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4:38:41

워렌 크로마티

워렌 크로마티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역대 4번 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49c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사와 후지오
(永沢富士雄)
파일:일본 국기.svg 이토 켄타로
(伊藤健太郎)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지마 하루야스
(中島治康)
파일:일본 국기.svg 츠츠이 오사무
(筒井修)
파일:일본 국기.svg 마에카와 하치로
(前川八郎)
1936夏 1936夏-1943 1936夏-1948 1936秋 1937秋
<rowcolor=#f49c00>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파일:일본 국기.svg 미즈하라 시게루
(水原茂)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카미 테츠하루
(川上哲治)
파일:일본 국기.svg 아오타 노보루
(青田昇)
파일:일본 국기.svg 키구레 리쿠조
(木暮力三)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무라 마사미
(中村政美)
1937秋 1939-1958 1943-1952 1943 1943-1944
<rowcolor=#f49c00>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스다 히로시
(須田博)
파일:일본 국기.svg 콘도 사다오
(近藤貞雄)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바타 히로시
(川畑博)
파일:일본 국기.svg 쿠로사와 토시오
(黒沢俊夫)
파일:일본 국기.svg 코마츠바라 히로키
(小松原博喜)
1944 1944 1944 1946 1947
<rowcolor=#f49c00>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라야마 키쿠지
(平山菊二)
파일:일본 국기.svg 우노 미츠오
(宇野光雄)
파일:일본 국기.svg 미나미무라 후카시
(南村不可止)
파일:일본 국기.svg 테즈카 아키하루
(手塚明治)
파일:미국 국기.svg 미야모토 토시오
(宮本敏雄)
1948 1951-1953 1951-1952 1953-1954 1955-1961
<rowcolor=#f49c00>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가사 카즈오
(樋笠一夫)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오 시게루
(藤尾茂)
파일:일본 국기.svg 카시와에다 분지
(柏枝文治)
파일:미국 국기.svg 요나미네 카나메
(与那嶺要)
파일:일본 국기.svg 나가시마 시게오
(長嶋茂雄)
1955 1955-1961 1955 1958 1958-1974
<rowcolor=#f49c00> 제26대 제27대 제28대 제29대 제30대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자키 카즈히코
(坂崎一彦)
파일:일본 국기.svg 쿠니마츠 아키라
(国松彰)
파일:대만 국기.svg 오 사다하루
(王貞治)
파일:일본 국기.svg 이케자와 요시유키
(池沢義行)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마사아키
(森昌彦)
1959-1962 1960-1968 1962-1980 1963 1964-1965
<rowcolor=#f49c00>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34대 제35대
파일:일본 국기.svg 아이바 요시히로
(相羽欣厚)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다 카츠토요
(吉田勝豊)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쿠스오
(田中久寿男)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쿠라 테루유키
(高倉照幸)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나가 카츠야
(森永勝也)
1965 1965 1967 1967 1967
<rowcolor=#f49c00> 제36대 제37대 제38대 제39대 제40대
파일:일본 국기.svg 시바타 이사오
(柴田勲)
파일:일본 국기.svg 스에츠구 토시미츠
(末次利光)
파일:일본 국기.svg 야나기다 마사히로
(柳田真宏)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하리모토 이사오
(張本勳)
파일:일본 국기.svg 아와구치 켄지
(淡口憲治)
1969 1970-1975 1974 1976-1979 1976
<rowcolor=#f49c00> 제41대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 존슨
(ジョンソン)
파일:미국 국기.svg 존 시핀
(シピン)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모토 코지 파일:미국 국기.svg 로이 화이트
(ホワイト)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하타 키요시
(中畑清)
1976 1978-1979 1979-1980 1980-1982 1981-1988
<rowcolor=#f49c00>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50대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토마슨
(トマソン)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바라 마코토
(松原誠)
파일:일본 국기.svg 하라 타츠노리
(原辰徳)
파일:미국 국기.svg 레지 스미스
(スミス)
파일:미국 국기.svg 워렌 크로마티
(クロマティ)
1981 1981 1982-1995 1983-1984 1984-1990
<rowcolor=#f49c00>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파일:대만 국기.svg 루밍쑤
(呂明賜)
파일:일본 국기.svg 코마다 노리히로
(駒田徳広)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무라 사다아키
(吉村禎章)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브라운
(ブラウン)
파일:미국 국기.svg 필 브래들리
(ブラッドリー)
1988 1988-1992 1990-1998 1990 1991
<rowcolor=#f49c00>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제60대
파일:미국 국기.svg 로이드 모즈비
(モスビー)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바필드
(バーフィールド)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자키 카오루
(岡崎郁)
파일:일본 국기.svg 오쿠보 히로모토
(大久保博元)
파일:일본 국기.svg 오치아이 히로미츠
(落合博満)
1992-1993 1993 1993 1993 1994-1996
<rowcolor=#f49c00> 제61대 제62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사와 카츠미
(広沢克実)
파일:일본 국기.svg 마츠이 히데키
(松井秀喜)
파일:미국 국기.svg 셰인 맥
(マック)
파일:일본 국기.svg 키요하라 카즈히로
(清原和博)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이 히로오
(石井浩郎)
1995-1998 1995-2002 1996 1997-2005 1997-1999
<rowcolor=#f49c00> 제66대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하시 요시노부
(高橋由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밍고 마르티네스
(マルティネ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로베르토 페타지니
(ペタジーニ)
파일:일본 국기.svg 코쿠보 히로키
(小久保裕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엽
(李承燁)
1999-2014 1999 2003-2004 2004-2006 2006-2008
<rowcolor=#f49c00>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제75대
파일:일본 국기.svg 니오카 토모히로
(二岡智宏)
파일:일본 국기.svg 아베 신노스케
(阿部慎之助)
파일:일본 국기.svg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小笠原道大)
파일:일본 국기.svg 알렉스 라미레스
(ラミレス)
파일:일본 국기.svg 초노 히사요시
(長野久義)
2006 2007-2019 2007 2008-2011 2011-2016
<rowcolor=#f49c00> 제76대 제77대 제78대 제79대 제80대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타 슈이치
(村田修一)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호세 로페스
(ロペス)
파일:미국 국기.svg 존 보우커
(ボウカー)
파일:멕시코 국기.svg 레슬리 앤더슨
(アンダーソン)
파일:쿠바 국기.svg 프레데릭 세페다
(セペダ)
2012-2017 2013-2014 2013 2014-2015 2014
<rowcolor=#f49c00> 제81대 제82대 제83대 제84대 제85대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타 타이시
(大田泰示)
파일:일본 국기.svg 사카모토 하야토
(坂本勇人)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이 다이스케
(中井大介)
파일:일본 국기.svg 카메이 요시유키
(亀井善行)
파일:미국 국기.svg 개럿 존스
(ジョーンズ)
2014-2015 2015~ 2015 2015 2016
<rowcolor=#f49c00> 제86대 제87대 제88대 제89대 제90대
파일:멕시코 국기.svg 루이스 크루즈
(クルーズ)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시 맥기
(マギー)
파일:아이티 국기.svg 알렉스 게레로
(ゲレーロ)
파일:일본 국기.svg 오카모토 카즈마
(岡本和真)
파일:일본 국기.svg 마루 요시히로
(丸佳浩)
2016 2017-2018 2018 2018~ 2020
<rowcolor=#f49c00> 제91대 제92대 제93대 제94대 제95대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타 쇼
(中田翔)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카와 나오키
(吉川尚輝)
파일:미국 국기.svg 트레이 캐비지
(キャベッジ)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시로 타쿠미
(大城卓三)
파일:일본 국기.svg 마스다 리쿠
(増田陸)
2022 2025 2025 2025 2025
<rowcolor=#f49c00> 제96대
파일:일본 국기.svg 키시다 유키노리
(岸田行倫)
2025
1) 연도는 해당 선수가 4번 타자로 1경기 이상 출장한 해.
2) 볼드체일본야구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F8F2D>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외야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투수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외야수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외야수
에나츠 유타카
히로시마 / 투수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에나츠 유타카
요미우리 / 투수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포수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내야수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내야수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투수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포수
카쿠 켄지
주니치 / 투수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외야수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투수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투수
잭 하월
야쿠르트 / 내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내야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투수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외야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이가와 케이
한신 / 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외야수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외야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 내야수
알렉스 라미레즈
요미우리 / 외야수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외야수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투수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포수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외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내야수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외야수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84년 센트럴리그 최다 승리타점[1]
1983년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자이언츠)
20승리타점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자이언츠)
14승리타점
1985년
랜디 바스
(한신 타이거스)
22승리타점[2]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1986년 센트럴리그 최다 승리타점[3]
1985년
랜디 바스
(한신 타이거스)
22승리타점[4]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자이언츠)
18승리타점
1987년
코바야카와 타케히코
(히로시마 도요 카프)
16승리타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350
랜디 바스
한신 / .389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토니 블랑코
DeNA / .333
맷 머튼
한신 / .33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 .32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0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레론 리
롯데 / .358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부머 웰즈
한큐 / .355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부머 웰즈
한큐 / .32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릭 쇼트
라쿠텐 / .332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마키하라 타이세이
소프트뱅크 / .304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랜디 바스
한신 / .428
랜디 바스
한신 / .481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2 1963 1964 1965 196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이치로
오릭스 / .445
이치로
오릭스 / .432
이치로
오릭스 / .422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이치로
오릭스 / .412
이치로
오릭스 / .460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야나기마치 타츠루
소프트뱅크 / .382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에선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별도로 시상하다
1985년부터 출루율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면서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을 타이틀 시상 대상으로 반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 ||
파일:external/www.japantimes.co.jp/sp-jason-a-20160803.jpg
워렌 리빙스턴 크로마티
Warren Livingston Cromartie
출생 1953년 9월 29일 ([age(1953-09-29)]세)
플로리다마이애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1cm / 104kg
포지션 외야수, 1루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1973년 드래프트 1순위
몬트리올 엑스포스 지명
소속팀 몬트리올 엑스포스 (1977~1983)
요미우리 자이언츠 (1984~1990)
캔자스시티 로열스 (1991)
SNS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마이너리그2.2. 일본프로야구
3. 은퇴 이후4. 응원가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1970대 중반에서 1990년대 초까지 활동했던, 미국야구선수. 야구선수로서의 시작과 끝은 미국 메이저리그에서 기록했지만, 일본프로야구에서 전성기의 대부분을 보냈다. 특히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절이 최전성기로 평가받는다.

2. 선수 경력

2.1. 메이저리그/마이너리그

1953년 미국 플로리다마이애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레로이도 텍사스 주립대학교에서 미식축구쿼터백으로, 이후 니그로리그에서 내야수로 활동했던 만능 스포츠 맨이었다.

파일:external/montrealexposcards.files.wordpress.com/1983-topps-495-warren-cromartie.jpg
대학 졸업을 앞둔 1973년에 몬트리올 엑스포스의 지명을 받았고, 4년 동안의 마이너리그 생활을 거쳐 1977년부터 외야수로 메이저리그에 출장하기 시작했다. 1980년부터는 1루수로 포지션을 옮겼다. 1981년에는 팀의 내셔널리그 챔피언 결정전에도 주전으로 출장했다.

메이저리그에서도 10시즌 동안 1100경기 이상 출장했으며, 통산 1,100안타를 넘겼고 통산 OPS도 7할대 중반을 기록했다. 즉 일본에 용병으로 가는 선수 치고는 메이저리그에서도 상당한 수준의 성적을 냈던 것이다. 보통 일본에 용병으로 가는 선수들도 한국에 용병으로 오는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마이너 옵션이 있는 3년 기준으로 메이저와 마이너를 오가면서 타자는 대타/대수비, 투수는 패전 처리 불펜/임시 선발을 하다가 3년이 지나면 이후 1~2년 동안 AAA에서 뛰다가 아시아행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크로마티는 메이저 경력에서 10년 중 6년을 당당히 주전으로 뛰었다. 2020년에 일본에서 거물 용병으로 꼽혔던 저스틴 보어보다 통산 기록이 좋고(홈런 제외), 헤라르도 파라와 비슷한 급이다.

2.2. 일본프로야구

파일:external/s3-ap-northeast-1.amazonaws.com/8312d0b4-1b5e-4319-9493-22357e43c17f.jpg

1983년 시즌을 끝으로 자유 계약 선수가 되었고, 일본 최고의 명문 구단인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당시 요미우리는 전설적 홈런왕 왕정치가 감독으로 재임 중이었다.[5] 크로마티는 일본에서의 첫 시즌인 1984년에 10경기 연속 타점을 기록하며 팬들을 열광시켰고, 1986년까지 입단 후 3년 연속으로 시즌 30개 이상의 홈런을 날렸다. 1987년 일본시리즈에서 세이부 라이온즈와 대결했는데 크로마티가 중견수 수비 시에 보인 약점을 간파한 모리 마사아키 감독과 이하라 하루키 3루 주루 코치는 아키야마 코지의 중전 안타 시 1루주자였던 츠지 하츠히코를 홈베이스까지 보내는 과감하고 공격적인 주루 지도를 하여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2:06:30부터 참조. 이런 경우 보통 2루나 3루에서 멈추게 한다.

파일:external/www.chunichi.co.jp/PK2016091302100165_size0.jpg
그러나 1987년 6월 구마모토 현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경기에서 상대 투수인 미야시타 마사미(宮下昌己)와 빈볼 시비로 싸움이 벌어졌고,[6][7][8] 이 사건으로 그는 2,000달러가 넘는 벌금과 7경기 출전 정지의 징계를 받았다.[9] 이듬해인 1988년에도 엄지손가락 부상으로 49경기만 출장하는 데 그치면서, 부진을 거듭했다. 이해 호시노의 주니치가 리그 우승을 차지했고, 거인은 3위까지 고꾸라졌다가 겨우 2위로 마치는 바람에 왕정치 감독이 해임되었다. 나중에 왕정치가 네모토 리쿠오의 설득으로 요미우리가 아닌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감독을 맡게 되고 지금까지도 호크스 회장직을 지키고 있는 걸 생각하면 나름 야구사를 바꾼 복선이 된 셈이다.

파일:external/www.japantimes.co.jp/sp-jason-a-20160628.jpg
우측의 등번호 8번은 하라 타츠노리, 왼쪽의 등번호 22번은 당시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이적해와서 포수로 뛰던 나카오 타카요시인데, 이 3명은 전부 센트럴리그 MVP를 수상한 바 있다.[10]

다음 해인 1989년, 크로마티는 타율 .378에 15홈런, 78타점의 맹타를 기록하며 그해 요미우리의 센트럴리그-1989년 일본시리즈 우승의 1등 공신으로 활약했다. 이 공로로 센트럴리그 MVP도 차지하며 생애 최고의 해를 기록했다. 참고로 이 시즌의 크로마티는 시즌 규정 타석을 채운 시점에서 4할 타율을 유지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남은 경기에 모두 결장해도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초의 4할 타자가 될 수도 있었지만 팀이 리그 우승을 다투는 판국에 중심 타자가, 그것도 용병이 개인 기록 때문에 그런 짓을 한다는 걸 용납할 수 있을 리가 없었고 결국 남은 경기에서 페이스가 떨어져서 최종적으로는 4할 달성에는 실패하고 말았다.

파일:external/www.kcroyalshistory.com/cromartiewarren.jpg
그 후 요미우리에서 1년을 더 활동하여 팀을 1990년 일본시리즈에 진출시키는 데 기여했다. 1991년에는 메이저리그로 복귀하여 캔자스시티 로열스 소속으로 활동했지만, 20경기 동안 타율 .313, 홈런 1개, 타점 20에 그쳤다. 결국 시즌이 채 끝나기도 전에 은퇴를 선언했다. 이로써 그의 야구선수 경력은 끝났다.

통산 성적은 메이저리그에서 11년 동안 타율 .281, 안타 1,104개, 홈런 61개, 타점 391점 등을 기록했다. 일본 통산 성적은 7년 동안 타율 .321, 안타 951개, 홈런 171개, 타점 558점 등을 기록했고, 올스타전에도 3번(1985년, 1989년, 1990년) 출장할 정도의 인기를 누렸다. 특히 센트럴리그 MVP를 차지한 1989년에는 타격, 최다 안타, 출루율의 3관왕까지 차지했다.

선수 시절 등번호는 항상 49번을 달았다.

3. 은퇴 이후

은퇴 후에는 코치, 방송 등의 다양한 활동을 했다. 세미리그 팀의 감독도 맡은 바가 있지만 상해 사건에 휘말려 그만 두어야 했다. 그러한 특기를 살려서 프로레슬러로 전직하기도 했다. 프로야구 마스터스 리그에도 참가한 적 있다.

몬트리올 엑스포스에서 뛰었던 선수라서 그런지 몬트리올 연고 메이저리그 구단 재유치 활동에 열성적이다. 크로마티는 'Montreal Baseball Project'라는 모임을 만들었는데, 이 모임은 몬트리올 메이저리그 팀 재유치라는 목적달성을 위한 단순한 활동을 넘어서 몬트리올 내 야구 팬들에게 야구 강습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나름 야구를 통한 봉사를 실천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파일:external/images-na.ssl-images-amazon.com/51XW%2Bt2n9JL._SX328_BO1,204,203,200_.jpg
선수로서 전성기를 보낸 일본 요미우리 시절의 경험을 담은 자서전 <일본에서의 장타>(Slugging It Out in Japan)를 펴내기도 했다.

일본을 진심으로 사랑했는지 2018년 4월에는 어느 방송국의 도쿄 특파원으로 임명되어 일본에 돌아왔고, 2019년 8월부터는 요미우리의 임시 타격 코치를 맡으면서[11] 요미우리와 동행하는 느낌을 보여주더니 2020년에는 아예 요미우리의 2군 고문 역할을 맡으면서 정식으로 요미우리에 복귀했다. 다만 시즌 후 재계약을 하지 않으면서 요미우리와의 인연은 다시 끝. 다만 크로마티 본인은 일본에서 계속 유튜버 등의 활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2020년부터는 유튜버 활동도 한다. 구독자는 3만 6천 명 정도로 명성에 비해서는 적지만 그래도 조회수는 꽤 뽑아주는 듯. 일본에서 전성기를 맞은 선수인 데다가 요미우리 고문 시절에 시작한 유튜버라 주 타깃은 일본인인 듯. 크로마티 본인의 대사는 영어지만 자막은 전부 일본어고 스태프도 일본인으로 보이며 크로마티도 인사말 정도는 일본어로 한다. 간혹 스태프와 일본어로 대화하는 장면이 나오는 걸 보면 일본어는 할 줄 아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영어로 진행하는 듯. 하기야 일본에서 선수 생활을 7년을 했고 은퇴 후에도 도쿄 특파원으로 1년, 요미우리의 임시 코치와 고문 역할로 1년 반 가량 일본 체류 경험이 있는 데다가 중간에도 이런저런 활동으로 일본에 여러 번 왔으니 본인이 어지간히 일본어를 멀리한 게 아닌 이상 못할 수가 없다. 비슷한 이유로 일본에서 오래 체류한 알렉스 라미레스, 이승엽, 프란시스코 카라바이요[12], 천관위 등도 일본어가 유창하다.

2024년 7월 15일 한신 타이거즈와 도쿄돔에서 OB전을 치루면서 전동 휠체어를 타고 등장하기도 했다. 다른선수들과 달리 의외로 현역시절과 비교해도 늙었다는 느낌이 많이 들지않는데 현재 나이는 70세로 무릎 관절 관련 질환으로 휠체어를 타고 생활하고있다고 한다. 응원가가 흐르는 중에 휠체어를 타고 현역시절 트레이드 마크인 만세(반자이) 세레모니를 보여줬는데 거인,한신 할것없이 모든 팬들이 감동을 받았다고한다.

이후 2024년 12월에 개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해 자세하게 밝혔는데, 한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기승을 부릴 당시 감염됐고 그 후유증으로 길랭-바레 증후군에 걸려 미국에서 수술을 받은 뒤 2023년엔 척추관 협착증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현재는 수술을 받고 재활 중이지만 오랜 치료로 금전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4. 응원가




가사
楽をしても クロウ クロウ
(편안하다해도 크로 크로)

苦労しても クロウ クロウ
(힘들다해도 크로 크로)

お前が打たなきゃ
(네가 치지 않는다면)

明日は雨 クロマティ!
(내일은 비가 와 크로마티!)

80년대 요미우리의 응원가 특징인 두서없는 가사가 가장 잘 나타나는 응원가이다

5. 기타

만화 돌격!! 크로마티 고교의 모티브가 된 인물이기도 하다. 그런데 크로마티는 자신의 이름을 맘대로 쓴 작가를 고소하기도 했다. 작품 중에서 선수와는 무관하다는 자막을 내보낼 것을 조건으로 작품의 공개금지 신청은 취하했으나, 똑같이 작품에 이름이 쓰인 찰리 매뉴얼랜디 바스,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등과 같이 추가로 민사소송을 하려고 했다. 그러나 매뉴얼, 바스, 데스트라데는 크로마티의 말을 듣지 않았기 때문에 소송은 포기했다고.

선수 시절, 특히 요미우리 시절에 작품에 등장하는 크로마티 고교 이상의 막장으로 툭하면 폭행 상해를 일으키기도 했다. 위에도 등장한 1987년 주니치 투수와의 빈볼 난투가 대표적. 이후에도 성질머리를 고치지 못했는지 여러 차례 충돌을 일으켰다. 그래도 호쾌한 타격과 재미있는 셀레브레이션 등으로 요미우리 팬들에게 무척 인기가 많았던 선수였다.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0774bde9.jpg
패싸움 25년만에 재회한 미야시타 마사미와 함께[13] 참고로 미야시타 이 양반은 은퇴 후 가업인 쌀장사를 이어받았는데, 본인의 홈페이지에도 선수 시절 크로마티와의 난투극 동영상을 올려놓는 대인배적 기질을 보여주고 있다.[14][15]

요미우리 시절 홈런을 치고 홈인할 때, 만세(반자이) 포즈를 즐겨 취했다. KBO 리그에서 몇몇 외국인 타자들(예: 한화의 제이 데이비스)의 거수경례 홈인과 비슷한 셈인데, 좋은 성적과 더불어 일본 팬들에게 친숙한 모습으로 기억되는 데 일조했다.

위에 서술된 대로, 불같은 성격 외에도 쇼맨십도 있어서인지 이러한 기행들도 심심찮게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아래 링크 영상의 51~52분 부분에서 볼 수 있다. #

6. 관련 문서


[1] 1981~1988년까지 양대리그에서 승리타점(결승 타점)이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던 타이틀로, 1989년부터 양대리그 모두 타이틀을 폐지, 센트럴리그에서만 특별상 형식으로 시상하다가 2000년을 끝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2] 역대 최다 승리타점 기록(현재는 비공식 기록)[3] 1981~1988년까지 양대리그에서 승리타점(결승 타점)이 가장 많은 선수에게 주던 타이틀로, 1989년부터 양대리그 모두 타이틀을 폐지, 센트럴리그에서만 특별상 형식으로 시상하다가 2000년을 끝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4] 역대 최다 승리타점 기록(현재는 비공식 기록)[5] 크로마티는 일본에서 활동하던 시절 태어난 둘째 아들의 이름을 '코디 오 크로마티'로 지었는데, 이는 왕정치(일본명 '오 사다하루') 감독에 대한 존경의 뜻을 담은 것이었다.[6] 상대 투수의 공에 맞은 후, 사과 요구에 응하지 않자 화를 못 이기고 주먹을 휘둘렀다. 이 사건이 벌어진 후, 나고야 구장에서 치러진 요미우리의 원정 경기에서는 분노한 주니치 팬들과 크로마티가 충돌하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다수의 경호원들이 배치되어야 했다.[7] 참고로 몸에 맞는 공에 모자를 벗어 사과하는 관습이 있는 일본프로야구에 익숙한 크로마티는, 나중에 주니치의 호시노 센이치 감독이 투수들에게 약한 모습을 보이지 말라고 모자를 벗는 등 사과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지 말라는 지시를 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8] 여담으로 이 사건이 일본 내에서 꽤나 충격적으로 다가왔었는지, 이 당시 나온 프로야구 관련 게임들에서는 연속적으로 빈볼을 던졌을 때 투수와 타자가 주먹 다짐을 벌이는 이벤트가 연출되는 장면을 종종 넣어왔었다. 해당 사건이 일어난지 2주 뒤에 발매된 자레코의 "불타라! 프로야구 1987"을 시작으로, 코나미에서 출시한 "힘내라 패넌트 레이스!" 게임에서는 아예 싸움 장면을 실제 싸움마냥 게이지까지 보여주며 연출했고, 네오지오에서 발매한 베이스볼 스타즈 2에서는 투수에게 죽빵을 날려서 해당 투수의 체력을 완전 빈사 상태로 떨어뜨리는 효과까지 발동시키는 등의 장면 연출이 나왔다. 게임에서의 빈볼 시비 장면 연출은 이후 야구 게임의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해 1994년 슈퍼패미콤으로 나온 자레코의 "슈퍼 불타라!! 프로야구" 게임을 마지막으로 더이상은 등장하지 않게 된다.[9] 이후 1989년에 엄청나게 정교한 타격으로 타격왕에 OPS 10할을 기록하였지만, 크로마티가 20홈런 이상을 기록한 해는 1987년이 끝이었다. 일본에서의 7년 중 후반 3년은 10-15-14홈런을 기록했다. 다만 1988년에는 시즌의 2/3 가까이를 날려먹은 걸 감안하면 파워 히터에서 중장거리 포로 변신(?)하게 된 건 1989년부터였던 듯. 본래 크로마티는 30홈런을 치면서도 25~30개의 2루타를 치던 스타일이라 그냥 장타력이 떨어진 것일 수도 있다.[10] 나카오 1982년, 하라 1983년, 크로마티 1989년.[11] 공식 직함은 없었고 유니폼을 입은 것도 아니었지만 선수단과 계속 동행했다. 다만 무급이었다고 한다.[12] 일본프로야구에서는 2년 반 정도밖에 없었지만 독립 리그에서 거의 10년을 뛴 선수다.[13] 미야시타는 1983년부터 7년 동안 주니치에서 활동했는데, 1986년과 1987년에 각각 3승, 5승을 거둔 것이 시즌 최고 기록이었고, 결국 1991년 세이부에서 은퇴할 때까지 통산 10승에도 미달한 평범한 투수였다. 때문에 본인 스스로의 성적보다는 '크로마티와 싸운 투수' 정도로 기억되고 있다.[14] 홈페이지 이름이 미야시타 상점이지만 가게 이름이 아니라 그냥 홈페이지 이름이다. 실제로 음식점이나 상점을 운영하는 건 아니고 쌀, 달걀, 밀가루 도매업을 하고 있다.[15] 해당 동영상의 1분 23초 장면에 호시노 센이치 당시 주니치 감독이, 왕정치 요미우리 감독에게 주먹을 쥐어보이는 모습을 보여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는데, 후에 호시노는 "싸우려는 의도가 아니고, '주먹으로 때린 건 너무한 것 아니요?'라는 뜻을 전달하려다가 그런 것"이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