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1 23:46:59

네프탈리 소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치바 롯데 마린즈
2025 시즌 내야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00 이케다 라이토 · 4 토모스기 아츠키 · 5 야스다 히사노리 · 7 후지오카 유다이 · 8 나카무라 쇼고
10 우에다 큐토 · 39 오시타 세이이치로
43 이시가키 마사미 · 44 미야자키 류세이
57 오가와 류세이 · 67 챠타니 켄타 · 68 카네다 유타
99 네프탈리 소토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치바 롯데 마린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네프탈리 소토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니시자와 마치오
나고야 / 9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마키 슈고
DeNA / 10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레론 리
롯데 / 109점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이대호
오릭스 / 91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0번
조나단 브록스턴
(2012)
<colcolor=#fff> 네프탈리 소토
(2013~2014)
마이클 로렌젠
(2015)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등번호 99번
나카무라 노리히로
(2011~2014)
네프탈리 소토
(2018~2023)
마이크 포드
(2024)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99번
카키누마 토모야
(2016~2023)
네프탈리 소토
(2024~)
현역
}}} ||
파일:ネフタリ・ソト2024.png
<colbgcolor=#191919><colcolor=#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No.99
네프탈리 소토
ネフタリ・ソト | Neftalí O. Soto
출생 1989년 2월 28일 ([age(1989-02-28)]세)
마나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푸에르토리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푸에르토리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학력 콜레히오 마리스타 고교
포지션 1루수, 2루수, 우익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07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109번, CIN)
소속팀 신시내티 레즈 (2013~2014)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2018~2023)
치바 롯데 마린즈 (2024~)
등장곡 Madiel Lara - Dios nunca falla[1]
응원가 요코하마 시절링크[2]
치바롯데 시절 - Jagwar Twin - Happy Face[3]
연봉 2025 / ¥260,000,000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기타

1. 개요

치바 롯데 마린즈 소속의 야구 선수.

2. 선수 경력

2.1. 신시내티 레즈

2007년 MLB 드래프트에서 전체 109순위로 신시내티 레즈의 지명을 받으며 프로에 데뷔했다.

오랜 마이너리그 생활 끝에 2013년 드디어 메이저리그에 승격되었지만 13타석 무안타에 그쳤고, 이듬해인 2014년에 데뷔 첫 안타를 쳤지만 30타수 3안타로 별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이 시즌을 끝으로 다시는 메이저리그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시카고 화이트삭스워싱턴 내셔널스 산하 마이너를 전전하였으나 상술했듯 마이너에서 특출난 성적을 내지 못해 메이저리그 승격이 좌절되었고, 더 이상 미국에서는 가망이 없다고 판단했는지 2017 시즌 막바지 무렵에 일본으로 건너가 요코하마의 입단 테스트를 받았다.

2.2.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시절

입단 테스트를 통해 연봉 3000만엔(추정), 1년 계약을 체결하고 공식적으로 요코하마에 입단했다. 등번호는 99번.

2018년 스프링 캠프에서 본래 포지션인 내야수 외에도 외야수 훈련을 병행하고 시범경기도 성실히 임한 결과 개막 엔트리에 드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개막 시리즈 도중 종아리 통증으로 말소되는 바람에 1군 데뷔가 늦어졌다.

말소된 이후 2군에서 타율 .450 3홈런으로 무력시위를 하다가 5월 6일에 다시 1군으로 복귀해 대망의 일본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고 그 경기에서 홈런포를 쏘아올리며 강렬한 시작을 보여줬다. 이후 꾸준하게 경기를 뛰면서 마츠이 히데키 이후로 나온 적이 없었던 2개월 연속 10홈런 이상을 기록하는 폭발적인 홈런 페이스를 보였고 최종적으로 타율 .310 41홈런 95타점을 기록하며 39홈런의 센트럴리그 MVP 마루 요시히로를 제치고 홈런왕에 올랐다.

이 홈런 기록이 놀라운 점은 5월 6일부터 시즌을 시작하고도 주요 홈런왕 경쟁자들을 모조리 제쳤다는 점. 풀시즌을 뛰었다면 50홈런도 가능했을 법한 페이스를 보였다. 여기다 연봉 3000만엔이란 염가 계약으로 입단해 단번에 홈런왕에 오르면서 요코하마 구단에게 있어선 뽕을 뽑다 못해 매우 혜자스러운 결과를 맞이했다.[4] 같은 해에 수억엔을 투자하고도 최악의 가성비를 보인 한신 타이거스윌린 로사리오가 있던지라 더더욱 극명하게 비교되었다. 시즌 종료 후 2년 계약을 새로 맺었다.

2019년에는 지난 시즌에 이루지 못했던 개막전 출전을 이뤄냈다. 전년도의 폭발적인 홈런 생산력이라면 50홈런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고 봤으나 전체적으로 비율 스탯이 지난 시즌보다 떨어졌다. 그럼에도 홈런은 여전히 잘 쳐서 사카모토 하야토와의 치열한 경쟁 끝에 2년 연속 홈런왕은 물론 타점왕도 수상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타율 .269 43홈런 108타점. 타이론 우즈에 이어서 구단 역사상 2번째로 2년 연속 40홈런 이상을 기록한 타자로 이름이 남게 되었다.

코로나19로 개막이 늦춰지고 120경기 단축시즌이 된 2020년에는 초반까진 나쁘지 않은 홈런 페이스를 보였지만 7월 중순 무렵부터 극심한 슬럼프에 빠지는 바람에 타율이 2할 4푼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후에는 어느 정도 페이스를 되찾아서 나름대로 홈런 갯수를 늘렸지만 결국 거기서 더 반등하지 못하고 타율 .252 25홈런 78타점의 아쉬운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

시즌 종료 후 2년 계약이 만료되면서 여러 구단에서 영입전이 펼쳐질 전망이었지만 결국 요코하마와 3년 총액 10억엔(옵션 포함, 추정)의 다년 계약을 체결하며 팀에 남게 되었다. 이 당시 뉴욕 메츠에서 2년 1000만 달러라는 조건의 오퍼도 왔었으나 코로나19로 혼란스러운 미국보단 그나마 나은 일본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러나 계약 첫 해인 2021년 시즌을 망치며 전망이 어두워졌다. 그동안엔 못해도 2할 중반대의 타율을 유지해줬으나 이 해엔 컨택이 무너져 내리며 2할 초반에 그쳤고 출루율도 3할을 간신히 넘기는데 그쳤다. 그나마 홈런은 21홈런으로 20개를 넘겼지만 비율스탯이 무너진 탓에 커리어 로우 시즌이 되고 말았다.

2022년엔 일찌감치 입국해 스프링캠프부터 차근차근히 소화해 나가며 지난 해의 부진을 만회하고자 했으나 개막 직전에 부상을 당하며 2년 연속으로 개막전 출전이 불발되었다. 다행히 부상을 털고 복귀한 이후로는 2018년이 연상되는 매서운 타격감을 자랑하며 전열에서 이탈한 선수들이 많이 많아 어려운 팀에 적잖은 힘이 되어주고 있다.

그러나 뜨거웠던 타격감은 4월이 지나자 귀신같이 곤두박질쳤고 5월 내내 홈런 하나를 추가하지 못하는 부진에 빠졌다. 6월이 되어서야 홈런포를 추가하기 시작했지만 여전히 타격감은 올라오지 않는 상황이었다가 7월이 되어서야 월간 타율 3할을 기록하여 다시금 타격이 살아났으며, 8, 9월은 비교적 조용하게 보내다 시즌 막바지인 10월에 다시 타격감을 끌어올리긴 했지만 결국 일본 데뷔 후 처음으로 규정타석을 채우지 못하고 정규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 최종 타격 성적은 타율 .266/OPS .815, 17홈런 49타점으로 지난 시즌에 비해 비율스탯은 나아졌지만 규정타석에 미달한 수치인 데다 홈런, 타점이 다소 감소한 아쉬운 시즌을 보냈다. 그 대신 1루수 수비에선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며 양대리그 전체 1위인 UZR 7.3을 기록했으나 이마저도 1.1에 그친 나카타 쇼골든글러브를 가져가 버렸다. 본인도 억울했는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이번 시즌 1루수 UZR 순위표와 함께 "팬 여러분 가르쳐 주셨으면 합니다. 골든글러브는 어떻게 뽑는 겁니까?"라는 글을 올렸다가 삭제하기도 했다. 난J 스크린샷 기사

3년 계약의 마지막 해가 되는 2023년에는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푸에르토리코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는데, 그간 2년간 예전같지 못한 모습을 보였기에 의외라는 반응이 많았다. 프란시스코 린도어, 키케 에르난데스, 하비에르 바에즈, 에디 로사리오 같은 이름만 들어도 아는 메이저리거들이 즐비한 게 푸에르토리코 국대에 일본에서만 뛰는 선수임에도 뽑혔기 때문이다. 다만 국가대표팀에선 주전 1루수를 맡았으나 하위타선에서 부진한 모습만 보여줬고, 팀은 8강에서 멕시코에게 패배했다.

시즌 초엔 WBC의 후유증이 남은 듯 부진했으나 5월 들어 타격감이 급격히 살아나며 .286의 타율에 .971에 달하는 OPS를 보여주며 불방망이를 휘두르며 팀의 리그 선두 경쟁의 선봉장 노릇을 하고 있다.

하지만 시즌 전체로 따지면 2023년 내내 생명연장에만 급급하고 팀 타선에 그다지 많은 보탬은 되지 못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타율 .236 14홈런 50타점. 클라이맥스 시리즈 패퇴 이후 에드윈 에스코바와 함께 차기 시즌 구상에서 제외하겠다는 구단의 방침이 알려지면서 팀을 떠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것이 내년이면 35세가 되는 데다 타격과 수비에서 반등의 기미 없이 하향곡선만 그리는 선수를 잡을 필요가 없다.

결국 11월 30일자로 트레버 바우어와 함께 자유계약 공시처리되며 6년 간의 요코하마 생활을 마무리짓게 되었다.#

2.3. 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이후 파워히터 부족으로 매년 골머리를 앓던 치바 롯데 마린즈로 가는 거 아니냐는 찌라시가 돌았고[5], 12월 14일, 치바 롯데 마린즈와 계약을 체결하며 진짜로 롯데로 이적하게 되었다.#

2.3.1. 2024 시즌

등번호는 기존 99번을 쓰던 카키누마가 55번으로 바꾸면서 DeNA 시절 사용하던 99번을 그대로 사용한다.

6월 10일 기준 6홈런에 OPS 7할대 초반으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근데 그레고리 폴랑코, 오카 히로미를 제외하면 딱히 소토만큼 홈런을 치는 타자도 없는 데다 파워히터로 큰 기대를 받았던 나카무라 쇼고, 야스다 히사노리, 야마구치 코키 3명이 아예 백업 수준의 타격에 그칠 정도로 부진이 워낙 커서 계속 출장 중이다.

6월 23일 로베르토 오수나를 상대로 5:3으로 지고 있던 9회 말 2사 1,2루에서 역전 쓰리런 홈런을 쳐내며 오수나의 롯데 상대 통산 3호 블론을 이끌어냈다. 다만 마스다 나오야도 똑같이 블론세이브를 하는 바람에 결국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고 팀은 해당 시리즈에서 1무 2패에 그쳤다.

7월 21일 전반기 마지막 경기에서 시즌 12호 홈런을 쳤고 60타점을 돌파하며 전반기 파리그 타점 1위를 기록했다.

8월에 심각한 타격 침체에 빠지기도 했으나 귀신 같이 9월에 몰아치기 본능을 살려 첫 6경기에서 홈런을 5개나 치는 괴력을 발휘하며 다시 타격감을 끌어올리고 있다.

9월 11일 기준 19홈런 82타점으로 높은 확률로 3년 만의 20홈런이 보이고, 타점도 100타점은 무리지만 90타점 정도는 도전해볼 수준이 되었다. 중심타선치고는 아쉬워 보이지만 현재 홈런은 3위고 타점은 2위로 꽤 준수한 편. 타율도 .272로 언뜻 보면 높아보이지 않아보이지만 현재 일본프로야구 자체가 심각한 투고타저다 보니 저 타율로도 리그 5위권에 들어간다. 게다가 쇼고, 야마구치, 야스다가 단체로 부진하면서 팀 타선의 파괴력이 약해진 상황에서 소토마저 없었으면 팀 입장에서는 타선 문제로 더욱 골치를 썩힐 뻔했다.

시즌 성적은 132경기 542타석에 나와서 132안타(21홈런) 47사사구 136K 88타점 43득점 0도루 타율 .269 / 출루율 .330 / 장타율 .450으로 타율 6위, 출루율 9위, 장타율 5위, 안타 7위, 홈런 4위, 타점 2위를 기록하며 빈약한 롯데 타선을 이끌었다. 삼진 2위와 병살타 1위가 흠이긴 하지만 이 정도로도 훌륭한 성적인 것은 변하지 않는 편. 수비에서는 1루수로 90경기, 지명타자로 40경기를 선발 출전했다.

다만 클라이맥스 시리즈에선 출루조차 제대로 못할 만큼 타격감이 완전히 떨어지는 바람에 팀의 퍼스트 스테이지 패퇴의 결정적인 원인이 되고 말았다.

2.3.2. 2025 시즌

시즌 초 두 달간 낮은 타율과 줄어든 홈런으로 인해 엄청난 타격 침체에 빠졌다. 다만 원래 몰아치기와 타격부진을 반복하는 스타일인 만큼 기회는 꽤 받을 것으로 보인다.

5월 18일 4번 타자 1루수로 나와 멀티히트를 치며 타율 2할을 지켰다. 특히 9회 말에는 2아웃 상황에서 동점 솔로 홈런을 쳐내며 팀을 패배에서 구해냈다.

6월 임에도 심각한 부진에 빠져 있으며 사실상 공갈포로 전락했다. 그냥 평범한 공갈포도 아니고, 타율은 .185에 OPS는 .590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롯데의 타선이 심각한지라 소토를 대체할 선수가 마땅히 없어서 기용되고 있는 상황이다.[6]

7월 들어서 맹타를 휘두르면서 살아나고 있다.

3. 플레이 스타일

파일:c12e238e.gif
파일:d2341bf7.gif

2020년까지에 한해서는 어려 포지션을 맡을 수 있는 유틸리티 거포로 활동했다.

코스를 가리지 않고 여러 방향으로 장타를 날릴 수 있는 우타 강타자. 홈구장인 요코하마 스타디움 바깥으로 날려버리는 장외홈런도 몇 차례 기록했으며 홈런 파크팩터가 낮은 한신 코시엔 구장이나 나고야 돔에서도 홈런을 곧잘 생산해내는가 하면 위의 사진에서도 나타나듯 힘대 힘 싸움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고 타구를 파울 폴 안쪽으로 날려보내는 무시무시한 파워를 가지고 있다. 3볼 타격도 자주 시도하는 등 적극적인 배팅을 즐기며 2018년엔 멀티홈런 경기를 8번이나 기록할 만큼 몰아치는 데 상당히 능하다.

다만 이것을 바꿔 말하면 적극적인 타격을 즐기는 만큼 삼진 또한 많이 당하며 몰아치기에 특화되있어서 기복 또한 심하다는 말이 된다. 2018년에는 전체적으로 큰 기복이 없었으나 풀타임으로 시즌을 치르기 시작한 2019년부터는 기복이 심한 경향을 보였다. 잘 칠 때는 2018년의 재림과도 같은 홈런 생산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지만 못 칠 때는 타석마다 맥없이 삼진으로 물러나며 팀 타선에 찬물을 끼얹는다.

2020년에 새로운 외국인 선수 타일러 오스틴이 주전 3번타자가 되면서 3번에서 2번으로 타순이 올라가기도 하는 등 강한 2번타자 역할도 맡은 경험이 있지만 주로 중심타선에 자주 포진된다. 하락세가 시작된 2021년에는 타순이 7번까지 떨어지기까지 했다.

원래 주로 맡던 포지션은 1루수와 3루수였는데 일본으로 건너와서는 마이너 시절 잠깐동안 맡아왔던 2루수와 우익수로 출전하는 비중이 늘었다. 요코하마 입단 이후에 이 포지션들을 본격적으로 연습하면서 4개의 포지션을 볼 수 있는 유틸리티 플레이어가 되었다. 하지만 여러 포지션을 볼 수 있는 것과는 별개로 수비력은 결코 좋다고 볼 수 없다. 우익수로 출전했을 때의 UZR은 리그 최하위권이고 2루 UZR도 우익수와 별반 차이가 없다.

1루수로 출전했을 때는 그래도 가장 나은 수비를 보여주는 편. 초반엔 기존의 주전 1루수였던 호세 로페스가 건재해서 가끔씩만 맡았지만 로페스가 노쇠화가 오면서 라인업에 이름을 자주 못 올리게 된 2020년부터는 본 포지션인 1루수로 자주 출전하고 있다. 로페스의 퇴단 이후 완전히 1루수로 굳어졌고 2022년엔 UZR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MLB)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3 CIN 13 13 0 0 0 0 0 0 0 0 6 .000 .077 .000 .077
2014 21 31 3 1 0 0 1 1 0 0 8 .100 .214 .333 .548
<rowcolor=#373a3c> MLB 통산
(2시즌)
34 44 3 1 0 0 1 1 0 0 14 .071 .091 .095 .186
역대 기록(NPB)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8 DeNA 107 459 129 16 0 41
(1위)
95
(5위)
74 0 29 100 .310 .364 .644
(1위)
1.008
(4위)
2019 141 584 139 18 0 43
(1위)
108
(1위)
82 0 59 98 .269 .348 .554
(4위)
.902
(5위)
2020 114 480 108 18 0 25
(5위)
78
(5위)
59 0 44 103 .252 .323 .470 .793
2021 123 451 96 18 1 21 62 42 0 35 116 .234 .302 .437 .738
2022 117 412 98 25 0 17 49 35 0 38 103 .266 .342 .473 .815
2023 109 399 83 22 0 14 50 31 0 39 99 .234 .316 .415 .731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24 롯데 132 542 132 22 2 21
(4위)
88
(2위)
43 0 42 136 .269 .330 .450
(5위)
.780
(5위)
<rowcolor=#373a3c> NPB 통산
(7시즌)
843 3327 785 139 3 182 530 366 0 286 755 .263 .333 .495 .828

5. 기타


[1] 요코하마 시절부터 사용했다.[2] Going on ソト! Touch'em all ソト!
Going on 소토! Touch'em all 소토!
君は 嵐の カリビアン
키미와 아라시노 카리비안
그대는 폭풍의 Caribbean
見せつけてやれ パワフルスイング
미세츠케테야레 파와후루 스잉구
보여주자 Powerful Swing
[3] バモ ネフタリ X2 オオオ… ソ! ト! (이상 짝수 회 반복) ラララララ… ソト!
Vamos Neftali X2 오오오... 소! 토! 라라라... 소토!
[4] 과거에도 요코하마 구단은 연봉 5000만엔이란 저렴한 가격으로 외국인 타자를 영입했는데 그 타자는 2년 연속으로 40홈런 이상을 기록하며 홈런왕에 올랐다. 그 외국인 타자가 바로 타이론 우즈.[5] 황색언론도 아니고 그냥 인터넷에서 근거 없는 추측성 글들이 올라오던 것이었지만 진지하게 롯데에 올 가능성이 꽤 있다고 할 만했다. 롯데가 유독 파워히터가 부족하기로 유명한 팀이기도 하고, 외국인 선수 수집을 매우 적극적으로 하는 팀이다보니 그런 것이다. 실제로 오랫동안 일본 타 팀에서 뛰었지만 하락세를 타면서 자유계약으로 풀린 파워히터 외국인 선수들은 대부분 롯데에서 주워가는 거 아니냐는 말을 들으며 진짜로 롯데에 입단한 사례도 많다. 실제로 소토 외에도 그레고리 폴랑코, 브랜든 레어드, 윌리 모 페냐, 크레이그 브라젤, 조쉬 화이트셀, 호세 카스티요 등 롯데가 주워온 일본 타 팀 출신 파워히터 외인타자들이 한둘이 아니다.[6] 교류전 종료 시점에서 홈런 하나만큼은 파리그 5위라, 아직 맞으면 넘어가긴 한다. 다만 컨택 능력이 거의 사라졌다.[7] 여담으로 이적 첫 해인 2024년 어느 날 경기 해설 중, 해설가가 타 팀의 응원가를 잘 몰랐는지, DeNA 시절에 쓴 응원가를 그대로 가져다 쓰는 거냐며 캐스터에게 질문한 적도 있었다. 물론 지금의 소토 응원가는 DeNA 시절과는 다른 응원가라고 캐스터가 알려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