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bd3039>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투수 | 0 뷸러 · 22 휘틀록 · 25 윈코스키 · 31 헨드릭스 · 35 크로셰 · 43 산도발 · 44 채프먼 · 50 크로포드 · 54 지올리토 · 57 와이서트 · 63 슬레이튼 · 64 크리스웰 · 66 베요 · 67 펜로드 · 68 프리스터 · 72 머피 · 76 켈리 · 80 피츠 · 83 버나디노 · 89 하우크 · 93 페랄레스 · 99 게레로 · # 도빈스 · # 윌슨 | |
포수 | 12 웡 · # 나바에스 · # 세이볼 | ||
내야수 | 3 라파엘라 · 5 그리솜 · 10 스토리 · 11 데버스 · 17 해밀턴 · 20 소가드 · 23 곤잘레스 · 36 카서스 | ||
외야수 | 7 요시다 · 16 듀란 · 30 레프스나이더 · 52 아브레우 · # 가르시아 | ||
'''''' 알렉스 코라 라몬 바스케스 피터 팻츠 벤 로젠탈 · 딜런 로슨 앤드류 베일리 호세 플로레스 카일 허드슨 크리스 홀트 제이슨 배리텍 찰리 매든 | |||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요시다 마사타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34번 | ||||
나카야마 신야 (2012~2015) | → | <colbgcolor=#9e751f><colcolor=#ffffff> 요시다 마사타카 (2016~2021) | → | 요코야마 세이야 (2024~) | |
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7번 | |||||
이토이 요시오 (2013~2016) | → | 요시다 마사타카 (2022) | → | 니시카와 료마 (2024~) |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7번 | |||||
크리스티안 바스케스 (2016~2022) | → | 요시다 마사타카 (2023~) | → | 현역 |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No.7 | |
요시다 마사타카 [ruby(吉田, ruby=よしだ)] [ruby(正尚, ruby=まさたか)] | Masataka Yoshida | |
출생 | 1993년 7월 15일 ([age(1993-07-15)]세) |
후쿠이현 후쿠이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츠루가케히 고교 (敦賀気比高等学校) - 아오야마가쿠인대학 (青山学院大学) |
신체[1] | 173cm | 87kg |
포지션 | 지명타자, 좌익수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 입단 | 2015년 드래프트 1순위 (오릭스) |
소속팀 | 오릭스 버팔로즈 (2016~2022) 보스턴 레드삭스 (2023~) |
계약 | 2023 - 2027 / $90,000,000 |
연봉 | 2025 / $18,000,000 |
등장곡 | 오릭스 시절: Village People -〈Macho Man〉[2] 현재: Flo Rida -〈Good Feeling〉 |
응원가 | 오릭스 시절[가사(통상)] | 오릭스 시절[가사(경지)] |
에이전트 | 보라스 코퍼레이션 |
후원사 | 언더아머 |
| |
[clearfix]
1. 개요
일본 국적의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 외야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요시다 마사타카/선수 경력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포스팅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19년 | 2020년 | 2023년 | }}} |
3. 플레이 스타일
장거리 교타자 유형의 선수로, KBO 선수들과 비교하자면 이대호, 김태균, 김동주 등과 비슷한 비율 스탯 깡패이다. NPB 시절엔 큰 스윙을 가진 장거리포이면서 준수한 타율과 정교함, 뛰어난 선구안까지 겸비한 완전체형 타자로 평가받았다. 실제로 2022 시즌까지 통산 볼삼비가 1.4개이며 데뷔 2년차 시즌부터 매 시즌 3/4/5 라인을 찍을 정도로 비율 스탯만 보면 흠잡을 데가 없다. 리그의 수준이 보다 높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NPB 시절의 타격을 보여줄 지는 미지수라고 평가받았었으나,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메이저리그 클래스의 투수들을 상대로 준수한 타격을 보여주며 회의론을 불식시켰고 메이저리그에서도 컨택은 여전해 더 높은 수준의 투수들의 공에도 헛스윙을 거의 하지 않아 삼진율을 낮게 유지 중이다.
요시다의 홈런 장면 |
카도타 히로미츠와 유사한 유형의 풀스윙형 타자[5]로, 키는 173cm로 일본인 일반 성인 남성 평균 키와 비교해도 거의 차이가 없다. 그러나 체계적인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 '마초맨'이란 별명이 붙을 정도인 상당한 골격근량을 가지고 있으며, 매우 빠른 몸통 움직임에서 나오는 호쾌한 풀스윙을 통해 작은 키를 극복한 뛰어난 파워를 자랑한다. 2019년까지는 타구 분포가 명백한 풀히터였지만 2020년에 들어서는 스프레이 히터에 가까워지며 더욱 발전하였다. 2020년부터는 2스트라이크 이후에는 밀어치는 걸 의식한다고 밝혔으며 실제로 2스트라이크시 타구 분포가 0~1스트라이크 때와 비교해서 더 좌익수쪽으로 많이 보내는 편. 작은 체격에도 근육질 체구에 스윙이 크고 손목 힘이 강한 편이라 타구 비거리가 상당한 편이다. 풀히터라는 인식이 있어서인지 메이저리그마냥 2루수가 2익수 자리에 서고 3루수가 2루수 자리로 이동하며 3유간을 비워버리는 극단적 좌타 풀히터 상대 수비 시프트가 걸리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체격이 크지 않은 탓인지 데뷔 시즌부터 허리 쪽 부상이 고질적인 문제였고 잔부상도 꽤 있는 편이었다. 이에 몸에 걸리는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2017년 시즌 중반부터는 스윙 이후 팔로스루를 할 때 한 손을 놓는 타격을 한다. 두 손으로 팔로스루를 하는 게 일반적인 일본 선수들 중에서는 드문 케이스라 이런 쪽으로도 팬들에게 주목을 받는다. 2017 시즌 종료 후 허리 수술을 받은 이후 현재까지는 허리 부상이 재발하지 않은 상태.
엄청난 타격에 비해 수비와 주루는 상당히 나쁘다. 그래서 일본 시절 어마어마한 wRC+를 기록하였는데도 불구하고 WAR이 높지 않게 찍혔다. 우선 수비로 보자면 일단 외야수치고 어깨가 많이 약해서 가까운 거리에서도 노바운드 홈송구가 잘 되지 않기에 좌익수 말고 다른 포지션을 보긴 버거울 지경이다. 이외에도 기본적인 수비력이 타격에 비하면 심히 나쁜지라 주로 좌익수를 보는 편이고 간간히 체력안배를 위해 지명타자로 출장한다. 하지만 보스턴 이적 후엔 지명타자 자리에 저스틴 터너가 자리를 꿰찰 것으로 예상되기에 좌익수를 주로 볼 것으로 보인다. 다행인 점은 팬웨이 파크는 그린 몬스터의 존재로 인해 좌익수의 강력한 어깨의 중요성이 다소 떨어지는 편이라는 점이다. 물론, 애초에 홈구장인 펜웨이 파크[6]를 쓰는 좌익수들은 기형적인 구장 구조로 인해 수비 WAR부분에서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음은 참작해야 한다.
프로 데뷔 이후 지금까지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한 적이 없을 정도로 주루 능력도 그닥 좋지 않다. 즉 타격 이외의 기여도는 일본 시절부터 높다고 보긴 힘든 타입.
메이저리그에 진출한 뒤엔 생각보다 떨어지는 선구안을 제외하면 위에 서술된 예상 대다수가 적중하여 리그 상위권의 컨택과 10개 중반의 홈런을 기록할 정도의 갭 파워, 그에 비해 리그 최하수준의 수비력과 주루를 선보이는 중이다. 메이저리그 진출 후 가장 아쉬운 점은 타격의 기복이 상당히 심해졌다는 점. 컨디션이 좋을 땐 거의 170에 달하는 월간 wRC+를 기록할 정도로 타격 도사의 모습을 보여주지만 컨디션이 나쁠 땐 발사각이 급격하게 나빠지는 등 영락없는 땅볼 머신이 되어버린다. 특히 NPB 시절과 다른 환경으로 인해 후반기에 체력 이슈가 생겼고, 그 점을 간파한 투수들이 후반기에는 아예 존 안에 들어가는 직구만 던져댔음에도 불구하고 죽 땅볼만 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나마 나은건 예상대로 끔찍한 수비력과 주루를 선보였지만, 홈구장 펜웨이 파크는 구장 특성상 좌익수가 할게 마땅히 없기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그리고 리그 하위권의 스프린트 속도에도 불구하고 두자릿수 도루를 기록할만하다는걸 보여줬다는 것도 한가지.
4. 여담
- 중학교 시절에는 일본프로야구보다 MLB를 더 즐겨봤다고 한다. 롤모델도 메이저리그에서 활약하는 중인 브라이스 하퍼이다. 하퍼가 필라델피아 필리스로 이적한 후엔 3번을 사용 중이지만 2021년까지는 하퍼를 따라 34번을 고수했었다. 이후 2022 시즌이 끝나고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MLB 진출에 성공하였고 하퍼를 직접 상대편으로 만나며 성공한 덕후가 되었다[7]. 배트까지 받은 건 덤.#
- 본인이 드래프트 1순위로 지명된 이유로 대학 4학년 때 광주 유니버시아드에 대학 국가대표로 출전한 일을 뽑은 바가 있다. 당시 같은 학년이었던 다카야마 슌(메이지대→한신), 모기 에이고로(와세다대→라쿠텐)는 도쿄 6대학 리그에서 뛰는 반면 자신은 대학 2부 리그에서 활동할 수밖에 없게된 것에 대한 아쉬움이 기량 향상의 원동력이 됐다고 한다. #[8][9]
- 츠루가케히 고교 1년 후배로는 니시카와 료마가 있다.
- 2017년 10월 모델 겸 사업가 유리카와 결혼했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한국전이 끝난 후 이정후와 배트를 교환했다. 인스타그램에 조만간 보자는 말을 하며 이정후의 메이저리그 진출을 기다린다는 뉘앙스의 말을 남겼다. WBC 전부터 서로 연락을 주고 받는 등 원래 이정후와 친한 사이였다고 한다.[10] 이후 2024년부터 이정후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입단하며, 입단식때 이정후에게 축하메시지를 남겼다.
5. 둘러보기
현역 일본인 메이저리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No.11 | No.18 | No.17 | No.16 |
다르빗슈 유 | 마에다 겐타 | 오타니 쇼헤이 | 기쿠치 유세이 | |
No.27 | No.7 | No.34 | No.1 | |
스즈키 세이야 | 요시다 마사타카 | 센가 코다이 | 마쓰이 유키 | |
No.18 | No.18 | No. | No.16 | |
야마모토 요시노부 | 이마나가 쇼타 | 스가노 도모유키 |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019><tablebgcolor=#000019> | 오릭스 버팔로즈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ec1c24 {{{#!folding [ 한큐 브레이브스 ]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65년 ~ 1988년 | ||||
1965년 | 1966년 1차 | 1966년 2차 | 1967년 | 1968년 | ||
나가이케 아츠시 (長池徳士) | 미즈타니 타카시 (水谷孝) | 히라바야시 지로 (平林二郎) | 와타나베 카즈오 (渡辺一夫) | 야마다 히사시 (山田久志) | ||
1969년 | 1970년 | 1971년 | 1972년 | 1973년 | ||
미와타 카츠토시 (三輪田勝利) | 코마츠 켄지 (小松健二) | 와타나베 히로키 (渡辺弘基) | 이시다 마코토 (石田真) | (江川卓) | ||
1974년 | 1975년 | 1976년 | 1977년 | 1978년 | ||
야마구치 타카시 (山口高志) | (住友一哉) | 사토 요시노리 (佐藤義則) | 마츠모토 쇼지 (松本正志) | 세키구치 토모유키(1) (関口朋幸) | ||
1979년 | 1980년 | 1981년 | 1982년 | 1983년 | ||
키노시타 토모히로(1) (木下智裕) | (川村一明) | 야마오키 유키히코(1) (山沖之彦) | 에노키다 켄이치로(1) (榎田健一郎) | 노나카 테츠히로(1) (野中徹博) | ||
1984년 | 1985년 | 1986년 | 1987년 | 1988년[2] | ||
시라이 타카유키 (白井孝幸) | 이시이 히로시(1) (石井宏) | 타카기 코지(1) (高木晃次) | 이토 아츠노리(2) (伊藤敦規) | 사카이 츠토무(2) (酒井勉)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c74b {{{#!folding [ 오릭스 브레이브스 - 블루웨이브 ] {{{#555555,#aaaaaa | 1989년 ~ 2004년 | ||||
1989년 | 1990년 | 1991년 | 1992년 | 1993년 | |
사토 카즈히로(1) (佐藤和弘) | 하세가와 시게토시 (長谷川滋利) | 타구치 소(2) (田口壮) | 코바야시 히로시(1) (小林宏) | 히라이 마사후미 (平井正史) | |
1994년 | 1995년 | 1996년 | 1997년 | 1998년 | |
카세 토시히로 (嘉㔟敏弘) | 이마무라 후미아키(1) (今村文昭) | 스기모토 유우(3) (杉本友) | 카와구치 토모야(2) (川口知哉) | (新垣渚) |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
야마구치 카즈오(3) (山口和男) | (内海哲也) | 오가와 유스케(3) (小川裕介) | 카토 다이스케(3) (加藤大輔) | 카토 타츠오 (歌藤達夫) | |
히라노 케이이치(3) (平野恵一) | |||||
2004년 | |||||
카네코 치히로(3) (金子千尋) |
{{{#!wiki style="margin:0 -10px -5px" {{{#9e751f {{{#!folding [ 오릭스 버팔로즈 ] {{{#555555,#aaaaaa | 2005년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T-오카다(1)(4) (T-岡田) | 노부에 다이스케(1)(4) (延江大輔) | 니와 마사야(1)(4) (丹羽将弥) | 카이 타쿠야[3] (甲斐拓哉) | 후루카와 슈이치 (古川秀一) | |
히라노 요시히사(3)(5) (平野佳寿) | 코마츠 사토시(3)(5) (小松聖) | 코바야시 켄지(1)(5) (小林賢司)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고토 슌타(1)[4] (後藤駿太) | 아다치 료이치(1) (安達了一) | 마츠바 타카히로(1) (松葉貴大) | 요시다 카즈마사 (吉田一将) | 야마사키 사치야 (山﨑福也) |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요시다 마사타카 (吉田正尚) | 야마오카 타이스케 (山岡泰輔) | 타지마 다이키(2) (田嶋大樹) | 오타 료(1) (太田椋) | 미야기 히로야(1) (宮城大弥)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야마시타 슌페이타(1) (山下舜平大) | 무쿠노키 렌 (椋木蓮) | 소타니 류헤이 (曽谷龍平) | 요코야마 세이야 (横山聖哉)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당첨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1]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아니면 입단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여 다른 팀의 지명을 모두 거부했다. 1973년에는 한큐에 지명되었으나 거부하고 대학에 진학하였으며, 1977년에는 크라운라이터(現 세이부)의 지명을 거부, 1978년에는 한신의 지명을 거부하고 이른바 '공백의 1일'사건을 일으켰으나 일본야구기구의 중재로 결국 코바야시 시게루와의 맞트레이드를 통하여 쿄진에 입단하게 된다.[2] 다이에와 마찬가지로 시즌은 한큐로 치렀으나, 시즌 직후 매각되어 드래프트는 오릭스로 참가했다.[3] 투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의 포수와는 음이 같지만 한자가 다르다. 그 쪽은 「甲斐拓也」[4] 1라운드 복수 지명 추첨에서 무려 3번이나 떨어지고 나서 지명한 선수(...) 2022년까지 뛰다 2023년 주니치 드래곤즈로 트레이드되었다. 여담으로 이 해 오릭스가 1라운드에서 순차적으로 지명한 복수지명 선수는 오이시 타츠야(세이부)-이시미네 쇼타(롯데)-야마다 테츠토(야쿠르트). | ||||
킨테츠의 1라운드 지명선수는 틀: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라운드 지명선수 참조 |
요시다 마사타카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2023 |
2023 WBC ALL-WORLD TEAM AWARD | |||||||||
{{{#!wiki style="color:#1E376D;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OF | OF | OF | ||||||
SS | 2B | ||||||||
3B | SP | 1B | |||||||
DH | C | SP | CP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2 |
2019 WBSC 프리미어 12 {{{#c7bc69 우승반지}}} |
2019 |
2020 도쿄올림픽 금메달 |
202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350 | 랜디 바스 한신 / .389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 토니 블랑코 DeNA / .333 | 맷 머튼 한신 / .33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사노 케이타 DeNA / .32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론 리 롯데 / .358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 부머 웰즈 한큐 / .355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 부머 웰즈 한큐 / .32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 릭 쇼트 라쿠텐 / .332 |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 랜디 바스 한신 / .428 | 랜디 바스 한신 / .481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 이치로 오릭스 / .445 | 이치로 오릭스 / .432 | 이치로 오릭스 / .422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 이치로 오릭스 / .412 | 이치로 오릭스 / .460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는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후 1985년부터 출루율이 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며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fb1e5> | 퍼시픽 리그 역대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
<rowcolor=#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레론 리 롯데 | |
<rowcolor=#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레론 리 롯데 |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 ||
<rowcolor=#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
<rowcolor=#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트로이 닐 오릭스 |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필 클라크 킨테츠 | ||
<rowcolor=#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프랭크 볼릭 롯데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
<rowcolor=#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터피 로즈 오릭스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
<rowcolor=#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
<rowcolor=#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이대호 소프트뱅크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 |
}}} ||
[1] 메이저 리그 공식 웹사이트에는 5' 8"/192(약 173cm/87kg), 일본 야구 기구 공식 웹사이트에는 173cm/85kg으로 기재되어 있다.[2] 교세라 돔 오사카에서 요시다가 등장할 때 전광판을 보면 루차도르 마스크를 쓰고 아령 운동을 하고 있는 요시다가 등장한다. 팀에서도 아령 모양 풍선을 응원 도구로 판매하기에 관중들이 마초맨에 맞춰 아령 모양 풍선을 올렸다 내리는 모습도 볼 수 있다. 2018년 버전 등장 영상[가사(통상)]
홀수
力を求める限り [ruby(幾多, ruby=いくた)]の困難乗り越え
치카라오모토메루카기리 이쿠타노콘난노리코에
힘을 한계까지 추구하여 수많은 곤란을 뛰어넘어
前人未到の境地 辿り着く男の名は
젠진미토-노쿄-치 타도리츠쿠오토코노나와
전인미도(=전인미답)의 경지에 도달할 남자의 이름은
正尚!正尚!正尚!正尚!
마사타카! X4
마사타카! X4
짝수
Woi! Woi! Woi! Woi! Woi! それ正尚ー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소레 마사타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그래 마사타카~
Woh... Woi! それかっ飛ばせー
오오... 어이! 소레 캇토바세~
오오... 어이! 그래 날려버려~
正尚!正尚!正尚!正尚!
마사타카! X4
마사타카! X4
(이하 반복)[가사(경지)]
Intro1
Wohhh... MA! SA! TA! KA! MA! SA! TA! KA!
A멜로디
Woi! Woi! Woi!Woi! Woi!Woi! Woi!Woi!Woi! Woi! YO! SHI! DA!
후렴
その力ここで【魅せろ!!魅せろ!!】
소노치카라코코데 (미세로! 미세로!)
그 힘 여기에 (보여라! 보여라!)
全身全霊 【懸けろ!!懸けろ!!】
젠신젠레이 (카케로! 카케로!)
전신전령을 (걸어라! 걸어라!)
Intro2
Wohhh... MA! SA! TA! KA!
(인트로1 → (A멜로디 → 후렴) X2 → 인트로2 → (A멜로디 → 후렴) X2...이하 반복)[5] 이 때문에 일본 언론에서 '제2의 카도타 히로미츠'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6] 사실 보스턴이 요시다 마사타카 영입전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근거가 바로 이것이다. 요시다 수비력이 아무리 좋지 않다고 해도 커버해야할 범위도 좁고, 장거리 송구를 할 상황 자체가 없기 때문에 주력 및 수비 약점을 상당 수준 메울 수 있기 때문.[7] 미국에 나란히 건너와서 비교되는 스즈키 세이야는 마이크 트라웃이 롤모델이다.[8] 도쿄 6대학 리그의 수준이 예전과 같이 무조건적인 성지 취급은 받지 않지만 여전히 일본 대학야구에선 최고 수준의 대학 리그이며, 관중 동원도 웬만한 고교 야구 못지않을 정도로 대학 야구에선 최고 수준이다. 요시다가 속했었던 아오야마가쿠인 역시 도쿄 6대학에 꿀리지 않는 명문 리그인 도토대학야구연맹 소속이지만 이 당시에는 도토 1부가 아닌 2부 리그 소속이었다.[9] 프로에서는 거꾸로 요시다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을 만큼 최고의 평가를 받는다. 나머지 둘 중 모기는 현재까지도 준수한 타격의 훌륭한 유격수로 평가받는데, 타카야마는 신인왕까지는 탔지만 이후로의 성장세가 지지부진하다.[10]
홀수
力を求める限り [ruby(幾多, ruby=いくた)]の困難乗り越え
치카라오모토메루카기리 이쿠타노콘난노리코에
힘을 한계까지 추구하여 수많은 곤란을 뛰어넘어
前人未到の境地 辿り着く男の名は
젠진미토-노쿄-치 타도리츠쿠오토코노나와
전인미도(=전인미답)의 경지에 도달할 남자의 이름은
正尚!正尚!正尚!正尚!
마사타카! X4
마사타카! X4
짝수
Woi! Woi! Woi! Woi! Woi! それ正尚ー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소레 마사타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어이! 그래 마사타카~
Woh... Woi! それかっ飛ばせー
오오... 어이! 소레 캇토바세~
오오... 어이! 그래 날려버려~
正尚!正尚!正尚!正尚!
마사타카! X4
마사타카! X4
(이하 반복)[가사(경지)]
Intro1
Wohhh... MA! SA! TA! KA! MA! SA! TA! KA!
A멜로디
Woi! Woi! Woi!Woi! Woi!Woi! Woi!Woi!Woi! Woi! YO! SHI! DA!
후렴
その力ここで【魅せろ!!魅せろ!!】
소노치카라코코데 (미세로! 미세로!)
그 힘 여기에 (보여라! 보여라!)
全身全霊 【懸けろ!!懸けろ!!】
젠신젠레이 (카케로! 카케로!)
전신전령을 (걸어라! 걸어라!)
Intro2
Wohhh... MA! SA! TA! KA!
(인트로1 → (A멜로디 → 후렴) X2 → 인트로2 → (A멜로디 → 후렴) X2...이하 반복)[5] 이 때문에 일본 언론에서 '제2의 카도타 히로미츠'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6] 사실 보스턴이 요시다 마사타카 영입전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근거가 바로 이것이다. 요시다 수비력이 아무리 좋지 않다고 해도 커버해야할 범위도 좁고, 장거리 송구를 할 상황 자체가 없기 때문에 주력 및 수비 약점을 상당 수준 메울 수 있기 때문.[7] 미국에 나란히 건너와서 비교되는 스즈키 세이야는 마이크 트라웃이 롤모델이다.[8] 도쿄 6대학 리그의 수준이 예전과 같이 무조건적인 성지 취급은 받지 않지만 여전히 일본 대학야구에선 최고 수준의 대학 리그이며, 관중 동원도 웬만한 고교 야구 못지않을 정도로 대학 야구에선 최고 수준이다. 요시다가 속했었던 아오야마가쿠인 역시 도쿄 6대학에 꿀리지 않는 명문 리그인 도토대학야구연맹 소속이지만 이 당시에는 도토 1부가 아닌 2부 리그 소속이었다.[9] 프로에서는 거꾸로 요시다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했을 만큼 최고의 평가를 받는다. 나머지 둘 중 모기는 현재까지도 준수한 타격의 훌륭한 유격수로 평가받는데, 타카야마는 신인왕까지는 탔지만 이후로의 성장세가 지지부진하다.[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