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21:36:59

알렉스 로드리게스

파일:롸동자.jpg
<colbgcolor=#0c2340><colcolor=#fff>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구단주
알렉산더 이매뉴얼 "알렉스" 로드리게스
Alexander Emmanuel Alex Rodriguez
출생 1975년 7월 27일 ([age(1975-07-27)]세)
뉴욕 주 맨해튼 워싱턴 하이츠[1]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1cm / 104kg
포지션 유격수3루수[2]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3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번, SEA)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1994~2000)
텍사스 레인저스 (2001~2003)
뉴욕 양키스 (2004~2016)
프런트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2025~ / 구단주)
SN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가족 조카 조 두낭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생활4. 해설자 생활5. 수상 내역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약물 복용6.2. 또 다시 약물복용, 그리고 한 시즌 출장 정지
7.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8. 메이저리그 최고의 재산가9. 여담
9.1. 열애
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1. 개요

미국의 前 야구 선수 現 CEO, 방송인. NBA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구단주. 별명은 A-ROD.

선수 시절 시애틀 매리너스, 텍사스 레인저스, 뉴욕 양키스를 거쳤고, 포지션은 유격수, 3루수였다. 현재 A-ROD Corp[3] 의 CEO, UFC Gym의 CEO이자 미국의 방송인이다.

2. 선수 경력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알렉스 로드리게스/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MiLB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3. 지도자 생활

2017 시즌 전에 뉴욕 양키스 스프링 캠프 인스트럭터로 활동했다.

4. 해설자 생활

인스트럭터 생활을 하던 도중 포스트시즌 직전 FOX Sports의 객원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다. 대체로 그의 해설에 대해서는 호평이 따르고 있다. 실제로 오프시즌 중에는 스포츠 의학과 세이버 매트릭스, 통계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한다. 그러니 말 잘하고 해박한 지식을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평이다.[4] 이러한 평에 힘입어 2018년 시즌 전 ESPN에서 정식 해설위원으로 영입되었다.[5] 다만 ESPN에서는 선데이 나잇 베이스볼 한정이고 포스트시즌에서는 FOX 소속으로 해설에 나선다고 한다.[6] 2022년 시즌부터는 마이클 케이와 함께 ESPN2에서 진행하는 Sunaday Night Baseball with KayRod라는 프로그램의 해설자로 자리를 옮겼다.[7]

5. 수상 내역

수상 내역
파일:2009년 월드 시리즈 로고.svg 월드 시리즈 우승 (2009)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14회 (1996~1998, 2000~2008, 2010, 201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MVP 3회 (2003, 2005, 2007)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행크 애런 상 4회 (2001-2003, 2007)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골드 글러브 2회 (2002, 200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실버 슬러거 7회 (1996, 1998~2003)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3회 (2005, 2007, 2008)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타율 1위 (1996)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홈런 1위 5회 (2001~2003, 2005, 2007)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타점 1위 2회 (2002, 2007)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장타율 1위 4회 (2003, 2005, 2007, 2008)

6. 논란 및 사건 사고

6.1. 약물 복용

2007~2008년 호세 칸세코의 폭로와 미첼 리포트 등으로 약물 파동이 메이저리그를 뒤흔들 때 A-ROD도 약물 복용 의혹을 받았지만 그 당시에는 부인한데다가 A-ROD의 데뷔팀였던 시애틀에서 "스테로이드? " 하는 태도를 보여서 넘어가는 듯했지만...

2009년이 되자 연초부터 여러 사건들이 터졌다. 가장 먼저 터트린건 전 양키스 감독인 조 토레의 책이었는데 이 책에서 A-ROD가 거만하고 감독도 우습게 본다라고 언급해 논란을 일으켰다.[8] 토레 감독의 책 파문은 그럭저럭 넘어가는듯 했지만 그 뒤에 더 큰 파도가 기다리고 있었으니,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에서 A-ROD가 2003년 메이저리그에서 비밀리에 실시한 도핑 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104인 중 한 명이라는 것을 폭로하면서 메이저 리그에 핵폭탄을 떨궜다. 그래서 A-ROID라는 별명을 얻었다. 게다가 더욱 충격적인 것은 SI 기사에 따르면 아예 고등학생 때부터 약물을 빨았다고 한다.# '스포츠일러스트레이티드'의 셀레나 로버츠 기자는 로드리게스가 고교 때와 2003년 이후 뉴욕 양키스에서 뛸 때도 스테로이드를 투약했다고 오는 12일 발간할 'A-로드'라는 책에서 주장는데, 로드리게스의 고교 친구이자 약쟁이인[9] 호세 칸세코는 "로드리게스가 고등학교에 다닐 때부터 스테로이드를 사용했을 수 있다"며 "그는 한 해에 11.3㎏의 근육을 불렸다"고 책에서 주장했다.#
그렇지 않아도 2007년 말의 미첼 리포트로저 클레멘스, 배리 본즈 등의 올타임 최고라 불릴 만한 커리어의 선수들이 다 약쟁이였다는 사실이 드러나서 메이저리그의 마지막 희망으로 떠오른 A-ROD였지만 그마저도 약을 했다는 사실이 폭로되자 메이저리그는 경악을 금치 못했다. 결국 SI 기사가 터진 후 이틀만에 A-ROD는 ESPN과의 인터뷰에서 "(종전에 한 적은 없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 3년 동안 금지된 약물을 복용했다. 텍사스에 왔을 때 항상 최고의 성적을 기록해야 한다는 엄청난 중압감에 시달렸다. 모든 사람들에게 내가 최고의 선수라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 당시에는 약물복용 규제가 느슨한(loose) 시기였다(It was such a loosey-goosey era.). 수많은 선수들이 약물을 복용했고 지금은 금지된 약물들도 그때는 영양제 상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었다. 2004년부터는 금지약물을 복용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야구와 뉴욕 양키스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며 약물 복용 사실을 밝혔다.#

사실 실력적인 면을 제하고도 여러 면에서 메이저리그를 대표할 만한, 최고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선수였으나 이 시점부터 더러운 약쟁이 중 한 명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끝까지 발뺌하는 사람들이나 "내가 사람을 죽였냐 강간을 했냐"는 반응으로 오히려 역정을 내는 모 선수에 비하면야 종이 한 장 차이만큼은 나을지도. 어쨌든 이 스캔들 후로 메이저리그를 대표하는 아이콘의 지위는 알버트 푸홀스를 거쳐 마이크 트라웃에게 옮겨갔다.

솔직하게 고백하기는 했지만 분위기는 상당히 싸늘한 상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우울한 소식(depressing news)"이라며 "이번 일을 계기로 어린이들이 모든 것에 지름길은 없으며, 지름길로 가려다 자신의 경력을 망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바란다"고 밝혔다. 로드리게스를 영입했던 텍사스 레인저스의 톰 힉스 구단주 역시 "배신을 당했다는 느낌이 든다"며 "그가 3년 동안만 약물을 복용했다는 것도 믿을 수 없다"고 강도 높은 비난을 쏟아냈다. 한 익명의 양키스 관계자가 롸드에 대해 '그의 유산은 끝났다. 그는 이제 급료를받고 경기를 뛰는 노동자일 뿐이다'라고 강력하게 비난하기도 했고[10] 양키스 팬들 중에는 그를 내쳐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는데 2억 7500만 달러를 퍼부은 양키스로선 그를 그리 쉽게 내치는 건 불가능했기 때문에 양키스에서는 감싸는 분위기도 감지되기도 했다. 그리고, 물론 당시 롸드를 까지 않는 타팀 팬들이 어디 있었겠냐마는 보스턴 레드삭스 팬들이 특히 그 성향이 강하여 롸드를 규탄하는 세력의 중심을 이뤘는데, 까가 빠를 만든다는 원리에 따라 양키스 팬들이 롸드를 일부러 실드쳐주는 경우도 있었다. 게다가 마침 레드삭스 우승의 주역인 매니 라미레즈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서 도핑 테스트에서 적발되고 약쟁이에 대한 1년 출장정지를 운운하던 데이비드 오티즈까지 롸드와 같은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던 인물임이 드러나자 롸드 때문에 자기 팀에서 걸린 것도 아니면서 졸지에 전방위로 까이던 양키스의 팬들이 약으로 우승을 두 번이나 해쳐먹은 레드삭스 네이션을 응징한답시고 시비를 걸면서 두 팬덤 사이에서의 논쟁이 아스트랄해지기도 했다.

마돈나그는 근육질 몸매 속에 순수한 영혼을 지녔다라는데, 예민한 성격인건 분명한 듯하다. 예민한 그가 과연 약쟁이라고 놀려대는 다른 팀 팬들의 압박을 견디며 좋은 성적을 낼는지 의문이 들었지만, 뭐 어쨌든 약물 스캔들 이후에도 2010년까지는 팀이 그에게 원하는 퍼포먼스는 잘 보여줬다. 문제는 이후 찾아온 부상으로 예전 같은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욕을 먹게 된 것.

위의 모든 통산 성적과 찬사는 약쟁이라는 이름 하에 대부분의 야구팬들에게 부정되었으며 지금은 그저 심심할 때마다 약쟁이, 사기꾼이라고 까이는 상황. '약물을 하지 않았으면'이라는 가정 따위는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도 첫 번째 약물 적발 사실이 알려진 직후의 여론은 생각보다는, 어디까지나 생각보다는 호의적인 편이었다.[11] 하지만.....

6.2. 또 다시 약물복용, 그리고 한 시즌 출장 정지

파일:attachment/34acfc84-50e4-4f13-aeda-924bbad013d0_biogen-social-image.jpg

2013년 1월, MLB에 바이오제너시스 스캔들이 불거진 가운데 또 다시 약물 논란에 휩싸였다. 마이애미 바이오제너시스 클리닉의 원장인 앤서니 보시(Anthony Bosch)가 PED와 HGH 등의 공급책이란 혐의를 받고 있어 FBI의 수사망에 올랐는데, 롸드 등 20명의 선수가 연루되었다고 한다. 이 소식을 들은 양키스 팬들은 씁쓸해하기도 했다.

6월에는 바이오제너시스 클리닉의 원장인 앤서니 보시가 결국 사무국의 수사에 협조하고 선서 진술서를 제출하기로 함에 따라 사무국은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라이언 브론, 넬슨 크루즈, 헤수스 몬테로를 포함한 20여명의 선수들에게 출장정지 징계를 할 방법을 모색 중이라는 기사가 나왔다.기사 A-Rod의 경우는 2003년 비공개 도핑 테스트에서의 적발이 밝혀진 것을 첫번째 걸렸던 것으로 간주하여 사무국에서 100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내릴 것이라고 기사가 나왔고, 이를 정식 도핑 테스트로 인정할 것이냐에 대해 선수노조와의 의견 일치가 필요할 듯 보였다.

이로써 종전의 "양키스 이적 후 사용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거짓으로 확인되었고, 그를 회복 불가능의 영역으로 밀어넣었다. 사람들은 2009년 SI의 취재 기자가 했던 말 <그가 약물에 손을 댄 것은 고등학교 때부터다>라는 주장을 믿기 시작했다.#

7월 22일 바이오제너시스 스캔들에 연루된 라이언 브론이 65경기 출장정지 징계를 받으면서 A-Rod를 비롯한 다른 선수들의 징계에 대한 이야기도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특히 A-Rod의 경우 150경기 출장정지나 영구제명[12][13]까지 거론되기도 했으나 결국 로드리게스가 협상을 거부하려는 태도를 보였고, 8월 5일 MLB에서 A-ROD에게 211경기 출장정지라는 초강수를 두게 되었다. 말이 211경기이지, 사실상 2014년까지 출장정지라는 뜻.[14]

파일:external/pbs.twimg.com/BQ51lmHCAAEJpJP.jpg
징계가 발표된 8월 5일자 뉴욕 포스트지의 표지. "그냥 나가라ー팬들이 로드리게스에 등돌리다:징계를 받아들이고 떠나라"고 쓰여 있다.

더구나 이후에 롸드 측에서 바이오제너시스 스캔들의 연루 선수 중 일부를 언론에 흘렸다는 것이 밝혀지며 팬들은 추해질 대로 추해진 롸드의 이미지가 그 이상으로 추해질 수 있었다는 것에 경악을 금치 못했다. 그렇게 롸드 측에서 언론에 까발린 두 인물이 라이언 브론프란시스코 서벨리로, 브론이야 이 스캔들의 핵심 중 하나니까 롸드가 아니었어도 언젠가 드러났을거라 해도 서벨리는 롸드의 팀 동료라는 점에서 평소 팀메이트들의 우정과 단합 같은 요소를 강조하고 살았던 롸드가 스스로 팀 동료를 음해했다는 것에 양키스 팬들까지 충격에 빠졌다.

거기다가 시즌 종료 후 펼쳐졌던 청문회에서 롸드가 메이저리그 COO에게 대놓고 욕설을 퍼붓고 회장을 나가버렸다. 사유는 'MLB 측이 자신의 선수 생활을 끝내려고 한다. 너무 불공정한 청문회이고 역겹다.'라고 불만을 터뜨린 것. 그게 불공정한 청문회였건 아니건[15] 어쨌든 롸드가 약을 한 것 때문에 펼쳐진 청문회였기에 가만히 있어도 까일 판에 자기에게 불리한 것이라 느끼고 욕을 하고 회장을 나갔기 때문에 롸드의 이미지는 더욱 더 나락으로 떨어져가고 있다. 사실상 팬들의 의견은 "롸드야 아가리 각도 좁혀라 or 더 추해지기 전에 은퇴해야"로 정리할 수 있지만 배리 본즈의 반강제적 은퇴 같은 사례를 되풀이하는 것이 꼭 능사는 아니기에...[16]

2014년 1월, 결국 2014년 정규시즌 전경기 출장금지란 최종 징계가 확정되었다. 그리고 ‘공급책’ 앤서니 보시는 2014년 1월 미국 CBS 뉴스프로그램 <60분>에 출연해 충격적인 폭로를 이어갔다. 보시는 “ ‘주사 공포증’이 있는 로드리게스를 위해 내가 직접 주사해줬으며 그 대가로 매달 로드리게스로부터 1만 2,000달러(약 1,200만원)를 받았다”고 실토했다. 또한 로드리게스는 12번이나 도핑 테스트를 무사 통과했다는 고백을 했다. 로드리게스가 테스토스테론이 함유된 사탕 모양의 ‘거미’라는 제품을 라커룸에서 아무렇지 않게 씹었다는 사실, 2012년 4월에는 경기 뒤 보시에게 “효과가 정말 좋다. 폭발적이다”라는 문자메시지를 보낸 일, 보시가 “(앞으로) 같은 처방으로”라고 답장을 보낸 것도 모두 드러났다. 보시의 폭로에 따르면 매니 라미레스가 2008년 보스턴에서 LA 다저스로 이적한 뒤 타격이 폭발하자 로드리게스는 “어떤 약을 줬느냐”고 물어보기까지 했다. 보시는 A로드와 사이가 틀어진 계기도 스스럼없이 밝혔다. 보시의 주장에 따르면 A로드가 자신의 암살을 계획했던 것. A로드는 보시에게 돈을 줄테니 콜롬비아로 떠날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보시는 정황상 위협을 감지했고, 보시의 전 여자친구도 보시가 살해될 수 있다는 내용의 문자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보시는 사무국에 협조하는 대신 신변 보호를 요청하게 된 것이다.##

혼자 죽기는 싫었는지 보스턴에도 약물복용한 선수가 있다고 폭로해버렸다.라는 기사가 났었는데, 사실은 "보스턴 레드삭스모모 선수도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같이 2003년에 밝혀진 약물 양성 반응자 104 명 중 하나였는데도 지금은 영웅 대접을 받고 있다"라는 취지로 얘기한 것을 기자가 잘못 해석한 것으로 밝혀졌다.

1월 23일 레지스터 시티즌은 코티네컷주의 토링턴 타이탄스라는 대학팀이 A-로드에게 코치직을 권유했다고 전했다. 그런데 그 코치직 계약 조건이 여름 한 시즌 '연봉 5천 달러이며, 도넛 스테이션에서 여름 내내 도넛과 커피를 무료로 제공해주겠다.' 고 밝혔다. 진지한 제의일 가능성은 낮지만 그의 위치가 어디까지 추락했는지 보여주는 단면이다.

결국 MLB 사무국 및 선수노조에 대한 소송을 철회하고 징계를 받아들이기로 하였다.

2014년 3월 143명의 현역 선수를 대상으로 한 익명 설문 조사에서 51%의 선수들이 알렉스 로드리게스를 노조에서 쫓아내야 한다고 답했다.#
파일:2014년설문조사.jpg

2014년 7월에는 그가 2007년에 치료목적 사용 예외 허가를 받아 제재를 받지 않으면서 TRT를 진행했음이 알려졌다. ###

7.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연도 득표율(%)
2022 34.3
2023 35.7
2024 34.8
2025 37.1

데뷔 당시부터 데릭 지터, 노마 가르시아파라와 함께 묶이며 아메리칸 리그 3대 유격수로 불렸지만, 성적 면에서 나머지 둘을 압살하는 수준이었고 오히려 배리 본즈, 알버트 푸홀스 등 올타임급 타자들과 비견될 정도로 타격 능력이 뛰어났다.[17] 즉, 1990년대~2000년대에는 대적할 자가 없는 리그 최고의 내야수로 평가받았었으며 성적상으로는 데드볼 시대 선수인 호너스 와그너를 제외하면 야구 역사상 최고의 유격수로 꼽아도 무방할 수준의 성적을 냈다. 즉 약물 적발 이전의 에이로드는 현대야구 최고의 내야수로 불려도 모자람이 없던 선수였었다. 게다가 스타성도 엄청나서 앞서 언급한 지터 등을 빼고 나면 인기 면에서도 리그 최상급 인기를 뽐냈었다.

파일:2011이후가장좋아하는야구선수.png

따라서 스탯상으로는 명예의 전당 첫 턴 입성은 우스울 정도로 당연시되고 만장일치 득표율까지 가능한 수준이었지만[18] 도핑에 적발된 이후로는 먹튀화됨과 동시에 양키스 팬들에게 욕받이가 되어버렸고, 배리 본즈, 로저 클레멘스와 함께 스테로이드 시대의 상징격 존재로 전락해버렸다.[19] 게다가 이 둘과는 다르게 사무국에서 출장정지 징계까지 받은 케이스라 매니 라미레즈와 비슷하거나 약간 나은 투표율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이후로 상황이 극적으로 뒤집히게 되는데, 바로 은퇴 후 롸드의 방송 활동. FOX의 해설자를 시작하고 나서부터 본인의 스타성을 백분 살리며, 재치있는 입담으로 투나잇쇼에 출연하고 아카데미상과 에미상에도 초대를 받았을 정도의 인기 방송인이 된 것이다. 오히려 비호감 이미지가 강했었던 현역 시절보다도 국민적인 사랑을 받게 되었다. 인스타 팔로워가 390만으로 어지간한 현역 톱스타들보다 많을 정도로 인기가 많다. 인기만으로 따지면 현역 시절보다 오히려 지금이 인생의 전성기라고 봐도 무방하다. 물론 야구 명예의 전당이랑 그게 무슨 상관이냐고 생각할 지 몰라도 결국 명전도 상업단체이기에, 여론의 영향을 분명히 받는다.[20]

여튼 이전에는 도핑 적발에 거짓말까지 일삼아 사람들에게 미움받던, 압도적인 실력말고는 아무것도 내세울 것이 없던 본즈와 클레멘스와 자주 비교되었는데, 방송인으로서 활약하며 이미지가 굉장히 좋아졌고, 많은 기부와 선행으로 팬들에게 사랑받는 선수로서 여론이 호의적인 데이비드 오티즈와 비슷한 케이스가 되며 오티즈와 운명을 함께할 것으로 보인다. 오티즈를 뽑으면서 오티즈를 압도하는 성적을 가진 로드리게스를 뽑지 않는 건 형평성에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약물이라는 악재로 인해 헌액이 되지 못한다는 가정 하에, 메이저리그에서 세 번째로, 3,000안타를 달성한 우타자로는 최초로 명예의 전당에 투표로 입성하지 못하는 선수가 된다.[21] 또한 배리 본즈, 새미 소사에 이어 세 번째로 600홈런 이상을 치고 명예의 전당 투표에서 탈락하게 된다.

2021년 말에 언론을 통해 선공개된 득표율이 40%대에 머물고 있다. 그런데 똑같은 도핑 적발 전력이 있는 로드리게스보다는 명백히 떨어지는 수준의 선수였던 오티즈는 첫 턴 입성이 확실시된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이 모순적인 상황 탓에 명예의 전당의 가치에 대해 설왕설래가 오갔으며 결론적으로 득표율은 34.3%로 첫 턴 입성에 성공한 오티즈의 절반도 안 되었다.

결국 10회차에도 물을 먹게된 본즈/클레멘스와 비교해 보면 본즈/클레멘스를 찍었는데도 롸드한테는 표를 주지 않은 기자들도 많은 모양. 그도 그럴 것이 어쨌든 본즈나[22] 클레멘스, 오티즈는 약물이 직접적으로 적발되지 않았고[23] 후일 미첼 리포트 같은 제3자의 증언과 재판 과정에서 복용이 밝혀져 징계를 받지 않고 넘어갔지만, 로드리게스는 바이오제너시스 스캔들로 인해 실제로 출장정지 징계를 받았다. 어찌 됐건 약물로 실제 징계를 받았는가, 아닌가는 상당히 큰 차이다. 이를 증명하듯 2회차인 2023년에도 35.7%, 3회차인 2024년에도 34.8%, 2025년 역시 37.1%로 제자리걸음이었다. 즉 지지층과 비지지층이 너무나도 극명하게 갈리는 중이기에 앞으로 큰 이미지 반전이 더 일어나 비지지층들의 마음을 돌려야 득표율 상승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년 투표율이 오르고 있기는 한데 그 수준이 반 걸음에서 한 걸음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A로드는 과거엔 이미지가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은퇴 후 방송인으로써 풍부한 입담과 해박한 야구 지식으로 인해 인기가 매우 상승하여 약쟁이들 중에서는 데이비드 오티즈와 비슷하거나 그 다음가는 수준의 이미지를 얻었으나, 약물에 두 번이나 적발된데다[24] 선수 시절부터 존재했던 안티들로 인해 입성이 마냥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8. 메이저리그 최고의 재산가

파일:알렉스 로드리게스 재산.jpg
의심의 여지 없이 미국 현지 매체에서 입을 모아 얘기하는 MLB 역대 최고의 거부다. 팬그래프에서 계산한 2000년 10y $252M 계약만 보더라도 2021년 가치로 약 6억 달러의 돈이니, 그의 4억 달러 이상의 통산 연봉은 8억 달러 이상의 가치가 있다.

또한 그는 텍사스 이적 후 20대의 나이에 부동산 사업을 시작했고 지금도 그 사업을 지속하며 크기를 불렸다.A-Rod Corporate

이후 메르세데스-벤츠와의 스폰서십과 이외의 투자 컨소시움으로 호텔 등에 투자했고 21년에는 Marc lore라는 억만장자와 공동투자로 NBA의 미네소타 팀버울브스를 사들이며 구단주가 되었다.[25] 그의 현금 자산은 400M 정도로 알려져 있다.

9. 여담

9.1. 열애

파일:external/www.wwe.com/WM28_Celeb_014.jpg
레슬매니아 28 관객석에서의 A로드와 토리 윌슨
파일:attachment/alex_muscle_02.jpg
前 아내 신시아 스커티스
그의 확고한 취향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이혼한 전 부인이나 카메론 디아즈나 토리 윌슨이나 마돈나나 그 외 데이트하는 여자들이나 모두 약간의 근육질 몸매를 갖춘 금발의 여인들이다. 애초에 전 부인에게 접근한 것도 부인이 운동하는 피트니스 클럽에서였다고 하니 근육미녀를 참 좋아한다. 나이는 본인과 비슷한 나이대나 연상녀를 선호하는지 데이트 하는 여자들의 평균 연령이 점점 높아지는 편이다. 제니퍼 로페즈는 금발은 아니지만, 알렉스 로드리게스와 만난 이후 금발로 염색했고 연상(6세 연상)의 탄탄한 몸매를 갖춘 여인이라는 점에서, 그의 취향이 정말 확고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돈나는 17살 연상, 제니퍼 로페즈는 6살 연상, 베서니 프랭켈은 5살 연상, 카메론 디아즈는 3살 연상, 앤 보이치츠키는 2살 연상녀다. 토리 윌슨은 동갑, 케이트 허드슨은 4살 연하녀였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드래프트 전체 1순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65 1966 1967 1968 1969
파일:캔자스시티 애슬레틱스 엠블럼.png
릭 먼데이
(OF)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스티븐 칠콧
(C)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1947~1967).png
론 블롬버그
(1B)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팀 폴리
(SS)
파일:워싱턴 세네터스 엠블럼(1961~1971).png
제프 버로우스
(OF)
1970 1971 1972 1973 1974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마이크 아이비
(C)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1960~1975).png
대니 굿윈
(C)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데이브 로버츠
(3B)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1972~1981).png
데이비드 클라이드
(LHP)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69~1984).png
빌 알몬
(SS)
1975 1976 1977 1978 1979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73~1985).png
대니 굿윈
(C)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1965~1976).png
플로이드 배니스터
(LHP)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1976~1981).svg
해롤드 베인스
(1B)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엠블럼(1972~1984).png
밥 호너
(3B)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77~1980).png
알 챔버스
(OF)
1980 1981 1982 1983 1984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대럴 스트로베리
(OF)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81~1986).svg
마이크 무어
(RHP)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숀 던스턴
(SS)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76~1986).png
팀 벨처
(RHP)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숀 아브너
(OF)
1985 1986 1987 1988 1989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1978~1993).svg
B.J. 서호프
(SS)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67~1986).png
제프 킹
(SS)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1987~1992).svg
켄 그리피 주니어
(OF)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1986~1989).png
앤디 베네스
(RHP)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1989~1991).png
벤 맥도널드
(RHP)
1990 1991 1992 1993 1994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엠블럼.svg
치퍼 존스
(SS)
파일:뉴욕 양키스 엠블럼.svg
브라이언 테일러
(L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1977~1993).svg
필 네빈
(3B)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알렉스 로드리게스
(SS)
파일:뉴욕 메츠 엠블럼.svg
폴 윌슨
(RHP)
1995 1996 1997 1998 1999
파일:캘리포니아 에인절스 엠블럼(1995~1996).png
대린 어스태드
(OF)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87~1996).svg
크리스 벤슨
(RHP)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1994~2005).svg
맷 앤더슨
(RHP)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팻 버렐
(3B)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1998~2000).png
조시 해밀턴
(OF)
2000 2001 2002 2003 2004
파일:플로리다 말린스 엠블럼.svg
아드리안 곤잘레스
(1B)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1987~2009).svg
조 마우어
(C)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97~2013).svg
브라이언 벌링턴
(RHP)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2001~2007).svg
델몬 영
(OF)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2004~2010).svg
맷 부시
(SS)
2005 2006 2007 2008 2009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1998~2006).svg
저스틴 업튼
(SS)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엠블럼(2002~2018).svg
루크 호체이버
(RHP)
파일:탬파베이 데블 레이스 엠블럼(2001~2007).svg
데이비드 프라이스
(LHP)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엠블럼(2008~2018).svg
팀 베컴
(SS)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2005~2010).svg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HP)
2010 2011 2012 2013 2014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2005~2010).svg
브라이스 하퍼
(OF)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1997~2013).svg
게릿 콜
(R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2000~2012).svg
카를로스 코레아
(SS)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마크 어펠
(RHP)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엠블럼.svg
브래디 에이켄
(LHP)
2015 2016 2017 2018 2019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2012~2023).svg
댄스비 스완슨
(SS)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엠블럼(1992~2018).svg
미키 모니악
(OF)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2010~2022).svg
로이스 루이스
(SS)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케이시 마이즈
(RHP)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애들리 러치맨
(C)
2020 2021 2022 2023 2024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스펜서 토켈슨
(3B)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헨리 데이비스
(C)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잭슨 홀리데이
(SS)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폴 스킨스
(P)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
트래비스 바자나
(2B)
2025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엠블럼.svg
일라이 윌리츠
(SS)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c2c56>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c425> 1977년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rowcolor=#303030,#fff> 데이브 헨더슨
외야수 / 전체 26번
티토 난니
외야수 / 전체 6번
알 챔버스
외야수 / 전체 1번
다넬 콜스
유격수 / 전체 6번
마이크 무어
투수 / 전체 1번
<rowcolor=#ffc425>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rowcolor=#303030,#fff> 스파이크 오웬
유격수 / 전체 6번
대럴 애커펠즈
투수 / 전체 7번
테리 벨
포수 / 전체 17번[1]
빌 스위프트
투수 / 전체 2번
마이크 캠벨
투수 / 전체 7번
<rowcolor=#ffc425>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rowcolor=#303030,#fff> 빌 맥과이어
포수 / 전체 27번[2]
팻 레논
유격수 / 전체 8번
켄 그리피 주니어
외야수 / 전체 1번
티노 마르티네스
1루수 / 전체 14번
로저 살켈드
투수 / 전체 3번
<rowcolor=#ffc425>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rowcolor=#303030,#fff> 스캇 버렐[미계약]
투수 / 전체 26번[4]
마크 뉴필드
1루수 / 전체 6번
토니 마나한
유격수 / 전체 38번[5]
숀 에스테스
투수 / 전체 11번
론 빌론
투수 / 전체 14번
<rowcolor=#c4ced4>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rowcolor=#303030,#fff> 알렉스 로드리게스
유격수 / 전체 1번
제이슨 배리텍
포수 / 전체 14번
호세 크루즈 주니어
외야수 / 전체 3번
길 메시
투수 / 전체 22번
라이언 앤더슨
투수 / 전체 19번
<rowcolor=#c4ced4>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rowcolor=#303030,#fff> 맷 손튼
투수 / 전체 22번
라이언 크리스천슨
포수 / 전체 11번
제프 히벨로
투수 / 전체 33번[6]
[7]
마이클 가르시아파라
유격수 / 전체 36번[8]
<rowcolor=#c4ced4>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rowcolor=#303030,#fff> [9]
존 메이베리 주니어[미계약]
외야수 / 전체 28번
애덤 존스
유격수 / 전체 37번[11]
[12]
[13]
<rowcolor=#c4ced4>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rowcolor=#303030,#fff> 제프 클레멘트
포수 / 전체 3번
브랜든 모로우
투수 / 전체 5번
필립 오몽
투수 / 전체 11번
맷 맨지니
3루수 / 전체 52번[14]
조시 필즈
투수 / 전체 20번
<rowcolor=#c4ced4> 2009년 2010년
<rowcolor=#303030,#fff> 더스틴 애클리
중견수 / 전체 2번
닉 프랭클린
유격수 / 전체 27번[15]
스티븐 바론
포수 / 전체 33번[13]
타이후안 워커
투수 / 전체 43번[17]
[18]
<rowcolor=#c4ced4>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rowcolor=#303030,#fff> 대니 헐츤
투수 / 전체 2번
마이크 주니노
포수 / 전체 3번
D.J. 피터슨
3루수 / 전체 12번
알렉스 잭슨
외야수 / 전체 6번
[19]
<rowcolor=#c4ced4>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rowcolor=#303030,#fff> 카일 루이스
외야수 / 전체 11번
에반 화이트
1루수 / 전체 17번
로건 길버트
투수 / 전체 14번
조지 커비
투수 / 전체 20번
에머슨 핸콕
투수 / 전체 6번
<rowcolor=#c4ced4> 2021년 2022년 2023년
<rowcolor=#303030,#fff> 해리 포드
포수 / 전체 12번
콜 영
유격수 / 전체 21번
콜트 에머슨
유격수 / 전체 22번
조니 파멜로
외야수 / 전체 29번[20]
타이 피트
유격수 / 전체 30번[CBA]
<rowcolor=#c4ced4>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rowcolor=#303030,#fff> 주란젤로 세인자
투수 / 전체 15번
케이드 앤더슨
투수 / 전체 3번
루크 스티븐슨
포수 / 전체 35번[CBA]

[1] FA 플로이드 배니스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스티브 헨더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미계약] [4] FA 마이크 무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스캇 버렐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6] FA 마이크 팀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FA 존 올러루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8] FA 알렉스 로드리게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제프 넬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미계약] [11] 존 메이베리 주니어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그렉 콜브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13] FA 에디 과다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14] FA 길 메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라울 이바녜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17] FA 아드리안 벨트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FA 숀 피긴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19] FA 넬슨 크루즈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20] 훌리오 로드리게스 신인왕 수상으로 인한 추가 지명권[CBA] 수익이나 마켓이 작은 구단에 주어지는 CBA 추가 지명권[CBA]
}}}}}}}}}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NYY_2009_WSChampion.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09

파일:1996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1997 MLB 올스타전 로고.png파일:1998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0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1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2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3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4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5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6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7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08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0 MLB 올스타전 로고.svg파일:201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1996 1997 1998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10 201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3년 아메리칸 리그 MVP
미겔 테하다
(오클랜드 어슬레틱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텍사스 레인저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애너하임 에인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5년 아메리칸 리그 MVP
블라디미르 게레로
(애너하임 에인절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저스틴 모노
(미네소타 트윈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7년 아메리칸 리그 MVP
저스틴 모노
(미네소타 트윈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더스틴 페드로이아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96년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실버 슬러거
존 발렌틴
(보스턴 레드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노마 가르시아파라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98년 ~ 2003년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실버 슬러거
노마 가르시아파라
(보스턴 레드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 텍사스 레인저스)
데릭 지터
(뉴욕 양키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4년 ~ 2005년 아메리칸 리그 부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멜빈 모라
(볼티모어 오리올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조 크리디
(시카고 화이트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7년 ~ 2008년 아메리칸 리그 3루수 부문 실버 슬러거
조 크리디
(시카고 화이트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에반 롱고리아
(탬파베이 레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2년 ~ 2003년 아메리칸 리그 유격수 부문 골드 글러브
오마 비즈켈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텍사스 레인저스)
데릭 지터
(뉴욕 양키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1996년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에드가 마르티네즈
(시애틀 매리너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시애틀 매리너스)
프랭크 토머스
(시카고 화이트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1년 ~ 2003년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트로이 글로스
(애너하임 에인절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텍사스 레인저스)
매니 라미레즈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5년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매니 라미레즈
(보스턴 레드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데이비드 오티즈
(보스턴 레드삭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7년 아메리칸 리그 홈런왕
데이비드 오티즈
(보스턴 레드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미겔 카브레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2년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브렛 분
(시애틀 매리너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텍사스 레인저스)
카를로스 델가도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07년 아메리칸 리그 타점왕
데이비드 오티즈
(보스턴 레드삭스)
알렉스 로드리게스
(뉴욕 양키스)
조시 해밀턴
(텍사스 레인저스)
}}} ||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보유 기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MLB 보유 기록
통산 최다 30+홈런 시즌 15시즌
통산 최다 만루홈런 25개
2000년대 최다 홈런 435홈런[30][31]
2000년대 최다 득점 1,190득점[32]
2000년대 최다 타점 1,243타점[33]

파일:MLB 로고.svg 역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최고액 계약자
켄 그리피 주니어
(2000년 9/116,500,000$)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1년 10/252,000,000$)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8년 10/275,000,000$)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1년 10/252,000,000$)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8년 10/275,000,000$)
지안카를로 스탠튼
(2015년 13/325,000,000$)
}}} ||
알렉스 로드리게스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번
랜스 패리시
(1992)
알렉스 로드리게스
(1994~2000)
밥 멜빈
(2003~2004)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번
채드 커티스
(2000)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1~2003)
제리 헤어스턴 주니어
(2006)
뉴욕 양키스 등번호 13번
안토니오 오수나
(2003)
알렉스 로드리게스
(2004~2016)
조이 갈로
(2021~2022)
}}} ||
[1] 태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건너간 뒤 마이애미로 다시 건너와 마이애미에서 프로 생활 직전까지 어린 시절을 보냈다.[2] 통산 유격수 출장 1272경기/3루수 출장 1194경기. 2004년, 뉴욕 양키스로 이적하면서 은퇴할 때까지 3루수가 되었다.[3] 부동산과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회사이다.[4] 실제로 놀란 아레나도는 로드리게스로부터 타격 준비 시 머리를 흔드는 습관이 있는 것 같다고 들었는데, 인터뷰 후 이를 보완하는데 주력했다고 한다. 끊임없는 연습 덕에 한층 더 정확한 타격이 가능해졌다고 한다.[5] 그는 시즌 후 양키스 감독이 된 애런 분의 자리를 메우기 위해 영입되었는데, 우연치 않게도 현역 시절에도 분이 부상으로 자리를 비우면서 그의 자리를 메우기 위해 영입되었던 과거가 있다.[6] ESPN은 홀수해에는 ALWC, 짝수해에는 NLWC 중계를 제외하고는 포스트시즌 중계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7] 후임으로는 데이비드 콘에두아르도 페레즈가 들어왔다.[8] 자세한 이야기는 여기.[9] 일단 칸세코와 A-로드는 11살 차이가 나는 데다가 드래프트된 고등학교도 다르다. 허나 무시할 내용은 아닌게 둘 다 마이애미 출신이다보니 칸세코가 A-로드의 고등학교 동창으로부터 받은 소스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꽤 높다.[10] 이 인터뷰로 로동자, 롸동자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11] 금지가 아니던 시기에만 먹었다고 냅다 바로 자백을 했으니, 미국은 앤디 페티트의 사례도 보아 알 수 있듯, 약물 복용 같은 건에 대해 정직하게 참작할만한 사유를 대며 밝히면 의외로 한 번은 쉽게 봐준다.[12] 이렇게 강한 처벌이 거론된 이유는 상술한 약물복용 혐의 이외에 약물복용을 알선한 브로커 역할을 한 혐의와 바이오제네시스의 고객 리스트를 구매하기 위해 접촉하는 등 사무국의 조사를 방해한 혐의까지 걸려 있기 때문. 라이언 브론의 예처럼 항소 포기를 전제로 한 징계 감경 협상(사전형량조절제도라 생각하면 된다)을 벌였으나, 100경기vs2014년까지 출장정지로 양측 안의 차이가 너무 커 결렬된 것으로 보인다.[13] 한편으로 이 영구 출장정지가 현실화했을 경우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첫 10년 계약에서 2010년대 중반에 받는 조건으로 미뤄놨던 텍사스 시절의 연봉 미지급분을 받는게 정당한지에 대한 논의가 벌어지며 롸드의 연봉보조 문제로 한동안 치를 떨었던 텍사스 팬들이 잠깐 설렘에 빠지기도 했다.[14] 엄밀히 말하면 징계가 내려진 시점에서 2013년 정규시즌이 59경기 남은 양키스의 사정상 2014년에 3경기 남긴 시점에서 복귀가 가능하긴 했다. 그리고 2013년 양키스가 포스트시즌에 출전하면 그 복귀가 가능한 시점은 최대 20경기 정도 앞당겨질 수도 있었다. 그런데 1년 넘는 기간을 통으로 날려먹고 복귀한다는게 현실적으로 가능할까?[15] 실제로 팬들 사이에서도 롸드 한명 끝장내겠다고 기존에 없던 규정을 임의로 만들거나 뜯어고치려 하거나 버드 셀릭 커미셔너의 입맛에 맞는 인사를 끌어다 앉혀놓고 압박하는 것이 자칫 안 좋은 선례로 남을까 걱정하는 의견이 소수이긴 하지만 있다.[16] 아무리 약쟁이 닥치는대로 색출해내고 징계 먹인다고 해봤자 솔직히 빨 놈은 다 빨고 안 걸릴 놈은 어떻게든 요리조리 피해가는 법이고, 이는 라이언 브론이 1차 약물 스캔들 때 전문 변호사를 섭외하여 보여준 절묘한 대처로 증명된 바 있다.[17] 로드는 유격수+3루수 두 포지션에서 각각 50홈런을 만들어 냈다. 푸홀스는 50홈런 자체 시즌이 없다.[18] A로드는 유격수 포지션으로 알버트 푸홀스랑 비슷한 타격 성적을 기록했으므로 수비까지 감안하면 푸홀스보다 더 우위에 있었다고 봐야 한다. 실제로 성적 자체는 푸홀스와 엇비슷하거나 푸홀스가 더 높지만, WAR은 유격수이자 3루수였던 A로드쪽이 훨씬 더 높다. 물론 푸홀스는 청정 타자이고, A로드는 도핑이 적발되어버려 현재의 평가는 푸홀스가 압도적으로 높다.[19] 참고로 이 둘은 A로드보다도 성적이 뛰어나지만 도핑 적발 전력에다가 기자들과 사이도 나빠서 명전 입성에 실패했다.[20] 대표적으로 무시나와 실링. 둘은 현역시절 거의 동급의 선수였음에도 무시나는 성실하고 겸손한 인품으로 기자들에게 사랑받아 쉽게 입성했지만, 실링은 망언제조기 이미지가 발목을 잡아 결국 입성에 실패했다. 클레멘스와 본즈가 점점 득표율이 높아지는 이유도, 본즈의 경우는 거만한 성격으로 기자들에게 애초부터 평이 안 좋았고, 클레멘스는 위증이나 현역이면서 정치에 관여하거나 간통사건 등 수많은 사생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직접 본 기자들이 은퇴하면서 여론이 호의적으로 변한 것도 한 몫 한다.[21] 선례는 라파엘 팔메이로피트 로즈. 각각 약물 복용과 도박 논란이 있다.[22] 사무국 검사에서는 적발되지 않았으나, 추후 재판 과정에서 2003 혹은 2004년 본즈 샘플을 검사해서 스테로이드를 적발했다.[23] 오티즈는 했다는 사실 자체를 공개하지 않을 것을 약속한 비공개 테스트에서 적발된 것이 새어나간 것이라, 이런 약속에 민감한 미국인들 사이에서는 오히려 오티즈도 피해자라는 여론이 있는 데다가 오티즈를 대표하는 능력인 클러치 능력은 약으로 만들어진 게 아니라는 옹호 의견이 많았다.[24] 오티즈는 비밀 테스트에서 걸렸고 공식 테스트에서는 단 한 번도 걸린 적이 없으며 그의 핵심적 역량인 클러치는 약물과 무관한 멘탈의 영역이기에 명전 입성에 큰 지장이 없었으나 A로드는 플레이 스타일부터가 운동능력을 강조하는 선수인데다 직접 적발이 두 번이나 되었고 두 번째 적발 뒤 기량이 크게 하락해 양키스 최악의 먹튀로 전락했기에 이미지가 현재 좋은 것과는 별개로 입성이 쉽지 않아 보인다.[25] 정확히는 한 해에 일정 금액의 지분을 사들이는 식으로 팀을 순차적으로 인수하고 있으며 2023년 A로드가 포함된 투자 컨소시움이 지분을 80%까지 사들이며 팀버울브스의 최대 주주가 된다.[26] 지터가 타율 2할 미만을 기록했던 시리즈는 4개지만 롸드는 7개에 달한다(1타석만 출전했던 시애틀 시절 2번의 시리즈는 제외). 지터가 포스트시즌에서 총 33번의 시리즈를 치른 데 반해 롸드는 16번(역시 1타석만 나온 2번의 시리즈는 제외)으로 지터의 반밖에 안 되는데도 그렇다.[27] 이 아래에 달린 댓글이 더 압권이었는데, 지나가던 미국인이 '나는 한국말 하나도 모르지만 이건 A로드 욕하는 게 확실하다'라는 내용의 댓글을 달아놓았다. 사실 이거 말고도 한국인이 워낙 욕을 많이 써서 결국 욕 좀 하지말라는 말까지 나왔다.[28] 양키스에는 공식 결번 외에도 구단에 유의미한 족적을 남긴 선수들의 등번호는 암묵적으로 비워두는 문화가 있다. 이 때문에 안 그래도 공식 결번도 많다보니 등번호가 부족해서 문제라는 이야기가 최근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29] 그러나 ESPN의 보도에 따르면 롸드는 실제로 여인들에게 추파를 던졌다 하고, 그 주인공인 Kyna Treacy는 심지어 호주 출신의 비키니 모델이라고 한다. 큐트 앤 영은 아니어도 몸매만큼은 살아있는 셈이었다.노안이 좀 걸리지만 넘어가자[30] 2위는 짐 토미의 368개.[31] 쉽게 말해 1년에 평균적으로 40홈런 이상 기록했다는 소리.[32] 2위는 조니 데이먼의 1,115득점[33] 2위는 알버트 푸홀스의 1,112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