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7:45:26

셰인 비버

셰인 비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85d>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01 1902 1903 1904 1905
빌 호퍼 얼 무어 애디 조스 빌 번하드 얼 무어
<rowcolor=#ffffff> 1906 1907 1908~1910 1911 1912
오토 헤스 글렌 리브하트 애디 조스 프레드 블랜딩 윌리 미첼
<rowcolor=#ffffff> 1913 1914~1916 1917~1921 1922 1923
빈 그렉 윌리 미첼 스탠 코벨레스키 가이 모튼 스탠 코벨레스키
<rowcolor=#ffffff> 1924 1925 1926~1928 1929 1930
조 샤우트 셰리 스미스 조지 유리 조 샤우트 윌리스 허들린
<rowcolor=#ffffff> 1931~1932 1933 1934 1935~1937 1938
웨스 페럴 클린트 브라운 오랄 힐데브랜드 멜 하더 자니 앨런
<rowcolor=#ffffff> 1939~1941 1942~1943 1944 1945 1946~1949
밥 펠러 짐 배그비 알 스미스 앨리 레이놀즈 밥 펠러
<rowcolor=#ffffff> 1950~1951 1952 1953 1954 1955~1956
밥 레몬 얼리 윈 밥 레몬 얼리 윈 밥 레몬
<rowcolor=#ffffff> 1957~1958 1959~1960 1961 1962 1963~1964
허브 스코어 게리 벨 짐 페리 딕 도노반 머드캣 그랜트
<rowcolor=#ffffff> 1965 1966~1967 1968 1969 1970
랄프 테리 샘 맥도웰 소니 시버트 루이스 티안트 샘 맥도웰
<rowcolor=#ffffff> 1971 1972~1975 1976~1977 1978 1979
스티브 하건 게일로드 페리 데니스 에커슬리 웨인 갈랜드 릭 와이스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1984 1985
댄 스필너 버트 블라일레븐 릭 웨이츠 릭 서클리프 버트 블라일레븐
<rowcolor=#ffffff> 1986 1987~1988 1989 1990 1991
켄 슈롬 톰 캔디오티 그렉 스윈델 버드 블랙 그렉 스윈델
<rowcolor=#ffffff> 1992~1993 1994~1996 1997~1998 1999 2000~2002
찰스 내기 데니스 마르티네즈 찰스 내기 자렛 라이트 바톨로 콜론
<rowcolor=#ffffff> 2003~2004 2005 2006~2008 2009 2010
CC 사바시아 제이크 웨스트브룩 CC 사바시아 클리프 리 제이크 웨스트브룩
<rowcolor=#ffffff> 2011 2012~2014 2015~2019 2020~2024
파우스토 카르모나 저스틴 마스터슨 코리 클루버 셰인 비버
}}}}}}}}} ||

셰인 비버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19 MLB 올스타전 로고.svg 파일:2021 MLB 올스타전 로고.svg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2019 202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로고.svg 메이저 리그 투수 트리플 크라운
클레이튼 커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1년)
저스틴 벌랜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1년)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20년)
타릭 스쿠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24년)
크리스 세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4년)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2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투수 부문 골드 글러브
댈러스 카이클
(시카고 화이트삭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가디언스)
호세 베리오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다승왕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게릿 콜
(뉴욕 양키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2020년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왕
게릿 콜
(휴스턴 애스트로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알렉스 브레그먼
(휴스턴 애스트로스)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2021년]
(토론토 블루제이스)

파일:MLB 로고.svg
2020 ALL-MLB FIRST TEA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SH | OF

LAA | OF

LAD | OF

SD | SS

NYY | 2B

SD | 3B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프리먼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ATL | 1B ||

ATL | DH

KC | C

CIN | SP

CLE | SP

CHC | SP

NYM | SP

ATL | SP

TB | RP

OAK | RP
}}} ||

MLB 보유 기록
단일 시즌 최다 K/9 14.1983개[2][3]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가디언스 등번호 57번
카일 크로켓
(2014~2017)
셰인 비버
(2018~2024)
결번
}}} ||
}}} ||
파일:1242287581.0.jpg
셰인 비버
Shane Bieber
본명 셰인 로버트 비버
Shane Robert Bieber
출생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라구나 힐스 고등학교 - UCSB
신체 190cm | 90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22번, CLE)
소속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디언스 (2018~2024)
기록 트리플 크라운 (202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선발 투수.

2. 선수 경력

셰인 비버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셰인 비버/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3. 피칭 스타일

개막 첫등판 2경기 삼진 기록 경신 - 27K
파일:bieberfb.gif 파일:biebercb.gif
파일:biebersl.gif 파일:bieberch.gif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포심 패스트볼, 너클 커브, 체인지업, 슬라이더

구위와 제구력 모두 뛰어난 완성형 투수. 평균 구속 90마일대 초반의 포심 패스트볼을 던지며, 주무기인 83마일대의 슬라이더는 우타자 상대 헛스윙 유도 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80마일대의 너클커브를 서드 피치로 던지며, 88마일대의 체인지업을 주로 좌타자 상대로 던진다. 존의 좌우 보더라인에 자유자재로 공을 넣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커맨드가 우수하며, 템포가 상당히 빠르고 공격적인 승부를 즐긴다. 덕분에 삼진/볼넷 비율이 상당히 높다.

2019년 들어서 이닝 소화력이 굉장히 좋아졌다. 8월 8일까지 올 시즌 평균 6.1이닝을 던지고 있으며 3번의 완투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좌타자 상대로 던지는 체인지업이 낙차 폭과 제구력 모두 좋아졌고 슬라이더는 더욱 아래로 많이 꺾이고 있으며 커브와 함께 구속이 상승했다. 덕분에 2018 시즌에 비해 모든 구종의 피안타율이 1할대 근처를 맴돌고 있는데 점차 코리 클루버의 전성기를 닮아가고 있는 중이다. 남은 과제는 투심 패스트볼과 같은 변형 패스트볼의 장착을 통한 피홈런 억제.

비버의 진정한 강점은 우수한 구위를 갖고 있음에도, 결코 구위만 믿고 던지는 투수가 아니라는 점이다. 비버는 유망주 시절까지만 해도 평범한 구위를 뛰어난 커맨드로 보완하는 유형의 투수였는데, 프로에 와서 구위가 향상된 사례이다. 즉 그냥 던져도 강력한 공에 유망주 시절부터 갈고 닦은 정교한 커맨드가 더해지니 타자들은 그야말로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것. 여기에, 움짤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디셉션이 매우 출중하다. 오른팔을 직각 정도만 뻗어서 릴리스포인트를 몸으로 가리기 때문에 공이 갑툭튀하는 효과가 있어 구속이 실제보다 더 빨라보이는 효과도 있다.

2020년부터 커터를 장착하였다. 지난해 팀 동료였던 트레버 바우어, 코리 클루버와 팀 동료 애런 서발레 등에게서 배운 것. 평균 87~90마일의 커터는 좌타자 상대로 몸쪽에 꽂을 때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체인지업과 커터 조합으로 좌타자 상대 부진을 떨쳐내는 중. 커터의 장착으로 더욱 많은 투구 레퍼토리를 사용하게 되었고 패스트볼,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모두 지난 시즌보다 한층 강해졌다.

2021 시즌에 당한 어깨부상 이후로는평균 93~94마일까지 나오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이 하락하여 2022 시즌에는 91~92마일 정도로 형성되고 있는 데다가 리그의 평균 구속이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이기에 이젠 패스트볼의 구위 자체만 놓고 봤을 때 탑클래스라고 하긴 어려워졌고, 탈삼진율도 이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브레이킹 볼의 위력과 뛰어난 제구력을 바탕으로 여전히 가디언스의 1선발 역할을 무리 없이 수행하고 있다.

4. 수상 내역

수상
파일:MLB 로고.svg 올스타 2회 (2019, 2021)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20[만장일치])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투수 골드 글러브 (2022)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02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다승 1위 (2020)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 1위 (2020)
파일:MLB 로고.svg All-MLB 퍼스트 팀 (2020)

5. 여담

파일:shane-bieber-reality-check.jpg
파일:셰인과 저스틴.png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파일:Cy_Young_.jpg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AL 사이 영 상 1~3위 (202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시즌 <rowcolor=#000> 1위 2위 3위
2020년 셰인 비버 마에다 겐타 류현진
2021년 로비 레이 게릿 콜 랜스 린
2022년 저스틴 벌랜더 딜런 시즈 알렉 마노아
2023년 게릿 콜 소니 그레이 케빈 가우스먼
2024년 타릭 스쿠발 세스 루고 엠마누엘 클라세
}}}}}}}}} ||


[2021년] [2] 2020년. 종전 기록은 2019년 게릿 콜의 13.8179개.[3] 잘 알다시피 이는 60이닝을 규정 이닝으로 한 2020 시즌의 수치다. 선대의 모든 기록들을 60이닝만 기준으로 해서 보면 2020년 비버는 역대 29위고, 1위는 2016년 크레이그 킴브럴이 기록한 16.66이다.[만장일치] 만장일치 수상.[5] 저스틴 비버는 안티가 어마어마하게 많다. 올림픽 아이스하키 결승에서 미국과 캐나다가 붙자 '지는 나라가 비버 갖기' 라는 슬로건이 유행했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