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efe01><tablebgcolor=#fefe01> | 한신 타이거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군 감독 | 22 후지카와 큐지 | |||||
1군 | 78 히라타 카츠오 (수석코치) · 88 안도 유야 (투수코치) · 90 쿠보타 토모유키 (투수코치) 83 시마다 무네히코 (배터리코치) · 73 미즈구치 에이지 (타격코치) · 77 이마오카 마코토 (타격코치) 81 바바 토시후미 (내야수비·주루코치) · 74 후지모토 아츠시 (내야수비·주루코치) · 96 츠츠이 소 (외야수비·주루·전력분석코치) | ||||||
2군 | 86 와다 유타카 (2군 감독) · 85 후쿠하라 시노부 (투수코치) · 72 에구사 히로타카 (투수코치) · 89 와타나베 료 (투수코치) 87 노무라 카츠노리 (배터리코치) · 84 히다카 다케시 (배터리 코치 보좌) · 91 키타가와 히로토시 (타격코치) 75 야마자키 노리하루 (타격코치) · 70 타나카 슈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76 쿠도 타카히토 (외야수비·주루코치) 71우에모토 히로키 (야수코치)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한신 타이거스,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이마오카 마코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코치 |
2023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2010 |
1996 애틀랜타 올림픽 {{{#8c8c8c 은메달}}} |
200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수위 타자 |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드래곤즈) |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타이거스) | → |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도요 카프) |
200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최다 타점 | ||||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타이거스) |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타이거스) | → | 타이론 우즈 (주니치 드래곤즈) |
2002, 2003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2루수 부문 베스트 나인 | ||||
에디 디아즈 (히로시마 도요 카프) |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타이거스) | →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드래곤즈) 그렉 라록카 (히로시마 도요 카프) |
200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3루수 부문 베스트 나인 |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드래곤즈) | →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타이거스) | → | 이와무라 아키노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7번 | ||||
마유미 아키노부 (1979~1995) | → | 이마오카 마코토 (1997~2009) | → | 후지카와 슌스케 (2010~2012) |
{{{#fff [[치바 롯데 마린즈|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2번}}} | ||||
바비 발렌타인 (2004~2009) | → | 이마오카 마코토 (2010~2012) | → | 네모토 슌이치 (2013~2018) |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77번 | ||||
세키가와 코이치 (2015) | → | 이마오카 마코토 (2016~2017) | → | 오넬키 가르시아 (2019~2020) |
{{{#fff [[치바 롯데 마린즈|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77번}}} | ||||
츠루오카 카즈나리 (2017) | → | 이마오카 마코토 (2018~2021) | → | 키무라 유지 (2022~) |
<colbgcolor=#fefe01><colcolor=#000000> 한신 타이거스 No. 77 | |
이마오카 마코토 今岡真訪[1] / Makoto Imaoka | |
출생 | 1974년 9월 11일 ([age(1974-09-11)]세) |
효고현 타카라즈카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포지션 | 2루수, 3루수, 유격수 |
투타 | 우투우타 |
학력 | PL학원고등학교 - 토요대학 |
프로입단 | 1996년 드래프트 1순위(역지명) 한신 타이거스 입단 |
소속팀 | 한신 타이거스 (1997~2009) 치바 롯데 마린즈 (2010~2012) |
지도자 |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타격, 수비 코치[2] (2012) 한신 타이거스 2군 야수종합코치 (2016~2017)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감독 (2018~2020)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수석코치 (2021) 한신 타이거스 1군 타격코치 (2023~) |
[clearfix]
1. 개요
한신 타이거스와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활동한 야구선수 및 지도자.2. 선수 경력
위에도 적혀있다시피 오사카 지역 야구 명문고 출신으로 토요대학을 거쳐 1996년 드래프트 1순위 역지명으로 고향팀에 입단했다.2.1. 한신 타이거스 시절
2.1.1. 한신 타이거스 초창기
1997년부터 요시다 요시오 감독이 중용하여 1군 멤버로 거의 풀타임을 뛰었다. 당시 4466566664의 중간부분을 지나던 한신의 암울한 팀 성적 덕분에 나름대로 기회를 받은 셈. 1998년엔 기존 유격수이던 쿠지 테루요시가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3]하면서 빈 유격수 자리에 들어가 .293, 7홈런 44타점을 기록해 가능성을 보여줬다.[4] 1999년에도 주전 유격수 자리에 있었으나, 후반기에는 2루수로 주로 나왔다. 타격 성적은 전년보다 못한 .252, 6홈런, 39타점.[5] 2000년에는 40경기 출전에 그치며 백업 멤버로 전락했고, 2001년에도 별 차이가 없었다.2.1.2. 한신 타이거스 중후반기
호시노 센이치가 감독으로 부임한 2002년, 이마오카는 포텐을 터뜨리며 주전에 안착했다. 당시 1번 타자를 주로 맡던 아카호시 노리히로가 부상으로 이탈한 적 있었는데, 그 빈 자리를 메우면서 .317에 15홈런을 기록하며 한신의 최하위 탈출에 공헌했다. 2003년에도 주전 1번타자 2루수로 나서면서 .340으로 리그 수위타자 타이틀을 획득했다. 홈런은 12개로 약간 줄었지만 타점은 72점이나 뽑으며 득점권에 강한 모습을 보였다. 팀도 이 시즌 드디어 센트럴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4466566664로 이어지던 암흑기를 종결짓고, 2003년 일본시리즈에 진출했다. 2004년에도 .306에 28홈런 83타점으로 준수한 활약을 했지만 골든글러브를 받지는 못했다.[6] 그리고 이 시즌부터는 주로 클린업 트리오에 배치되었다.2005년에는 5번 타순, 3루수[7]로 많이 나왔는데, 타율은 .279로 높지는 않았지만 29홈런에 147타점을 벌어들이는 가공할 수준의 득점권 타율을 기록했다. 이 시즌 이마오카의 스탯은 그야말로 충격 그 자체였는데, 147타점이나 기록한 것도 대단한 것이지만, 루상에 주자가 많아질수록 타율이 높았다는 것이 더더욱 충격적이었다. 이 시즌 만루에서 이마오카의 타율은 25타수 15안타 6할인데 반해서 주자가 없을 땐 타율이 2할 3푼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야말로 주자가 있을 때만 강해지는 엄청난 집중력을 시전하면서 찬스에 약한 타자들에게 좋은 반면교사가 되었다. 이 147타점은 2023시즌 종료 시점 기준으로도 아직 깨지지 않은 한신 타이거스 구단 역사상 한 시즌 최다 타점 기록.[8][9] 여기에 더해 이마오카 앞에는 카네모토 토모아키가 .327 40홈런 125타점을 기록했고, 하위타선에는 야노 아키히로가 19홈런을 때려내고 71타점을 기록하며 핵우산 효과를 제대로 누렸다. 이렇게 가공할 위력의 공격력에 더해 승리의 방정식까지 확립한 한신은 센트럴 리그를 문자 그대로 정ㅋ벅ㅋ하고 일본시리즈에 진출했으나 그 결과는...
2006시즌은 타격폼을 수정해 3할 타율을 노리며 시즌을 출발했다. 그러나 이 시즌부터 이마오카의 하향세가 시작되었는데 시즌 초반부터 저조한 타율을 기록해 부진했고 설상가상으로 교류전에서 손에 데드볼을 맞고 장기 이탈하기도 했다. 부상에서 회복된 이후로는 송구에 지장이 생겨 선발 라인업에 이름을 올리지 못해 대타로 밀려나 씁쓸하게 시즌을 마무리 했다. 어느정도 반등한 2007년에는 그럭저럭 준수한 타격을 보여주었으나 2008년부터는 타율이 좀체 2할을 넘지 못하며 부진했고 결국 2009시즌 종료 후 전력 외 통고를 받게 된다. 현역을 연장하고 싶었던 그는 12구단 합동 트라이아웃에 참가, 치바 롯데 마린즈가 그를 눈여겨보고 영입 제안을 하자 2010년 치바로 이적하면서 현역 연장에 성공했다.
2.2. 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치바로 이적하고도 별 다른 활약은 없었지만[10], 그 해 클라이맥스 시리즈와 일본시리즈에서 적재적소에 대타나 대수비로 들어가서 나름대로 활약해 롯데의 일본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시즌 팀의 최하위 추락은 막지 못했고, 2012년엔 2군 타격코치 겸업을 하다가 그대로 선수 생활을 은퇴하였다. 통산 1309경기 1284안타 122홈런 594타점, 타율 .279 / 출루율 .325 / 장타율 .408 / OPS .733.
3. 지도자 및 해설가 시절
2012년 치바 롯데 마린즈의 2군 코치 겸업을 하다가 시즌 종료 후 퇴단, 그 뒤로는 3년간 현장으로 돌아가지 않고 해설자 생활을 했다. 2016년 한신 타이거스 2군 코치로 부임해 2시즌 간 활동하다 2018년 다시 치바로 돌아가 2군 감독을 달았다. 2021년에는 1군 수석코치까지 승진하기도 했다.2021년을 끝으로 롯데를 퇴단했고, 이후 2022년엔 닛칸스포츠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프리랜서 TV 야구해설자를 겸임하다 2023년에 한신 시절 감독이었던 오카다 아키노부의 감독 복귀에 맞춰 한신 1군 타격코치에 취임하며 6년 만에 데뷔팀으로 복귀했다.
4. 기타
-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 일본 대표로 출전해서 은메달을 획득한다. 당시 팀동료로는 마쓰나카 노부히코, 후쿠도메 고스케, 이구치 타다히토, 타니 요시토모 등이 있다. 이구치 타다히토와는 대학 시절에 라이벌로 이구치는 관동, 이마오카는 관서를 대표하는 대형 유격수 유망주였다. 둘 다 다른 포지션에서 대성한 것도 공통점.
5. 둘러보기
[1] 본명은 표기가 다른 今岡誠로, 2017년부터 등록명을 바꿨다.[2] 플레잉 코치.[3] 외야수 세키카와 코이치와 같이 주니치로 이적했으며, 주니치에서는 타이호 야스아키와 야노 아키히로가 한신으로 트레이드되었다.[4] 그해 고시엔 구장에서 선동열에게 블론세이브를 안기는 동점홈런을 친 적도 있다.[5] 그해 11월 한일 슈퍼게임 3차전에 선발 2루수로 출장했다.[6] 사실 2004 시즌엔 골든글러브 관련해서 말이 많았었는데, 아라키 마사히로 항목에 가면 볼 수 있다.[7] 기존에 FA로 영입했던 카타오카 아츠시가 에이징 커브와 부상에 신음하고 있었다. 대학리그 최고의 타자이던 토리타니 타카시가 유격수 자리를 맡으며 기존 유격수 후지모토 아츠시가 2루행. 이마오카가 3루행.[8] 이마오카 바로 다음 순위는 1950년 후지무라 후미오의 146타점.[9] 역대 한 시즌 최다 타점 기록자는 1950년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의 161타점이며 2위는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로버트 로즈가 1999년에 기록한 153타점이다. 이마오카는 역대 3위.[10] 한신 시절엔 타격부진으로 본의 아니게 롯데의 우승에 2번이나 공헌을 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