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18 02:36:28

그레고리 폴랑코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치바 롯데 마린즈
2025 시즌 외야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0 오기노 타카시 · 1 후지와라 쿄타 · 3 카쿠나카 카츠야
6 니시카와 미쇼 · 22 그레고리 폴랑코
23 이시카와 신고 · 25 오카 히로미
38 타카베 아키토 · 50 아이토 · 51 야마구치 코키
61 야마모토 다이토 · 63 와다 코시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치바 롯데 마린즈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그레고리 폴랑코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지명타자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오타 타쿠지
타이헤이요 클럽
타카이 야스히로
한큐
도이 마사히로
크라운라이터
찰리 매뉴얼
킨테츠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토니 솔라이타
닛폰햄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레론 리
롯데
이시미네 카즈히코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카도타 히로미츠
오릭스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트로이 닐
오릭스
도밍고 마르티네스
세이부
나이젤 윌슨
닛폰햄
필 클라크
킨테츠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이젤 윌슨
닛폰햄
프랭크 볼릭
롯데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터피 로즈
오릭스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호세 페르난데스
세이부
윌리 모 페냐
소프트뱅크
미첼 아브레유
닛폰햄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이대호
소프트뱅크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프란밀 레이예스
닛폰햄
}}}}}}}}}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25번
카일 판스워스
(2013)
<colcolor=#000000> 그레고리 폴랑코
(2014~2021)
쓰쓰고 요시토모
(2022)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23번
노가미 료마
(2018~2021)
그레고리 폴랑코
(2022)
마츠다 노부히로
(2023)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22번
다무라 다쓰히로
(2017~2022)
그레고리 폴랑코
(2023~)
현역
}}} ||
파일:グレゴリー・ポランコ2024.pn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치바 롯데 마린즈 No.22
그레고리 폴랑코
グレゴリー・ポランコ / Gregory Polanco
출생 1991년 9월 14일 ([age(1991-09-14)]세)
산토도밍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5cm / 106kg
포지션 외야수[1], 지명타자 [2]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2009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FLA)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2014~2021)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2)
치바 롯데 마린즈 (2023~)
등장곡 Jey One - No Soportaran
응원가 伊集加代 - めざめ[3]
[ruby(荒野, ruby=こう や)]の[ruby(砂塵, ruby=さ じん)][4][5]
연봉 2025 / ¥500,000,000[6]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기록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치바 롯데 마린즈 소속 외야수로, 주 포지션은 우익수다.

2. 선수 경력

2.1. 피츠버그 파이리츠

파일:Gregory_Polanco_Pittsburgh_Pirates.webp

처음에 좌완 투수로 활약하다가, 선수 부족으로 외야수로 전환되었고 이후 외야수 포지션으로 바뀌었다.

2009년 4월 파이리츠와 자유계약을 맺고, 도미니카 섬머 리그에서 뛰었고, 2010년부터 미국으로 건너와 마이너 리그에서 활동, 2012년에 .325 타율, 16홈런, 40도루를 달성하며 베스트 시즌을 보냈다. 그 해 폴랑코는 남부 대서양 리그 올해의 선수 및 파이리츠 마이너 리그 올해의 선수로 이름을 올렸다.

2013년에는 파이리츠 산하 싱글 A 브레던턴 머로더스에서 시즌을 시작했고, 57경기에서 .312 타율, 24도루, 30타점을 기록해 퓨처스 올스타전에도 참가했다.

2014년에는 인디애나폴리스 인디언스에서 활동하다가, 닐 워커가 6월 충수돌기염으로 응급 수술을 받게 되어 10일 메이저 리그로 콜업되었고, 현재는 주전 외야수로 경기에 나오고 있다. 데뷔 첫 시즌을 .235 .307 .343 7홈런 33타점 14도루라는 뭔가 살짝 부족한 성적을 내며 마쳤다.

2015년부터 주전 우익수를 맡아 뛰었는데, 153게임 .256 .320 .381 9홈런 52타점 27도루로 약간 아쉬운 성적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쳤다. 하지만 이 시즌에 피츠버그에 들어온 강정호 덕분에 한국에도 이름을 알리게 됐다.[7]

2016년도 주전 우익수로 뛰었다. 앞선 두 시즌보다 장타력을 향상시키며, 시즌이 거의 끝난 10월 1일 현재 .262 .326 .470 22홈런 86타점 17도루를 기록하고 있다.

파일: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2017 WBC ALL-WORLD TEAM AWAR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OF

파일:미국 국기.svg OF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OF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SS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2B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3B

파일:미국 국기.svg SP

파일:미국 국기.svg 1B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DH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C

파일:일본 국기.svg SP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CP
}}} ||

2017년은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도미니카 공화국 야구 국가대표팀 멤버로 참가해 대회 베스트팀에 선정되기도 했으나 정작 시즌에 들어서선 멸망했다.

2018년도 주전 우익수로 뛰었지만 무릎 부상에 어깨수술로 2019년에는 볼 수 없게 되었다.

어깨 부상에서 복귀한 이후 생산력이 상당히 떨어졌고 결국 2021년 8월 28일에 지명할당 처리되었다. 사실상 방출이라고 봐도 무방.

이후 9월 1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 마이너 계약을 했다.

2.2. 요미우리 자이언츠

2022년 1월 5일자로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에 합의했다는 보도가 나왔고 같은 날 오후 정식으로 입단을 발표했다.#

계약규모는 1년 계약에 2억 5천만엔(약 230만 달러).
파일:AB7BF256-057A-4812-8AAE-27F2F6BCC819.jpg

하지만 시즌 최종 성적은 138경기 484타석 105안타 24홈런 58타점 2도루 44사사구 109삼진 타율 .240에 OPS .762로 아주 못한 건 아니었으나 돈값은 전혀 해주지 못했다.

또한 리그 4위였던 홈런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선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였고 결국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팀을 떠나게 되었다.

2.3. 치바 롯데 마린즈

폴랑코의 퇴출 소식 후 일본 인터넷에서는 그의 성적이 몸값에 비해 아쉬울 뿐이지 일본에서 아주 안 통한건 아니었기 때문에 선수 본인이 몸값을 낮추더라도 일본에 남고 싶으면 팀을 구할 수 있다는 추측성 게시글이 많이 나왔다.
그리고 롯데와의 계약이 12월 27일 발표되었다. 롯데는 마침 일본에서 몇 년을 보내온 용병타자 3인을 전원 재계약하지 않기로 했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도 폴랑코 데려왔으면 하는 의견이 좀 있었던 차였고, 최근 몇 년 사이 용병 줍기로 유명했던[8] 롯데였던 만큼 예상대로였다는 평가. 공교롭게도 계약 13일 전, 같은 팀에서 방출된 크리스토퍼 메르세데스가 입단했다.

연봉은 1억 8천만엔(약 130만 달러)로 200만 달러를 넘게 받은 요미우리 시절에 비해선 ⅓ 정도가 깎였다.

2.3.1. 2023 시즌

스프링캠프가 시작되고 나서야 뒤늦게 팀에 합류하였다. 하지만 크리스토퍼 메르세데스루이스 페르도모와 달리 처음부터 1군 스프링캠프에 참여하였다.

요미우리 시절 보여준 수비력만 보면 지명타자나 좌익수 위주의 출장이 예상되었으나 2023년 오키나와 연습경기에서는 주로 우익수로 나온다.

시범경기 때부터 OPS 4할로 부진하더니 정규시즌 첫 두 경기에서 무안타를 기록하며 혈을 끊어먹고 있다. 레오니스 마틴이 작년에 그렇게 못했음에도 팬들이 그리워할 정도. 결국 4월 월간 타율 .140에 1홈런 OPS .459를 기록하면서 완전히 망해버렸다.

5월달에는 그나마 월간 타율 2할에 OPS 6할을 쳤고 홈런도 3개를 치면서 조금 나아지긴 했지만 130만 달러의 용병이란 걸 감안하면 여전히 먹튀 성적이다. 그나마 믿음의 야구 성향이 강한 요시이 마사토 감독 덕에 2군으로 가지는 않고 있지만 요시이 감독의 성향이 어중간하게 믿는 선수들은 타격감이 아무리 좋아도 무조건 로테이션을 돌리기 때문에 갑자기 리그를 폭격하는 것이 아닌 한 전망이 밝지는 않다.

6월에는 OPS 9할대에 홈런도 곧잘 치는 모습을 보이며 2022년의 비율스탯 정도까지는 올라왔다. 후반기에도 페이스 유지한다면 재계약은 거의 확실해보인다. 특히 7월 16일에는 5타수 4안타 3홈런에 나머지 1안타도 장타인 2루타를 치며 아사무라 히데토와 일기토를 펼치는 등 대활약을 펼쳤다. 하지만 아사무라가 5타수 5안타 2홈런에 결승 홈런을 치면서 이날의 활약은 승리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7월 23일 기준 타출장 .240 .311 .433 12홈런 40타점 병살 1개를 기록하고 있다. 5월 .097까지 떨어졌던 타율과 비교하면 장족의 발전이다.

8월 23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상대로 또 1경기 3홈런을 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은 졌다는 것도 동일.

시즌 성적은 125경기 497타석 108안타 26홈런 75타점 타율 .242에 OPS .762로 작년과 거의 똑같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아사무라 히데토, 콘도 켄스케와 함께 공동 홈런왕이 되며 1986년 오치아이 히로미츠 이래 37년 만의 롯데 소속 홈런왕이자 치바 롯데 마린즈 시대 최초의 홈런왕이 되었다. 똑같은 성적이여도 강타선을 자랑하는 요미우리와 빈약한 타선이 계속해서 과제로 남아있는 롯데는 당연히 서로 타격 평가가 반대가 될 수밖에 없으니 작년에는 퇴출 얘기가 나왔으나 올해는 타 팀에 빼앗기는 것 아니냐는 말이 나올 정도. 거의 지명타자로만 나온 점도 있어서 WAR는 1.1로 썩 높지는 않으나 최근의 NPB 용병 타자들의 성적이 좋지 않다 보니 이 성적이 전체 용병타자 중 4위이자 퍼시픽리그 용병타자 중 3위이다.[9] 결국 브랜든 레어드에 이어 용병타자 줍기의 모범사례가 되었다.

2.3.2. 2024 시즌

작년과 동일하게 몰아치기와 멘도사 라인을 오가며 타율 .240~.250에 OPS .760~.770을 귀신같이 유지하고 있다.

9월 11일 시즌 20호 홈런을 치며 3년 연속 20홈런을 달성했다. 홈런이 좀 적어 보이지만 2024년 일본프로야구의 홈런 기근 속에서 홈런 2위를 기록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2년 연속 홈런왕은 되지는 못했지만, 팀 1위가 되는 23홈런을 기록하고, 타점도 팀 2위인 90타점을 기록했다. 시즌 종료후 다음 시즌 잔류가 보도되었다.

2.3.3. 2025 시즌

5월 6일까지 39경기 타출장 .201 .273 .331 5홈런 13타점을 기록하다가 1군에서 말소되었다. 타율이야 원래 낮았지만 2루타를 3개 밖에 기록하지 못한 점이 눈에 띈다. 그 이후 2군에서 계속 출장하다가 5월 16일 다시 1군에 올라왔다. 6월 3일까지 16경기 .200 11안타, 홈런 2개, 4타점을 기록하다가 6월 3일에 다시 말소 되었다. 그리고 다시 2군으로 가 17경기 6홈런을 기록하다가 6월 28일 다시 1군에 등록되었다.

그러다가 6월 29일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전 출전 이후 오른쪽 어깨에 이상을 호소하였는데 다음 날 오른쪽 어깨 아탈구를 진단 받고 1군에서 말소되었다. 이후 미국으로 귀국하여 오른쪽 어깨 수술을 받았음이 구단 사이트 공식 뉴스를 통해 발표되었다.#

3. 플레이 스타일

메이저리거 중에서도 키가 큰 편이고 덩치도 있지만 발이 상당히 빠른 편이며 도루 센스가 뛰어나다.[10] 치바 롯데 마린즈로 이적 후 도루는 시도하지 않고 있지만 의외로 내야안타를 곧잘 만들며 병살타도 거의 없는 나쁘지 않은 주루 플레이를 하고있다.

메이저 초기에는 주로 1번타자로 나오고 있는데 장타력도 있는 편이라 1회초 선두타자 홈런이 종종 나오기도 했고 메이저에서도 20홈런 시즌을 두번이나 기록했다. 또한 일본에 진출한 후에는 센트럴리그 홈런 4위를 기록할만큼 장타 면에서는 강점을 보였다.
하지만 수비는 타구 위치 판단이 느리고 외야에서 결정적인 실책을 하기도 하여 지명타자가 적합하나 일본 1년차에 뛴 요미우리는 지명타자가 없는 센트럴리그 팀이었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폴랑코를 우익수로 써야 했다.[11] 치바 롯데 마린즈로 이적 이후에는 지명타자로 출전하나 정말 가끔 좌익수로 출전한다. 수비 범위나 타구 판단이 좋지 않지만 나름 최대한 노력해서 공을 잡으러 가는게 보인다. 어깨는 MLB 시절과 비교하면 많이 약해졌다.

여담으로 뛰는 폼이 상당히 어색하다. 외야플라이를 잡으러 가거나 도루를 할때도 마치 경보를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사실은 뛰고 있는 거다. 다리가 엄청 길어서 그렇게 보이는 걸 수도 있다.[12]

일본 시절의 특징을 보면 몇 주간 몰아치다가 그 다음 몇 주간은 주간 OPS 4-5할을 찍을 정도로 각성과 부진을 반복한다. 이 때문에 요미우리에서도 롯데에서도 1경기를 믿기에는 어렵지만 1시즌은 믿고 볼 수 있는 성적(...)을 내줬다. 또한 두 팀에서 기록한 성적이 별반 차이없음에도 불구하고 워낙 쟁쟁한 타자들이 많고 돈이 많아 거물 용병을 여럿 구할 수 있는 요미우리에서는 1년 만에 방출당했으나 타선이 워낙 빈약한 데다 돈이 없어서 용병을 많이 뽑기도 어렵고 S급 용병을 뽑아봤자 1-2년 쓰고 머니게임 패배로 빼앗기는 롯데에서는 핵심 타자로 자리잡았다.

4. 연도별 기록

파일:MLB 로고.svg 그레고리 폴랑코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db827>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bWAR
2014 PIT 89 312 65 9 0 7 50 33 14 30 59 .235 .307 .343 .650 0.5 0.3
2015 153 652 152 35 6 9 83 52 27 55 121 .256 .320 .381 .701 2.2 2.5
2016 144 587 136 34 4 22 79 86 17 53 119 .258 .323 .463 .786 2.2 1.6
2017 108 411 95 20 0 11 39 35 8 27 60 .251 .305 .391 .696 0.6 0.3
2018 130 534 117 32 6 23 75 81 12 61 117 .254 .340 .499 .839 2.5 2.2
2019 42 167 37 8 1 6 23 17 6 12 49 .242 .301 .425 .736 -0.2 -0.5
2020 50 174 24 6 0 7 12 22 3 13 65 .153 .214 .325 .539 -0.7 -1.0
2021 107 382 70 12 2 11 38 36 14 36 104 .208 .283 .354 .637 -1.2 -1.3
MLB 통산
(8시즌)
823 3220 696 156 19 96 399 362 98 287 694 .241 .309 .409 .718 6.0 3.9

5. 기타

6. 관련 문서




[1] 원래는 우익수였으나 현재는 수비에 나와도 좌익수만 본다.[2] NPB에선 주로 지명타자로 출전중이다.[3] 2024년부터 후술할 응원가의 전주 역할을 한다. 가사는 딱히 없고 연주에 맞춰 '어이!'를 연호한다.[4] 황야의 모래먼지. 원곡인 荒野の砂塵는 프로레슬러 킬러 칸의 등장곡이었다. 응원가는 채드 허프만의 응원가를 그대로 사용한다.[5] (演奏)オイ!×3 エル・コーヒー×2 エル・コーヒー ホームラン×2 엘 코히는 폴랑코의 애칭이며 영어권 사이트를 보면 el coffee를 말하는 듯.[6] 약 333만 달러.[7] 당시 네이버 뉴스 기사에 강정호와 폴랑코를 같이 언급하는 기사가 많이 올라왔었다.[8] 2019년 브랜든 레어드, 브랜든 만, 2020년 프랭크 허먼, 제이 잭슨, 천웨이인, 2021년 에니 로메로.[9] 용병타자 WAR 전체 1위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도밍고 산타나(2.1), 2위는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데이비드 맥키넌, 3위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아리엘 마르티네스(1.8)이다.[10] 하지만 일본에서는 도루 시도를 5번 해서 2번 성공할 정도로 예전과는 달리 도루툴은 사라졌다.[11] 좌익수로 쓰지 않은 이유는 좌익수로는 그 폴랑코보다 수비를 못하는 애덤 워커를 써야 했기 때문. 타격 자체는 폴랑코보다 워커가 더 좋았다.[12] 신체 구조를 잘 보면 보통 사람 등짝이 있어야 할 부분에 엉덩이가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