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0000><tablebgcolor=#ff0000> |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2 오미치 하루키 · 13 모리우라 다이스케 · 14 오세라 다이치 · 16 모리 쇼헤이 · 17 츠네히로 하야토 · 18 모리시타 마사토 · 19 토코다 히로키 20 쿠리바야시 료지 · 21 나카자키 쇼타 · 22 타카 타이치 · 24 쿠로하라 타쿠미 · 26 마스다 타케히사 · 28 사토 류노스케 · 29 켐나 마코토 30 타키타 카즈키 · 34 타카하시 코야 · 35 아카츠카 켄토 · 36 호리에 아츠야 · 39 하세베 긴지 · 42 요한 도밍게스 · 43 시마우치 소타로 45 마츠모토 류야 · 46 카와노 케이 · 47 사이토 유타 · 48 아두와 마코토 · 53 오카모토 슌 · 65 타마무라 쇼고 · 66 엔도 아츠시 · 67 키쿠치 하룬 68 테일러 헌 · 70 히다카 아츠미 · # 스즈키 켄야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쿠리바야시 료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쿠리바야시 료지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20 도쿄올림픽 {{{#c7bc69 금메달}}} | |||||||||||||||||||||||||||||||||||||||||||||||||||||||||||||||||||||||||||||||||||||||||||||||||||||||||||||||||||||||||||||||||||||||||||||||||
202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F8F2D> | 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신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투수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투수 |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외야수 | 곤도 마사토시 쇼치쿠 / 투수 | 히로오카 타츠로 요미우리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니시무라 카즈노리 오사카 / 투수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투수 |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호리모토 리츠오 요미우리 / 투수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투수 | 조노우치 쿠니오 요미우리 / 투수 | 수상자 없음 | 다카하시 시게유키 타이요 / 투수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수상자 없음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 타케가미 시로 산케이 / 외야수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내야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포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내야수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투수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투수 | 수상자 없음 | 후지나미 유키오 주니치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수상자 없음 | 타오 야스시 주니치 / 외야수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투수 | 스미 미츠오 요미우리 / 투수 | 후지사와 키미야 주니치 / 투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내야수 | 하라 타쓰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 츠다 츠네미 히로시마 / 투수 | 마키하라 히로미 요미우리 / 투수 | 고바야카와 타케히코 히로시마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카와바타 준 히로시마 / 투수 | 나가토미 히로시 히로시마 / 투수 | 아라이 유키오 야쿠르트 / 외야수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내야수 | 토마시노 켄지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요다 츠요시 주니치 / 투수 | 모리타 코이치 주니치 / 투수 | 쿠지 테루요시 한신 / 외야수 | 이토 토모히토 야쿠르트 / 투수 | 야부 케이이치 한신 / 투수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야마우치 야스유키 히로시마 / 투수 |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 사와자키 토시카즈 히로시마 / 투수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투수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내야수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외야수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투수 | 키사누키 히로시 요미우리 / 투수 | 카와시마 료 야쿠르트 / 투수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외야수 |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내야수 | 우에조노 케이지 한신 / 투수 |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투수 | 마츠모토 테트야 요미우리 / 외야수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 사와무라 히로카즈 요미우리 / 투수 | 노무라 유스케 히로시마 / 투수 |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사키 야스아키 요코하마 / 투수 | 타카야마 슌 한신 / 외야수 | 쿄다 요타 주니치 / 내야수 | 아즈마 카츠키 요코하마 / 투수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모리시타 마사토 히로시마 / 투수 | 쿠리바야시 료지 히로시마 / 투수 | 오타 타이세이 요미우리 / 투수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 후나바사마 히로마사 요미우리 / 투수 | }}}}}}}}} |
}}} ||
쿠리바야시 료지의 보유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일본인 최속 100세이브(178경기) 타이 기록 - 마하라 타카히로와 타이 기록 | |
신인 개막 연속 경기 무실점 최장 타이 기록 (22경기) - 미야모리 사토시와 타이 | |
연속 세이브 최장 타이 기록 (22경기)[1] - 사사키 카즈히로와 타이 | |
신인 최다 세이브 타이 기록 (37회) - 야마사키 야스아키(2015), 타이세이(2022)와 타이 | |
신인 최다 교대완료 (53회) |
|
개막 연속 경기 최장 무실점 (22경기) |
단일 시즌 최장 연속 세이브 (20경기) |
두 자릿수 세이브 최장 연속 시즌 (4시즌, 2021~) |
쿠리바야시 료지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20번}}} | ||||
나가카와 카츠히로 (2003~2019) | → | 쿠리바야시 료지 (2021~) | → | 현역 |
}}} ||
| |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No.20 | |
쿠리바야시 료지 栗林良吏 | Ryoji Kuribayashi | |
생년월일 | 1996년 7월 9일 ([age(1996-07-09)]세) |
국적 |
|
출신지 | 아이치현 아이사이시 |
신체조건 | 178cm / 83kg |
포지션 | 마무리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출신학교 | 아이치레이메이 고등학교(愛知黎明高等学校) 메이조대학(名城大学) |
프로입단 | 2020년 드래프트 1순위 (広島) |
소속팀 |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21~) |
연봉 | 2024 / ¥115,000,000 |
등장곡 | Timmy Trumpet & Blasterjaxx - 「Narco」[2] |
SNS |
1. 개요
히로시마 도요 카프 소속의 우완 마무리 투수.[3]2. 선수 경력
| ||||||||||
쿠리바야시 료지의 선수 경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통합 선수 경력: 쿠리바야시 료지/선수 경력 | |||||||||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
2020 도쿄 올림픽 | 2023 WBC |
3. 피칭 스타일
포심도 포크볼 못지않게 위력적이라 이 두 가지 구종만으로도 무수한 탈삼진을 잡아낸다. 전반기 종료시점에서 쿠리바야시의 이닝당 탈삼진율은 14.44로 12구단 마무리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다.
2024년 이후에는 90°각도를 넘는 하이키킹과 인버티드-W투구폼으로 임찬규와 투구폼이 정말 비슷해졌다.
4. 여담
- 주니치 드래곤즈의 팬으로 이미 지역 방송국 프로그램에서 여러번 어필한 적이 있었다. 2020년 드래프트에서도 주니치 입단을 희망했었으나 주니치는 역시나 아이치현 출신의 주니치 팬이었던 타카하시 히로토를 1픽으로 집어갔고, 료지는 히로시마의 1픽으로 지명되었다. 이 때 진심으로 기뻐했던 타카하시 히로토와 이토 히로미[4]와 대조되게 쿠리바야시는 히로시마에 지명될 때 굳은 표정을 지은 것이 넷상에서 화제거리가 되었다. 이후 주니치 팬들은 쿠리바야시에게 입단하지 말라고 하였으나 쿠리바야시는 주니치 상대로 던져보고 싶다고 하였다.
- 2020 도쿄 올림픽 금메달 획득 선수의 고향 우체국 앞에, 황금색 우체통을 세웠는데 쿠리바야시의 경우에는 아이치현 아이사이시 쇼바타역 북쪽 출입구 앞에 (제68호) 설치되었다.
- 프로 데뷔하기 전인 2020년에 사회인야구선수 시절에 메이죠대학 동기와 결혼했다.
[1] 단일 시즌 한정이면 20세이브로 이와세 히토키와 공동 2위.[2] 뉴욕 메츠의 클로저 에드윈 디아스가 사용하면서 야구 선수들 사이에서도 유행하였고, KBO 리그에서는 소크라테스 브리토의 등장곡 겸 응원가로 유명하다.[3] 20번은 이전의 마무리 투수였던 나가카와 카츠히로가 사용했었다. 이를 쿠리바야시가 이어받으며 세대교체가 진행되었다.[4] 당시 닛폰햄 1픽. 홋카이도 토박이라 태생부터 닛폰햄 팬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