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595><tablebgcolor=#003595> | 주니치 드래곤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11 오카다 토시야 · 13 하시모토 유키 · 14 쿠사카 쇼 · 17 야나기 유야 · 18 우메츠 코다이 · 19 타카하시 히로토 20 와쿠이 히데아키 · 21 카네마루 유메토 · 22 오노 유다이 · 26 나카치 레이아 · 28 모리 히로토 · 29 마츠키히라 유타 · 30 네오 아키라 · 32 이토 마오 33 소부에 다이스케 · 34 후쿠 히로토 · 36 후쿠다 코노스케 · 38 마츠바 타카히로 · 41 카츠노 아키요시 · 46 우메노 유고 47 요시다 세이야 · 48 하부 쇼타 50 시미즈 타츠야 · 52 주니오르 마르테 · 54 후지시마 켄토 · 59 사이토 코키 · 61 타카하시 코스케 · 64 아리마 케이토 69 미우라 미즈키 · 70 콘도 렌 · 90 마츠야마 신야 · 91 움베르토 메히아 · 93 카일 뮬러 · 94 내시 월터스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주니치 드래곤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타카하시 히로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타카하시 히로토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
2023 |
2024 프리미어 12 은메달 |
2024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 진 바키 한신 / 1.89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 천웨이인 주니치 / 1.54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사이키 히로토 한신 / 1.5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46 | |||||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
타카하시 히로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fff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19번}}} | ||||
요시미 카즈키 (2006-2020) | → | 타카하시 히로토 (2021~) | → | 현역 |
}}} ||
| |
<colbgcolor=#003595><colcolor=#ffffff> 주니치 드래곤즈 No.19 | |
타카하시 히로토 [ruby(髙橋, ruby=たかはし)] [ruby(宏斗, ruby=ひろと)] | Hiroto Takahashi | |
출생 | 2002년 8월 9일 ([age(2002-08-09)]세) |
아이치현 오와리아사히시 (尾張旭市) | |
국적 |
|
학력 | 추쿄대학 부속 추쿄고등학교 (中京大学附属中京高等学校)[1]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신체 | 186cm | 86kg |
프로 입단 | 2020년 드래프트 1위 (주니치) |
소속팀 | 주니치 드래곤즈 (2021~) |
연봉 | 2025년 / ¥120,000,000 |
가족 | 부모님, 형 |
SNS |
1. 개요
일본 국적의 주니치 드래곤즈 소속 우완 선발 투수.주니치의 에이스 선발 투수이자, 로컬보이 성골 선수다.
2. 선수 경력
타카하시 히로토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타카하시 히로토/선수 경력 | ||||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2025년 | ||||
| ||||
2023 WBC | 2024 프리미어 12 |
3. 피칭 스타일
<colbgcolor=#003595><colcolor=#FFFFFF> |
157km/h 포심 패스트볼 (vs 무라카미 무네타카) |
|
141km/h 슬라이더 (vs 오카모토 카즈마) |
|
145km/h 스플리터 (vs 박건우) |
평균 구속 151km/h, 최고 구속 158km/h에 이르는 포심과 최고 146km/h에 이르는 결정구 스플리터를 축으로 하는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 이외에도 커터, 슬라이더, 커브, 슈트 등 다양한 구종을 구사하며 주로 셋업피치로는 커터, 슬라이더와 커브를 사용한다. 슬라이더는 평균적으로 140 초중반의 구속이 형성된다.
프로 1년차부터 2군에서 맞아가며 던진 영향인지 과감하고 공격적인 피칭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런 공격적이고 패기 넘치는 투구 덕분에 소위 말하는 보는 맛이 있는 피칭을 선사해주지만 때로는 너무나 무모한 승부를 선택해서 장타를 얻어맞기도 하고, 볼넷도 은근히 많다.[2] 여느 젊은 투수들이 다 그렇듯 수싸움이나 경기 운영 측면에선 다듬어야 할 점이 아직은 뚜렷한 원석형 파이어볼러.[3]
4. 여담
- 아이치현 출신 + 주니치 드래곤즈 주니어 출신 + 나고야 4대 야구 명문사학 중 하나인 츄쿄다이츄쿄 출신으로 진구대회 우승이라는 타이틀까지 가지고 있는 성골 of 성골이다. 같이 주니치 주니어에서 뛰었던 겐 켄다이(元謙太)[4]는 오릭스 버팔로즈, 나카야마 라이토(中山礼都)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같은 해에 나란히 지명되었다.
- 팀내에 자신과 성이 같은 타카하시 슈헤이가 있기 때문에 스타디움 전광판에 성인 타카하시가 아니라, 풀네임 그대로 표기된다.
- 롤모델은 제이콥 디그롬으로 목표는 160km/h를 던지는 것이라고 한다.
- 현재 자신이 기록한 최고 구속인 158km/h는 역대 주니치 소속 일본인[5] 투수가 기록한 구속 중 가장 빠른 구속이다. 이전 기록은 후쿠타니 코지의 157km/h. 리그 전체적으로 160km/h를 기록하는 토종 투수가 증가한 만큼 타카하시도 이 대열에 합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받고 있다.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을 자축하는 샴페인 파티에는 불참했는데, 결승전이 열린 미국의 주류 구매 가능 연령이 만 21세부터라 당시 만 20세인 타카하시는 음주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 지명된 후 바로 실전에 써먹지 않고 1년 동안 2군 리그에서 몸을 만들고 폼을 교정하여 구속과 완성도를 동시에 끌어올린 타카하시의 육성 과정은 KBO 리그의 코치진들에게 큰 귀감이 되어야 한다는 국내 야구팬들의 의견이 많다. 일본 야구에서 내로라한다는 고졸 투수들은 거의 다 이러한 육성 과정을 거쳤기에 한국의 처참한 투수진들에 비해 구속이나 완성도나 차원이 다른 수준을 보여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6] KBO에서는 고졸 투수의 절대 다수가 지명되자마자 즉전감으로 굴려지기에 고교 시절에 비해 성장은커녕 오히려 구속 감소와 부상으로 커리어를 망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많으며[7][8] KBO에서 이렇게 성장한 대표적인 투수는 그나마 꼽자면 최근의 문동주 정도가 있으나 그 문동주도 1군 경기에 등판하는 횟수가 꽤 됐으며, NPB에 비해선 이런 성장형 투수들의 절대적인 숫자가 거의 없다시피하기에 국내 프로야구의 투수 코칭 시스템을 비판할 때 들기 좋은 예시로 타카하시의 사례가 자주 언급된다.[9]
물론 선수층이 일본에 비해 압도적으로 얇고 군대 문제도 있는 한국 야구계에서는 이러한 육성 방식이 정착하기 힘들다. 그런 반면 일본은 대학야구, 사회인야구에서 즉시전력감 선수를 지명해 당장 급한 자리를 메꿀 수 있고 이들이 1군에서 버텨줌으로서 고졸 선수들이 2군에서 차근차근히 성장 단계를 밟아 갈 수 있는 시간을 벌어다 주게 되니 한국 야구계보다 선수 육성이 훨씬 수월하다. 대학야구와 사회인야구의 수준이 생활스포츠 인프라가 엄청난 강점인 일본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떨어지는 국내 야구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육성형 용병[10]을 데려오는 게 어떻겠냐는 의견도 나오는 중이다.
- 주자가 없을 때, 삼진을 잡고 나서 글러브에서 손을 빼고 뒤를 돌아서 마운드 뒤로 가는 루틴이 있다. 이닝이 끝났을 때도 글러브를 자주 뺀다.
[1] 통칭 츄쿄다이츄쿄.[2] 2022년 기준 BB/9이 3.24, 2023년 5월 기준 3.79로 일본 국가대표급 투수 치고는 높은 수치를 보인다.[3] 다만 다른 대부분의 원석형 파이어볼러보다는 구사 구종이 많다는 것이 그나마 강점이다.[4] 자이니치 선수이며 한국명은 한자 그대로 독음한 원겸태.[5] 일본인을 제외하면 팀 동료 마무리 투수인 라이델 마르티네스가 161km/h를 기록했다. 구단 최초의 160km/h 기록 선수이며 최속 기록이다.[6] 실제로 일본 고교야구의 경우 한국 고교야구보다 수준이 높긴 해도 NPB-KBO의 차이만큼 크게 높다고 보긴 힘들다.[7] 대표적으로 한기주, 양창섭, 좌완 이승현 등이 예시로 거론된다.[8] 실제로 KBO에서 전통적으로 성공을 거둔 대다수의 투수들은 류현진, 김광현같이 이미 고교 시절부터 완성도가 탁월하다고 여겨지던 투수들이었다. 원석형 투수들 중에선 한승혁같이 기대치에 맞는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몰락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았었고 그나마 박찬호 정도가 원석형 투수들 중 가장 성공했으나 박찬호도 미국의 마이너리그 시스템을 거친 것이다.[9] 참고로 드래프트 동기 야마시타 슌페이타도 고교 시절까지는 최고 153km/h에 그쳤으나 육성 과정을 거치며 1년 만에 150km/h대 후반의 위력적인 패스트볼을 정확한 보더라인에 찔러넣을 수 있는 완성형 파이어볼러로 거듭났다. 물론 야마시타는 투수 육성을 매우 잘하는 오릭스 버팔로스 소속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10] 비싼 값에 데려오는 즉전감 용병이 아닌, 비교적 싼값에 데려올 수 있는 아마추어 수준의 용병을 의미한다. NPB에서는 이미 활성화 된 시스템이다. 다만 아무래도 용병이다보니 요미우리나 소프트뱅크 등 돈많은 구단들 외엔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구단이 없다. 그나마 돈없으니 용병마저 키워서 써먹을려는 히로시마빼면 돈없는 구단들은 육성형 용병을 쓰지 않는다.[11] 타카하시는 대표팀으로 나온적이 있으나 야마사키는 아직 없다. 하지만 올해 야마사키의 폼을 보면 조만간 야마사키도 갈수도 있을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