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73180><tablebgcolor=#073180>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 0 나미키 히데타카 · 3 니시카와 하루키 · 4 마루야마 카즈야 9 시오미 야스타카 · 25 도밍고 산타나 · 31 니키타 모이세예프 42 사와이 렌 · 51 하마다 타이키 · 64 이와타 유키히로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틀: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니시카와 하루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2016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도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리타 히사노리 도쿄 세네터스 / 16개 | 야마구치 마사노부 오사카 / 29개 | 시마 히데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2개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22개 | 에구치 유키오 나고야킨코군 / 14개 | 사사키 츠네스케 나고야킨코군 / 20개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야마다 덴 한큐군 / 30개 고미 요시오 나고야킨코군 / 30개 | 이시다 마사요시 나고야군 / 32개 |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26개 |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44개 | 야마다 덴 한큐군 / 56개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이시이 마사유키 한신군 / 19개 하기하라 히로시 도쿄쿄진군 / 19개 | 카와니시 토시오 킨키그레이트링 / 39개 |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53개 |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66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9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74개 | 츠치야 마사타카 코쿠테츠 / 52개 |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63개 | 카나야마 지로 히로시마 / 58개 |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혼다 이츠로 주니치 / 42개 |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0개 | 이이다 토쿠지 코쿠테츠 / 40개 |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7개 |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1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50개 |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35개 | 코노 아키테루 주니치 / 26개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50개 |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57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44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6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70개 |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39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5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토죠 후미히로 야쿠르트 / 28개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38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5개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28개 | 나카츠카 마사유키 타이요 / 28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44개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31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55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38개 | 아오키 미노루 야쿠르트 / 34개 |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61개 |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76개 |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56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73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히라노 켄 주니치 / 48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33개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3개 |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1개 |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 33개 |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24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24개 |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7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7개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50개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9개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5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39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26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1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4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0개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1개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31개 |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43개 | 후지무라 다이스케 요미우리 / 28개 |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 32개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29개 | 카지타니 타카유키 DeNA / 39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4개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0개 |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5개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3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6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1개 | 나카노 타쿠무 한신 / 30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0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28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19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78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 래리 레인즈 한큐 / 61개 | 스즈키 타케시 킨테츠 / 7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59개 | 코노 아키테루 한큐 / 85개 | 코노 아키테루 한큐 / 56개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2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2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50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5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72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9개 | 야마모토 코시 한큐 / 32개 | 니시다 타카유키 도쿄 오리온즈 / 32개 | 야스이 토시노리 킨테츠 / 54개 |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 47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5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7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106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5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4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3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2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1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0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0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60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6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38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6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1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1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55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2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51개 | 오노 히사시 다이에 / 42개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40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31개 |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 37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49개 |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 58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62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43개 코사카 마코토 롯데 / 43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32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코사카 마코토 롯데 / 33개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4개 |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 41개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2개 | 카와사키 무네노리 다이에 / 42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41개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3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38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0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1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59개 |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60개 | 히지리사와 료 라쿠텐 / 54개 | 양다이강 닛폰햄 / 47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3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시마 타쿠야 닛폰햄 / 34개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53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53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39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4개 | 카네코 유지 세이부 / 41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50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24개 겐다 소스케 세이부 / 24개 오기노 타카시 롯데 / 24개 와다 코시로 롯데 / 24개 | 타카베 아키토 롯데 / 44개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6개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36개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41개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
2017-2020 퍼시픽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 |
{{{#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26번}}} | ||||
이토이 요시오 (2004~2010) | → | 니시카와 하루키 (2011-2014) | → | 아사마 다이키 (2015~2022) |
{{{#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8번}}} | ||||
카네코 마코토 (2003-2014) | → | 니시카와 하루키 (2015) | → | 콘도 켄스케 (2016~2022) |
{{{#ffffff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등번호 7번}}} | ||||
제레미 허미다 (2015) | → | 니시카와 하루키 (2016-2021) | → | 마츠모토 고 (2023~) |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6번}}} | ||||
후지타 카즈야 (2013-2021) | → | 니시카와 하루키 (2022~2023) | → | 무라바야시 이츠키 (2025~) |
{{{#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등번호 3번}}} | ||||
니시우라 나오미치 (2014~2023) | → | 니시카와 하루키 (2024~) | → | 현역 |
<colbgcolor=#073180><colcolor=#fff>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No.3 | |
니시카와 하루키 西川遥輝 / Nishikawa Haruki | |
출생 | 1992년 4월 16일 ([age(1992-04-16)]세) |
와카야마현 키노카와시 |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치벤와카야마 고교 |
신체 | 181cm, 82kg |
포지션 | 우익수, 중견수[1] |
투타 | 우투좌타 |
프로입단 | 2010년 드래프트 2순위 |
소속 |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2011~2021)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22~2023)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24~) |
등장곡 | Bussin' feat.\ellow Bucks AK-69 |
응원가 | 닛폰햄 시절[가사(日)] 라쿠텐 시절[가사(楽)] 야쿠르트 시절[가사(ヤ)] |
[CLEARFIX]
1. 개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소속의 외야수.2. 선수 경력
2.1. 프로 입단 전
고등학교 1학년부터 경기에 출전하기 시작했고 이 해 춘계대회에서 4홈런을 때려내며 두각을 나타냈다. 고교 3년간 유격수와 3루수, 우익수 등 여러 포지션을 맡으면서 활약했으며 2차례의 고시엔 출전도 완수했다.[5]이후 2010년 드래프트에 참가.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가 2라운드에서 지명하며 계약금 6000만엔, 연봉 600만엔(추정)의 조건으로 입단했다. 등번호는 26번을 받았다.
2.2.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
2.2.1. 입단 이후~2013년
입단 첫해인 2011년에는 오른 어깨 부상으로 지명타자로만 2군경기를 소화했다. 5월에 잠시 1군으로 올라왔으나 경기에는 출전하지 않았고 얼마 뒤 다시 2군행. 결국 1군 데뷔전을 가지지 못하고 시즌을 마감했다.2012년에 드디어 1군에서 첫 출전을 이뤄냈다. 주로 대주자, 대타, 지명타자 등으로 출전하였지만 타나카 켄스케가 잠시 전력에서 이탈한 동안에는 땜빵 2루수로도 출전했다.
2013년부터 주전 2루수로 발탁되었지만 교류전 기간에 당한 왼 무릎 인대 부상과 타박상으로 2개월간 전력에서 이탈하고 만다. 그 동안 나카시마 타쿠야가 2루수로 잘 정착했기 때문에 부상에서 돌아온 이후로는 1루수나 좌익수로 출전하였다. 부상이 아쉬웠지만 전반적인 타격 성적은 2012년보다 상당히 좋아졌고 특히 도루성공률이 90%를 상회했다.
2.2.2. 2014년
143경기를 나서긴 했지만 이번에는 뚜렷한 자기 포지션이 없어서 이리저리 포지션을 옮겨 다녀야만 했다. 본래 2루수로 시즌을 출발했으나 주포 나카타 쇼의 무릎 상태 때문에 1루수나 좌익수로 뛰기도 하고 나카시마 타쿠야가 2루에서 안정적인 수비를 연신 보여주자 우익수로 밀려나기도 했다. 그럼에도 이 시즌에 리그 최다 3루타를 기록하고 도루갯수도 2배 가까이 증가하며 개인 첫 타이틀인 도루왕을 획득하는 등 많은 의미가 있는 시즌을 보냈다.2.2.3. 2015년
등번호를 8번으로 변경했다.양다이강이 부상으로 이탈했던 전반기까지 주로 1번타자로 출전했으며 양다이강이 부상에서 복귀한 이후에는 9번타자로 출전했다. 전체적으로 2014년보다는 타율, 출루율, OPS 등의 스탯들이 나아졌지만 실책을 남발하던 시기도 있었고 그에 따른 2군 조정도 겪었었다.
시즌 종료 후 개최된 제 1회 WBSC 프리미어12 일본 대표 선발에서 1차 후보 선수로 선정은 되었지만 최종 엔트리에는 들지 못했다.
2.2.4. 2016년
1년만에 등번호를 7번으로 변경했고 기존의 등번호였던 8번은 콘도 켄스케가 사용하게 되었다.시즌 초반 부진에 빠지면서 2번타자와 9번타자를 맴돌다가 교류전 이후 타격스타일을 뜯어 고치면서 반등했다. 장타를 노렸던 시즌 초반과는 다르게 안타, 출루에 중점을 두었고 그 결과 타율과 출루율이 대폭상승했다. 이 해에 데뷔 이후 처음으로 규정타석 3할을 달성했고 팀도 극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일본시리즈에 진출했다.일본시리즈 5차전 9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히로시마의 나카자키 쇼타에게 끝내기 만루홈런을 기록하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하기도 했다. 팀은 시리즈 전적 4:2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한다.
2.2.5. 2017년
본래는 좌익수로 시즌을 치를 예정이었으나 FA로 팀을 떠난 양다이강의 이어 중견수로 출전하게 되었다. 타율은 아쉽게 .296에 머물면서 2년 연속 3할에는 실패했지만 9개의 홈런을 때려냈다. 그리고 39도루로 2014년 이후 오랜만에 도루왕에 올랐다.2.2.6. 2018년
6월 1일 주니치전에서 개인 통산 200도루를 달성했다. 본래 시즌 초반 까지는 1번타자로 나오고 있었지만, 2번을 치던 오타 다이시가 잠시 부상으로 이탈했던 기간에는 오타를 대신하여 2번타자로 출전하기도 했다.타율은 지난해보다 더 떨어진 .278였지만 10홈런을 치면서 개인 첫 두 자릿수 홈런을 달성했고 44도루를 기록하며 2위에 오른 나카무라 쇼고를 5개 차이로 제치고 2년 연속 도루왕에 올랐다. 44성공 3실패라는 높은 도루성공률을 기록한 것은 덤. 게다가 도루 저지율 1위인 카이 타쿠야 상대로도 도루에 성공하는등 자신의 빠른발을 과시하기도 했다.
2.2.7. 2019년
주전 중견수로 142경기를 나섰지만 홈런과 도루가 감소하며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특히 니시카와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도루가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든 것이 좋지 않은 부분. 사구의 영향으로 도루시도 자체가 상당히 줄어들었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도루도 줄어들었다.그리고 2020시즌 종료 후 포스팅 시스템을 통해 메이저리그 진출을 하겠다는 의사를 보였으나, 결국 진출에 실패하였다.
2.2.8. 2020년
나카타 쇼의 뒤를 이어 팀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개인 통산 1000안타와 250도루를 달성한 시즌. 2016년 이후 모처럼 만에 규정타석 3할을 달성하고 출루율도 커리어하이인 .430을 기록했으며 2019시즌 크게 감소했었던 도루도 다시 42개로 끌어올리는데 성공했다. 다만 도루왕은 50도루를 성공시킨 슈토 우쿄가 가져갔다.
시즌 종료 후 구단에 포스팅 신청을 했고 구단이 승인하였으며 현재 메이저리그 구단들의 응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전망은 매우 좋지 못한데, 일단 포지션이 외야수이기 때문에 여기서부터 애로사항이 꽃핀다. 아시아 출신 선수들은 기본적으로 메이저, 마이너 선수들에 비해 장타 툴이 부족하기 때문에 메이저에서도 날고 기는 선수들이 포진해 있는 외야라인은 어필이 힘들다. 거기에다가 니시카와는 NPB에서도 장타력이 부족하다보니 확실하게 내세울 만한 툴이 주루툴 하나뿐인데 도루가 사장되고 있는 현대야구에서 주루툴의 가치는 이전보다 낮아지고 있다. 거기에 수비력이 좋은것도 아니니 더더욱경쟁력이 떨어진다.
결국 메이저리그 포스팅 불성립 발표가 나옴으로서, 일단 닛폰햄에 잔류가 확정되었다. 다만 니시카와 본인은 금액이나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미국에서 야구를 하고 싶다는 열망을 드러냈기에 추후 FA를 통해서 메이저리그 진출을 도전할 가능성은 있다.
2.2.9. 2021년
타격에서는 타율 .233 3홈런 35타점에 그치며 역대급 커리어로우를 찍었고 도루 갯수도 24개로 확 줄었으나 줄어든 도루 트렌드 덕분인지 통산 4번째 도루왕을 차지했다(...). 그나마도 도루를 앞서가던 선수들이 계속 막판에 낙마하면서 정체되어 4명이 공동 도루왕인 상황이었다.[6]매우 아쉬운 타격 성적이긴 하지만 출루 능력 자체는 죽지 않아서 타율보다 1할 2푼 이상 높은 .362의 출루율을 기록했다. 볼삼비 역시 1:1에 가깝게 유지했기에 컨택만 어떻게든 되찾으면 반등이 가능한 상태.
11월 16일 닛폰햄 구단이 논텐더를 통해 니시카와를 포함한 3명의 선수[7]를 내보내면서 모든 구단과의 협상이 가능해진 상태가 되었다. 대다수 팬들은 고액연봉을 받고 태만한 플레이를 하다가 신조 츠요시 신임 감독과 닛폰햄 프런트에게 찍혔다고 여기고 있다.[8][9]
추후 기사에 따르면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영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나왔으며 실제로 협상을 진행하고 있었기에 요미우리 입단이 유력한 듯 보였으나 22일 새벽. 조건 차이로 인해 요미우리와의 협상이 불발되고 라쿠텐이 영입 유력 후보로 급부상했다는 기사가 나왔다.# 그리고 22일 오후 정식으로 발표되면서 라쿠텐 입단이 확정되었다.# 연봉은 8천 5백만엔.
2.3.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2.3.1. 2022년
라쿠텐으로 팀을 옮긴 2022년 시즌 초반엔 타율 .337에 OPS 10할, 7도루 등의 리그 상위권 스탯을 찍으며 잘 나간 덕분에 리그 꼴찌를 달리는 닛폰햄의 성적과 맞물려 이나바 아츠노리 GM과 신죠 츠요시 감독의 실책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이러니저러니 해도 망했다는 작년에도 도루왕이었고, 그 전까지 3할 전후의 컨택과 4할에 육박하는 출루율, 40개의 도루로 팀의 득점을 이끄는 특급 리드오프였기 때문에 아무리 태도가 불량했어도 이런 선수를 방출한다는 것은 어지간히 큰 사고를 치지 않는 이상 상상하기도 어려운 일인 데다 아직 서른도 안 된 젊은 나이라 다시 반등할 가능성이 많은 선수여서 여러 팀이 달려들었던 이유를 초반의 호성적으로 증명하는 것처럼 보인 것.그러나 아름다웠던 첫 한 달인 4월 이후 급속도로 타격 스탯이 무너진 데다 수비력도 여전히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평가가 추락했다. 여기에 닛폰햄에서 방출되는 결정타가 된 워크에식 문제가 라쿠텐에서도 드러나 훈련에 불성실한 태도로 임해 팀 분위기를 해치고 일찍 경기의 승패가 갈라졌답시고 상대 타자가 안타를 쳤을 때 수비를 제대로 하지 않는 바람에 잘해야 단타, 2루타가 될 타구를 3루타로 둔갑시키는 본헤드 플레이를 저질러 문책성 교체를 당하는 등(8월 5일 vs 치바 롯데 홈경기) 닛폰햄 시절과 별반 다를 바 없는 태도로 팬들을 실망시켰다.
결국 최종적으로 타율 .218/출루율 .342/장타율 .341/OPS .683, 81안타 7홈런 37타점 19도루 wRC+ 113에 그치며 작년보다 더 망해버린 성적을 기록했다. 그나마 출루율은 타율에 비해 준수했으나 컨택이 망해버린 탓에 빛을 보지 못한 데다 도루와 볼넷이 줄어들고 볼삼비가 낮아지는 등 전반적인 생산성이 나빠졌고, 상술했듯 이전부터 지적받은 수비력과 워크에식 또한 전혀 나아지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닛폰햄의 방출 판단이 옳았다는 것만 증명했다. 특히나 닛폰햄은 니시카와의 대체제로 마츠모토 고. 만나미 츄세이라는 훌륭한 외야수들을 찾아냈기 때문에 결국 과거의 영광만 믿고 애매한 성적에 팀 분위기를 해치는 선수를 내보내고 세대 교체에 어느 정도 성공한 닛폰햄의 완승이 되었다.
시즌 종료 후 1500만엔이 삭감된 연봉 7천만엔 계약을 받아들여야 했다. 2년 전 연봉인 2억 4천만엔에서 70%나 깎인 것.
2.3.2. 2023년
초반 라쿠텐 타선의 물빠따화는 니시카와에게도 예외가 없었고, 결국 5월 하순에 2군으로 내려갔다가 7월 초에 복귀했다. 하지만 복귀 후에도 고전을 면치 못해 8월 11일을 마지막으로 1군에서 자취를 감췄고 이후에도 1군에 올라오지 못한 채 시즌을 마감했다. 이때까지의 성적은 35시합 타율 .181, 1홈런 2도루 4타점으로 빈말로도 좋다고 볼 수 없는 성적.이미 라쿠텐의 1군 외야는 오카지마 타케로, 코부카타 히로토[10], 타츠미 료스케, 오고 유야 등 포화상태라 이대로라면 사실상 방출을 면하기 힘들어 보인다. 결국 10월 11일에 전력외 통고를 받고 방출되었다. 니시카와 본인은 현역 속행을 희망하고 있다. 2군에서 .369 타율에 OPS 1.069를 찍으며 무력시위를 벌인만큼 아직 본인은 기량이 남아있다 생각하는 듯 하다.
2.4.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
2.4.1. 2024년
11월 17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계약을 체결했다. 등번호는 3번.야쿠르트의 외야진이 빈약한지라 바로 1군 라인업에 들어갔으며, 시오미 야스타카가 시즌 아웃급의 부상을 당한 이후로는 스타팅 라인업에 들면 거의 대부분을 중견수로써 출장하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전성기 기준으로는 클래식한 테이블세터로는 가장 이상적인 타자. 3할 전후를 기대할 수 있는 준수한 컨택과 5홈런 내외에 10홈런도 기대 가능한 갭파워, 3할 후반대의 출루율을 보장 가능한 선구안, 5.8초 내로 50미터를 뛰는 빠른 발을 가졌었다.특히 빠른 발이 핵심인데, 빠른 발 덕분에 병살타를 잘 당하지 않는것은 물론이요 현역 최고 수준의 도루 기술까지 갖춘지라 일단 출루만 하면 상대팀 배터리가 긴장을 늦출 수 없는 무시무시한 주자가 된다. 2024시즌 기준으로 도루성공률 83.8%로 역대 1위를 기록할 정도.
이러한 점 때문에 현역 포수 중에서 가장 강한 어깨로 유명한 카이 타쿠야와 벌어지는 베이스 쟁탈전도 소소한 볼거리 중 하나였다. 단적인 예시로 2018년 총 3번의 도루 실패를 기록했는데 그 중 2번을 카이에게 저지당했고, 반대로 카이가 2018년 포스트시즌에서 유일하게 도루를 저지하지 못한 주자도 니시카와였다. 즉 카이를 제외하면 니시카와의 도루를 저지할 만한 포수가 정말 드물다는 소리.
빠른 발 위주의 대부분의 리드오프들이 그렇듯 장타력은 낮지만 그래도 이따금씩 홈런을 때릴 정도의 파워는 가지고 있었으며 한 시즌뿐이지만 10홈런도 쳤다. 무엇보다 전성기 시절 홈구장이 펜스가 높고 구장 크기도 커서 타자에게 극도로 불리한 투수친화 구장인 삿포로돔이었던 것도 감안해야 한다.[11] 불리한 볼 카운트에 몰리게 되면 컨택 위주의 타격으로 전환하고 최대한 볼을 지켜보며 이러한 타격스타일 때문에 볼넷도 많이 골라 나가지만 삼진도 많이 당했으나 그래도 출루율이 상당히 잘 뽑히기 때문에 문제는 전혀 없었다.
수비는 이리저리 옮겨다니다 외야수로 정착해 좌익수, 중견수 위주로 뛰었다. 2018년까지는 그런대로 준수한 수비를 보여줬으나 2019년을 기점으로 수비수치가 눈에 띄게 하락세를 타면서 수비력이 많이 나빠졌다. 특히 데뷔 초에 당한 어깨 부상의 여파로 인한 약한 어깨가 지적받는 편.
4. 연도별 기록
니시카와 하루키의 역대 NPB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2012 | 닛 폰 햄 | 71 | 155 | 32 | 6 | 1 | 2 | 22 | 13 | 7 | 14 | 34 | .239 | .311 | .343 | .654 | 0.5 |
2013 | 85 | 332 | 78 | 18 | 1 | 2 | 35 | 26 | 22 | 31 | 69 | .278 | .358 | .370 | .729 | 1.8 | |
2014 | 143 | 637 | 147 | 19 | 13 | 8 | 90 | 57 | 43 | 63 | 139 | .265 | .343 | .389 | .732 | 1.3 | |
2015 | 125 | 521 | 122 | 18 | 9 | 5 | 68 | 35 | 30 | 60 | 98 | .276 | .368 | .391 | .759 | 3.1 | |
2016 | 138 | 593 | 155 | 18 | 4 | 5 | 76 | 43 | 41 | 73 | 113 | .314 | .405 | .398 | .803 | 5.6 | |
2017 | 138 | 623 | 160 | 26 | 6 | 9 | 82 | 44 | 39 | 69 | 103 | .296 | .378 | .416 | .794 | 5.5 | |
2018 | 140 | 636 | 147 | 25 | 6 | 10 | 90 | 48 | 44 | 96 | 103 | .278 | .391 | .405 | .796 | 6 | |
2019 | 142 | 651 | 158 | 26 | 6 | 5 | 88 | 41 | 19 | 93 | 111 | .288 | .393 | .385 | .779 | 4.6 | |
2020 | 115 | 523 | 129 | 17 | 3 | 5 | 82 | 39 | 42 | 92 | 84 | .306 | .430 | .396 | .825 | 4.1 | |
2021 | 130 | 547 | 107 | 19 | 5 | 3 | 68 | 35 | 24 | 89 | 99 | .233 | .362 | .318 | .680 | 1 | |
<rowcolor=#ffcc00> 연도 | 팀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2022 | 라 쿠 텐 | 108 | 451 | 81 | 17 | 4 | 7 | 58 | 37 | 19 | 68 | 103 | .218 | .342 | .341 | .683 | 2.6 |
2023 | 35 | 87 | 13 | 2 | 1 | 1 | 11 | 4 | 2 | 11 | 24 | .181 | .286 | .278 | .563 | -0.5 | |
<rowcolor=#000> 연도 | 소속 | 경기 | 타석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득점 | 타점 | 도루 | 볼넷 | 삼진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WAR |
2024 | 야쿠 르트 | 113 | 363 | 80 | 13 | 2 | 1 | 43 | 24 | 10 | 40 | 51 | .260 | .325 | .350 | .675 | |
NPB 통산 (12시즌) | 1483 | 6119 | 1406 | 224 | 61 | 63 | 813 | 446 | 342 | 799 | 1131 | .273 | .377 | .374 | .751 | 35.6 |
[1] 외야 전 포지션이 가능하지만 야쿠르트 이적 후에는 주로 우익수와 중견수로 나온다.[가사(日)]
今だ西川 {{{#FF0000 遥}}}かに続いた道を
이마다 니시카와 하루카니 츠즈이타 미치오
지금이다 니시카와 아득히 이어진 길을
走れ西川 {{{#FF0000 輝}}}くその日まで
하시레 니시카와 카가야쿠 소노 히마데
달려라 니시카와 빛나는 그날까지[가사(楽)]
{{{#FF0000 遥}}}か目指す一打 狙い定めて
하루카 메자스 이치다 네라이사다메테
아득히 목표로 하는 한 방 정확히 노려서
{{{#FF0000 輝}}}く勝利の道 切り拓け
카가야쿠 쇼오리노 미치 키리히라케
빛나는 승리의 길을 개척해라[가사(ヤ)]
新たな道を描き 今踏み出そう
아라타나 미치오 에가키 이마 후미다소오
새로운 길을 그려내기 위해 지금 한 발짝 내딛는거야
{{{#FF0000 遥}}}か彼方目指す {{{#FF0000 輝}}}く脚で
하루카 카나타 메자스 카가야쿠 아시데
아득한 저편을 향해 빛나는 다리로[5] 다만 고시엔에 출전했던 1, 2학년때는 부상에 시달려서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뛰는 등 그리 순탄치만은 않았다. 특히 2학년 때 연습경기 도중 당한 부상으로 지역예선을 뛰지 못했지만 다행히도 팀이 여름대회 출전을 확정지으면서 본 대회에는 어찌어찌 출전하는데 성공했다. 정작 몸 건강히 지낸 3학년시절은 지역예선 탈락...[6] 다른 세 명은 오기노 타카시, 겐다 소스케, 와다 코시로.[7] 오오타 타이시, 아키요시 료. 여기서 오오타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이적한 반면, 아키요시는 프로팀의 오퍼가 없어 독립리그로 떠났다가 시즌중에 마타요시 카츠키의 부상으로 인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지만 반시즌만에 전력외 통보를 받게됐다.[8] 배터리 코치겸 포수인 츠루오카 신야가 어깨에 손을 올리자 어깨를 밀치면서 성질내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다만 츠루오카 신야 본인은 니시카와의 행동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이라며 논란을 일축시켰다.[9] 또한 니시카와는 스기야 켄시와 함께 나카타 쇼의 가장 가까운 심복이었다. 나카타가 사고를 치고 트레이드당하니 니시카와에게도 불똥이 튈 수밖에. 스기야는 원래 신조 감독하고도 사이가 좋아서 나카타와 친하다고 팀에서 찍히지는 않았지만 그냥 못해서(…) 2022년을 끝으로 방출당하듯 은퇴했다.[10] 다만 코부카타는 주로 내야수로 출전한다.[11] 팀 동료였던 콘도 켄스케도 준수한 컨택 능력과는 별개로 이러한 삿포로돔의 특성 때문에 장타력, 수비력에서 손해를 많이 봤으나 소프트뱅크 이적 후 삿포로 돔보다 작은 미즈호 PayPay돔 후쿠오카를 홈구장으로 쓰게 되면서 단박에 타격 삼관왕급 타자로 각성한 것은 물론 수비력도 나아졌다.
今だ西川 {{{#FF0000 遥}}}かに続いた道を
이마다 니시카와 하루카니 츠즈이타 미치오
지금이다 니시카와 아득히 이어진 길을
走れ西川 {{{#FF0000 輝}}}くその日まで
하시레 니시카와 카가야쿠 소노 히마데
달려라 니시카와 빛나는 그날까지[가사(楽)]
{{{#FF0000 遥}}}か目指す一打 狙い定めて
하루카 메자스 이치다 네라이사다메테
아득히 목표로 하는 한 방 정확히 노려서
{{{#FF0000 輝}}}く勝利の道 切り拓け
카가야쿠 쇼오리노 미치 키리히라케
빛나는 승리의 길을 개척해라[가사(ヤ)]
新たな道を描き 今踏み出そう
아라타나 미치오 에가키 이마 후미다소오
새로운 길을 그려내기 위해 지금 한 발짝 내딛는거야
{{{#FF0000 遥}}}か彼方目指す {{{#FF0000 輝}}}く脚で
하루카 카나타 메자스 카가야쿠 아시데
아득한 저편을 향해 빛나는 다리로[5] 다만 고시엔에 출전했던 1, 2학년때는 부상에 시달려서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뛰는 등 그리 순탄치만은 않았다. 특히 2학년 때 연습경기 도중 당한 부상으로 지역예선을 뛰지 못했지만 다행히도 팀이 여름대회 출전을 확정지으면서 본 대회에는 어찌어찌 출전하는데 성공했다. 정작 몸 건강히 지낸 3학년시절은 지역예선 탈락...[6] 다른 세 명은 오기노 타카시, 겐다 소스케, 와다 코시로.[7] 오오타 타이시, 아키요시 료. 여기서 오오타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로 이적한 반면, 아키요시는 프로팀의 오퍼가 없어 독립리그로 떠났다가 시즌중에 마타요시 카츠키의 부상으로 인해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지만 반시즌만에 전력외 통보를 받게됐다.[8] 배터리 코치겸 포수인 츠루오카 신야가 어깨에 손을 올리자 어깨를 밀치면서 성질내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다만 츠루오카 신야 본인은 니시카와의 행동에 대해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이라며 논란을 일축시켰다.[9] 또한 니시카와는 스기야 켄시와 함께 나카타 쇼의 가장 가까운 심복이었다. 나카타가 사고를 치고 트레이드당하니 니시카와에게도 불똥이 튈 수밖에. 스기야는 원래 신조 감독하고도 사이가 좋아서 나카타와 친하다고 팀에서 찍히지는 않았지만 그냥 못해서(…) 2022년을 끝으로 방출당하듯 은퇴했다.[10] 다만 코부카타는 주로 내야수로 출전한다.[11] 팀 동료였던 콘도 켄스케도 준수한 컨택 능력과는 별개로 이러한 삿포로돔의 특성 때문에 장타력, 수비력에서 손해를 많이 봤으나 소프트뱅크 이적 후 삿포로 돔보다 작은 미즈호 PayPay돔 후쿠오카를 홈구장으로 쓰게 되면서 단박에 타격 삼관왕급 타자로 각성한 것은 물론 수비력도 나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