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00:17:12

리반 모이넬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 카터 스튜어트 · 10 우와사와 나오유키 · 11 츠모리 유키 · 13 하마구치 하루히로
· 14 마타요시 카츠키 · 16 히가시하마 나오 · 17 아리하라 코헤이 · 18 다케다 쇼타
· 20 무라카미 타이토 · 26 오츠 료스케 · 27 이와이 슌스케 · 28 안토쿠 슌
· 29 오에 류세이 · 34 무라타 켄이치 · 35 리반 모이넬로 · 39 오가타 슈토
· 40 스기야마 카즈키 · 41 마에다 유고 · 42 이토 유스케 · 47 오제키 토모히사
· 48 후지이 코야 · 49 마츠모토 하루 · 50 반도 유고 · 51 마에다 준
· 53 오야마 료 · 54 로베르토 오수나 · 56 타우라 후미마루 · 58 키무라 타이세이
· 59 하세가와 타케히로 · 60 오노 카즈오 · 63 다윈즌 에르난데스
· 64 가미차타니 다이가 · 66 마츠모토 유키 · 68 키무라 히카루 · 69 이와사키 슌스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5번
카와시마 케이조
(2014~2016)
라반 모이넬로
(2017~)
현역
파일:리반모이렐로.webp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35
리반 모이넬로
リバン・モイネロ | Liván Moinelo
출생 1995년 12월 8일 ([age(1995-12-08)]세)
피나르델리오주 피나르델리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쿠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쿠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에이데 드 피나르델리오 고등학교
신체 178cm | 69kg
포지션 선발 투수, 중간 계투
투타 좌투좌타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7~)
피나르델리오 베게오스[1] (2013~)
계약 2022 ~ 2024 / ¥900,000,000
2025 ~ 2028 / ¥4,000,000,000
연봉 2024 / ¥300,000,000
기록 무결점 이닝 (2018. 05. 16.), (2023. 06. 07.)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타5. 연도별 성적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쿠바 출신의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어릴 때부터 동네야구를 하며 놀다가 12살부터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했으며, 16살부터 쿠바 U-23 국내리그에서 뛰었고, 고등학교 3학년인 2013년부터 쿠바 리그에서 뛰었다.[2]

피나르 델 리오에서 타자 랜디 아로자레나, 블라디미르 구티에레스와 함께 당시 가장 중요한 유망주였다. 데뷔 시즌은 팀 내 3-4번째 가는 불펜 투수에서 시작했으며 두번째 시즌에는 구티에레스와 함께 20세 마무리 듀오로서 각기 8세이브, 13세이브를 기록했다. 세번째 시즌에는 구티에레스가 미국으로 망명하면서 마무리로 승격, 이것이 만 20세 시즌에 이뤄낸 성과였다. 네번째 시즌에는 세이브는 적었지만 무려 12승9패를 불펜에서 달성하는 특이한 스탯을 찍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4년간의 성적은 123경기 1선발 28승 16패 30세이브 ERA 2.61.

2017년 WBC에 쿠바 국가대표로 선출되었고, 이때의 활약 덕분에 동기인 오스카 콜라스[3]와 함께 NPB 파견이 결정,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육성선수 입단이 체결되었다. 이때 등번호는 143번.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2.2.1. 2017 시즌

2017년 5월 10일 육성선수로 입단했는데, 2군 경기에서 3경기 5.2이닝 동안 3피안타 2볼넷 8삼진 무실점 1세이브를 거뒀다. 3군 경기까지 합치면 9.2이닝 동안 탈삼진만 14개를 잡는 등 2군/3군/연습 경기를 초토화시키고 6월 16일 육성선수 입단 한 달만에 연봉 2000만 엔에 정식선수로 계약했다. 등번호 역시 육성선수 계약 당시 143번에서 35번으로 바뀌었다.

6월 27일 홈에서 열린 닛폰햄전에 등판하며 처음 1군에 데뷔했다. 또한 7월 2일에는 3번째 등판만에 첫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이후 계속해서 중간계투로 등판하며 모리 유이토, 이와사키 쇼, 카야마 신야, 데니스 사파테와 같이 승리의 방정식으로 활약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34경기 35.2이닝 4승 3패 1세이브 15홀드 ERA 2.52, 그야말로 팀 내 정상급 셋업맨이 되어주었고, 팀은 이 시즌 6회까지 리드한 경기에서 76승 3패를 기록하는 경이적인 승률을 보여줄 수 있었다.

당연히 포스트시즌 엔트리에도 들어가서 활약했다. 라쿠텐과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는 3경기에 등판해 모두 무실점으로 막았고, 요코하마와의 2017년 일본시리즈에서는 5차전에 3실점을 하면서 패전투수가 되기는 했지만 2, 3, 6차전은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팀이 2년만에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데 공헌했다.

2.2.2. 2018 시즌

무난히 재계약을 하고 시즌 개막부터 1군에서 맞이하며 3월 31일 개막전인 오릭스전에서 3번째 투수로 시즌 첫 등판하였으나 1이닝 4실점으로 털리면서 팀의 패배에 쐐기를 박았다. 이후로도 전반기 성적이 별로 좋지 못했으나 원포인트 투수가 된 후반기로 갈수록 점차 성적이 좋아졌고, 시즌 최종 성적 49경기 45.2이닝 5승 1패 13홀드 ERA 4.53을 기록한다. 이후 포스트시즌에서 세이부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파이널 스테이지에 3차전과 5차전에 등판해 2이닝 1실점을 기록했고, 히로시마와의 2018년 일본시리즈에서는 1, 3, 4, 5차전에 등판해 2.1이닝 1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일본시리즈 2연패에 공헌했다.

2.2.3. 2019 시즌

이 해는 작년과 달리 시즌 초반부터 각성, 8회 셋업맨으로 등판하며 개막부터 14경기 연속 무자책점의 호투를 이어갔다.[4] 작년에 이어 역시나 부상병동이었던 소프트뱅크의 투수진에서 모리 유이토, 카이노 히로시, 타카하시 쥰페이와 함께 승리의 방정식을 형성하며 소프트뱅크의 2위 차지에 큰 역할을 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60경기 59.1이닝 3승 1패 4세이브 34홀드(리그 3위) ERA 1.53을 기록했고, 불펜 투수 주제에 89삼진을 잡아내며 리그 13위에 오르기도 했다. K/9은 무려 13.04.

이해 포스트시즌에서도 당연히 엔트리에 들어갔고,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5.2이닝 1실점, 요미우리와의 2019년 일본시리즈에서 3.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일본시리즈 3연패에 크게 공헌했다.

2.2.4. 2020 시즌

도쿄올림픽 예선에 참여하러 출국했다가 예선이 취소되면서 일본으로 도로 돌아왔다. 이때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와 유리스벨 그라시엘은 경미한 부상을 이유로 시즌이 개막되기 전까지 쿠바에서 재활하기로 하고 쿠바로 갔는데 이후 코로나로 인해 쿠바와 일본의 항공편이 막혀버리면서 얼떨결에 모이넬로 혼자 일본에 남게 되었다. 덕분에 가족은 물론 고향 선배들까지 졸지에 잃고[5] 혼자 시즌을 준비하게 되었다.

그런데 시즌이 시작하고, 각성했다. 8월 1일 현재 20경기 19이닝 방어율 0.95에 37삼진(K/9 17.52)을 기록, 불펜투수가 파리그 탈삼진 6위에 랭크되어 있는 진풍경을 연출했다. 8월 4일 라쿠텐전에서 1이닝 3실점으로 털리면서 평균자책점이 2점대까지 상승했으나 다음 경기부터 언제 그랬냐는 듯이 계속 삼진을 쌓고 있다.

이렇게 8회 모이넬로-9회 모리는 시즌 내내 고정적으로 기용되었고, 결국 시즌 최종 성적 50경기 48이닝 2승 3패 1세이브 38홀드 ERA 1.69를 기록하면서 홀드왕에 올랐다. 좌완 외국인 투수가 홀드왕에 오른 것은 NPB 최초. 또한 K/9 14.44의 압도적인 구위를 보여주었다.

이후 롯데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서 1차전 8회 동점 상황에 등판해 1이닝을 삼자범퇴로 막았고 이후 타선이 점수를 내면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또한 2차전에서 7회 2아웃에 등판해 8회까지 4아웃을 잡아냈다. 선발 히가시하마 나오가 4회까지밖에 던지지 못했기 때문에 가장 승리에 공헌한 불펜투수로 인정받아 승리투수가 되었다. 그러면서 모이넬로는 이번 시즌에 열린 클라이맥스 시리즈 전 경기 승리투수가 되는 진기록을 남겼다.

이후 요미우리와의 2020년 일본시리즈 1차전에서 8회말에 센가 코다이의 다음투수로 등판해 교진의 상위타선을 상대로 1이닝동안 단 1볼넷만 허용하고 아웃카운트 3개를 모두 삼진처리하는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었다. 이후 3, 4차전에서도 8회에 등판해 무안타 무실점으로 막으면서 일본시리즈 3이닝동안 8탈삼진으로 호투, 팀의 일본시리즈 4연패에 공헌했다.

2.2.5. 2021 시즌

이 해에는 4월 30일 마무리 모리 유이토가 팔꿈치 염증으로 부상자 명단에 등재되면서 잠시 마무리 역할을 맡았다. 이후 20경기 ERA 0.45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던 중 5월 24일 데스파이네, 그라시엘과 함께 도쿄올림픽 아메리카 대륙 최종예선에 출전하러 떠났으나, 쿠바 야구 국가대표팀의 예선 탈락을 막지는 못했다.

이후 7월 9일 팀에 복귀해 다시 중간계투로 돌아가 여전히 압도적인 성적을 유지했으나 팀은 4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고 10월 8일 가족 사정으로 쿠바에 귀국하며 시즌을 마치게 된다. 시즌 최종 성적은 33경기 31.1이닝 1승 무패 5세이브 14홀드 ERA 1.15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팀과 추정연봉 3억엔으로 3년 계약을 맺었다.

2.2.6. 2022 시즌

이 해도 처음엔 8회를 맡고 있었으나 모리 유이토의 부진으로 마무리를 맡아 마타요시 카츠키, 후지이 코야, 츠모리 유키와 함께 필승조를 형성해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우승 경쟁을 하고 있던 오릭스와의 9월 19일 원정 경기에서 1점 앞선 9회말 등판해 2아웃에 요시다 마사타카에게 동점 적시타를 맞았고, 9월 23일 롯데와의 홈경기에서도 1점 앞선 9회초 등판해 2아웃에 나카무라 쇼고에게 동점 홈런을 맞으며 블론세이브를 기록, 두 경기 모두 팀이 연장승부 끝에 패하며 막판에 오릭스에게 역전 우승을 허용하는 빌미를 제공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시즌 최종 성적 53경기 52.7이닝 1승 무패 8홀드 24세이브 ERA 1.03의 성적을 내며 팀 불펜의 기둥이 되어주었다. K/9 역시 14.87로 커리어 하이를 다시 갱신하였다.

이후 세이부와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1차전, 오릭스와의 파이널 스테이지 3차전 모두 9회에 등판해 세이브를 기록했으나 결국 파이널 스테이지 4차전에서 9회말 나카가와 케이타에게 끝내기 안타를 맞으며 팀의 시즌 마지막 장면을 장식하고 말았다.

2.2.7. 2023 시즌


WBC 대회 종료 후 일본으로 돌아온 모이넬로는 팀이 마무리 로베르토 오수나를 영입하면서 다시 8회 셋업맨으로 돌아가 활약하고 있다. 그 와중에 6월 6일 요코하마와의 홈경기 9회 동점상황에 등판해 무결점 이닝을 만들어내면서 모이넬로는 NPB에서 2번째로 무결점 이닝을 2번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6]

7월 9일 기준 27경기 27.2이닝 3승 무패 5세이브 13홀드 ERA 0.98의 압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ERA 0.35를 기록하고 있는 오수나와 함께 타팀의 8-9회를 삭제시켜버리고 있는 중.

2.2.8. 2024 시즌

2024년 3월 25일, 기존에 맺었던 3년 계약의 마지막 해를 앞두고 2025년부터 시작되는 4년 40억 엔짜리 새 계약을 맺었다.

이번 시즌부터 선발로 전향할 예정으로 시범 경기에서도 선발로만 등판했다. 이번 시즌만 잘 마치면 내년부터 용병 쿼터 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재도약을 노리는 소프트뱅크 입장에선 모이넬로가 좋은 성적을 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즌을 탈없이 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시즌 최종 성적은 25경기 163이닝 11승 5패 155K(2위) ERA 1.88(1위) WHIP 0.94(1위)로 선발 전향 1년 차부터 리그 최고의 선발 투수로 군림했다.

시즌 후 골든글러브를 수상했고, 프리미어 12 대표팀에도 선발 되었다.

2.3. 국가대표 경력

2.3.1. 2015 WBSC 프리미어 12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rowcolor=#fff>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6 0 8.2 1 0 0 7 0 4 4 11 2 4.15

2.3.2.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rowcolor=#fff>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2.3.3. 2019 WBSC 프리미어 12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rowcolor=#fff>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2 0 2.2 1 0 0 1 0 2 2 3 3 6.75

2.3.4.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rowcolor=#fff>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0.00
이 전까지의 엄청난 성적을 바탕으로 2023 WBC 쿠바 대표팀에 뽑힌 모이넬로는 4경기에 등판해 4.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4강 진출에 공헌했다.

2.3.5. 2024 WBSC 프리미어 12

파일:쿠바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rowcolor=#fff> 경기 선발 이닝 홀드 세이브 피안타 피홈런 실점 자책점 탈삼진 볼넷 ERA
2 1 5 0 2 0 0 5 1 8 7 7 5 12.60
프리미어 12 대표팀에 선발되어 한국전에 등판하게 되었다. 한국에게는 어려운 경기가 될 것이라고 예상됐으나, 독감 이슈로 인한 컨디션 난조가 겹쳐 김도영에게 만루홈런을 허용하는 등 2이닝 6실점이라는 충격적인 피칭을 한 후 3회에 교체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2020 시즌 탈삼진 모음집.

최고 구속 157km/h[7], 평균 구속 153km/h의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을 던질 수 있는 좌완 강속구 투수다. 패스트볼 50%에 나머지 세 변화구를 골고루 섞어 던지고 있는데 패스트볼도 위력적이지만 이 선수의 진짜 장점은 세 가지 변화구가 모두 엄청난 각도로 꺾인다. 커브 하나는 본인이 일본 최고라고 생각한다 말할 정도로 자신이 있고 실제로 파괴적인 위력을 선보이고 있다. 좌타자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슬라이더와 우타자 바깥쪽으로 흘러나가는 체인지업 역시 꺾이는 각이 엄청나다. 타자 입장에서는 150~5km에 달하는 패스트볼과 폭포수 같은 커브 2가지만 있어도 상대하기 힘든데 슬라이더와 체인지업 역시 생각하며 컨택해야 하니 상대하기 매우 까다롭다.

그러나 빠른 구속에 비해 체구가 작고 마른 데다 제구력이 좋은 편은 아니기 때문에[8] 선발보다는 계투에 적합하다.

점차 각성해 이미 20대 중반에 일본 리그 내 최고의 불펜 투수 중 하나가 되었다. 망명을 하지 않는 이상 NPB 수위권의 불펜투수, 쿠바 대표팀의 마무리 자리를 지킬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다 2024년부터 선발 투수로 전향하여 활약하고 있다.

4. 기타

5.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리반 모이넬로의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17 소프트뱅크 34 35⅔ 4 3 1 15 2.52 21 1 14 2 36 0.98
2018 49 45⅔ 5 1 0 13 4.53 31 6 24 1 57 1.20
2019 60 59⅓ 3 1 4 34 1.52 37 4 25 6 86 1.04
2020 50 48 2 3 1 38 1.69 26 1 25 2 77 1.06
2021 33 31⅓ 1 0 5 14 1.15 15 2 19 1 42 1.09
2022 53 52⅔ 1 1 24 8 1.03 22 2 20 2 87 0.80
2023 27 27⅔ 3 0 5 13 0.98 11 0 5 0 37 0.58
2024 25 163 11 5 0 0 1.88 107 11 47 5 155 0.94
NPB 통산
(8시즌)
331 463⅓ 30 14 40 135 1.92 270 27 179 19 577 0.97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리반 모이넬로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8.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9.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0.svg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1.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7 2018 2019 202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방어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0.79
사와무라 에이지
도쿄쿄진군 / 0.81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48
니시무라 유키오
오사카 / 1.52
빅토르 스타루힌
도쿄쿄진군 / 1.05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와카바야시 타다시
오사카 / 1.09
노구치 지로
츠바사군 / 0.93
노구치 지로
타이요군 / 0.88
하야시 야스오
아사히군 / 1.01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0.73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와카바야시 타다시
한신군 / 1.56
후지모토 히데오
도쿄쿄진군 / 2.11
시라키 기이치로
토큐 / 1.74
나카오 히로시
요미우리 / 1.84
후지모토 히데오
요미우리 / 1.94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오시마 노부오
쇼치쿠 / 2.03
마츠다 키요시
요미우리 / 2.01
카지오카 타다요시
오사카 / 1.71
오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1.85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1.39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1.33
와타나베 쇼조
오사카 / 1.45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63
카네다 마사이치
코쿠테츠 / 1.30
무라야마 미노루
오사카 / 1.19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1.75
곤도 히로시
주니치 / 1.70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1.20
카키모토 미노루
주니치 / 1.70
진 바키
한신 / 1.89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카네다 마사이치
요미우리 / 1.84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1.39
곤도 마사토시
한신 / 1.40
소토코바 요시로
히로시마 / 1.94
에나츠 유타카
한신 / 1.81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0.98
후지모토 카즈히로
히로시마 / 1.71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8
야스다 타케시
야쿠르트 / 2.02
세키모토 시토시
요미우리 / 2.28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아니야 소하치
한신 / 1.91
스즈키 타카마사
주니치 / 2.98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32
니우라 히사오
요미우리 / 2.81
히라마츠 마사지
타이요 / 2.3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마츠오카 히로무
야쿠르트 / 2.35
에가와 스구루
요미우리 / 2.29
사이토 아키오
타이요 / 2.07
후쿠마 오사무
한신 / 2.62
코바야시 세이지
히로시마 / 2.20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코마츠 타츠오
주니치 / 2.65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2.43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17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1.70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1.6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17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2.44
나리타 코키
타이요 / 2.05
야마모토 마사
주니치 / 2.05
카쿠 겐지
주니치 / 2.4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테리 브로스
야쿠르트 / 2.33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2.36
오노 유타카
히로시마 / 2.85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34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0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카즈히사
야쿠르트 / 2.61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2.46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2.22
이가와 케이
한신 / 2.80
우에하라 코지
요미우리 / 2.6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미우라 다이스케
요코하마 / 2.52
쿠로다 히로키
히로시마 / 1.85
타카하시 히사노리
요미우리 / 2.75
이시카와 마사노리
야쿠르트 / 2.68
천웨이인
주니치 / 1.54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21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1.65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1.53
마에다 켄타
히로시마 / 2.10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33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크리스 존슨
히로시마 / 1.85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01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1.59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2.1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2.58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노 유다이
주니치 / 1.82
야나기 유야
주니치 / 2.20
아오야기 코요
한신 / 2.05
무라카미 쇼키
한신 / 1.75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1.38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라마키 아츠시
마이니치 / 2.06
유키 스스무(1)
난카이 / 2.08
유키 스스무
난카이 / 1.91
카와사키 토쿠지
니시테츠 / 1.98
타쿠와 모토지
난카이 / 1.58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가와 타카시
마이니치 / 2.0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06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3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42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1.40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오노 쇼이치
다이마이 / 1.98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69
쿠보타 오사무
토에이 / 2.12
쿠보 마사히로
킨테츠 / 2.36
츠마시마 요시로
도쿄 오리온즈 / 2.15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난카이 / 1.5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1.79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1.75
미나가와 무츠오
난카이 / 1.61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1.72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사토 미치오
난카이 / 2.05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37
세이 토시히코
킨테츠 / 2.36
요네다 테츠야
한큐 / 2.47
사토 미치오
난카이 / 1.91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무라타 쵸지
롯데 / 2.20
무라타 쵸지
롯데 / 1.82
야마다 히사시
한큐 / 2.28
스즈키 케이시
킨테츠 / 2.02
야마구치 테츠지
킨테츠 / 2.49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2.28
오카베 노리아키
닛폰햄 / 2.70
타카하시 사토시
닛폰햄 / 1.84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2.92
이마이 유타로
한큐 / 2.93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76
사토 요시노리
한큐 / 2.83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41
코노 히로후미
닛폰햄 / 2.38
무라타 쵸지
롯데 / 2.50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2.91
와타나베 토미오
세이부 / 2.35
아카호리 모토유키
킨테츠 / 1.80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2.06
신타니 히로시
세이부 / 2.91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53
이라부 히데키
롯데 / 2.40
코미야마 사토루
롯데 / 2.49
카네무라 사토루
닛폰햄 / 2.73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2.38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에비스 노부유키
오릭스 / 3.27
네이선 민치
롯데 / 3.26
카네다 마사히코
오릭스 / 2.50
사이토 카즈미
다이에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83
마츠자카 다이스케
세이부 / 2.90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2.11
사이토 카즈미
소프트뱅크 / 1.75
나루세 요시히사
롯데 / 1.82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1.87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3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다르빗슈 유
닛폰햄 / 1.78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1.71
타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1.27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1.9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2.24
이시카와 아유무
롯데 / 2.16
키쿠치 유세이
세이부 / 1.97
키시 타카유키
라쿠텐 / 2.72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9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소프트뱅크 / 2.16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39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68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1.21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1.88
(1) 당해 수치상 방어율 1위는 같은 팀 소속의 핫토리 타케오(服部武夫, 155이닝 2.03)였으나, 당해 한정으로 최우수방어율 타이틀 대상을 소속 구단의 시합수+60이닝 이상을 소화한 선수로 규정하여 규정상 소화 이닝에 미달한 탓에(164이닝, 당해 난카이의 시합 수인 104시합에 60이닝 추가) 198.1이닝을 던진 유키가 대신 타이틀을 수상했다.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우수 중간계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
코노 히로후미
요미우리 / 12.45RP
시마다 나오야
요코하마 / 24.75RP
오치아이 에이지
주니치 / 19.70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8.15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26.20RP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
키즈카 아츠시
요코하마 / 28.40RP
이시이 히로토시
야쿠르트 / 34.60RP
이와세 히토키
주니치 / 31.15RP
오카모토 신야
주니치 / 24.80RP
후지카와 큐지
한신 / 53HP
<rowcolor=#ffffff> 2006 2007 2008 2009 2010
후지카와 큐지
한신 / 35HP
카토 타케하루
요코하마 / 35HP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55HP
쿠보타 토모유키
한신 / 37HP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4HP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9HP
<rowcolor=#ffffff> 2011 2012 2013 2014 2015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52HP
야마구치 테츠야
요미우리 / 47HP
야마구치 테츠야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2HP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42HP
후쿠하라 시노부
한신 / 39HP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스캇 매시슨
요미우리 / 49HP
쿠와하라 켄타로
마르코스 마테오
한신 / 43HP
콘도 카즈키
야쿠르트 / 42HP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4HP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30HP
소부에 다이스케
후쿠 케이토
주니치 / 30HP
<rowcolor=#ffffff> 2021 2022 2023 2024 2025
시미즈 노보루
야쿠르트 / 53HP
야리엘 로드리게스
주니치 / 45HP
유아사 아츠키
한신 / 45HP
시마우치 소타로
히로시마 / 42HP
마츠야마 신야
주니치 / 43HP
키리시키 타쿠마
한신 / 43H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96 1997 1998 1999 2000
시마자키 타케시
닛폰햄 / 16홀드
하시모토 타케히로
세이부 / 25홀드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1홀드
요시다 슈지
다이에 / 26홀드
후지타 소이치
롯데 / 19홀드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
요시다 슈지
다이에 / 19홀드
모리 신지
세이부 / 32홀드
모리 신지
세이부 / 26홀드
타테야마 요시노리
닛폰햄 / 13홀드
키쿠치하라 츠요시
오릭스 / 36HP
<rowcolor=#ffffff> 2006 2007 2008 2009 2010
타케다 히사시
닛폰햄 / 45HP
야부타 야스히코
롯데 / 38HP
카와사키 유스케
롯데 / 31HP
셋츠 타다시
다이에 / 39HP
셋츠 타다시
브라이언 팔켄보그
다이에 / 42HP
<rowcolor=#ffffff> 2011 2012 2013 2014 2015
히라노 요시히사
오릭스 / 49HP
마스이 히로토시
닛폰햄 / 50HP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8HP
사토 타츠야
오릭스 / 42HP
마스다 타츠시
세이부 / 42HP
<rowcolor=#ffffff> 2016 2017 2018 2019 2020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2HP
이와사키 쇼
소프트뱅크 / 46HP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1HP
미야니시 나오키
닛폰햄 / 44HP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40HP
<rowcolor=#ffffff> 2021 2022 2023 2024 2025
호리 미즈키
닛폰햄 / 45HP
타이라 카이마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35HP
루이스 페르도모
롯데 / 42HP
카와노 류세이
닛폰햄 / 34HP
}}}}}}}}}}}}}}} ||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센트럴 리그는 릴리프 포인트(RP)라는 독자 지표로, 퍼시픽 리그는 홀드만 반영한 '최다 홀드 투수'라는 타이틀로 시상 대상을 선정하다
2002년에 퍼시픽 리그가 센트럴 리그와 동일한 명칭으로 개칭한 후 2005년부턴 홀드포인트(HP, 구원승+홀드)가 가장 많은 선수에게 시상하는 것으로 기준이 바뀌었다.
시미즈 노보루가 2021년 기록한 50홀드는 일본프로야구 단일시즌 최다 홀드 기록이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2021~2025
월간 MVP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2021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타카하시 유키
요미우리 / 투수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내야수
로베르트 수아레스
한신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외야수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외야수
티아고 비에이라
요미우리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아오야기 코요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2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애런 윌커슨
한신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오가와 야스히로
야쿠르트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니시 유키
한신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이마나가 쇼타
DeNA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오가사와라 신노스케
주니치 / 투수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3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내야수
오타케 코타로
한신 / 투수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 외야수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야마사키 이오리
요미우리 / 투수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 외야수
트레버 바우어
DeNA / 투수
마키 슈고
DeNA / 내야수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4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라이델 마르티네스
주니치 / 투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내야수
토코다 히로키
히로시마 / 투수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내야수
오세라 다이치
히로시마 / 투수
타일러 오스틴
DeNA / 내야수
타카하시 히로토
주니치 / 투수
사노 케이타
DeNA / 외야수
아즈마 카츠키
DeNA / 투수
치카모토 코지
한신 / 외야수
요시무라 코지로
야쿠르트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5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야마사키 이오리
요미우리 / 투수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내야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2021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와쿠이 히데아키
라쿠텐 / 투수
레오니스 마틴
롯데 / 외야수
닉 마르티네스
소프트뱅크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후지와라 쿄타
롯데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닛폰햄 / 외야수
<rowcolor=#ffffff> 2022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사사키 로키
롯데 / 투수
니시카와 하루키
라쿠텐 / 외야수
우와사와 나오유키
닛폰햄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외야수
미즈카미 요시노부
세이부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fff> 2023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사사키 로키
롯데 / 투수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내야수
카토 타카유키
닛폰햄 / 투수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 외야수
야마사키 사치야
오릭스 / 투수
톤구 유마
오릭스 / 포수
이마이 타츠야
세이부 / 투수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내야수
미야기 히로야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외야수
<rowcolor=#ffffff> 2024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이토 히로미
닛폰햄 / 투수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타케우치 나츠키
세이부 / 투수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내야수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아리하라 코헤이
소프트뱅크 / 투수
타카베 아키토
롯데 / 외야수
리반 모이넬로
소프트뱅크 / 투수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내야수
이토 히로미
닛폰햄 / 투수
쿠리하라 료야
소프트뱅크 / 내야수
<rowcolor=#ffffff> 2025 시즌
<rowcolor=#ffffff> 3~4월 5월 6월 7월 8월 9~10월
스미다 치히로
세이부 / 투수
오타 료
오릭스 / 내야수
}}}}}}}}}}}}}}} ||
}}}}}}}}}}}} ||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2024년 일본 프로야구 퍼시픽 리그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버팔로즈)
리반 모이넬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수상자 미정
}}} ||


[1] 쿠바 프로야구 리그 소속팀. 현재도 소속되어 있으며 일본에는 일종의 임대 신분. 진출 이후인 2017-18 시즌까지도 쿠바리그에서 잠시 던졌으며, 2018-19 윈터시즌에도 캐리비안리그 쿠바연합 소속으로 참가했다.[2] 물론 이는 고교 졸업을 하지 않고 프로 무대에 뛰어드는 중남미 지역에서는 전혀 드문 일이 아니다.[3] 이 선수는 98년생 좌투좌타 외야수로, 모이넬로와 같이 소뱅에서 뛰다가 2020년 미국으로 망명해 현재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소속되어 있다.[4] 그러나 이 때 4월 12일 라쿠텐 원정에서 비자책으로 패전투수가 되는 불운도 겪었다.[5] 인터뷰에서 외로움을 호소하기도 했다. 데스파이네와 그라시엘이 일본에 오면 바로 쿠바 음식을 만들어서 같이 맥주 한잔 하고 싶다고.[6] 첫 번째는 50~60년대 주로 활동했던 한큐의 전설적인 투수 카지모토 타카오.[7] 약 97.6mph.[8] 2022년까지 BB/9이 4.65에 달한다.[9] 쿠바 야구 선수는 해외 진출 선수라 해도 정부 인가하의 임대된 경우에는 쿠바 팀 소속이기도 하다. 무조건 뛰어야 한다고 아는 사람도 있는데 그정도는 아니고, 필요에 따라 몇 경기 뛴다. 모이넬로의 경우 진출 이후에는 17~18 오프시즌에 쿠바리그 4경기, 18~19 오프시즌에 캐리비안리그 4경기를 출전했다.[10] 하지만 24시즌부터 선발진으로 옮겨 타격의 기회가 생기긴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