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릿 콜/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게릿 콜/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투수 | 0 스트로먼 · 30 위버 · 33 야브로 · 34 브루베이커IL-60 · 36 슈미트IL-15 · 38 윌리엄스 · 41 T.힐 · 43 로아이시가IL-15 · 45 콜IL-60 · 47 헤드릭40인 · 54 프리드 · 55 로돈 · 56 라이터 Jr. · 57 에프로스IL-15 · 58 오타비노 · 59 카라스코 · 61 커즌스IL-60 · 63 크루스 · 71 해밀턴IL-15 · 73 데 로스 산토스40인 · 81 L.힐IL-60 · 83 아리아스40인 · 85 비터IL-15 · 94 고메스 · 98 워렌 | |
포수 | 25 에스카라 · 28 웰스 · 97 로드리게스40인 | ||
내야수 | 11 볼피 · 13 치좀 Jr. · 18 페라자 · 19 레예스 · 22 라이스 · 26 르메이휴IL-10 · 48 골드슈미트 · 89 슈메이크40인 · 90 비바스40인 · 95 카브레라 | ||
외야수 | 12 그리샴 · 24 도밍게스 · 35 벨린저 · 80 페레이라40인 · 99 저지 | ||
지명타자 | 27 스탠튼IL-10 | ||
'''''' | |||
| }}}}}}}}} |
뉴욕 양키스 등번호 45번 | ||||
루크 보이트 (2018~2019) | → | 게릿 콜 (2020~) | → | 현역 |
| ||
<colbgcolor=#132448><colcolor=#FFFFFF> 뉴욕 양키스 No.45 | ||
게릿 콜 Gerrit Cole | ||
본명 | 게릿 앨런 콜 Gerrit Alan Cole | |
출생 | 1990년 9월 8일 ([age(1990-09-08)]세) | |
캘리포니아 주 뉴포트비치 | ||
국적 |
| |
학력 | 오렌지 루터런 고등학교 - UCLA | |
신체 | 193cm | 109kg | |
포지션 | 선발 투수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1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1번, PIT) | |
소속팀 |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3~2017)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8~2019) 뉴욕 양키스 (2020~) | |
계약 | 2020 - 2028 / $324,000,000[option] | |
연봉 | 2025 / $36,000,000 | |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가족 | |
<colbgcolor=#132448><colcolor=#fff> 배우자 | 에이미 크로포드 (2016년 결혼 ~ 현재) | |
자녀 | 아들 2명 | |
처남 | 브랜든 크로포드 | |
에이전트 | 보라스 코퍼레이션 | |
후원사 | 나이키 |
|
1. 개요
뉴욕 양키스 소속 우완 선발 투수.
2. 선수 경력
게릿 콜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게릿 콜/선수 경력 | ||||
|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보기 드문 것까진 아니어도 웬만한 투수들이 체인지업을 흔히 대학이나 프로에 와서 익히는 것과 달리 콜은 고교 시절부터 체인지업을 쏠쏠하게 활용해먹었으며 커브도 던졌다. 그러나 UCLA에서는 구속을 끌어올리고 슬라이더를 잘 활용하며 폭발적인 강속구에다 슬라이더-체인지업 조합을 곁들여 대학야구에서 에이스 노릇을 했는데, 프로에서도 제구가 웬만큼 향상된다는 전제 하에 스티븐 스트라스버그에 버금가는 패스트볼을 지녔다는 평을 받았었다.
다만 웬만큼 다듬고 콜업되는 유망주들과 달리 2013년 콜업 전까지 확실한 개선의 기미가 보이지 않은 들쭉날쭉한 제구력은 향상시켜야 할 부분이었고 실제 경기에서도 맘대로 되지 않을 경우 흥분하는 기미가 보였다. 다행히 2013년 루키 시즌에 117⅓이닝을 던지면서 단 28개의 볼넷만 허용하는 짠물 투구를 펼치면서 이러한 우려를 어느 정도 씻었고 2015년에는 200이닝을 넘게 소화하는 동안 BB/9은 1.9개를 기록하며 더욱 안정된 제구력을 보여주고 있다.
100마일의 빠른 패스트볼을 던지는 콜이 마이너리그 시절부터 스카우팅 리포트에서 꾸준히 지적 받은 건 바로 투구폼 문제. 디셉션[3]이 거의 없다시피 한 깨끗한 투구폼이라 타자들이 쉽게 골라내고 배트에 가져다 맞추는 경향이 있었고 이 때문에 2013년 트리플A와 빅리그 초창기까지 구위에 비해 탈삼진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콜의 경우는 콜업된 후 초기에는 속구와 슬라이더, 2개 구종만 사용했고 이것이 타자들에게 쉽게 공략을 당하는 원인이었다. 하지만 콜은 꾸준한 노력을 통해 재빨리 이 단점을 메꿨고, 80%까지 차지하던 속구의 비중을 60%로 낮춘 동시에 커브와 체인지업을 익혀 네 가지 구종을 고루 던지기 시작했다. 노력이 효과를 본 것인지 2013년 후반기부터 K/9은 점점 올라가고 BB/9은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애당초에 콜은 패스트볼과 슬라이더가 만점에 가까운 평가를 받았을 정도로 위력적이었기 때문에 나머지 두 구종은 기본 정도만 해줘도 삼진을 꾸준히 잡아낼 포텐이었다. 결국 2015년에 제구가 안정된 패스트볼과 슬라이더를 앞세워 커리어 처음으로 200K를 넘겼다.
그의 투구폼은 스티븐 스트라스버그의 평범해보이는 딜리버리와 달리 대학 출신치고 굉장히 투박한, 선발보다는 오히려 불펜 투수들 중에서 유사한 사례를 찾을 수 있는 딜리버리다. 그러나 피츠버그는 큰 부상이 아니고서야 이 딜리버리를 뜯어 고칠 생각이 없었으며 결국 내버려뒀고 그런 딜리버리로 현재까지 잘만 던지는 중이다.
화려했던 2015 시즌 이후 2년간 부진을 겪었지만, 휴스턴 이적 후 피츠버그 시절 투심을 이용한 땅볼 유도 전략을 과감히 버리고, 본래의 장점인 포심의 강력한 스터프를 극대화하는 투구 패턴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자 삼진율이 대폭 증가하였고, 성적도 에이스급으로 돌아왔다. 맞지 않는 옷을 입은 탓에 잠깐 흔들리는 시기도 있었지만, 2018 시즌 이후 각성한 콜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리그 최고 수준의 패스트볼을 던지는 파이어볼러 에이스이다.
다만 이러한 탈삼진형 투수 대다수가 그렇듯 홈런을 많이 맞는 편이며, 특히 2021시즌 중반부터 파인타르 규제를 시작한 이후엔 피홈런 개수가 급증했다. 아예 리그에서 가장 홈런을 많이 맞는 투수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이를 증명하듯 2022 시즌 기준 탈삼진도 아메리칸 리그 1위지만 피홈런도 1위이다. 또한 2022년 이후로는 패스트볼 구속이 하락[4]하는 추세에 있으며, 본인도 롱런을 위해 커터와 싱커 같은 변형 패스트볼을 추가하려는 모습이다.
콜의 또 다른 장점으로는 꽤나 부상을 적게 당하는 것과 준수한 이닝 소화 능력을 꼽을 수 있다. 처음으로 규정이닝을 소화한 2015년 이후로 2016년을 제외한 모든 시즌에 규정이닝을 소화했으며, 최근 들어 선발투수의 이닝 소화 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200이닝 이상 소화 시즌이 6시즌이다. 그러나 2024년 절반 가까이를 팔꿈치 부상으로 날려먹더니, 2025년에는 커리어 첫 토미 존 수술을 받으며 2026년 전반기까지 날려먹게 되었다. 그래도 최근 들어 이른 시점부터 토미 존 수술을 받은 투수들이 즐비한 상황 속에서 콜 정도면 그간 누적된 데미지에 비해서는 잘 버텨왔다는 반응이다.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5. 명예의 전당 입성 여부
2024시즌까지 콜의 통산 기록은 1954이닝 153승 2251탈삼진 bWAR 43.3 fWAR 46.0을 기록 중이다.2023년까지는 파이어볼러 치고는 매우 뛰어난 내구성 덕분에 현역 투수들 중 성적상 입성이 사실상 확정된 저스틴 벌랜더, 클레이튼 커쇼, 맥스 슈어저, 잭 그레인키 다음으로 크리스 세일[5]과 함께 명예의 전당 입성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여겨지는 선발 투수였고, 부상이 없다는 가정 하에 페드로 마르티네즈의 통산 성적[6]이 목표가 될 것으로 여겨졌다.[7]하지만 2024 시즌 팔꿈치 부상으로 인해 전반기를 통으로 날렸고, 2025 시즌 개막 이전부터 토미 존 수술을 받아 사실상 1년 반 가량을 날려먹을 확률이 높아졌다. 현실적으로 남은 계약기간인 2년 반 동안 위의 누적을 다 달성하긴 어려워졌고, 자연스레 입성 전망도 전보다 어두워졌다.
그나마 수상 이력은 올스타 6회, 사이 영 상 1회, 다승왕 1회, ERA 1위 2회, 탈삼진 1위 2회 등으로 꽤 좋은 편이라, 콜의 관건은 벌랜더처럼 토미 존 수술 복귀 뒤에도 건제한 모습을 보이며 양키스와 보장된 계약이 만료된 이후로도 더 커리어를 이어가느냐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8]
만약 콜이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다면 쓰고 갈 모자의 팀의 경우 가장 오래 커리어를 보냈고, 생애 첫 사이 영 상도 수상한 뉴욕 양키스가 유력해 보인다.
5.1. 명예의 전당 통계(Hall of Fame Statistics)
블랙잉크 | 그레이잉크 | HOF 모니터 | HOF 스탠다드 | |
게릿 콜 | 38 | 173 | 114 | 41 |
HOF 입성자 평균 | 40 | 185 | 100 | 50 |
- JAWS - Starting Pitcher (160th)
career WAR | 7yr-peak WAR | JAWS | |
게릿 콜 | 41.5 | 34.4 | 37.8 |
투수 HOF 입성자 평균 | 73.0 | 49.8 | 61.4 |
6. 여담
- 2012 퓨처스 올스타 게임에서 시카고 컵스 소속이었던 당시 당장 빅리그에 집어넣어도 통한다는 콜의 패스트볼을 때려낸 하재훈[9]은 처음 보는 투수인데 뭔 공이 저리 빠르냐면서도 패스트볼만 노려서 쳤다고.
- 전담 포수를 사용하는 투수 중 1명이다. 피츠버그 시절에는 베테랑 포수인 크리스 스튜어트(Chris Stewart)를 전담 포수로 기용했고 휴스턴에 와서는 처음에는 전담 포수를 쓰지 않다가 2019년부터는 골드글러브 포수 마틴 말도나도를 전담 포수로 기용하고 있다. 2019 시즌 종료 후 콜이 양키스로 가고 말도나도가 휴스턴에 잔류하면서 앞으로는 보기 어려운 배터리 조합. 하지만 양키스에서도 게리 산체스와의 조합은 불안한 데 비해 카일 히가시오카와의 조합은 안정적이였기에 히가시오카가 콜의 전담 포수가 되었다. 그러나 히가시오카가 트레이드로 인해 2023 시즌 후 팀을 떠나게 되었다.
- 같은 2011년 드래프트에서 3순위로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에게 지명받은 트레버 바우어와는 UCLA 동문이 맞나 싶을 정도로 견원지간이라고 한다. 지금도 드래프트되던 해에 이 두 명이 뚱한 얼굴로 같이 찍은 사진이 나돌 정도이며, 바우어가 2012년 디백스에서 데뷔하여 멘탈에 대해 의혹이 불거지며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 겨울에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로 트레이드되는 등의 소동을 겪자 때는 기다렸다는 듯이 "저눔시키 내 저럴 줄 알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제 잘난 맛에 사는 바우어도 문제가 있지만 참으로 멘탈甲. 2014년에는 밀워키의 카를로스 고메즈가 홈런성 타구를 치고 좀 느긋하게 뛰었다고 2년차 주제에 시비를 트는 사고를 쳤다. 심지어 2018년 콜이 파인타르 의혹에 있을 때도 제일 강하게 비판한 게 바우어다.[10] 그리고 2020년 바우어가 또다시 부정투구 문제로 콜을 저격하고 콜이 양키스 팀원들에게 '저놈처럼 굴지 말자'라고 하는 등 신경전을 이어갔다.기사 하지만 2021년 메이저리그 사무국이 파인타르 불시검사를 실시하고 나서 게릿 콜은 논란 하나 없이 여전히 에이스의 면모를 보인 반면 오히려 바우어 또한 파인타르 부정 사용 의혹이 제기되면서 파인타르 논란은 콜에 대한 바우어의 누명 뒤집어 씌우기였음이 드러났다. 거기다 바우어는 여성 폭행 혐의 등이 드러나며 메이저리그에서 완전히 매장당했으며 2023년에는 일본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에서 간신히 선수 생활을 이어가게 되었다. 결국 이 기나긴 악연은 콜의 승리로 끝난 셈.
- 콜의 데뷔전 상대인 유격수 브랜든 크로포드[11]는 여동생 중에 UCLA 소프트볼 팀에서 활약한 경력이 있는 에이미가 있는데, 콜과 대학생이던 2009년부터[12] 연애하다 2016년 결혼하였다.[13] 2013년 6월 11일 콜의 데뷔전에서는 브랜든에겐 늘 있는 경기지만 게릿에게는 매우 중요한 경기니까 피츠버그를 응원할 생각이라고 트윗을 올렸다. 한편 크로포드는 2011년 교육리그에서 콜과 맞대결을 가지기도 했는데 다른 투수들 상대로는 맹타를 휘둘렀지만 콜에게는 떡실신당했던 바 있고 콜의 빅리그 데뷔전에서는 안타를 때려낸 바 있다.
- MLB 퍼펙트 이닝23 광고 모델로 선정되었다.
- 별명으로 C-Train이 있다.
- 2022 시즌 피홈런 1위에 등극하면서 몸값에 비해 아쉬운 활약상을 보여준 뒤 해야갤 등 MLB 관련 커뮤니티에서 피홈런을 뜻하는 단어로 '게릿'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 라파엘 데버스를 상대로 매우 약하다. 현재 기준으로 40타수 14안타 8홈런 20타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타출장은 .350/.435/.975 OPS 1.410을 기록하고 있다. 9월 14일 경기에서는 4회 1사에서 본인이 스스로 고의사구로 데버스를 걸렀으며 이후 5회 1사 만루에서 데버스에게 2타점 안타를 허용했다.
* 팬 서비스가 좋은 편이다.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32448> | 뉴욕 양키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빌 버박 투수 / 전체 19번 | 1966 짐 라이틀 외야수 / 전체 10번 | 1967 론 블롬버그 1루수 / 전체 1번 | 1968 서먼 먼슨 포수 / 전체 4번 | 1969 찰리 스파이크스 3루수 / 전체 11번 | |
1970 데이브 채들 투수 / 전체 12번 | 1971 테리 휘트필드 외야수 / 전체 19번 | 1972 스캇 맥그레거 투수 / 전체 14번 | 1973 더그 헤이놀드 투수 / 전체 13번 | 1974 데니스 셰릴 유격수 / 전체 12번 | |
1975 짐 맥도널드 1루수 / 전체 19번 | 1976 팻 타블러 외야수 / 전체 16번 | 1977 스티브 테일러 투수 / 전체 23번 | 1978[1] 렉스 허들러 유격수 / 전체 18번 | 1978[2] 맷 윈터스 외야수 / 전체 24번 | |
1978 브라이언 라이더 투수 / 전체 26번 | FA 토미 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루디 메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데이브 윈필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데이브 콜린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FA 스티브 켐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4 제프 프라이스 투수 / 전체 22번 | 1985[3] 릭 발라본 투수 / 전체 28번 | FA 에드 윗슨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알 홀랜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FA 게리 워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잭 클락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스티브 색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0 칼 에버렛 외야수 / 전체 10번 | 1991 브라이엔 테일러 투수 / 전체 1번 | |
1992 데릭 지터 유격수 / 전체 6번 | 1993 맷 드류스 투수 / 전체 13번 | 1994 브라이언 뷰캐넌 1루수 / 전체 24번 | 1995 셰이 모렌즈 외야수 / 전체 27번 | 1996[4] 에릭 밀튼 투수 / 전체 20번 | |
FA 케니 로저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7[5] 외야수 / 전체 24번 | 1997[5] 라이언 브래들리 투수 / 전체 40번 | FA 데이비드 웰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98 앤디 브라운 외야수 / 전체 24번 | |
1998[7] 투수 / 전체 43번 | 1999 데이브 월링 투수 / 전체 27번 | 2000 데이브 패리시 포수 / 전체 28번 | 2001[8] 존-포드 그리핀 외야수 / 전체 23번 | 2001[9] 브론슨 샤디나 유격수 / 전체 34번 | |
2001[8] 존 스캑스 투수 / 전체 42번 | FA 마이크 무시나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FA 제이슨 지암비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3 에릭 던칸 3루수 / 전체 27번 | 2004[11] 필 휴즈 투수 / 전체 23번 | |
2004[11] 존 포터슨 포수 / 전체 37번 | 2004[13] 제프 마르케즈 투수 / 전체 41번 | FA 폴 콴트릴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5[14] C.J. 헨리 유격수 / 전체 17번 | FA 칼 파바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2006[15] 이안 케네디 투수 / 전체 21번 | 2006[15] 조바 체임벌린 투수 / 전체 41번 | FA 조니 데이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07 앤드류 브랙맨 투수 / 전체 30번 | 2008 투수 / 전체 28번 | |
2008[17] 제레미 블라이시 투수 / 전체 44번 | 2009[18] 슬레이드 히치콕 중견수 / 전체 29번 | FA 마크 테셰이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0 키토 컬버 투수 / 전체 32번 | 2011[19] 단테 비솃 주니어 3루수 / 전체 51번 | |
FA 라파엘 소리아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2 타이 헨슬리 투수 / 전체 30번 | 2013 에릭 자길로 3루수 / 전체 26번 | 2013[20] 애런 저지 중견수 / 전체 32번 | 2013[21] 이안 클라킨 투수 / 전체 33번 | |
FA 브라이언 맥캔, 자코비 엘스버리, 카를로스 벨트란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5 제임스 카프렐리안 투수 / 전체 16번 | 2015[22] 카일 홀더 유격수 / 전체 30번 | 2016 블레이크 러더포드 외야수 / 전체 18번 | 2017 클라크 슈미트 투수 / 전체 16번 | |
2018 앤서니 시글러 포수 / 전체 23번 | 2019 앤서니 볼피 유격수 / 전체 30번 | 2019[CBA][24] T.J. 시케마 투수 / 전체 38번 | 2020 오스틴 웰스 포수 / 전체 28번 | 2021 트레이 스위니 유격수 / 전체 20번 | |
2022 스펜서 존스 외야수 / 전체 25번 | 2023 조지 롬바드 유격수 / 전체 26번 | 2024 벤 헤스 투수 / 전체 26번 | | ||
* | }}}}}}}}} |
[1] FA 론 블롬버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마이크 토레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팀 벨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랜디 벨라르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존 웨틀랜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타이렐 갓윈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제프 넬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FA 데니 니글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11] FA 앤디 페티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13] FA 데이비드 웰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존 리버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톰 고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17] FA 루이스 비스카이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게릿 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하비에르 바스케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닉 스위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라파엘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FA 데이비드 로버트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24] CBA 지명권 ↔ 소니 그레이, 레이베르 산마르틴 트레이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184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릭 먼데이 (OF) | 스티븐 칠콧 (C) | 론 블롬버그 (1B) | 팀 폴리 (SS) | 제프 버로우스 (OF) | |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마이크 아이비 (C) | (C) | 데이브 로버츠 (3B) | 데이비드 클라이드 (LHP) | 빌 알몬 (SS) | |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대니 굿윈 (C) | 플로이드 배니스터 (LHP) | 해롤드 베인스 (1B) | 밥 호너 (3B) | 알 챔버스 (OF) | |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대럴 스트로베리 (OF) | 마이크 무어 (RHP) | 숀 던스턴 (SS) | (RHP) | 숀 아브너 (OF) |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B.J. 서호프 (SS) | 제프 킹 (SS) | 켄 그리피 주니어 (OF) | 앤디 베네스 (RHP) | 벤 맥도널드 (RHP) |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치퍼 존스 (SS) | 브라이언 테일러 (LHP) | 필 네빈 (3B) | 알렉스 로드리게스 (SS) | 폴 윌슨 (RHP) |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대린 어스태드 (OF) | 크리스 벤슨 (RHP) | 맷 앤더슨 (RHP) | 팻 버렐 (3B) | 조시 해밀턴 (OF) |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아드리안 곤잘레스 (1B) | 조 마우어 (C) | 브라이언 벌링턴 (RHP) | 델몬 영 (OF) | 맷 부시 (SS) |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저스틴 업튼 (SS) | 루크 호체이버 (RHP) | 데이비드 프라이스 (LHP) | 팀 베컴 (SS) |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RHP)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브라이스 하퍼 (OF) | 게릿 콜 (RHP) | 카를로스 코레아 (SS) | 마크 어펠 (RHP) | (LHP)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댄스비 스완슨 (SS) | 미키 모니악 (OF) | 로이스 루이스 (SS) | 케이시 마이즈 (RHP) | 애들리 러치맨 (C)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스펜서 토켈슨 (3B) | 헨리 데이비스 (C) | 잭슨 홀리데이 (SS) | 폴 스킨스 (P) | 트래비스 바자나 (2B) | |
2025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피츠버그 파이리츠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965년 ~ | ||||
1965 웨인 디커슨 외야수 / 전체 10번 | 1966 리치 헤브너 유격수 / 전체 15번 | 1967 조 그리가스 외야수 / 전체 16번 | 1968 딕 샤론 외야수 / 전체 9번 | 1969 존 몰란 투수 / 전체 10번 | |
1970 존 베다드 투수 / 전체 13번 | 1971 크레이그 레이놀즈 유격수 / 전체 22번 | 1972 드웨인 펠티어 유격수 / 전체 23번 | 1973 스티브 니코시아 포수 / 전체 24번 | 1974 로드 스커리 투수 / 전체 11번 | |
1975 데일 베라 유격수 / 전체 20번 | 1976 짐 파크 투수 / 전체 21번 | 1977 앤서니 나이슬리 외야수 / 전체 18번 | 1978 브래드 가넷 1루수 / 전체 19번 | 1978[1] 제리 오빈 외야수 / 전체 21번 | |
1978 제리 오빈 외야수 / 전체 21번 | FA 리 래시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0[2] 릭 렌테리아 유격수 / 전체 20번 | FA 앤디 해슬러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1 짐 윈 투수 / 전체 14번 | |
1982 샘 칼리파 유격수 / 전체 7번 | 1983 론 데루치 외야수 / 전체 12번 | 1984 케빈 안드레시 투수 / 전체 15번 | 1985 배리 본즈 외야수 / 전체 6번 | 1986 제프 킹 유격수 / 전체 1번 | |
1987 마크 머챈트 외야수 / 전체 2번 | 1988 오스틴 마나한 유격수 / 전체 13번 | 1989 윌리 그린 유격수 / 전체 18번 | 1990 커트 밀러 투수 / 전체 5번 | 1990[3] 마이크 짐머맨 투수 / 전체 27번 | |
1991 존 패럴 포수 / 전체 24번 | 1992 제이슨 켄달 포수 / 전체 23번 | 1992[4] 숀 워커 외야수 / 전체 33번 | 1993 찰스 피터슨 외야수 / 전체 22번 | 1993[5] 저메인 앨런스워스 외야수 / 전체 34번 | |
1993[6] 찰스 라이스 1루수 / 전체 42번 | 1994 마크 패리스 유격수 / 전체 11번 | 1995 채드 허만센 유격수 / 전체 10번 | 1996 크리스 벤슨 투수 / 전체 1번 | 1997 J.J. 데이비스 1루수 / 전체 8번 | |
1998 클린트 존슨 투수 / 전체 15번 | 1999 바비 브래들리 투수 / 전체 8번 | 2000 션 버넷 투수 / 전체 19번 | 2001 존 반 벤쇼첸 투수 / 전체 8번 | 2002 브라이언 벌링턴 투수 / 전체 1번 | |
2003 폴 마홀름 투수 / 전체 8번 | 2004 닐 워커 포수 / 전체 11번 | 2005 앤드류 맥커친 외야수 / 전체 11번 | 2006 브래드 링컨 투수 / 전체 4번 | 2007 다니엘 모스코스 투수 / 전체 4번 | |
2008 페드로 알바레스 3루수 / 전체 2번 | 2009 토니 산체스 포수 / 전체 4번 | 2009[7] 빅 블랙 투수 / 전체 49번 | 2010 제임슨 타이욘 투수 / 전체 2번 | 2011 게릿 콜 투수 / 전체 1번 | |
2012 투수 / 전체 8번 | 2012[8] 바렛 반스 외야수 / 전체 45번 | 2013[9] 오스틴 메도우스 중견수 / 전체 9번 | 2013 리즈 맥과이어 포수 / 전체 14번 | 2014 콜 터커 유격수 / 전체 24번 | |
2014[CBA] 코너 조 외야수 / 전체 39번 | 2015 케빈 뉴먼 유격수 / 전체 19번 | 2015[11] 키브라이언 헤이스 3루수 / 전체 32번 | 2016 윌 크레익 3루수 / 전체 22번 | 2016[CBA] 투수 / 전체 41번 | |
2017 셰인 바즈 투수 / 전체 12번 | 2018 트래비스 스웨거티 외야수 / 전체 10번 | 2018[CBA] 투수 / 전체 36번 | 2019 퀸 프리스터 투수 / 전체 18번 | 2019[CBA][15] 새미 시아니 중견수 / 전체 37번 | |
2020 닉 곤잘레스 유격수 / 전체 7번 | 2020[CBA] 카멘 머진스키 투수 / 전체 31번 | 2021 헨리 데이비스 포수 / 전체 1번 | 2022 터마 존슨 유격수 / 전체 4번 | 2022[CBA] 토마스 해링턴 투수 / 전체 36번 | |
2023 폴 스킨스 투수 / 전체 1번 | 2024 코너 그리핀 유격수 / 전체 9번 | 2024[CBA] 레비 스털링 투수 / 전체 37번 | |||
* [1] FA 테리 포스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브루스 키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짐 고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바비 보니야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더그 드레이벡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6] FA 배리 본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7] 태너 셰퍼스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라이언 더밋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마크 어펠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11] FA 러셀 마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CBA] [CBA] [15] 거너 호글런드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CBA] [CBA]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000> | 피츠버그 파이리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rowcolor=#fdb827> 1882 | 1883 | 1884 | 1885~1886 | 1887 |
잭 리어리 | 데니 드리스콜 | 존 폭스 | 에드 모리스 | 퍼드 갤빈 | |
<rowcolor=#fdb827> 1888 | 1889 | 1890 | 1891 | 1892 | |
에드 모리스 | 퍼드 갤빈 | 피트 다니엘스 | 퍼드 갤빈 | 마크 발드윈 | |
<rowcolor=#fdb827> 1893~1895 | 1896 | 1897~1898 | 1899 | 1900~1901 | |
프랭크 킬렌 | 핑크 홀리 | 프랭크 킬렌 | 제시 태너힐 | 샘 리버 | |
<rowcolor=#fdb827> 1902~1904 | 1905 | 1906 | 1907 | 1908~1910 | |
디콘 필리페 | 팻시 플래허티 | 빅 윌리스 | 디콘 필리페 | 하위 캠니츠 | |
<rowcolor=#fdb827> 1911 | 1912 | 1913~1914 | 1915 | 1916 | |
베이브 애덤스 | 하위 캠니츠 | 베이브 애덤스 | 조지 맥퀼런 | 어브 칸트레너 | |
<rowcolor=#fdb827> 1917 | 1918~1919 | 1920~1921 | 1922 | 1923~1924 | |
엘머 제이콥스 | 윌버 쿠퍼 | 베이브 애덤스 | 윌버 쿠퍼 | 자니 모리슨 | |
<rowcolor=#fdb827> 1925 | 1926 | 1927~1928 | 1929 | 1930 | |
에밀 이디 | 빅 알드리지 | 레이 크레머 | 벌리 그라임스 | 레이 크레머 | |
<rowcolor=#fdb827> 1931~1932 | 1933 | 1934 | 1935 | 1936~1939 | |
래리 프렌치 | 빌 스위프트 | 하이니 마인 | 웨이트 호이트 | 사이 블랜튼 | |
<rowcolor=#fdb827> 1940~1941 | 1942 | 1943 | 1944 | 1945~1946 | |
밥 클링거 | 맥스 부처 | 립 슈얼 | 프리처 로 | 프리츠 오스터뮬러 | |
<rowcolor=#fdb827> 1947 | 1948 | 1949 | 1950 | 1951 | |
립 슈얼 | 할 그렉 | 립 슈얼 | 밥 체스네스 | 클리프 챔버스 | |
<rowcolor=#fdb827> 1952~1953 | 1954 | 1955 | 1956~1958 | 1959 | |
머리 딕슨 | 밥 프렌드 | 맥스 서콘트 | 밥 프렌드 | 론 클라인 | |
<rowcolor=#fdb827> 1960~1962 | 1963 | 1964~1967 | 1968 | 1969~1970 | |
밥 프렌드 | 얼 프랜시스 | 밥 빌 | 짐 버닝 | 스티브 블래스 | |
<rowcolor=#fdb827> 1971~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덕 엘리스 | 스티브 블래스 | 제리 로이스 | 덕 엘리스 | 덕 메디치 | |
<rowcolor=#fdb827> 1977 | 1978 | 1979~1980 | 1981 | 1982 | |
제리 로이스 | 존 칸델라리아 | 버트 블라일레븐 | 짐 비비 | 릭 로든 | |
<rowcolor=#fdb827> 1983 | 1984~1985 | 1986 | 1987 | 1988 | |
존 칸델라리아 | 릭 로든 | 릭 러셸 | 밥 패터슨 | 마이크 던 | |
<rowcolor=#fdb827> 1989 | 1990~1992 | 1993 | 1994 | 1995 | |
밥 워크 | 더그 드레이벡 | 팀 웨이크필드 | 제인 스미스 | 존 리버 | |
<rowcolor=#fdb827> 1996 | 1997 | 1998~1999 | 2000 | 2001 | |
폴 와그너 | 존 리버 | 프란시스코 코르도바 | 제이슨 슈미트 | 토드 리치 | |
<rowcolor=#fdb827> 2002 | 2003 | 2004 | 2005~2006 | 2007 | |
론 빌론 | 크리스 벤슨 | 킵 웰스 | 올리버 페레즈 | 잭 듀크 | |
<rowcolor=#fdb827>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
이안 스넬 | 폴 마홀름 | 잭 듀크 | 케빈 코레이아 | 에릭 베다르 | |
<rowcolor=#fdb827> 2013 | 2014~2016 | 2017 | 2018 | 2019 | |
A.J. 버넷 | 프란시스코 리리아노 | 게릿 콜 | 이반 노바 | 제임슨 타이욘 | |
<rowcolor=#fdb827> 2020 | 2021 | 2022 | 2023~2024 | 2025 | |
조 머스그로브 | 채드 쿨 | JT 브루베이커 | 미치 켈러 | 폴 스킨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32448> | 뉴욕 양키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rowcolor=#ffffff> 1901 | 1902 | 1903~1906 | 1907 | 1908 |
조 맥기니티 | 톰 휴즈 | 잭 체스브로 | 알 오스 | 슬로우 조 도일 | |
<rowcolor=#ffffff> 1909 | 1910~1911 | 1912 | 1913 | 1914 | |
덕 뉴턴 | 히포 본 | 레이 칼드웰 | 조지 맥코넬 | 마티 맥헤일 | |
<rowcolor=#ffffff> 1915 | 1916~1917 | 1918~1919 | 1920 | 1921 | |
잭 워홉 | 레이 칼드웰 | 조지 모그리지 | 밥 쇼키 | 칼 메이스 | |
<rowcolor=#ffffff> 1922 | 1923~1924 | 1925 | 1926 | 1927 | |
새드 샘 존스 | 밥 쇼키 | 어반 쇼커 | 밥 쇼키 | 웨이트 호이트 | |
<rowcolor=#ffffff> 1928 | 1929~1930 | 1931 | 1932~1937 | 1938~1940 | |
허브 페녹 | 조지 핍그라스 | 레드 러핑 | 레프티 고메즈 | 레드 러핑 | |
<rowcolor=#ffffff> 1941 | 1942 | 1943 | 1944 | 1945 | |
마리우스 루소 | 레드 러핑 | 타이니 보넘 | 행크 보로위 | 어틀리 도널드 | |
<rowcolor=#ffffff> 1946~1947 | 1948 | 1949 | 1950 | 1951~1953 | |
스퍼드 챈들러 | 앨리 레이놀즈 | 에디 로팟 | 앨리 레이놀즈 | 빅 래스키 | |
<rowcolor=#ffffff> 1954~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화이티 포드 | 돈 라슨 | 화이티 포드 | 돈 라슨 | 밥 털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1962 | 1963 | 1964 | 1965 | |
짐 코츠 | 화이티 포드 | 랄프 테리 | 화이티 포드 | 짐 보튼 | |
<rowcolor=#ffffff> 1966 | 1967~1970 | 1971 | 1972~1974 | 1975 | |
화이티 포드 | 멜 스토틀마이어 | 스탠 반슨 | 멜 스토틀마이어 | 덕 메디치 | |
<rowcolor=#ffffff> 1976~1977 | 1978~1980 | 1981 | 1982~1984 | 1985 | |
캣피시 헌터 | 론 기드리 | 토미 존 | 론 기드리 | 필 니크로 | |
<rowcolor=#ffffff>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
론 기드리 | 데니스 라스무센 | 릭 로든 | 토미 존 | 데이브 라포인트 | |
<rowcolor=#ffffff> 1991 | 1992 | 1993~1995 | 1996~1997 | 1998 | |
팀 리어리 | 스캇 샌더슨 | 지미 키 | 데이비드 콘 | 앤디 페티트 | |
<rowcolor=#ffffff> 1999 | 2000 | 2001~2003 | 2004 | 2005~2006 | |
로저 클레멘스 | 올랜도 에르난데스 | 로저 클레멘스 | 마이크 무시나 | 랜디 존슨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2014 | 2015~2017 | 2018 | |
칼 파바노 | 왕젠민 | CC 사바시아 | 다나카 마사히로 | 루이스 세베리노 | |
<rowcolor=#ffffff> 2019 | 2020~2023 | 2024 | |||
다나카 마사히로 | 게릿 콜 | 네스터 코르테스 주니어 |
게릿 콜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
2015 | 2018 | 2019 | |
2021 | 2022 | 2023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타릭 스쿠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블레이크 스넬 (탬파베이 레이스) | → |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타릭 스쿠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케빈 가우스먼 (토론토 블루제이스) |
2019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IL | OF | LAA | OF | LAD | OF | ||||||
BOS | SS | NYY | 2B | ||||||||
WSH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NYM | 1B ||
MIN | DH | PHI | C | |||
HOU | SP | HOU | SP | NYM | SP | WSH | SP | WSH | SP |
SD | RP | MIL | RP |
2020 ALL-MLB SECOND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F | OF | ATL | OF | NYM | OF | ||||||
LAD | SS | TB | 2B | ||||||||
CLE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CHW | 1B ||
MIN | DH | PHI | C | |||
NYY | SP | SD | SP | LAD | SP | MIN | SP | TOR | SP |
MIL | RP | CLE | RP |
}}}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2023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ATL | OF | LAD | OF | ARI | OF | ||||||
TEX | SS | TEX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D | 1B ||
LAA | DH | BAL | C | |||
NYY | SP | SD | SP | ARI | SP | LAA | SP | ATL | SP |
BAL | RP | SD | RP |
}}} ||
}}} ||
게릿 콜의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보유 기록 | |
최다 연속 10K+ 경기 | 9경기 |
게릿 콜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45번 | ||||
에릭 베다르 (2012) | → | <colcolor=#000> 게릿 콜 (2013~2017) | → | 마이클 펠리즈 (2018~2019) | |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5번 | |||||
마이클 펠리즈 (2016~2017) | → | 게릿 콜 (2018~2019) | → | 라인 스태닉 (2021~2023) |
| ||||
애덤 웨인라이트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 게릿 콜 (피츠버그 파이리츠) | → | 맥스 슈어저 (워싱턴 내셔널스) |
| ||||
루카스 지올리토 (시카고 화이트삭스) | → |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마이크 클레빈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마이크 클레빈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크리스 배싯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리치 힐 (탬파베이 레이스) |
| ||||
알렉 마노아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 | 네이선 이볼디 (텍사스 레인저스) |
| ||||
호세 페르난데스 (마이애미 말린스) | → | 게릿 콜 (피츠버그 파이리츠) | → | 크리스 오윙스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option] 전 구단 트레이드 거부권 포함[2] 유망주 시절 20-80 스케일에서 포심 패스트볼 80점, 슬라이더 70점을 기록했다.[3] 공을 숨기는 능력.[4] 2023 시즌 평균 96.7마일, 2024시즌 평균 96마일.[5] 서로 누적도 엇비슷하며, 사이 영 상과 영 인연이 없었다가 2020년대에 들어서 수상에 성공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6] 219승 2827이닝 3,154탈삼진[7] 당시 페드로는 임팩트에 비해 누적 성적이 부족하다고 여겨졌지만, 현재 명전 문턱이 전보다 많이 낮아졌기에 이 정도면 페드로만한 임팩트 없이도 첫턴 입성이 유력하다.[8] 토미 존 수술 복귀 후 어느정도 이닝 관리를 받을 확률을 고려하면, 현실적으로는 3000탈삼진 달성을 우선적인 목표로 해야할 것으로 보인다.[9] 당시에는 포수로 뛰었는데 2018년 KBO 신인 드래프트에서 투수로 지명받은 이후 불펜투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가 다시 타자로 전향했다.[10] 하지만 최근 바우어는 자신이 생각하는 리그 최고의 투수로 콜을 항상 빼놓지 않는다.[11] SF 구단에서 성골로 취급받을 수 있는 베이 에어리어 홈보이지만 대학은 UCLA를 나왔다.[12] 2008년, 콜이 데이트 신청을 하였지만 거절하고 친구로 지내다 1년 뒤에 수락하였다. 1년 전의 데이트 신청을 받아들이게 된 결정적 이유는, 2009년 9월, 에이미의 새 아파트 이사였다. 콜은 그녀의 이사를 돕기 위해 결혼식 후 한 시간 반을 운전해서 왔는데, 그 자리에 있던 에이미 엄마의 생일을 위해 꽃다발을 함께 들고 나타났다.[13] 2015년 생애 첫 올스타전을 마치고 그 주에 프로포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