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 투수 | 12 힉스 · 38 레이 · 43 벡 · 45 해리슨 · 47 블랙 · 60 버드송 · 62 웹 · 64 젤리 · 65 루프 · 67 윈 · 68 밀러 · 71 로저스 · 72 맥도날드 · 73 로드리게스 · 74 워커 · 75 도발 · 76 비벤스 · # 랙스데일 · # 시모어 · # 벌랜더 | |
포수 | 14 베일리 · 19 머피 · # 허프 | ||
내야수 | 0 와이슬리 · 2 아다메스 · 10 슈미트 · 26 채프먼 · 31 웨이드 Jr. · 32 비야 · 37 루시아노 · 41 플로레스 · 49 피츠제럴드 | ||
외야수 | 5 야스트렘스키 · 17 라모스 · 29 마토스 · 51 이정후 · 53 메클러 · 58 맥크레이 · 59 엔카나시온 | ||
밥 멜빈 가빈 앨스턴 팻 버렐 라이언 크리스텐슨 오스카 버나드 · 데이먼 마이너 마크 할버그 J.P. 마르티네즈 맷 윌리엄스 우에마츠 타이라 알렉스 버그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38번 | ||||
알렉스 콥 (2022~2023) | → | 로비 레이 (2025~) | → | 현역 |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No.38 | |
로비 레이 Robbie Ray | |
본명 | 로버트 글렌 레이 Robert Glenn Ray |
출생 | 1991년 10월 1일 ([age(1991-10-01)]세) |
테네시 주 브렌트우드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브렌트우드 고등학교 |
신체 | 188cm | 102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0년 드래프트 12라운드 (전체 356번, WSH) |
소속팀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4)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5~2020)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0~2021) 시애틀 매리너스 (2022~202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 |
계약 | 2022 - 2026 / $115,000,000 |
연봉 | 2025 / $25,000,000 |
종교 | 개신교 |
등장곡 | NF - Layers |
||| |
[clearfix]
1. 개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소속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3. 피칭 스타일
패스트볼은 평균 90마일대 초중반으로 좌완 선발 기준으로는 준수하다. 한때 구종 가치가 22.0에 달한 적이 있었던만큼 제구만 잘 된다면 충분히 우수한 구종으로 평가 받는다.
변화구로는 슬라이더, 커브볼, 체인지업을 구사하는데, 슬라이더가 레이의 주무기이다. 인터뷰에 의하면 랜디 존슨에게 그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슬라이더를 교정하면서 각이 좋아졌다고 한다. 커브는 슬러브 형태로 던지기 시작하면서 믿음이 생겼다고.
단점이라면 2018 시즌부터 부상 경력이 꽤 되는 편이고 제구력에 하자가 있는 편이다. 2021년은 투구폼이 바뀌었고 본인의 장점인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투 피치의 위력을 극으로 끌어올리며 문제를 개선하고 사이영상을 수상했었지만, 2022년부터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상태.
4. 수상 내역
수상 내역 |
올스타 (2017)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2021)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 1위 (2021)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 1위 (2021) All-MLB 퍼스트 팀 (2021) |
5. 여담
- 디백스 초기에는 수염을 그렇게 기르지 않았지만 2017년엔 수염을 거의 팀 동료 아치 브래들리 수준으로 기르고 다녔다. 이후론 다시 적당한 수준으로 잘랐다.
- 인버티드-W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 잭 그레인키처럼 투구할 때 기합을 지르는데 소리가 상당히 크다. 특히 패스트볼을 던질 때 더욱 두드러지는 편.
- 워커 뷸러와 비슷하게 매우 밀착된 유니폼 바지 핏을 선호하는 바람에 뒷태가 유독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투수들 중 하나다. 그의 게임 시 각종 커뮤니티의 글들 중 이에 대한 이야기가 매번 한번쯤은 보이는 정도. 토론토 팬들 사이에서는 아예 Robbie Ray's pants라고 밈이 되었으며 국내 야구 팬들 사이에서도 '쫄바지'라는 별명으로 부른다.
- 2021년 9월 10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홈경기에서 사인 훔치기를 의심하는 반응을 보였는데,[1] 이에 볼티모어 감독 브랜든 하이드가 격노하며 레이에게 온갖 쌍욕을 퍼붓는게 그대로 방송에 잡히면서 꽤 화제가 됐었다.[2] 위축된듯한 레이의 반응이 굉장히 소극적이었고, 팀원들은 아무도 커버쳐주지 않은게 안습.
- "뭘 꼬라보는 거야, 로비? 우린 뭐 말도 못해? 씨발 공이나 던지라고. 아무 짓(부정행위)도 안하고 있으니까. 하던 투구나 계속 하라고 씨발. (볼티모어 더그아웃 상황은) 아무 걱정 마셔."
- (로비 레이가 첫아웃을 잡고) "씨발 뭘 야려봐? 마운드로 다시 올라가라고 씨발."
- (로비 레이가 소극적으로[3] 도발하는 제스쳐를 하자) "내가 씨발 뭘 했는데? 꺼져 씨발. 아무 짓도 안하고 있다고. 아무 짓도 안하고 있다고!"[4]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c2c56> | 시애틀 매리너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rowcolor=#ffc425> 1977 | 1978~1979 | 1980 | 1981 | 1982 |
디에고 세기 | 글렌 애보트 | 마이크 패럿 | 글렌 애보트 | 플로이드 배니스터 | |
<rowcolor=#ffc425> 1983 | 1984~1986 | 1987~1989 | 1990 | 1991 | |
게일로드 페리 | 마이크 무어 | 마크 랭스턴 | 브라이언 홀맨 | 에릭 핸슨 | |
<rowcolor=#c4ced4> 1992~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랜디 존슨 | 제프 파세로 | 랜디 존슨 | 제프 파세로 | 제이미 모이어 | |
<rowcolor=#c4ced4> 2001~2003 | 2004~2006 | 2007 | 2008 | 2009~2018 | |
프레디 가르시아 | 제이미 모이어 | 펠릭스 에르난데스 | 에릭 베다르 | 펠릭스 에르난데스 | |
<rowcolor=#c4ced4> 2019~2021 | 2022 | 2023~2024 | |||
마르코 곤잘레스 | 로비 레이 | 루이스 카스티요 |
로비 레이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
2017 |
2021년 아메리칸 리그 사이 영 상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1년 아메리칸 리그 평균자책점왕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저스틴 벌랜더 (휴스턴 애스트로스) |
2021년 아메리칸 리그 탈삼진왕 | ||||
셰인 비버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게릿 콜 (뉴욕 양키스) |
2021 ALL-MLB FIRST TEAM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SH | OF | NYY | OF | PHI | OF | ||||||
SD | SS | TOR | 2B | ||||||||
ATL | 3B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TOR | 1B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margin: 2px; border-radius: 3px; display: inline-block; font-style: normal; width: 80px; text-align: center;" |
LAA | DH ||
KC | C || || ||
WSH/LAD | SP | MIL | SP | LAD | SP | TOR | SP | NYY | SP |
MIL | RP | CHW | RP |
}}} ||
}}} ||
로비 레이의 이전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38번 | ||||
다린 다운스 (2013) | → | <colbgcolor=#f26722><colcolor=#ffffff> 로비 레이 (2014) | → | 호아킴 소리아 (2014)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58번 | |||||
덕 피스터 (2011~2013) | → | 로비 레이 (2014) | → | 호세 발데스 (2015) |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38번 | |||||
윌 해리스 (2013~2014) | → | 로비 레이 (2015~2020) | → | 앤서니 스와잭 (2021) | |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38번 | |||||
소크라테스 브리토 (2019) | → | 로비 레이 (2020~2021) | → | 제레미 비슬리 (2022) |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38번 | |||||
앤서니 미세비츠 (2020~2021) | → | 로비 레이 (2022~2023) | → | 결번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 |||||
작 피더슨 (2022~2023) | → | 로비 레이 (2024) | → | 결번 |
2021년 8월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투수 상 | ||||
제임슨 타이욘 (뉴욕 양키스) | → | 로비 레이 (토론토 블루제이스) | → | 프랭키 몬타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1] 2회말 0아웃까지 벌써 3실점을 하고 주자까지 쌓인 상황. 볼티모어 더그아웃 혹은 관중석 방향의 누군가가 계속 "¡ÁNDALE"라고 소리쳤다.[2] 하이드 입장에서는 안그래도 100패 페이스의 스트레스 잔뜩 받는 시즌인데 이런 의심까지 받으니 감정이 격해졌던 것으로 보인다.[3] 확실한 물증이 없어서 그랬는지, 아니면 하이드의 기세에 눌렸는지 상당히 위축된 모습이었다.[4] "What're you doing there ???, Robbie? We can't say anything? Pitch the fuckin' ball. We ain't sayin' shit. Keep fuckin' go. Fuckin' last thing you gotta worry about." "Fuck you lookin at? Fuckin back ass[5] on the mound." "Fuck did I do? Fuck off! We ain't saying shit here. We ain't saying shit here!
[5] 흥분해서 "ass back"의 어순이 "back ass"라고 헛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