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08:16:34

킨죠 타츠히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 파일:요미우리 자이언츠 엠블럼.svg요미우리 자이언츠
2024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e5a1d> 감독 83 아베 신노스케
1군 76 니오카 토모히로 (헤드코치 겸 타격수석코치) · 74 무라타 요시노리 (종합코치) · 81 스기우치 토시야 (수석투수코치)
77 우츠미 테츠야 (투수코치) · 78 카와이 마사히로 (내야수비코치) · 79 카메이 요시유키 (외야수비·주루코치)
88 사네마츠 카즈나리 (배터리코치) · # 아나부키 이쿠오 (트레이닝코치)
2군 73 쿠와타 마스미 (2군 감독) · 75 안도 츠요시 (헤드코치) · 71 야마구치 테츠야 (수석투수코치) · 72 오타케 켄 (투수코치)
85 와키야 료타 (내야수비·주루코치) · 82 스즈키 타카히로 (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하시모토 이타루 (타격코치) · 89 카토 켄 (배터리코치)
# 이시모리 타카시 (트레이닝코치)
3군 70 코마다 노리히로 (3군 감독) · 86 후루키 시게유키 (타격코치) · 100 미사와 코이치 (수석투수코치)
104 노가미 료마 (투수코치) · 105 요시카와 다이키 (내야수비코치) · 103 킨죠 타츠히코 (외야수비·주루코치)
102 이치카와 토모야 (배터리코치) · 108 박석민 (육성코치) · # 존 터니 (트레이닝코치)
순회 84 쿠보 야스오 (순회투수코치) · 110 젤러스 휠러 (순회타격코치)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요미우리 자이언츠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킨죠 타츠히코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 반지}}}
2006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0년 센트럴리그 최우수 신인
1999년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자이언츠)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2001년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타이거스)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0년 센트럴리그 수위타자
1999년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369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346
2001년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자이언츠)
.333
}}} ||
파일:Kinjoh1.jpg
<colbgcolor=#000000><colcolor=#fd5a1e> 요미우리 자이언츠 No.103
킨죠 타츠히코[1]
金城龍彦 | Tatsuhiko Kinjoh
출생 1976년 7월 27일 ([age(1976-07-27)]세)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킨키대학 부속고등학교
포지션 외야수, 3루수[2]
투타 우투양타
프로입단 1998년 드래프트 5위
소속팀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3] (1999~2014)
요미우리 자이언츠 (2015)
지도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타격코치 (2016)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17~2018)
요미우리 자이언츠 팜 타격·외야수비코치 (2019)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야수종합코치 (2020~2021)
요미우리 자이언츠 3군 수비·주루코치 (2022~ )
응원가 요코하마 시절: [4]
1. 개요2. 프로 입단 전3. 선수 경력4. 지도자 경력5. 플레이 스타일6. 기타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현 요미우리 자이언츠 2군 외야 수비 겸 주루 코치. 재일교포 3세 출신이며 한국명은 김용언. 아버지는 킨테츠 버팔로즈에서 투수로 뛰었던 킨죠 아키요[5]이다.

본래는 대한민국일본 복수국적이었지만 2000년 일본인 여성과 결혼하면서 일본으로 귀화했다.[6]

2. 프로 입단 전

킨키대학 부속고등학교의 투수 겸 1번타자로 활약하며 2학년이 되던 해에 팀을 지역 예선 결승까지 이끌었다. 이때 만난 학교는 다름아닌 오사카의 야구 명문 고등학교였던 PL학원고등학교. 한창 마츠이 카즈오후쿠도메 코스케가 뛰고 있기도 했는데 결승에서 PL 학원을 꺾으며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코시엔)에 출전하게 된다. 그러나 2라운드에서 팀은 탈락.

1994년엔 한국에서 열린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아라이 타카히로와 함께 재일교포 팀으로 방한했다. 그러나 대회 기간 한국에 있는동안 재일이란 이유로 한국사람 취급을 해 주지 않는다는것에 꽤나 억울해했다고 한다.[7]

고교 졸업 후 일본의 사회인야구팀인 스미토모 금속[8]에 입단. 고교시절과 마찬가지로 투타를 겸업하며 팀을 일본선수권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더불어 1997년엔 우수 선수로 뽑히는 영예까지 인았다.

1998년 드래프트에 참가해 5순위로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에 투수로 입단했다.

3. 선수 경력

파일:Kinjoh2.jpg
파일:Kinjoh3.jpg
베이스타즈 시대
파일:Kinjoh4.jpg
DeNA 시대
파일:Kinjoh5.jpg
요미우리 자이언츠 시대

데뷔 첫 시즌부터 곧바로 타자로 전향했으며 이 시기에 스위치 히터로 동시에 전향했다. 이 해 10월 3일에 데뷔 첫 출장을 했다. 출장 기록이 많지 않았기에 신인왕 자격은 유지한채로 시즌 종료.

2000년. 당시 요코하마 타선(일명 머신건 타선)의 중추였던 주전 3루수 신도 타츠야의 부진과 2번 타자 겸 중견수 하루 토시오의 부상[9][10]으로 인해 주로 대타로 나오다가 2번타자 겸 3루수로 주전자리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주전으로 도약한 이후 엄청난 타격 페이스를 선보이며 4할을 넘나드는 맹타를 휘둘렀다. 8월 18일 한신전에서 타율 .384로 규정타석에 도달했고 이후 페이스가 떨어지며 타율은 .346[11]이 되었지만 계속해서 타율 1위를 지키며 데뷔 2년만에 수위타자가 되는 영예를 안았고 신인왕까지 수상했다. 이 신인왕은 구단 역사상 1977년의 사이토 아키오 이후 23년만에, 그것도 구단명이 베이스타즈로 바뀐 이래 처음일 뿐만이 아니라 1978년 요코하마로 연고지를 이전한 이래 처음으로 나온 신인왕이었다. ??? : 우리는 26년째 안 나오는중인데...

2001년부터는 불안했던 3루수비를 보고 찝찝했던 모리 마사아키 감독의 뜻에 따라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외야수로 전향. 풀타임 주전 외야수로 정착했다. 타율은 .271로 떨어졌으나 구단 최다 기록인 43희생타를 기록했다.

2002년엔 급작스럽게 체중감소 현상이 나타나며 타율이 1할대로 급락했고 주전에서 밀려나버렸다.

절치부심한 2003년엔 3할 복귀와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포를 기록하며 준수한 외야수로 활약했다. 이후 2005시즌까지 3년 연속 3할을 유지했고, 두 자릿수 홈런 기록은 2007년까지 이어졌다.

2008년을 기준으로 성적이 요동을 치기 시작. 2009년엔 규정타석을 채우지 못했으며, 2010년은 2002시즌 이후 또다시 1할대를 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생길만큼 실망스러운 타격을 보였지만 간신히 1할은 피했다. 하지만 결국 2008년 이후로는 붙박이 주전 자리에서 완전히 밀려나버렸다.

2011시즌 체중을 타격왕하던 시절 수준으로 불리며 시즌을 맞이해 타율이 .272로 다시 올랐다. 이후 2013시즌까지 300타석 가량을 들어서며 쏠쏠한 활약을 펼쳤고, 2013년에는 타율 .291를 기록하며 어느정도 부활에 성공하게 된다.

2014시즌엔 구단 타이 기록인 8개의 끝내기 안타를 쳤지만 2013년에 비해 출전 기회는 크게 줄어들었고, 시즌이 끝난 뒤 구단에서 은퇴와 동시에 코치로 전임하는 것을 제안했지만 이를 거절하고 FA를 행사해 요미우리에 입단한다. 등번호는 요코하마에서 달던 1번이 오 사다하루의 영구결번이기에 대신 33번을 달았다.

요미우리에서 맞이한 2015시즌의 출발은 괜찮았다. 4월 15일 친정팀 요코하마를 상대로 3점 홈런을 쳐내며 비수를 꽂기도 했으나 얼마 못 가 타격 페이스가 크게 떨어졌고 고작 36경기 출전에 그치며 시즌을 마감.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했다.

4. 지도자 경력

은퇴 후 곧바로 요미우리의 코치 제의를 수락하면서 곧바로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2016년은 3군 타격코치, 이후 2군 주루코치 등 여러 보직을 거치다가, 2020년부터는 3군 야수종합코치를 맡고 있다.

2023년부터는 외야 수비 및 주루 코치로 보직 변경이 이루어졌다.

5. 플레이 스타일

파일:1000008057.gif
파일:1000008068.gif
파일:1000008070.gif
2013~14년
파일:1000008072.gif
2006년

어지간한 코스로 볼이 들어와도 감각적으로 컨택하는 배드볼 히터로 전성기 기준 3할대의 타율과 10~15홈런 가량을 기록할 수 있는 타자였다. 이러한 타격 스타일 탓에 삼진과 볼넷 모두 많지 않았고 순출루율 또한 낮게 나왔다.

입단 초기 투수에서 야수로 전향하면서 3루수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많은 실책 탓에 2001년부터 외야수로 전향했다. 외야수 전향 이후에는 강한 어깨와 빠른 발을 살려 좋은 수비를 선보였다. 주로 우익수로 출장하였으며 중견수인 타무라 히토시와 함께 우중간을 커버했다. 투수 출신 답게 어깨를 잘 살려 어시스트도 곧잘 기록했으며 2001년과 2003년에는 외야수 레인지 팩터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주력은 꽤 준수한 편이었지만 처참한 도루센스 탓에 40도루 49도루자로 절반도 안 되는 도루성공률을 기록하며 뛰지 않는 게 도움이 되는 수준이었다.

6. 기타

7. 관련 문서



[1] 과거 한국명은 김용언(金龍彦)[2] 드래프트 지명 당시에는 투수였으나 프로 데뷔 이후 타자로 전향했다.[3] 1993~2011년까지의 구단명은 요코하마 베이스타즈[4] 見せてくれ 見せてやれ 超スーパープレイを ハマの風に乗った 男の意地を (보여줘 보여줘 초 슈퍼 플레이를 하마의 바람을 탄 남자의 의지를)[5] 1966년 드래프트 번외로 킨테츠에 입단했지만 1군 출장 기록은 외야수 대수비로 1경기 출전한 것이 전부였고, 2년 만인 196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다.[6] 그의 아버지는 아직도 한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7] 이해 대회에 출전한 선수들도 레전드들이 즐비한데 이승엽, 임창용, 홍성흔, 박진만이 대표적이다.[8] 한때 신일본석유(현 JX-ENEOS), 토시바 다음으로 전국대회 타이틀이 9개 이상인 팀 중 하나였고 일본선수권 최다 우승 기록(7회)을 보유할 만큼 상당히 뼈대있는 야구부였지만 1999년 해체했다.[9] 결국 이 둘은 신도는 2000년 시즌 종료 후 오릭스 블루웨이브로, 하루는 2001년 시즌 도중 주니치 드래곤즈로 트레이드되며 요코하마를 떠났고, 이와 더불어 머신건 타선의 클린업 트리오였던 로버트 로즈코마다 노리히로가 2000년 은퇴, 주전 포수였던 타니시게 모토노부가 2001년 FA로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하면서 요코하마 역대 최고의 타선이자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고의 교타선으로 불리던 머신건 타선은 종말을 고했다.[10] 나머지 머신건 타선 멤버였던 이시이 타쿠로스즈키 타카노리, 사에키 타카히로, 나카네 히토시는 팀에 남았지만 나카네는 출장기회가 줄어들면서 2003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스즈키는 2000년을 기점으로 점차 기량이 떨어져 벤치로 밀려나면서 2008년을 끝으로 은퇴했고 이시이와 사에키는 그나마 오랫동안 기량을 유지하며 팀 타선을 이끌었다. 하지만 두 사람도 각각 2008년과 2010년 시즌 종료 후 구단의 은퇴 권고를 거절하고 히로시마와 주니치로 떠나게 되면서 머신건 타선을 이끌던 주역들은 2010년을 끝으로 모두 팀을 떠나게 되었다.[11] 이 타율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은 일본 내 스위치히터 역대 최고 타율이기도 하다.[12] 이 응원가가 처음으로 나온 해가 구단명이 베이스타즈로 바뀐 1993년이었는데, 정작 이치카와는 그 해에 1군 출장 없이 2군에만 머무르다가 시즌 종료 후 전력외통보를 받고 방출되어 은퇴했다.[13] 3위는 타이론 우즈, 1위는 이마오카 마코토를 선택했다. 모두 배드볼 히터 기질이 있는데, 킨죠와 이마오카는 천성적인 컨택 능력과 감각으로 컨디션 좋은 날엔 온갖 치기 힘든 공도 안타로 만들었고, 우즈는 어마어마한 파워, 긴 팔과 커다란 배트에서 나오는 긴 리치로 배터리가 분명 뺐다고 생각하는 공도 홈런으로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었다.[14] 이런 플레이스타일 때문에 야생아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었다.[15] 요코하마에서의 마지막 해였던 2014년에 나카하타 키요시 감독은 부진했던 킨죠를 2015년에도 팀 전력 구성에 포함시키려고 했으나 프런트가 나카하타 감독 및 코칭 스텝과의 면담 없이 독단적으로 킨죠에게 현역에서 은퇴하고 코치로 전임할 것을 밀어붙였다. 이에 아직 현역으로 뛰려고 한 킨죠가 반발하여 해외 FA권을 행사했고 요코하마 구단은 FA를 선언한 선수는 잡지 않겠다는 방침을 고수하면서 양측 모두 좋지 못한 모양새로 헤어지게 되었다.[16] 다만 우치카와가 요코하마에서도 뛸 적엔 TBS테레비의 막장 운영으로 팀이 나락까지 간 상황인 점을 감안해야 한다. 실제로 DeNA 매각 후엔 자신이 뛸 적과는 (좋은 의미로) 많이 달라졌다는 칭찬 코멘트를 남기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