP Award Share 순위에서도 24위에 랭크되어 있고 현역 선수로 범위를 좁히면 오타니의 위엔 마이크 트라웃(4위)과 무키 베츠(19위) 정도만이 있을 뿐이다. 2018~2020년에는 MVP와는 거리가 멀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단 4년의 퍼포먼스만으로 내로라하는 전설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기에, 오타니가 얼마나 압도적인 전성기를 써내려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MLB 역사상 MVP 3회 이상 수상자는 오타니를 포함해 단 12명뿐이며, 2회 수상자로 범위를 넓혀도 22명만 추가될 뿐이다.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 | <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 }}} | |||||||
<rowcolor=#FFFFFF> 이름 | 수상 횟수 | 수상 연도 | 명예의 전당 | 비고 | |||||
배리 본즈* | 7 | 1990, 1992, 1993, 2001-2004(NL) | 실패 | [도핑] | |||||
지미 폭스 | 3 | 1932, 1933, 1938(AL) | 입성 | ||||||
조 디마지오 | 1939, 1941, 1947(AL) | 입성 | |||||||
스탠 뮤지얼 | 1943, 1946, 1948(NL) | 입성 | |||||||
로이 캄파넬라 | 1951, 1953, 1955(NL) | 입성 | |||||||
요기 베라 | 1951, 1954, 1955(AL) | 입성 | |||||||
미키 맨틀 | 1956, 1957, 1962(AL) | 입성 | |||||||
마이크 슈미트 | 1980, 1981, 1986(NL) | 입성 | |||||||
알렉스 로드리게스* | 2003, 2005, 2007(AL) | 대기 | [도핑] | ||||||
알버트 푸홀스 | 2005, 2008, 2009(NL) | 대기 | |||||||
마이크 트라웃 | 2014, 2016, 2019(AL) | 현역 | |||||||
오타니 쇼헤이 | 2021, 2023(AL), 2024(NL) | 현역 |
6.1. WAR 산정방식에 대한 논쟁
최근 명예의 전당과 WAR를 따로 떨어트려놓고 생각하기 어려운 만큼 WAR를 산정하는 이야기는 꼭 따라나올 수밖에 없는데, 기본적으로 오타니와 같은 선수가 없다는 점에서 기존 방식으로 WAR를 계산하는 것이 맞는지에 대한 문제에서 시작된다. 현재 세이버메트릭스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꾸준히 토론과 논쟁이 오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는 아니다. 사실 야구 데이터사이언스에 큰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WAR가 완벽한 스탯이라고 평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여러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58]현재의 WAR는 지명타자 오타니와 투수 오타니를 별개의 인물로 간주하여 WAR를 매기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한 사람이 2개의 역할을 소화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WAR가 잘못 계산되고 있거나, 혹은 WAR가 본래 취지에 맞게 계산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선수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여기에 "이 선수의 놀라움을 스탯이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팬덤의 심리가 추가된다. 이러한 팬덤의 심리가 크게 드러나는 대표적인 예시가 시즌의 모든 타석을 투수 타석으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현재의 WAR 산정 방식은 투타겸업의 포지션 난이도와 그에 따른 임팩트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선발투수로 등판한 이후에 휴식일 동안 휴식하지 않고 타자로 출전하기 때문에 이를 투수의 타석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2021 시즌 오타니의 WAR에 대해 이 의견을 반영하여 조정한 연구 결과도 있다. 만약 투수 포지션의 역할에 투수 휴식 까지 포함하여 투수 휴식 기간 동안 진행되는 타석들을 모두 투수 슬롯으로 계산한다면, 대략적으로 고대 괴수들을 넘어 베이브 루스의 단일 시즌 최고 기록을 웃도는 결과가 나온다.#
물론 이는 WAR를 합산하는 해결책에 대한 제대로 된 주장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당연히 객관적인 주장이라고 볼 수 없다. 포지션 난이도라는 것도 해당 이닝을 그 포지션으로 소화해야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 포지션이 지명타자가 아닌 야수들이 체력 안배를 위해 잠시 지명타자로 출장하는 경기에서도 당연히 지명타자의 포지션 난이도를 적용받는다. 투타겸업의 체력적 소모가 타 포지션에 비해 매우 크다는 이유만으로 투수 출장을 하지 않는 경기에서도 투수의 포지션 난이도를 적용하게 된다면, 오히려 WAR 산정 방식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해치는 일이 될 것이다. 실제로 투수로 출전하지 않는 경기에서는 지명타자의 WAR가 적용되는 것이 맞다는 것은 대체로 다들 동의한다. 지명타자로만 출전하는 경기에서 지명타자의 포지션 난이도를 부여받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다.[59] 사실상 위의 계산 결과는 투타겸업 오타니의 임팩트를 수치로 체감할 수 있는 계산 방식이라는 것에만 의의를 두어야 할 것이다.
주로 구체적으로 제기되는 문제로는 "선발투수로 출전하는 약 20~30경기 가량의 WAR를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이 주된 내용이다. 현재로서는 마운드에서 내려오기 전까지만 투수 타석으로 간주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현재의 WAR 산정 방식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투수의 포지션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주장하고 있다. 투수는 소화하는 이닝마다 판이하게 다른 투구 개수로 인해 야수 포지션과 달리 9이닝 혹은 연장전까지 모두 소화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즉 투수라는 포지션의 한계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풀게임을 소화하지 못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운드에서 내려온 이후에 지명타자의 수비 기여도를 부여받는 것은 부당하다고 보는 의견인 것이다. 이로 인해 투타겸업 선수가 승리투수 조건인 5이닝을 채운다면 지명타자로 전환한 이후의 타석도 투수 타석으로 간주하는 방안 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WAR 산정 방식을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위의 주장이 원래는 투수 대신 지명타자를 쓸 수 있지만 오타니가 투수로 출장하는 경기에서는 다른 지명타자를 쓰지 못한다는 것을 간과했다고 본다. 즉 오타니가 투수로 출장하더라도 원래라면 쓸 수 있었던 지명타자 자리를 투수 오타니에게 넘겨주는 것뿐이므로 현재의 WAR 산정 방식이 맞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오타니 룰이 해당 주장에 대해 힘을 실어주는 근거가 된다. 오타니 룰은 투타겸업 선수가 투수로 출장한 경기에서 마운드에서 내려온 이후에 지명타자로 전환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규칙[60]으로, 교체된 선수는 다시 그라운드에 들어올 수 없다는 야구의 대원칙을 무시하는 예외 규정이다. 다시 말해 투타겸업의 투수와 투타겸업의 타자를 별개의 선수로 취급하는 것으로, 이는 현재 투타겸업의 WAR 계산 방식과 일맥상통한다. 결국 선발투수 출장 경기의 WAR 계산 방식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한편 거의 모든 세이버메트리션들이 동의하는 것은 오타니의 투타겸업으로 생기는 1명의 로스터 압축 효과가 팀 전체에 이득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 효과를 매기더라도 각 팀별 로스터 말석에 해당하는 선수의 WAR이므로, 강팀이라고 해도 대체 선수를 웃도는 수준일 것이기 때문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다.
결국 오랫동안 고려되지 않았던 포지션의 팀적 기여도를 평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종합 스탯으로 평가받는 WAR의 공란을 건드리고 있다는 점에서, 오타니의 퍼포먼스가 좋게 나올 때 혹은 경쟁 선수와 WAR로 경쟁하게 될 때마다 화두에 오르고 있다.[61] 결국 투타겸업이라는 포지션 자체가 매우 희소하기 때문에 기존의 WAR 계산 방식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혹자는 투웨이 플레이어로만 이루어진 가상의 팀을 가정해 비교분석을 시도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투타겸업 WAR의 유의미한 상승을 기대하기는 힘들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나마 인정받고 있는 로스터 압축 효과의 경우에도 단일 시즌 WAR로 환산하면 대체 선수 수준의 WAR에 그칠 것이기에 선수의 통산 WAR로 따져도 1~2 정도의 상승만을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이고, 대부분의 주장은 "투타겸업의 임팩트와 놀라움을 스탯에도 반영해야 한다"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물론 상술했듯 투타겸업 WAR과 관련된 논쟁은 계속 진행되고 있고, 차후에 현재의 세이버메트리션들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투타겸업과 WAR의 새로운 연관성이 발견될 수도 있기에 앞으로도 계속 지켜볼 필요는 있다.
7. 인기
자세한 내용은 오타니 쇼헤이/인기 문서 참고하십시오.8. 논란 및 사건 사고
8.1. 지급 유예 계약 논란
‘7억 달러’ 오타니 내년 연봉은 200만 달러? 논란의 계약… 이유는?
2023년 12월 10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로 이적을 확정하며 10년 7억 달러라는 역대 스포츠 최고액의 조건으로 계약했는데, 계약 직후 총액의 무려 97%에 달하는 6억 8천만 달러를 계약 기간이 끝난 이후 지급받는, 이른바 지급 유예 계약(디퍼 계약, Deferred)임이 밝혀져 논란이 되었다. 실제로 오타니가 계약기간동안 받는 금액은 10년동안 2천만달러, 즉 연봉으로는 2백만 달러만 받으며, 나머지 금액은 계약기간 종료 후인 2034년부터 2043년까지 10년간 무이자로 분할 지급을 받게 된다.
우선 오타니의 계약은 CBA 규정상 문제 없는 계약이다. 디퍼 금액에는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급 유예 계약은 최근 메이저리그 계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합의 조항이다. # 다만 오타니의 경우 금액이 다른 사례와는 계약규모가 다르다는 점에서 충격이 상당하다는 반응이며#[62] 이 계약은 구단측이 아닌 오타니 측에서 팀의 전력 강화를 위해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오타니의 에이전트 네즈 발레로는 오타니가 "연봉 전액을 나중에 받으면 어떻겠냐"고 먼저 제안하기도 했음을 밝혔다.#
사치세에 반영되는 AAV(Average Annual Value, 연평균 가치)는 NPV(Net Present Value, 현재 가치)를 총 계약기간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이렇게 계산한 오타니의 AAV는 약 4600만 달러가 된다. 따라서 지급 유예 계약을 맺지 않았을 경우 오타니의 연봉은 7,000만 달러로 다저스 구단의 선수단 연봉 관리에 막대한 지장을 주게 되나# 지급 유예를 통해 다저스 구단 입장에선 매년 팀의 페이롤에서 약 2,400만 달러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63] 다만 7,000만달러라는 명목 가치 금액은 디퍼 계약이 전제되지 않았다면 불가능한 금액이었을 거라고 매체들에서 보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현재 가치 기준으로 다저스가 절감하게 되는 금액은 그보다 낮아질 전망이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구단주 켄 켄드릭은 다저스가 실제로 절감할 금액이 약 500만 달러 정도라고 예측했으며, 이는 다저스의 목적이 사치세 절감보다는 유동자금 확보쪽에 더 비중이 크다는 해석도 가능해진다(다만 디퍼로 지급 연기된 금액은 구단측에서 별도로 확보해야 한다#). 실제로 다저스는 2024시즌 사치세 최종 저지선을 넘었다.#
오타니가 먼저 디퍼 계약을 제안한 목적은 자신의 계약 때문에 다른 좋은 선수를 영입하는 데 실패할 여지를 주지 않기 위해서로 알려졌으며# 오타니 본인도 다저스 입단식에서 "다저스가 좋은 선수들과 계약을 체결해 더 좋은 팀이 되는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했다"고 언급했다. # 오타니의 협상 과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오타니가 계약서상에 지연 지급으로 얻는 이득을 팀 전력보강에 사용하겠다는 구체적인 조항을 원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매체들에선 선수가 먼저 지급 유예를 제안한 사례는 찾기 힘든 만큼# 오타니는 돈이 아니라 우승을 최우선 가치로 보고 구단을 배려한 계약을 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으며###### 이런 전례 없는 지급 유예 계약은 MLB 30개 구단의 공정 경쟁을 뒤흔드는 '꼼수 계약' 내지 "시장 질서를 어지럽힌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한편으로 오타니의 계약은 스스로 시장가치보다 낮은 연봉에 계약한 NBA의 슈퍼스타 르브론 제임스를 떠올리게 한다는 의견도 있다.#[64]
오타니의 지급 유예 계약 덕분에 다저스가 야마모토 요시노부 영입전까지 참전할 수 있다는 보도가 잇따랐으며, 실제로 다저스는 타일러 글래스노우에 이어 야마모토 요시노부까지 영입하는데 성공했다. 이에 매체들에서는 오타니의 계약 형태가 야마모토 영입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언급하며 다저스를 새로운 '악의 제국'으로 지칭하기 시작했다.####
한편 California Center for Jobs and the Economy의 발표에 따르면, 오타니가 계약 기간 이후 타주나 타국으로 이사할 경우, 이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세수 손실액이 9800만 달러에 달한다고 발표했으며, LA의 회계 감사관 Malia Cohen은 “현재의 조세 제도는 가장 높은 세율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무제한 연기를 허용해 조세 구조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며 다저스의 지급 유예에 대해 의회가 개입할 것을 촉구했다. 다만 전문가들에 따르면 단기간 내의 법안 변경 가능성은 극히 드물다고 한다. ##
8.2. 통역사에 의한 횡령 피해
2024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개막전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서울 시리즈가 진행 중이던 2024년 3월 20일, 오타니의 오랜 전속 통역사 미즈하라 잇페이(水原一平)가 불법 도박으로[65] 생긴 거액의 빚을 갚기 위해 오타니의 돈을 횡령했다는 이유로 소속 구단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해고되었다.#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캘리포니아의 불법 도박사 매튜 보이어를 수사하던 도중 오타니의 은행 계좌로부터 수 차례에 걸쳐 450만 달러[66]에 달하는 돈이 송금된 사실을 확인한 뒤 오타니 측에 통보하고, 다저스의 연고지인 로스앤젤레스의 유력 일간지 LA 타임즈가 보도하며 이 사실이 알려졌다.오타니와 오랫동안 가까웠던 인물이 불법 도박을 했고, 거액의 돈이 오타니의 이름으로 불법 도박사에게 건네진 일에 관하여 미즈하라는 ESPN과의 인터뷰에서 "오타니가 나의 도박빚을 갚아주기 위해 직접 컴퓨터에 접속해 도박사에게 송금했다"라고 말함으로써 자신의 불법 도박 사실을 오타니도 알고 있었다고 했다가, 바로 다음 날 거짓말이라면서 번복했고 ESPN의 보도는 불발되었다.
이후 ESPN 기자 티샤 톰슨(Tisha Thompson)의 후속 기사로 "개막전 후 다저스 라커룸에서 미팅이 시작되었고, 잇페이의 도박스캔들이 시작되었다"고 밝혔다. 이후 다시 미즈하라에게 연락을 해 그 인터뷰에서 "나한테 거짓말을 한 것인가?"라고 물었는데, 미즈하라는 "예"라고 답했다. 이후 미즈하라는 오타니가 자신의 게임 빚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은행 송금을 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여기서 의문인 건 어떻게 해서 돈이 빠져나갔으며, 단순 통역사가 수천억의 슈퍼 스타의 은행 계좌를 만질 수 있었는지, 오타니는 정말 연관이 없는지 등이다. 만약 오타니 본인도 연관이 있다면 도박 관련 중대 범죄가 되기 때문에 미국 수사기관들은 주의 깊게 수사 중이다.##
전 MLB 통역사들의 경험담에 의하면 선수들의 일생 생활 모든 면에 도움을 줘야했다고 한다. 선수를 대신해서 은행 계좌 개설, 은행 업무, 신용카드 신청, 자동차세 납부, 세금 납부 등 잡다한 업무를 다 처리했기에 비밀번호, 아이디도 공유했었다고 한다. 일부 선수들은 자신의 수입을 여러 개의 미국 은행의 계좌로 나누기 때문에 통역사에게 서브 계좌를 맡기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 #
미즈하라는 오타니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에서 뛸 당시부터 인연을 맺은 인물로, 오타니가 미국에 진출할 때부터 개인 통역사로 동고동락한 인물이었다. 통역사 외에 사실상 오타니의 매니저 업무를 전담할 만큼 야구 외적으로 모든 것을 맡긴 인물이었으며, 미즈하라 부부의 신혼여행 비용을 오타니가 전액 지원해줄 만큼 개인적인 친분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가 진행될수록 언론사들은 미즈하라의 과거 행적을 찾는 과정에서 그의 학력과 경력이 모두 거짓인 것으로 밝혔다. ## 오타니는 해고 이후 미즈하라의 SNS를 언팔로우했으며, 함께 사진을 찍은 피드를 모두 내려버렸다.[67]
2024년 3월 22일, 메이저 리그가 오타니와 미즈하라에 관한 의혹에 대해 공식 진상 조사에 나섬으로써# 세계 최고의 야구선수인 오타니를 영입한 첫 해에 이런 논란이 터져 다저스가 노심초사하고 미국 스포츠계 전체가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오타니는 현지 시간 25일 월요일 기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야구를 비롯해 어떠한 스포츠에도 내기를 건 적이 없으며 며칠 전까지도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했다. 잇페이는 내 계좌에서 돈을 훔치고 거짓말을 했으며 경찰 수사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기존 입장을 확인했다.
2024년 4월 11일, 뉴욕 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 미국 국세청, 국토안보부, 법무부 캘리포니아 중앙검찰청이 미즈하라의 불법 도박 사건을 조사 중이라며 "오타니의 전 통역사 미즈하라 잇페이가 유죄를 인정했다. 형량을 낮추는 사전형량 조정 협상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즈하라는 이에 대해 최근 변호사를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FBI는 잇페이가 오타니의 계좌에 접근해 오타니에게 알림이 가지 않게끔 조작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 오타니가 도박에 연루된 혐의는 없다고 한다.#
결국 2024년 4월 11일, FBI에 이어 미국 연방 정부가 오타니는 어떤 불법 행위에도 연루되지 않았으며 이 사건에 있어 피해자라고 결론을 내렸다.# 결정적인 건 오타니의 계좌 개설 후 오타니는 단 한 번도 그 계좌에 접속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다음은 미 연방 검찰의 브리핑에 따른 전말이다.
2018년에 오타니가 미국에 온 직후, 미즈하라는 오타니의 계좌 신설을 도우며 그 계좌에 접근할 수 있었고[68], 이를 다른 오타니의 관계자들에게 공유하는 것을 거부해왔다. 2021년에 미즈하라는 불법 스포츠 배팅을 시작하고 빚이 늘어나자 오타니의 계좌로 돈을 지불하기 시작했고, 합계로 무려 1600만 달러[69] 이상의 금액을 오타니의 계좌에서 편취했다.
미 연방 검찰은 그가 오타니의 계좌에 접근할 수 있었다는 은행 기록과 전화 기록이 남아있는 점, 그가 은행에 자신이 오타니인 것처럼 속이는 통화 기록을 입수한 점, 오타니와 미즈하라의 핸드폰을 입수해 지난 몇 년간의 소통 내역을 전부 조사했지만 오타니와 미즈하라 간에 그 어떠한 도박이나 도박 자금 송금을 암시하는 대화가 없었던 점, 심지어 미즈하라가 도박에 이겨 돈을 땄을 때도 그 금액은 오타니의 계좌가 아닌 미즈하라 본인의 계좌로 흘러간 점, 마지막으로 미즈하라와 도박업자와의 문자 내역에서 미즈하라가 스스로 오타니의 돈을 훔쳤음을 시인하는 기록을 발견한 점을 들어 "오타니는 이 사건의 확실한 피해자이다"#라고 일축했다.
미국 연방 법원은 미즈하라의 보석 신청을 허용하면서 오타니와 해당 사건의 증인에 대한 접근 금지령과 도박 중독 치료를 받을 것을 명령했고, 위반 시 보석금으로 2만 5천 달러를 지불하는 조건을 걸었다. 미즈하라의 기소 안부 심리는 2024년 5월 9일로 결정되었다.#
여담으로 미즈하라는 오타니의 통역사라는 이유로 기본급만 10-20만 달러씩 받아왔으며, 오타니의 모든 수입의 1-2%를 받아가는 구조였다고 하기에 이 사건만 아니었다면 일본은 물론 미국에서도 상위 중산층으로 살기에 충분하던 미래를 파괴해버렸다. 또한 오타니가 다저스와 10년 계약을 하면서 미즈하라도 자연스럽게 다저스에서 노동 계약을 10년 계약을 맺었을 정도. 오타니는 2023년에 6000만 달러를 벌어들였기 때문에 1%씩만 받는다고 해도 60만 달러, 2%를 받는다는 거였으면 120만 달러를 가져가는 거였다. 즉 다저스 계약 기간이 끝나면 엄청난 수익을 받을수 있었고 광고만 해도 매년 80-140만 달러를 벌 예정이었는데 이 정도면 한국이나 일본에서 용병 선수들이 1년에 받는 금액 수준이며, 대만이나 멕시코의 스타플레이어들보다도 많이 받는다. 이걸 10년 계약을 했다고 하니 미즈하라가 도박 같은 것에 손을 안 대고 성실히 자기 일만 했으면 통역만으로 누적 연봉 1000만~1500만 달러라는 어지간한 백업 메이저리거 수준은 됐을 텐데[70] 그 장미빛 미래[71]를 도박으로 다 걷어차 버렸다.
오타니가 야구 역사에서 영원히 기억될 4년을 보내며 일본에서 인간의 형상을 한 신으로 추앙받는 가운데 미즈하라는 그런 오타니를 배신한 역적으로 취급받고 있다. 오타니에 대한 상품 중 LA 다저스까지의 일대기를 다룬 서적 관련해서는 미즈하라랑 찍은 사진을 편집하거나 미즈하라도 그려진 일러스트들은 전부 편집처리되어 기록말살형에 이뤄지고 있으며 미즈하라 본인 또한 이를 알고 있기에 일본에 귀국은 커녕 어떻게든 미국에서 배달부로 일하며 버티는 중....이었지만 그마저도 우버이츠에서 알게 되자 계정 정지를 당했다고 한다. 관련 현지 기사
9. 여담
자세한 내용은 오타니 쇼헤이/여담 문서 참고하십시오.10. 언사
자세한 내용은 오타니 쇼헤이/관련 언사 문서 참고하십시오.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FFF> | 오타니 쇼헤이 Shohei Ohtani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아마추어 | ||
프로 데뷔 이전 | |||
프로 |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Hokkaido Nippon-Ham Fighters | |||
<rowcolor=#006298>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Los Angeles Angels | |||
<rowcolor=#FFFFFF>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Los Angeles Dodgers | |||
<rowcolor=#005A9C> 2024년 · 2025년 | |||
국가대표 |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Japan national baseball team | |||
<rowcolor=#FFFFFF> 2015 WBSC · 2023 WBC | |||
기타 | |||
<rowcolor=#005A9C> 플레이 스타일 · 인기 · 여담 · 언사 · 사진 · vs 애런 저지 |
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No.11 | No.18 | No.17 | No. | No.27 |
다르빗슈 유 | 마에다 겐타 | 오타니 쇼헤이 | 기쿠치 유세이 | 스즈키 세이야 | |
No.7 | No.34 | No.1 | No.18 | No.18 | |
요시다 마사타카 | 센가 코다이 | 마쓰이 유키 | 야마모토 요시노부 | 이마나가 쇼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6298>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6298><col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쇼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 1965년 ~ 1988년 | ||||
<rowcolor=#20272c,#d3dade> 1965년 | 1966년 1차 | 1966년 2차 | 1967년 | 1968년 | ||
모리야스 토시아키(2) (森安敏明) | 사쿠라이 켄 (桜井憲) | 타카하시 요시마사 (高橋善正) | 요시다 마코토 (吉田誠) | 오오하시 유타카 (大橋穣) | ||
<rowcolor=#20272c,#d3dade>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
카타오카 켄 (片岡建) | 스기타 히사오 (杉田久雄) | 요코야마 하루히사 (横山晴久) | 니이미 사토시 (新美敏) | 우카이 카츠오 (鵜飼克雄) | ||
<rowcolor=#20272c,#d3dade>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스가노 미츠오 (菅野光夫) | 후쿠시마 히데키 (福島秀喜) | 쿠로다 신지(6) (黒田真二) | 이시이 쿠니히코 (石井邦彦) | 타카시로 노부히로(1) (高代延博) | ||
<rowcolor=#20272c,#d3dade>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
키다 이사오(2) (木田勇) | 타카야마 이쿠오(1)(6) (高山郁夫) | 타나카 유키오 (田中幸雄) | 타나카 토미오(2) (田中富生) | 시라이 카즈유키(1) (白井一幸) | ||
<rowcolor=#20272c,#d3dade>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 | ||
코노 히로후미(1) (河野博文) | 히로세 테츠로(1) (広瀬哲朗) | 니시자키 유키히로(1) (西崎幸広) | 타케다 카즈히로(1) (武田一浩) | 나카시마 테루시(2) (中島輝士)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89년 ~ 2018년 | |||||
<rowcolor=#20272c,#d3dade>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
사카이 미츠지로(1) (酒井光次郎) | 스미요시 요시노리(1) (住吉義則) | 우에다 요시노리(1) (上田佳範) | 야마하라 카즈토시 (山原和敏) | 세키네 히로유키(3) (関根裕之) | ||
<rowcolor=#20272c,#d3dade>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
카네무라 사토루 (金村曉) | 나카무라 유타카(1)(3) (中村豊) | 야노 사토시 (矢野諭) | 시즈미 아키오(3) (清水章夫) | 사네마츠 카즈나리(1) (實松一成) | ||
<rowcolor=#20272c,#d3dade>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쇼다 이츠키 (正田樹) | 이바 토모카즈(3) (井場友和) | 에지리 신타로(3) (江尻慎太郎) | 오자키 마사야 (尾崎匡哉) | 이토이 요시오(3) (糸井嘉男) | ||
<rowcolor=#20272c,#d3dade>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
다르빗슈 유 (ダルビッシュ有) | 양다이강(2)(4) (陽岱鋼) | 요시카와 미츠오(1)(4) (吉川光夫) | 나카타 쇼(2)(4) (中田翔) | 오노 쇼타 (大野奨太) | ||
야기 토모야(5) (八木智哉) | 미야모토 켄(3)(5) (宮本賢) | 타다노 카즈히토(1)(5) (多田野数人) | ||||
<rowcolor=#20272c,#d3dade>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
나카무라 마사루(1) (中村勝) | 사이토 유키(2) (斎藤佑樹) | 스가노 도모유키(2)(6) (菅野智之) | 오타니 쇼헤이 (大谷翔平) | 와타나베 료(1) (渡邉諒) | ||
<rowcolor=#20272c,#d3dade>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아리하라 코헤이(2) (有原航平) | 우에하라 켄타(1) (上原健太) | 호리 미즈키(1) (堀瑞輝) | 키요미야 코타로(2) (清宮幸太郎) | 요시다 코세이(1) (吉田輝星)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레이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019년 ~ | |||||
<rowcolor=#20272c,#d3dade>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카와노 류세이(1) (河野竜生) | 이토 히로미 (伊藤大海) | 타츠 코타 (達孝太) | 야자와 코타 (矢澤宏太) | 호소노 하루키(1)(2) (細野晴希) | ||
<rowcolor=#20272c,#d3dade> 2024년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
시바타 레오(1) (柴田獅子) | }}}}}}}}}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69>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46 | 1947 | 1948 | 1949~1950 | 1951 |
히토코토 타쥬 | 시라키 기이치로 | 요시에 에이시로 | 시라키 기이치로 | 요메카와 야스오 | |
<rowcolor=#fff> 1952 | 1953~1955 | 1956 | 1957 | 1958 | |
테라카와 쇼지 | 요메카와 야스오 | 마키노 노보루 | 요메카와 야스오 | 마키노 노보루 | |
<rowcolor=#fff> 1959~1960 | 1961 | 1962 | 1963 | 1964~1965 | |
도바시 마사유키 | 쿠보타 오사무 | 토미나가 타다오 | 도바시 마사유키 | 쿠보타 오사무 | |
<rowcolor=#fff> 1966 | 1967~1968 | 1969 | 1970 | 1971 | |
오자키 유키오 | 모리야스 토시아키 | 타카하시 요시마사 | 모리야스 토시아키 | 카네다 토메히로 | |
<rowcolor=#fff> 1972 | 1973 | 1974 | 1975~1977 | 1978 | |
후지와라 마코토 | 카네다 토메히로 | 와타나베 히데타케 | 타카하시 나오키 | 사에키 카즈시 | |
<rowcolor=#fff> 1979~1980 | 1981~1982 | 1983 | 1984 | 1985~1987 | |
타카하시 나오키 | 타카하시 카즈미 | 쿠도 미키오 | 타나카 유키오 | 츠노 히로시 | |
<rowcolor=#fff> 1988~1991 | 1992 | 1993~1995 | 1996 | 1997 | |
니시자키 유키히로 | 시바타 야스미츠 | 니시자키 유키히로 | 이와모토 츠토무 | 니시자키 유키히로 | |
<rowcolor=#fff> 1998~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와모토 츠토무 | 카네무라 사토루 | 이와모토 츠토무 | 카를로스 미라발 | 카네무라 사토루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2011 | 2012 | 2013 | |
카를로스 미라발 | 카네무라 사토루 | 다르빗슈 유 | 사이토 유키 | 타케다 마사루 | |
<rowcolor=#fff> 2014 | 2015~2016 | 2017 | 2018 | 2019 | |
요시카와 미츠오 | 오타니 쇼헤이 | 아리하라 코헤이 | 브라이언 로드리게스 | 우와사와 나오유키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아리하라 코헤이 | 우와사와 나오유키 | 키타야마 코키 | 카토 타카유키 | 이토 히로미 | |
<rowcolor=#fff> 2025 | |||||
카네무라 쇼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a0021>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61~1962 | 1963~1964 | 1965 | 1966 | 1967~1968 |
엘리 거바 | 켄 맥브라이드 | 프레드 뉴먼 | 딘 챈스 | 조지 브루넷 | |
<rowcolor=#fff> 1969 | 1970 | 1971 | 1972 | 1973~1975 | |
짐 맥글로슬린 | 앤디 메서스미스 | 클라이드 라이트 | 앤디 메서스미스 | 놀란 라이언 | |
<rowcolor=#fff> 1976~1979 | 1980 | 1981 | 1982 | 1983 | |
프랭크 타나나 | 데이브 프로스트 | 제프 잔 | 켄 포쉬 | 브루스 키슨 | |
<rowcolor=#fff> 1984 | 1985~1989 | 1990 | 1991 | 1992~1994 | |
켄 포쉬 | 마이크 위트 | 버트 블라일레븐 | 척 핀리 | 마크 랭스턴 | |
<rowcolor=#fff> 1995~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척 핀리 | 마크 랭스턴 | 척 핀리 | 팀 벨처 | 켄 힐 | |
<rowcolor=#fff> 2001 | 2002 | 2003 | 2004~2006 | 2007 | |
스캇 숀와이스 | 재러드 워시번 | 존 래키 | 바톨로 콜론 | 존 래키 | |
<rowcolor=#fff> 2008 | 2009 | 2010~2015 | 2016 | 2017 | |
제러드 위버 | 조 손더스 | 제러드 위버 | 개럿 리차즈 | 리키 놀라스코 | |
<rowcolor=#fff> 2018 | 2019 | 2020 | 2021 | 2022~2023 | |
개럿 리차즈 | 트레버 케이힐 | 앤드루 히니 | 딜런 번디 | 오타니 쇼헤이 | |
<rowcolor=#fff> 2024 | |||||
패트릭 산도발 | }}}}}}}}} |
오타니 쇼헤이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24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2016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반지 |
2023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MVP | ||||
마커스 스트로먼 (미국) | → | 오타니 쇼헤이 (일본) | → | 2026년 수상자 |
2023 WBC ALL-WORLD TEAM AWARD | |||||||||
{{{#!wiki style="color:#1E376D;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OF | OF | O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SP | CP |
파일:2024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21 | 2022 | 2023 | 2024 |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호세 아브레우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MVP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MVP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행크 애런 상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2021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지명타자 부문 실버 슬러거 | ||||
넬슨 크루즈 (미네소타 트윈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요르단 알바레즈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지명타자 부문 실버 슬러거 | ||||
요르단 알바레즈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브렌트 루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지명타자 부문 실버 슬러거 | ||||
브라이스 하퍼 (필라델피아 필리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2018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신인왕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요르단 알바레즈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3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홈런왕 | ||||
맷 올슨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타점왕 | ||||
맷 올슨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2024년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득점왕 |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마르셀 오즈나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수상자 |
데릭 지터 & 빈 스컬리 (2014)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TBD |
역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고액 계약자 | ||||
마이크 트라웃 (2019년 12/426,500,000$) | → | 오타니 쇼헤이 (2024년 10/700,000,000$) | → | 역대 최고액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2021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IN | OF | HOU | OF | TOR | OF | ||||||
WSH/LAD | SS | ATL | 2B | ||||||||
BOS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ATL | 1B ||
HOU | DH | SF | C | |||
LAA | SP | LAD | SP | SF | SP | ATL | SP | PHI | SP |
LAA | RP | LAD | RP |
}}} ||
2022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LAD | OF | LAA | OF | NYY | OF | ||||||
LAD | SS | HOU | 2B | ||||||||
SD | 3B | STL | 1B |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HOU | DH ||
PHI | C || || ||
MIA | SP | TOR | SP | LAA | SP | HOU | SP | HOU | SP |
CLE | RP | NYM | RP |
}}} ||
2022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PHI | OF | SEA | OF | HOU | OF | ||||||
NYM | SS | CLE | 2B | ||||||||
S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LAD | C | |||
CHW | SP | ATL | SP | PHI | SP | NYM | SP | LAD | SP |
STL | RP | HOU | RP |
}}} ||
2023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ATL | OF | LAD | OF | ARI | OF | ||||||
TEX | SS | TEX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BAL | C | |||
NYY | SP | SD | SP | ARI | SP | LAA | SP | ATL | SP |
BAL | RP | SD | RP |
}}} ||
2024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YY | OF | NYY | OF | LAD | OF | ||||||
KC | SS | ARI | 2B | ||||||||
CLE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LAD | DH | MIL | C | |||
ATL | SP | DET | SP | PIT | SP | PHI | SP | BAL | SP |
CLE | RP | STL | RP |
}}} ||
선정 2021년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ime 100: The Most Important People of the Century | ||||
아이콘 부문 # | |||||
해리 왕자 | 메건 공작 부인 | 오사카 나오미 | 알렉세이 나발니 | 브리트니 스피어스 | |
셰릴린 이필 | 돌리 파튼 | 오타니 쇼헤이 | 캐시 박 홍 | 루이스 마누엘 오테로 알칸타라 | |
나스린 소투데 | 만주샤 쿨카르니 | 러셀 증 | 신시아 최 | 무나 엘 쿠르드 | |
모하메드 엘 쿠르드 | |||||
같이 보기: 지도자 부문, 예술가 부문, 거장 부문, 개척자 부문, 혁신가 부문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 ||
<rowcolor=#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장훈 토에이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 |
<rowcolor=#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
<rowcolor=#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베스트나인/지명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 오타 타쿠지 타이요 |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레론 리 롯데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레론 리 롯데 |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트로이 닐 오릭스 |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프랭크 볼릭 롯데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터피 로즈 오릭스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이대호 소프트뱅크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 |
2015년, 2016년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베스트나인 |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버팔로즈) | → | 오타니 쇼헤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 → | 키쿠치 유세이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승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13승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24승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승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5승 노구치 아키라 도쿄세네터즈 / 15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4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9승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42승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38승 | 모리 코타로 한큐군 / 30승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40승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34승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22승 | 시라키 기이치로 세네터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난카이 / 30승 | 카와사키 토쿠지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27승 | 빅토르 스타루힌 다이에이 / 27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사나다 쥬조 쇼치쿠 / 39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28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33승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27승 | 스기시타 시게루 나고야 / 32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30승 하세가와 료헤이 히로시마 / 30승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27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28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1승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27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29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5승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30승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30승 | 진 바키 한신 / 29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5승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24승 | 오가와 켄타로 주니치 / 29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5승 | 타카하시 카즈미 요미우리 / 22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5승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17승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26승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24승 | 마츠모토 유키츠라 주니치 / 20승 카네시로 모토야스 히로시마 / 20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20승 | 이케가야 코지로 히로시마 / 20승 | 타카하시 사토시 히로시마 / 20승 | 노무라 오사무 타이요 / 17승 | 코바야시 시게루 한신 / 22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16승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0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0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8승 | 엔도 카즈히코 타이요 / 17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18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7승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18승 이토 아키미츠 야쿠르트 / 18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니시모토 타카시 주니치 / 20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0승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17승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7승 | 이마나카 신지 야마모토 마사 이상 주니치 / 17승 노무라 히로키 요코하마 / 17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9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8승 | 사이토 마사키 발비노 갈베스 요미우리 / 16승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18승 | 카와사키 켄지로 야쿠르트 / 17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멜빈 번치 주니치 / 14승 | 후지이 슈고 야쿠르트 / 14승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17승 케빈 호지스 야쿠르트 / 17승 | 이가와 케이 한신 / 20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5승 시모야나기 츠요시 한신 / 15승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17승 | 세스 그레이싱어 야쿠르트 / 16승 | 세스 그레이싱어 요미우리 / 17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승 타테야마 쇼헤이 야쿠르트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8승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8승 | 우츠미 테츠야 요미우리 / 15승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16승 | 랜디 메신저 한신 / 13승 야마이 다이스케 주니치 / 13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승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7승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15승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야마구치 슌 요미우리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4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쿠리 아렌 히로시마 / 13승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13승 | 아즈마 카츠키 DeNA / 16승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6승 | 에토 하루야스 난카이 / 24승 | 노구치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24승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6승 타나카 후미오 킨테츠 / 26승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24승 | 미우라 마사요시 다이에이 / 29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5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33승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38승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33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42승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8승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28승 | 코야마 마사아키 도쿄오리온즈 / 30승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오자키 유키오 토에이 / 27승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5승 | 이케나가 마사아키 니시테츠 / 23승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31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4승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5승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21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0승 카네다 토메히로 토에이 / 20승 | 나리타 후미오 롯데 / 21승 |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16승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히가시오 오사무 타이헤이요클럽 / 23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6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승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5승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19승 무라타 쵸지 롯데 / 19승 | 쿠도 미키오 닛폰햄 / 20승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18승 야마우치 카즈히로 난카이 / 18승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1승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1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6승 | 야마오키 유키히코 한큐 / 19승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5승 니시자키 유키히로 마츠우라 히로아키 닛폰햄 / 15승 | 아와노 히데유키 킨테츠 / 19승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 18승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8승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17승 노다 코지 오릭스 / 17승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15승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킵 그로스 닛폰햄 / 16승 | 킵 그로스 닛폰햄 / 17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5승 코이케 히데오 킨테츠 / 15승 |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13승 타케다 카즈히로 다이에 / 13승 쿠로키 토모히로 롯데 / 13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4승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15승 | 제레미 파웰 킨테츠 / 17승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0승 | 이와쿠마 히사시 킨테츠 / 15승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18승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8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7승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21승 | 와쿠이 히데아키 세이부 / 16승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7승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7승 | D.J. 홀튼 소프트뱅크 / 19승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9승 | 셋츠 타다시 소프트뱅크 / 17승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24승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6승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15승 와쿠이 히데아키 롯데 / 15승 |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15승 | 히가시하마 나오 소프트뱅크 / 16승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6승 | 타와타 신사부로 세이부 / 16승 | 아리하라 코헤이 닛폰햄 / 15승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 소프트뱅크 / 11승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11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8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5승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승 | 이토 히로미 닛폰햄 / 15승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14승 |
}}}}}}}}}}}} ||
2015년 퍼시픽 리그 최고 승률 | ||||
2014년 키시 타카유키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765 | → | 오타니 쇼헤이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750 | → | 2016년 와다 츠요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750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 진 바키 한신 / 1.89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 구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 천웨이인 주니치 / 1.54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 |
(1) 본래 파리그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의 2.03였다. 이 해 핫토리의 투구이닝은 155이닝으로 통상적인 규정이닝 계산에 따르면 규정이닝을 충족하기 때문에 핫토리가 받아야하는 것이 맞는데, 1951년 한정으로 채용된 규정이닝 산정방법에 따르면 난카이 호크스의 경우 164이닝였던 탓에 졸지에 198⅓이닝을 던진 유키의 몫이 되고 말았다. |
}}}}}}}}}}}} ||
2015 WBSC Premier 12™ 동메달 |
2015 |
2015 WBSC Premier 12™ All-World Team | |||||||||
{{{#!wiki style="color:#0066B3;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OF | OF | O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CP |
2015 WBSC Premier 12™ 최우수 평균자책점 |
2015 WBSC 올해의 선수 |
기타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FFFFF,#191919> 2016 일본 프로스포츠 대상 |
2018 일본 프로스포츠 대상 | |
2018 베이스볼 아메리카 올해의 신인 | |
2018 베이스볼 아메리카 MLB 올루키 팀 | |
2018 베이스볼 다이제스트 올해의 신인 | |
2018 스포팅 뉴스 메이저 리그 올해의 신인 | |
2021 AP통신 올해의 남자 선수 | |
2021 닉 아덴하트 상 & 에인절스 MVP[72] | |
2021 베이스볼 아메리카 올해의 선수 | |
2021 베이스볼 아메리카 MLB 올스타 팀 | |
2021 베이스볼 다이제스트 올해의 선수 | |
2021 스포팅 뉴스 메이저 리그 올해의 선수 | |
2021 스포팅 뉴스 올해의 선수[73] | |
2021 MLBPA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아메리칸 리그 최우수 야수 | |
2021 MLBPA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메이저 리그 올해의 선수[74] | |
2021 ESPY(ESPN) 어워드 메이저 리그 최우수 선수 | |
2021 블리처리포트 MLB 선수 랭킹 1위 | |
2021 쇼리키 마쓰타로상 특별상 | |
2022 MLB Network 선수 파워랭킹 1위 | |
2022 ESPY(ESPN) 어워드 남자 스포츠 최우수 선수[75] | |
2022 ESPY(ESPN) 어워드 메이저 리그 최우수 선수 | |
2022 닉 아덴하트 상 & 에인절스 MVP | |
2023 ESPY(ESPN) 어워드 메이저 리그 최우수 선수 | |
2023 에인절스 MVP | |
2023 AP통신 올해의 남자 선수 | |
2023 베이스볼 아메리카 올해의 선수 | |
2023 MLBPA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아메리칸 리그 최우수 야수 | |
2023 쇼리키 마쓰타로상 특별상 | |
2024 스포팅 뉴스 메이저 리그 올해의 선수 | |
2024 MLBPA 플레이어스 초이스 어워드 내셔널 리그 최우수 야수 | |
2024 쇼리키 마쓰타로상 특별상[76] |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Start the MLB All-Star Game as a pitcher and a designated hitter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에 투수와 지명타자로 동시 출전)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오타니 쇼헤이 | 메이저 리그 올스타전에 투수와 지명타자로 동시 출전 | 콜로라도 주 덴버 쿠어스 필드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Achieve 100+ innings and record 100+ strikeouts as a pitcher and 100+ RBIs hits and runs as a batter in a single season (단일 시즌 투수와 타자로 100이닝-100탈삼진-100안타-100타점-100득점)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오타니 쇼헤이 | 단일 시즌 100이닝-100탈삼진-100안타-100타점-100득점 | 미국 시애틀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84c> | 기네스 세계 기록 | }}} | |||
Largest MLB contract for a baseball player (메이저 리그 역대 최고액 계약) | ||||||
<rowcolor=#fff> 대상 | 기록 | 장소 | 등재 시일 | |||
<rowcolor=#000,#fff> 오타니 쇼헤이 | 메이저 리그 역대 최고액 계약 (7억 달러 규모) | 해당 사항 없음 | ||||
기네스 세계 기록 설명 페이지 |
닛케이 엔터테인먼트 파워랭킹 1위 | ||||
샌드위치맨 2023년 | → | 오타니 쇼헤이 2024년 | → | 미정 2025년 |
2021년 6~7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마커스 시미언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호세 아브레우 (시카고 화이트삭스) |
2023년 6~7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훌리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
2024년 9월 메이저 리그 내셔널 리그 이 달의 선수 상 | ||||
코빈 캐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 2025년 4월 수상자 |
2018년 4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애런 저지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글레이버 토레스 (뉴욕 양키스) |
2018년 9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미겔 안두하 (뉴욕 양키스) | → | 오타니 쇼헤이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 → | 브랜든 라우 (탬파베이 레이스) |
[1] 실제 발음은 오-타니(장음)에 가깝다[2] 현재의 오슈시. 이와테현 오슈시는 2006년에 2시 2정 1촌(미즈사와시(水沢市), 에사시시(江刺市), 마에사와초(前沢町), 이사와초(胆沢町), 코로모가와무라(衣川村)을 합병하여 출범됐다.[3] MLB 공식 프로필에는 6' 4"/210(약 193cm/95kg), NPB 공식 프로필에는 193cm/97kg으로 기재되어 있다.[4] 오타니 쇼헤이 본인이 메이저 리그 진출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체중이 102kg이라고 밝힌 바 있다. 출처1 출처2[5] 출처[6] 선발 투수로 등판할 때는 투타겸업을, 그 외에는 지명타자로 출전하며 특수한 상황에서 중간 계투나 외야수까지 가능하다.[df] 연 6,800만 달러, 총액 6억 8,000만 달러 지급 유예(The deferrals). 계약 종료 후 2034년부터 2043년까지 10년간 무이자 분할지급. Full no trade clause. No opt out(단, 마크 월터가 오너쉽 그룹에서 이탈하거나 앤드류 프리드먼 야구운영사장이 프런트에서 이탈할 경우 옵트아웃이 가능하다.) 한화 약 9,240억 원으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전 세계 스포츠 사상 총액 기준 역대 최고액 계약이다. 종전 기록은 FC 바르셀로나와 4년(2017-18~2020-21) 6억 7,400만 달러에 계약한 리오넬 메시.[df] [가사]
迷わずに駆け抜けろ 伝説の幕が開ける
마요와즈니 카케누케로 덴세츠노 마쿠가아케루
망설이지 말고 달려나가라 전설의 막이 열린다
さあ、気持ち込めて 進め 狙い定め
사-, 키모치코메테 스스메 네라이사다메
자, 마음을 담아서 나아가라 정조준하라
跳べ! 大谷! 夢の向こう側へ
토베 오-타니 유메노무코-가와에
뛰어라 오타니 꿈의 저편으로.[10] MLB 진출 이후로는 이 응원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가 2023 WBC에서 부활했다.[11] 2024년 2월 29일 SNS 계정을 통해 결혼했다고 발표했고, 2024년 3월 15일 대한민국행 비행기 앞 사진 공개 및 한국 입국 과정에서 해당 인물이 아내인 것이 확인되었다.[12] 前 사회인 야구 선수, 포지션은 외야수.[13] 前 사회인 배드민턴 선수, 결혼 전 성은 쿠마자와熊沢(沢은 澤의 신자체)[14] 現 사회인 야구 선수 겸 코치, 포지션은 외야수다.[15] 前 고등학교 배구 선수 現 간호사. 2020년 1월, 11살 연상의 세계사 교사 사스가 히로유키(流石裕之)와 결혼하며 성이 바뀌었다. 매형은 오타니의 모교인 하나마키 히가시 고등학교 야구부 부장이기도 하다.[16] 성별은 수컷. 원래 이름은 디코이(Decoy)였고 데코핀이라는 이름은 디코이에 가까운 느낌으로 골랐다고 한다. 데코핀(デコピン)의 의미는 딱밤이다. 다만 미국인들이 일본어 발음을 어려워 해서 미국인들에게 소개할 때는 디코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관련 기사 관련 영상 오타니 입단 소감 및 질의 응답 전문[17] 전 세계 야구 선수 중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전체 1위.[18] 2022년 지명타자 룰(rule) 개정 이전에는 좌익수나 우익수를 서는 경우도 있었으나, 룰 개정 후에는 투타겸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면서 외야수 출장은 거의 없어졌다. MLB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TWP(Two-Way Player)로 따로 분류하고 있다.[19] 이는 미국 4대 프로 스포츠(MLB, NBA, NFL, NHL) 사상 최초이기도 하다.[만장일치] MLB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만장일치] MLB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복수수상] 2023년 All-MLB의 선발투수와 지명타자 부문에서 각각 별개로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으므로, 총 2회 수상으로 등재된다.[23] 8번타자 우익수 출장. 1959년 4월 10일 장훈 이후 54년만.[24] 1968년 나가부치 요조 이후 45년만.[25] 1982년 김성한 이후 아시아에서 32년만이자 일본 프로야구 최초.[26]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 커리어 두 번째 달성은 전 세계 최초.[27] 1995년 노모 히데오, 2000년 사사키 가즈히로, 2001년 스즈키 이치로에 이어 일본인 선수로는 17년만이자 역대 4번째 기록.[28] 2015년, 추신수 이후 아시아 선수 2번째이자 일본 선수 최초[기네스] 해당 부문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공식 등재되었다.[30] 종전기록: 2004년의 마쓰이 히데키의 31홈런. 이후 2024년 오타니 본인의 기록을 재경신하며 단일 시즌 54홈런 기록.[31] 타이기록: 배리 본즈[32] 종전기록: 1931년의 페럴[33] MLB 통틀어 2연속 월간 MVP는 2012년의 체이스 헤들리와 조시 해밀턴 두 사람뿐.[34] 100이닝-100K-100안타[35] 20세기 달성자는 전무하며 19세기에 달성된 기록이 가장 최근 기록이다. 달성자는 오타니 포함 총 7명.[기네스] [37] 130이닝-156K-138안타-100타점-103득점[38] 1918년, 베이브 루스의 13승-11홈런 이후 104년만.[39] 투수로 166이닝, 타자로 666타석 소화.[40] 1918년 한 차례 이후 베이브 루스조차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을 더 이상 달성하지 못하였다.[41] 디트로이트와의 원정 더블헤더에서 1차전에 선발 등판해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거둔 뒤, 2차전에 지명타자로 나와 시즌 37호·38호 홈런.[42] 2년 연속[43] 역대 최소경기(126경기)[44] 종전기록: 추신수의 218 홈런[45] 종전기록: 마쓰이 히데키의 116타점[46] 종전기록 숀 그린의 49개[47] 종전기록: 2001년 새미 소사, 루이스 곤잘레스, 배리 본즈, 알렉스 로드리게스. 기존기록이 라이브볼 시대 초창기인 1920~1950년도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흑역사인 약물의 시대를 제외하면 거의 1세기만에 약물의 영향없이 세워진 기록이다.[48] 종전기록: 스즈키 이치로의 56도루[49] 프레드 맥그리프(AL - 1989)(NL - 1992), 마크 맥과이어(AL - 1987, 1996)(NL - 1998, 1999)에 이어 MLB 역사상 세 번째 양대리그 홈런왕이자, 유일한 양대리그 연속 홈런왕이다.[50] 투수 + 지명타자 합산 WAR 기준. 다만 전성기가 찾아오는 기간이 선수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하는데 20대 초중반이나 30대 중후반이 전성기인 선수들도 존재한다.[51] 「Reasons Shohei Ohtani is already a Hall of Famer」# 「40 potential Hall of Famers we'll see play in 2024」#[52] 애초에 만장일치 MVP를 2회 이상 수상한 선수부터가 오타니 한 명 뿐이다. 본인이 본인 기록을 경신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만장일치 MVP 3회 수상은 미국 4대 프로스포츠(MLB, NBA, NFL, NHL)를 통틀어 최초의 기록이다.[53] 포스트시즌 탈락 팀에서 만장일치 MVP 수상자가 나온 것도 2021년 오타니가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였다.[54] 양대리그에서 모두 만장일치 MVP를 받은 사례도 오타니가 최초다.[도핑] 금지약물 복용자[도핑] [57] MVP 2회 수상자로 폭을 넓히더라도 명예의 전당 입성에 실패한 선수는 전성기가 너무나도 짧았던 로저 매리스와 금지약물 복용으로 얼룩진 후안 곤잘레스뿐이며, 17명의 선수가 입성하였고 1명의 선수가 기자단 투표 대기 중이다.[58] 가장 문제가 많이 제기되는 부분은 수비 기여도 산정 방식이 정확하지 않고 지나치게 과장되었다는 분석이 있다.[59] 지명타자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고 투수가 직접 타석에 들어서서 타격을 해야했던 2021 시즌까지의 내셔널 리그 투수들도 자신들이 투수로 등판하지 않은 날에도 타석에 들어섰던 적은 아예 없었다. 애초에 경기에서 투수로 소화하는 이닝이 전무하고 타석에만 들어서는데 해당 경기에서 자신의 포지션을 투수로 등록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60] 그래서 오타니 룰이 생기기 전까지 당시 소속팀이었던 에인절스는 오타니가 마운드에서 내려온 이후로도 계속 타격을 할 수 있도록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해야 했다. 투수 출장 이후에 외야수까지 소화하면 안 그래도 투타겸업으로 인해 과부하가 컸던 상황에서 체력 소모도 더 심해지고 부상 위험도 더 커지기 때문에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인 것이다.[61] 물론 이와 관련된 공란들은 오타니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했듯 유틸리티 플레이어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단지 오타니가 거의 불가능하게 여겨지는 종류의 유틸리티 플레이어였기 때문에 세이버 스탯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오게 된 것이다.[62] 다저스 뿐 아니라 협상에 임한 모든 구단에 동일한 수준의 지급 유예 계약을 먼저 제시했다고 전해진다. 다시 말해 다저스가 아닌 다른 팀으로 오타니가 이적했어도 파격적인 지급 유예 계약이 체결됐을 것이라는 뜻.[63] 그래서 계약 당시에는 사치세 1차 저지선까지 1,900만 달러의 여유분이 남았었다.#[64] 2010년 FA 자격을 얻은 후 클리블랜드에서 마이애미로 이적하면서 자신의 의도로 시장 가치보다 낮은 금액에 마이애미와 계약했는데, 당대 리그를 대표하는 스타였던 크리스 보쉬, 드웨인 웨이드와 함께 '슈퍼 팀'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당시 르브론은 돈보다 우승이라는 가치를 높게 뒀지만, 꼼수로 샐러리캡 제도를 무력화시켜 공정한 경쟁을 저해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65] 미국은 대부분의 주가 스포츠 도박이 합법이나 오타니의 소속팀 다저스의 연고지 캘리포니아는 2024년 현재까지 스포츠 도박이 불법이다.[66] 대한민국 원화로 60억, 일본 엔화로 6억 8000만에 해당된다.[67] 정확히는 1장이 남아있긴 하나 2023 WBC 대표팀 멤버들과 함께 찍힌 사진이라 남겨둔 것으로 추정된다.[68] 이 계좌는 연봉 지급 계좌로, 광고나 스폰서 등 기타 수입 계좌는 에이전트와 회계사가 따로 관리했다.[69] 한화 약 221억 6000만, 엔화 약 24억 5192만에 가까운 엄청난 수치다. 이는 웬만한 스타급 선수들의 FA 연봉급에 달하며, 실수령액 기준으로는 무려 애런 저지의 세후 연봉급이다.[70] 주전급이어도 전성기가 빨리 저물고 FA 대박도 하지 못한 선수들은 누적 연봉이 저 정도와 비슷하거나 저것보다 낮다.[71] 농담 아닌게 이미 7억불 계약만 해도 오타니 쇼헤이는 기록을 세운데다가 미국에서 명예의 전당에 매우 가까워진 선수로 취급받는 중이다. 그런 오타니가 큰 스캔들이 터지지 않는 이상 일본에서는 그의 일대기를 다큐멘터리로 만들것이 분명했고 그곳에 출연하면서 출연료라는 부가수입과 '대선수를 도운 통역가'라는 타이틀까지 쥘 수 있었을 터였다. 그러나 미즈하라가 본인의 잘못된 선택으로 망가트렸다.[72] LAA의 한 해 최우수 투수에게 수여하는 닉 아덴하트 상과 팀 MVP 트로피를 에인절스 역사상 최초로 동시 수상.[73] 전 스포츠 통합 선정.[74] 아시아 출신 메이저 리거 최초로 수상.[75] 전 스포츠 통합 선정, 메이저 리그 선수가 올해의 최우수 남자 선수로 선정된 것은 1999년 마크 맥과이어 이후 23년 만이다.[76] 일본 프로야구계에 크게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쇼리키 마쓰타로상 특별상을 사상 최초로 3회 수상했다.
迷わずに駆け抜けろ 伝説の幕が開ける
마요와즈니 카케누케로 덴세츠노 마쿠가아케루
망설이지 말고 달려나가라 전설의 막이 열린다
さあ、気持ち込めて 進め 狙い定め
사-, 키모치코메테 스스메 네라이사다메
자, 마음을 담아서 나아가라 정조준하라
跳べ! 大谷! 夢の向こう側へ
토베 오-타니 유메노무코-가와에
뛰어라 오타니 꿈의 저편으로.[10] MLB 진출 이후로는 이 응원가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가 2023 WBC에서 부활했다.[11] 2024년 2월 29일 SNS 계정을 통해 결혼했다고 발표했고, 2024년 3월 15일 대한민국행 비행기 앞 사진 공개 및 한국 입국 과정에서 해당 인물이 아내인 것이 확인되었다.[12] 前 사회인 야구 선수, 포지션은 외야수.[13] 前 사회인 배드민턴 선수, 결혼 전 성은 쿠마자와熊沢(沢은 澤의 신자체)[14] 現 사회인 야구 선수 겸 코치, 포지션은 외야수다.[15] 前 고등학교 배구 선수 現 간호사. 2020년 1월, 11살 연상의 세계사 교사 사스가 히로유키(流石裕之)와 결혼하며 성이 바뀌었다. 매형은 오타니의 모교인 하나마키 히가시 고등학교 야구부 부장이기도 하다.[16] 성별은 수컷. 원래 이름은 디코이(Decoy)였고 데코핀이라는 이름은 디코이에 가까운 느낌으로 골랐다고 한다. 데코핀(デコピン)의 의미는 딱밤이다. 다만 미국인들이 일본어 발음을 어려워 해서 미국인들에게 소개할 때는 디코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관련 기사 관련 영상 오타니 입단 소감 및 질의 응답 전문[17] 전 세계 야구 선수 중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 전체 1위.[18] 2022년 지명타자 룰(rule) 개정 이전에는 좌익수나 우익수를 서는 경우도 있었으나, 룰 개정 후에는 투타겸업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면서 외야수 출장은 거의 없어졌다. MLB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TWP(Two-Way Player)로 따로 분류하고 있다.[19] 이는 미국 4대 프로 스포츠(MLB, NBA, NFL, NHL) 사상 최초이기도 하다.[만장일치] MLB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만장일치] MLB 역사상 최초의 만장일치 MVP 3회 수상.[복수수상] 2023년 All-MLB의 선발투수와 지명타자 부문에서 각각 별개로 퍼스트 팀에 선정되었으므로, 총 2회 수상으로 등재된다.[23] 8번타자 우익수 출장. 1959년 4월 10일 장훈 이후 54년만.[24] 1968년 나가부치 요조 이후 45년만.[25] 1982년 김성한 이후 아시아에서 32년만이자 일본 프로야구 최초.[26]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 커리어 두 번째 달성은 전 세계 최초.[27] 1995년 노모 히데오, 2000년 사사키 가즈히로, 2001년 스즈키 이치로에 이어 일본인 선수로는 17년만이자 역대 4번째 기록.[28] 2015년, 추신수 이후 아시아 선수 2번째이자 일본 선수 최초[기네스] 해당 부문은 기네스 세계 기록에 공식 등재되었다.[30] 종전기록: 2004년의 마쓰이 히데키의 31홈런. 이후 2024년 오타니 본인의 기록을 재경신하며 단일 시즌 54홈런 기록.[31] 타이기록: 배리 본즈[32] 종전기록: 1931년의 페럴[33] MLB 통틀어 2연속 월간 MVP는 2012년의 체이스 헤들리와 조시 해밀턴 두 사람뿐.[34] 100이닝-100K-100안타[35] 20세기 달성자는 전무하며 19세기에 달성된 기록이 가장 최근 기록이다. 달성자는 오타니 포함 총 7명.[기네스] [37] 130이닝-156K-138안타-100타점-103득점[38] 1918년, 베이브 루스의 13승-11홈런 이후 104년만.[39] 투수로 166이닝, 타자로 666타석 소화.[40] 1918년 한 차례 이후 베이브 루스조차 두 자릿수 승리ㆍ홈런 기록을 더 이상 달성하지 못하였다.[41] 디트로이트와의 원정 더블헤더에서 1차전에 선발 등판해 9이닝 무실점 완봉승을 거둔 뒤, 2차전에 지명타자로 나와 시즌 37호·38호 홈런.[42] 2년 연속[43] 역대 최소경기(126경기)[44] 종전기록: 추신수의 218 홈런[45] 종전기록: 마쓰이 히데키의 116타점[46] 종전기록 숀 그린의 49개[47] 종전기록: 2001년 새미 소사, 루이스 곤잘레스, 배리 본즈, 알렉스 로드리게스. 기존기록이 라이브볼 시대 초창기인 1920~1950년도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흑역사인 약물의 시대를 제외하면 거의 1세기만에 약물의 영향없이 세워진 기록이다.[48] 종전기록: 스즈키 이치로의 56도루[49] 프레드 맥그리프(AL - 1989)(NL - 1992), 마크 맥과이어(AL - 1987, 1996)(NL - 1998, 1999)에 이어 MLB 역사상 세 번째 양대리그 홈런왕이자, 유일한 양대리그 연속 홈런왕이다.[50] 투수 + 지명타자 합산 WAR 기준. 다만 전성기가 찾아오는 기간이 선수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하는데 20대 초중반이나 30대 중후반이 전성기인 선수들도 존재한다.[51] 「Reasons Shohei Ohtani is already a Hall of Famer」# 「40 potential Hall of Famers we'll see play in 2024」#[52] 애초에 만장일치 MVP를 2회 이상 수상한 선수부터가 오타니 한 명 뿐이다. 본인이 본인 기록을 경신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만장일치 MVP 3회 수상은 미국 4대 프로스포츠(MLB, NBA, NFL, NHL)를 통틀어 최초의 기록이다.[53] 포스트시즌 탈락 팀에서 만장일치 MVP 수상자가 나온 것도 2021년 오타니가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였다.[54] 양대리그에서 모두 만장일치 MVP를 받은 사례도 오타니가 최초다.[도핑] 금지약물 복용자[도핑] [57] MVP 2회 수상자로 폭을 넓히더라도 명예의 전당 입성에 실패한 선수는 전성기가 너무나도 짧았던 로저 매리스와 금지약물 복용으로 얼룩진 후안 곤잘레스뿐이며, 17명의 선수가 입성하였고 1명의 선수가 기자단 투표 대기 중이다.[58] 가장 문제가 많이 제기되는 부분은 수비 기여도 산정 방식이 정확하지 않고 지나치게 과장되었다는 분석이 있다.[59] 지명타자 제도가 존재하지 않았고 투수가 직접 타석에 들어서서 타격을 해야했던 2021 시즌까지의 내셔널 리그 투수들도 자신들이 투수로 등판하지 않은 날에도 타석에 들어섰던 적은 아예 없었다. 애초에 경기에서 투수로 소화하는 이닝이 전무하고 타석에만 들어서는데 해당 경기에서 자신의 포지션을 투수로 등록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60] 그래서 오타니 룰이 생기기 전까지 당시 소속팀이었던 에인절스는 오타니가 마운드에서 내려온 이후로도 계속 타격을 할 수 있도록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해야 했다. 투수 출장 이후에 외야수까지 소화하면 안 그래도 투타겸업으로 인해 과부하가 컸던 상황에서 체력 소모도 더 심해지고 부상 위험도 더 커지기 때문에 이를 완화하기 위한 제도인 것이다.[61] 물론 이와 관련된 공란들은 오타니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했듯 유틸리티 플레이어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단지 오타니가 거의 불가능하게 여겨지는 종류의 유틸리티 플레이어였기 때문에 세이버 스탯에 대한 문제 제기가 나오게 된 것이다.[62] 다저스 뿐 아니라 협상에 임한 모든 구단에 동일한 수준의 지급 유예 계약을 먼저 제시했다고 전해진다. 다시 말해 다저스가 아닌 다른 팀으로 오타니가 이적했어도 파격적인 지급 유예 계약이 체결됐을 것이라는 뜻.[63] 그래서 계약 당시에는 사치세 1차 저지선까지 1,900만 달러의 여유분이 남았었다.#[64] 2010년 FA 자격을 얻은 후 클리블랜드에서 마이애미로 이적하면서 자신의 의도로 시장 가치보다 낮은 금액에 마이애미와 계약했는데, 당대 리그를 대표하는 스타였던 크리스 보쉬, 드웨인 웨이드와 함께 '슈퍼 팀'을 구성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당시 르브론은 돈보다 우승이라는 가치를 높게 뒀지만, 꼼수로 샐러리캡 제도를 무력화시켜 공정한 경쟁을 저해했다는 비판이 잇따랐다.[65] 미국은 대부분의 주가 스포츠 도박이 합법이나 오타니의 소속팀 다저스의 연고지 캘리포니아는 2024년 현재까지 스포츠 도박이 불법이다.[66] 대한민국 원화로 60억, 일본 엔화로 6억 8000만에 해당된다.[67] 정확히는 1장이 남아있긴 하나 2023 WBC 대표팀 멤버들과 함께 찍힌 사진이라 남겨둔 것으로 추정된다.[68] 이 계좌는 연봉 지급 계좌로, 광고나 스폰서 등 기타 수입 계좌는 에이전트와 회계사가 따로 관리했다.[69] 한화 약 221억 6000만, 엔화 약 24억 5192만에 가까운 엄청난 수치다. 이는 웬만한 스타급 선수들의 FA 연봉급에 달하며, 실수령액 기준으로는 무려 애런 저지의 세후 연봉급이다.[70] 주전급이어도 전성기가 빨리 저물고 FA 대박도 하지 못한 선수들은 누적 연봉이 저 정도와 비슷하거나 저것보다 낮다.[71] 농담 아닌게 이미 7억불 계약만 해도 오타니 쇼헤이는 기록을 세운데다가 미국에서 명예의 전당에 매우 가까워진 선수로 취급받는 중이다. 그런 오타니가 큰 스캔들이 터지지 않는 이상 일본에서는 그의 일대기를 다큐멘터리로 만들것이 분명했고 그곳에 출연하면서 출연료라는 부가수입과 '대선수를 도운 통역가'라는 타이틀까지 쥘 수 있었을 터였다. 그러나 미즈하라가 본인의 잘못된 선택으로 망가트렸다.[72] LAA의 한 해 최우수 투수에게 수여하는 닉 아덴하트 상과 팀 MVP 트로피를 에인절스 역사상 최초로 동시 수상.[73] 전 스포츠 통합 선정.[74] 아시아 출신 메이저 리거 최초로 수상.[75] 전 스포츠 통합 선정, 메이저 리그 선수가 올해의 최우수 남자 선수로 선정된 것은 1999년 마크 맥과이어 이후 23년 만이다.[76] 일본 프로야구계에 크게 공헌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쇼리키 마쓰타로상 특별상을 사상 최초로 3회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