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3:14:11

오제키 토모히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 카자마 큐타 · 2 카터 스튜어트 · 11 츠모리 유키 · 14 마타요시 카츠키 · 16 히가시하마 나오 · 17 아리하라 코헤이 · 18 다케다 쇼타
21 와다 츠요시 · 26 오츠 료스케 · 27 이와이 슌스케 · 29 이시카와 슈타 · 34 무라타 켄이치 · 35 리반 모이넬로
38 사와야나기 료타로 · 39 오가타 슈토 · 40 스기야마 카즈키 · 41 마에다 유고 · 42 미우라 미즈키 · 47 오제키 토모히사 · 48 후지이 코야 · 49 마츠모토 하루
50 반도 유고 · 51 마에다 준 · 53 오야마 료 · 54 로베르토 오수나 · 56 타우라 후미마루 · 58 키무라 타이세이 · 59 하세가와 타케히로 · 60 오노 카즈오
61 다윈즌 에르난데스 · 66 마츠모토 유키 · 67 카사야 슌스케 · 68 키무라 히카루 · 70 타노우에 소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오제키 토모히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엠블럼.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cccccc> 1938秋 1939 1940 1941~1942 1943~1944
스즈키 요시타로 마사노 이와오 시미즈 히데오 칸다 타케오 시미즈 히데오
<rowcolor=#cccccc> 1946 1947~1948 1949~1950 1951~1952 1953
마츠카와 히로지 벳쇼 타케히코 유키 스스무 에토 하루야스 유키 스스무
<rowcolor=#cccccc> 1954 1955~1956 1957 1958~1960 1961~1963
오오가미 타케토시 유키 스스무 노모 토쿠미 스기우라 타다시 조 스탠카
<rowcolor=#cccccc> 1964 1965 1966 1967~1968 1969
미우라 키요히로 스기우라 타다시 모리나카 치카라 미나가와 무츠오 이즈미 요시오
<rowcolor=#cccccc> 1970~1972 1973~1975 1976~1978 1979 1980~1982
니시오카 산시로 에모토 타케노리 야마우치 신이치 후지타 마나부 야마우치 신이치
<rowcolor=#cccccc> 1983 1984 1985~1987 1988 1989
야마우치 타카노리 야마우치 카즈히로 야마우치 타카노리 니시카와 요시아키 야마우치 타카노리
<rowcolor=#000000> 1990 1991~1993 1994 1995~1996 1997
후지모토 슈지 무라타 카츠요시 요시다 토요히코 쿠도 키미야스 타케다 카즈히로
<rowcolor=#000000> 1998 1999~2001 2002 2003~2004 2005
쿠도 키미야스 니시무라 타츠지 타노우에 케이사부로 사이토 카즈미 와다 츠요시
<rowcolor=#000000> 2006~2007 2008 2009 2010 2011
사이토 카즈미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스기우치 토시야 와다 츠요시
<rowcolor=#000000> 2012~2016 2017 2018~2019 2020 2021
셋츠 타다시 와다 츠요시 센가 코다이 히가시하마 나오 이시카와 슈타
<rowcolor=#000000> 2022 2023 2024
센가 코다이 오제키 토모히사 아리하라 코헤이
}}}}}}}}}}}} ||

{{{#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42번}}}
마츠다 료마
(2019-2020)
오제키 토모히사
(2021~2023)
결번
{{{#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47번}}}
타카하시 쥰페이
(2016-2023)
오제키 토모히사
(2024~)
현역
}}} ||
파일:오제키 토모히사.jpg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47
오제키 토모히사
[ruby(大関, ruby=おおぜき)] [ruby(友久, ruby=ともひさ)] | Tomohisa Ohzeki
출생 1997년 12월 14일 ([age(1997-12-14)]세)
이바라키현 츠치우라시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학력 이바라키 현립 츠치우라코호쿠고등학교 - 센다이대학
신체 184cm | 94kg | A형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9년 육성선수 드래프트 2순위 (소프트뱅크)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
연봉 2024 / ¥55,000,000
등장곡 米津玄師 - 〈Flamingo〉
椎名林檎 - 〈長く短い祭〉
King Gnu - 〈SPECIALZ〉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2.1. 2020 시즌2.2.2. 2021 시즌2.2.3. 2022 시즌2.2.4. 2023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초등학교 1학년부터 연식으로 처음 야구를 시작했고, 고향 츠치우라시의 현립학교인 츠치우라 코호쿠 고등학교에 진학해 1학년 가을부터 에이스 투수를 맡았다. 3학년 여름에는 피로 누적으로 인한 오른손 골절로 코시엔 예선 3차전에서 패퇴하였고, 드래프트에 참가하였으나 부상의 영향인지 지명을 받지 못하고 센다이대학으로 진학했다.

센다이대학에선 1학년 봄부터 바로 경기에 출전했지만 통산 19경기 54⅓이닝 4승 3패 3.15로 인상적인 성적을 남기지 못했다. 대졸 시즌인 2019년 드래프트에 참가했으나 정규 드래프트에선 지명받지 못하고 육성 드래프트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가 2순위로 지명하면서 겨우 프로에 데뷔할 수 있었다. 등번호 122번과 계약금 400만엔, 연봉 300만엔 계약으로 입단했고, 입단 당시 '사와무라상을 목표로 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2.1. 2020 시즌

웨스턴 리그(2군)에서 5경기 5이닝 무실점, 3군전에서는 23경기 63⅓이닝 2승 3패 3.98에 그쳤다.

2.2.2. 2021 시즌

스프링 캠프를 B조로 시작하였으나, 도중에 A조로 승격되어 세이부와의 연습 경기에서 2이닝 무실점으로 어필을 시작, 연이은 호투를 보여주었지만 시범경기 최종전에서 1이닝 2피안타 2볼넷 2실점으로 무너지면서 결국 2군에서 개막을 맞이했다.

웨스턴 리그에서 15경기 1승 1패 3세이브 1.66의 호성적을 기록하면서 짧은 육성선수 생활을 끝내고, 5월 28일에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어 연봉 800만엔의 계약과 등번호 역시 42번으로 변경되었다.

교류전이 한참인 6월 4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1군 데뷔전을 치뤘고 7월 14일에 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시즌 막판인 10월 2일에 1군에 등록되었다.

최종적으로 계투로만 12경기 2.35를 기록했고, 오프 시즌에 연봉이 1100만엔으로 증액되었다.

2.2.3. 2022 시즌

2022년에는 스프링 캠프를 A조에서 시작하며 선발 전환을 목표로 삼았다. 개막 로테이션 경쟁이 치열한 와중에 3월 4일 치바 롯데 마린즈와의 시범경기 선발로 예정되어 있던 에이스 센가 코다이가 코로나 양성 확진 밀접 접촉자로 격리되는 바람에 경기 직전에 땜빵 선발로 등판했고, 급격한 등판에도 불구하고 3이닝 2피안타 무실점의 준수한 성적으로 눈도장을 찍었다.

개막전 5선발 자리는 마츠모토 유키가, 6선발 자리는 타나카 세이기가 유력한 상황이었기에 자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하지만, 워낙 부상으로 골골댄 타나카 세이기가 또 다시 위화감을 호소하며 2군에서 조정을 하게 되었고, 또 다른 경쟁자 마츠모토 유키도 침술 치료 도중 사고로 체내 침 제거 수술을 받게 되면서 하위선발 자리로 오제키가 낙점되었다.

3월 31일 롯데전에서 선발 데뷔전을 가져 6.1이닝 6피안타 무사사구 1실점 호투로 첫 선발 경기에서 데뷔 후 첫 승리를 기록했다. 그러나 4월 10일 세이부전에서 4.2이닝 5실점(4자책)으로 첫 패전투수가 되는 굴욕도 맛보았고, 이후 마무리 투수 모리 유이토가 투구 난조로 인한 재조정을 위해 2군으로 내려 가면서 마무리 투수를 대신 맡게 되었다.

4월 23일 닛폰햄전에서 데뷔 첫 구원승을 달성한 이후 구원 투수로 3경기 등판 이후인 5월 1일 라쿠텐전부터 선발로 복귀했고, 5월 9일엔 데뷔 첫 승리를 기록했던 롯데전에서 9이닝 3피안타 1볼넷 6K로 데뷔 첫 완봉승까지 거두는 기염을 토했다. 교류전 기간인 5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시즌 4승을 거둔 이후, 3경기 동안 승리투수 요건을 갖추고 내려갔음에도 불펜진의 방화로 한동안 승리와 인연이 없다가 교류전 종료 후인 6월 25일 닛폰햄전에서 9이닝 4피안타 무사사구로 한 달만의 승리를 2번째 완봉승으로 장식했다.

전반기가 마무리될 무렵인 7월 12일 기준으로 팀내 최다승인 6승을 거두는 활약을 보여주며 감독 추천으로 첫 올스타전 출전까지 달성하는 쾌거도 거뒀고, 여기다 홈구장에서 열리는 1차전에서 선발로 출전했다. 결과는 1이닝 1실점.

그런데 후반전 첫 등판이었던 7월 30일 세이부전에서 갑자기 왼쪽 고환에 혹과 응어리를 느껴서 진찰을 받은 결과, 고환암 진단을 받게 되어 왼쪽 고환 정소 적출 수술을 하게 되는 바람에 한창 주가를 올리던 차에 불의의 병으로 이탈하게 되었다. 8월 3일 엔트리 말소.

이후 구단에서는 후유증 발병 예방을 위해 아예 잔여 시즌은 쉬도록 할 예정이었으나, 오제키 본인이 8월 24일부터 연습을 재개한 후 컨디션에 딱히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9월 10일 3군전에서 재활 등판을 가졌다. 9월 24일에 1군 무대에 복귀하였으나 조정을 위해 불펜으로 나섰고, 25일 롯데전에 복귀전을 치러 2이닝 2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다.

클라이맥스 시리즈 엔트리에도 들어가 퍼스트 스테이지 2차전에서 치바 롯데를 상대로 1.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였으나, 파이널 스테이지 1차전에서는 오릭스를 상대로 이시카와의 뒤를 이어 5회 1사 2루 상황에 등판했지만 1피안타 3볼넷[1]으로 무너지며 팀 패배의 1등공신이 되어버렸다. 2차전에서는 3회에 반도의 뒤를 이어 등판했으나 5회 스기모토 유타로에게 투런 홈런을 맞으며 2.2이닝 2실점을 기록했다. 이 홈런이 결승점이 되며 오제키는 패배를 기록하고 말았다. 4차전에서는 0.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긴 했지만 팀은 패배하며 탈락, 첫 포스트시즌에서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정규시즌은 22경기(15선발) 7승 6패 2.93에 양대리그 타이 기록인 두 번의 완봉을 거두는 등 병이 없었더라면 훨씬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어 여러모로 아쉬운 시즌. 그래도 오프시즌에 연봉이 1,100만엔에서 4,500만엔으로 수직 상승하는 등 선발 로테이션 자리도 무난하게 정착할 것으로 보인다.

2.2.4. 2023 시즌

해외 FA 자격을 취득한 에이스 센가 코다이뉴욕 메츠로 MLB 진출을 이루어내면서, 호크스는 에이스 부재라는 고민을 겪게 되었다. 후지모토 히로시 감독은 2월 21일에 오제키를 개막전 선발 투수로 내정하였다. 즉, 호크스 수뇌진은 센가 코다이를 잇는 에이스 후보로 낙점한 것이나 다름없는 사실이라, 센가의 뒤를 잇는 육성선수의 신화를 쓰게 되었다.

3월 31일 개막전 상대는 롯데로 이미 작년에 데뷔 첫 선발로 호투했던 상대였다. 개막전부터 6회 1사까지 퍼펙트를 이어나가는 등 압권의 피칭을 보이다 최종적으로 7이닝 2피안타 2볼넷 무실점으로 무난하게 시즌 첫 승을 올렸다. 이로써, 육성드래프트 선수 출신으로는 센가 코다이-이시카와 슈타에 이은 일본프로야구 역대 세 번째 개막전 선발 투수를 맡았으며, 개막전 승리 투수는 이시카와에 이은 역대 두 번째이다. 여담으로, 세 명 모두 소프트뱅크 선수인 것은 덤.

하지만, 부진할 때나 호투할 때나 예전만하지 못한 득점 지원으로 고전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4월 16일 라쿠텐전부터는 득점 지원은 없다시피하여 1점대 방어율에도 불구하고 패전이 더 많은 상황.

5월 9일 구마모토현 리브와쿠 후지사키다이구장에서 치러진 닛폰햄전, 타선의 득점지원이 전무한 상황에서 9이닝 125구 1피안타 2볼넷 13탈삼진 무실점의 역투를 펼치자 타선이 9회말에 점수를 겨우 짜내 끝내기 승리를 거두면서 시즌 첫 완봉승 및 데뷔 세 번째 완봉승을 거뒀다. 데뷔 처음으로 두 자릿수 탈삼진을 기록한 것은 물론이요, 13탈삼진 역시 커리어 베스트 기록.

하지만, 5월 16일 이와테현 이와테 모리오카 볼파크에서 치러진 라쿠텐전에서도 역시나 득점지원이 전무하여 8이닝 112구 4피안타(3피홈런) 3실점으로 완투패를 기록했다. 교류전 이전 마지막 등판인 5월 23일 닛폰햄전에서는 5이닝 2실점으로 승리, 5월 30일 교류전 첫경기를 주니치 상대로 7이닝 3실점 호투와 타선으로부터 무려 13점의 득점 지원을 받으며 어렵사리 시즌 4승을 챙겼다.

하지만, 6월 6일 등판을 앞두고 발열로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특례를 적용받아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인후통으로 식사도 제대로 못먹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체중이 4kg이나 빠졌다. 6월 17일 2군전에서 재활을 하다가 6월 29일 라쿠텐전으로 복귀하였다.

이후 두 경기동안 호투했음에도 승리와는 인연이 없더니, 7월 13일 세이부전은 6이닝 1실점을 기록하고도 패전, 팀이 심각한 물빠따로 전락하여 지독한 연패를 겪는 동안 오제키 본인도 처참하게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7월 22일 롯데전은 5⅔이닝 5실점(3자책)으로 패전, 29일 다시 만난 롯데전 역시 8이닝 4실점으로 패전을 겪었다.

8월 5일 닛폰햄 원정에서는 4이닝동안 75구를 던지며 8피안타 3피홈런 6실점(6자책)에 피안타율이 무려 .421에 이르는 부진한 투구를 펼치면서 한달 전만 해도 2점대 초반이었던 방어율이 어느새 3.02까지 폭등하였다. 다행히도(?) 5회부터 간만에 타선이 폭발하여 대승을 거두면서 패전은 면했지만 호크스는 재조정 차원에서 오제키를 말소시켰다.

9월 20일 라쿠텐전에 복귀하여 4⅓이닝 1피안타 5볼넷 2실점으로 시즌 7패를 떠안았지만 10월 2일에 다시 만난 라쿠텐을 상대로 5이닝 무실점으로 시즌 5승을 올리며 설욕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7경기 104⅔이닝 5승(1완봉) 7패 8QS 2.92을 기록하며 아쉬운 성적으로 마무리하였다.

시즌 종료 후에는 연봉이 1,000만엔 상승하여 5,500만엔이 되었고 등번호를 47번으로 교체하였다. 이는 쿠도 키미야스, 스기우치 토시야가 호크스 시절 달았던 등번호로, 좌완 에이스의 상징과도 같은 번호이다. 구단에서 오제키를 팀의 미래 에이스로 점찍어두었다는 뜻. 그리고 다음 시즌을 준비하며 구속 상승과 부상 방지를 위해 벌크업을 하여 체중을 5kg 찌워 100kg이 되었다.[2]

3. 플레이 스타일


최고 152km/h[3]에 이르는 포심 패스트볼과 투심 패스트볼,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포크볼 등 다양한 구종을 던진다.

슬라이더와 포크가 주 변화구로, 투심과 체인지업을 가끔 섞어 던지지만 기본적으로 직구로 카운트를 잡고 우타자에게는 포크, 좌타자에게는 슬라이더를 결정구로 사용하여 아웃을 잡아낸다.

통산 K/9은 6.25로, 삼진을 잡기보다는 맞춰잡는 유형의 선수이다.

4.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오제키 토모히사의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20 소프트뱅크 1군 기록 없음
2021 12 23 0 0 0 0 2.35 12 1 10 2 13 0.96
2022 21 101⅓ 7 6 0 0 2.93 88 8 28 4 70 1.14
2023 17 104⅔ 5 7 0 0 2.92 86 11 35 6 76 1.16
2024 20 122⅓ 8 4 0 0 2.50 84 10 29 10 77 0.92
NPB 통산
(4시즌)
70 351⅓ 20 17 0 0 2.74 270 30 102 22 236 1.06

5. 여담

6. 관련 문서



[1] 하나는 요시다 마사타카에게 내준 고의사구이지만, 이후 톤구와 니시노에게 연속으로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고 말았다.[2] 이를 위해 매끼 1.3kg의 백미(白米)로 곱빼기 식사를 했다고 한다.[3] 약 94.4m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