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31 00:21:15

야나기마치 타츠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로고.svg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외야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3 콘도 켄스케 · 7 나카무라 아키라 · 9 야나기타 유키 · 30 사토 나오키
· 31 마사키 토모야 · 32 야나기마치 타츠루 · 44 사사가와 요시야스 · 57 오가타 리쿠
· 61 카와무라 유토 · 77 야마모토 케이타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선수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
야나기마치 타츠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우승 엠블럼 V11.svg파일:2025소뱅우승.png
NPB 일본 시리즈
우승반지
2020 2025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랜디 바스
한신 / .428
랜디 바스
한신 / .481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2 1963 1964 1965 196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이치로
오릭스 / .445
이치로
오릭스 / .432
이치로
오릭스 / .422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이치로
오릭스 / .412
이치로
오릭스 / .460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야나기마치 타츠루
소프트뱅크 / .382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에선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별도로 시상하다
1985년부터 출루율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면서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을 타이틀 시상 대상으로 반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32번
츠카다 마사요시
(2012~2019)
야나기마치 타츠루
(2020~)
현역
}}} ||
파일:야나기마치 타츠루.jpg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32
야나기마치 타츠루
[ruby(柳町, ruby=やなぎまち)] [ruby(達, ruby=たつる)] | Tatsuru Yanagimachi
출생 1997년 4월 20일 ([age(1997-04-20)]세)
이바라키현 이나시키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게이오기주쿠고등학교 - 게이오기주쿠대학
신체 180cm | 80kg | B형
포지션 외야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9년 드래프트 5라운드 (소프트뱅크)
소속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FISU 세계대학 야구선수권대회 1회 (2018)
미·일대학 야구선수권대회 1회 (2019)
등장곡 GReeeeN - 〈花唄〉
ポルノグラフィティ - 〈オー!リバル〉
연봉 2025 / ¥42,000,000
파일: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심볼.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2.1. 2020 시즌2.2.2. 2021 시즌2.2.3. 2022 시즌2.2.4. 2023 시즌2.2.5. 2024 시즌2.2.6. 2025 시즌
2.3. 국가대표 경력
2.3.1. 제6회 FISU 세계대학 야구선수권대회2.3.2. 제43회 미·일대학 야구선수권대회
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2.1. 아마추어 시절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으며 중학교 시절에는 시니어 클럽에서 3루수로 활약했다. 중학교 2학년 시절에는 전국 대회 우승도 경험했다.

중학교 졸업 후 게이오기주쿠고등학교로 진학했다. 1학년 시절부터 주전 3루수로 활약했으나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에 진출하는 것은 실패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게이오기주쿠대학으로 진학했다.

1학년 봄의 개막전에 출전해서 2홈런을 기록하는 등의 뛰어난 활약을 펼쳐 베스트 나인을 획득한다. 그 후 순조롭게 경기 출전을 계속했고, 3학년 봄 대회에서는 타율.269, 같은 해 가을 대회에서는 타율은.259로 침체하지만, 4학년 봄 리그에서 사상 33번째로 통산 100안타를 달성해, 타율.378 의 기록을 기록하면서 부활하는데 성공한다. 대학교 시절 통산 성적은 102경기에 나와 113안타, 7홈런, 타율.291의 성적을 남겼다.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9년 드래프트 5라운드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지명을 받았다.

등번호는 32번을 배정받았으며 계약금 4,000만 엔, 연봉 760만 엔에 프로 계약을 맺었다.

2.2.1. 2020 시즌

6월 21일 치바 롯데와의 경기에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고 이후 7월 4일에 2군으로 내려갔으나 10월 30일에 다시 1군에 콜업되는데 성공한다. 콜업된 당일에 선발 출전하며 데뷔 첫 선발 경기를 치렀다. 다음날인 31일에 대수비로 출전해 9회 무사 3루 상황에서 안타를 때려내며 데뷔 첫 안타와 데뷔 첫 타점을 동시에 달성했다. 이후 2020년 일본시리즈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소프트뱅크가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상대로 우승을 거두면서 데뷔 첫 해부터 우승반지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10만 엔 증가한 770만 엔에 계약을 맺었다.

2.2.2. 2021 시즌

시즌 시작은 2군에서 시작했으며 6월 8일날 1군에 콜업되었다. 당일 히로시마전에 2번 타자 좌익수로 선발 출전해서 멀티히트를 때려내는데 성공했다. 시즌 최종전인 치바 롯데와의 경기에서는 데뷔 첫 3안타와 데뷔 첫 홈런을 동시에 기록하는데 성공했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30만 엔 증가한 800만 엔에 계약을 맺었다.

2.2.3. 2022 시즌

3월 30일에 쿠리하라 료야가 십자인대 파열과 반월판 손상이라는 큰 부상으로 시즌 아웃이되면서 1군에 승격되었다. 당일 치바 롯데와의 경기에 선발 출장하여 2안타를 때려내는데 성공했다.

5월 19일 우에바야시 세이지가 아킬레스건 파열로 시즌 아웃되자 주전 좌익수로 낙점되었다.

이후 꾸준히 주전 좌익수로 활약하다가 8월 20일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으로 1군에서 말소되었다.

9월 8일에 다시 1군 엔트리에 복귀해서 주전 좌익수로 활약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7경기에 출전해 89안타(2루타 14개, 3루타 4개, 홈런 0개) 32타점 21득점 40사사구 79삼진 3도루 타율 .277 출루율 .357 장타율 .346 OPS .703을 기록하였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2,100만 엔이 증가한 2,900만 엔에 계약을 맺었다.

2.2.4. 2023 시즌

2023 시즌에도 2022 시즌에 이어 주전 선수로 활약했고 시즌 최종 성적은 116경기 80안타(2루타 18개, 3루타 1개, 홈런 0개) 34타점 27득점 59사사구 104삼진 2도루 타율 .257 출루율 .375 장타율 .322 OPS .696을 기록하였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500만 엔 증가한 3,400만 엔에 계약을 맺었다.

2.2.5. 2024 시즌

2024 시즌은 2군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며 이후 5월 28일에 1군으로 콜업되었다. 교류전에서 타율 .351을 기록하며 타율 전체 3위를 기록하였다. 콜업 후 주전 좌익수로 꾸준히 출전하면서 같은 팀 소속이자 학교 후배인 마사키 토모야, 히로세 류타와 함께 좋은 활약을 펼치며 '게이오 트리오'라는 별명을 얻었다. 시즌 최종 성적은 73경기에 58안타(2루타 11개, 3루타 5개, 홈런 4개) 40타점 26득점 15사사구 65삼진 1도루 타율 .269 출루율 .313 장타율 .421 OPS .735를 기록하면서 지난 해에 비해 장타력이 크게 성장한 모습을 보여줬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800만 엔 증가한 4,200만 엔에 재계약을 채결했다.

2.2.6. 2025 시즌

5월 기준 28경기 타율 0.329, 장타율 0.468, 출루율 0.448, ops가 0.916으로 팀의 주전 외야수인 콘도 켄스케야나기타 유키가 없는 현재 주로 선발 출전하여 굉장히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6월 규정타석에 진입하며 파리그 타율 1위가 되었다. 11일 기준 3할 6푼을 치는 놀라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교류전 내내 4할에 근접하는 타격을 보여주면서 교류전 MVP를 수상했다.

교류전 이후 귀신같이 평균 회귀를 하고 있다.

후반기에 다시 반등하며 파리그 상위권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31경기에 나와 129안타(2루타 17개, 3루타 1개, 홈런 6개) 50타점 54득점(전체 4위) 62볼넷(전체 1위) 109삼진 2도루 타율 .292(전체 2위) 출루율 .384(전체 1위) 장타율 .376 OPS .760(전체 3위)의 성적을 기록하면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2.3. 국가대표 경력

2.3.1. 제6회 FISU 세계대학 야구선수권대회

2018년에 열린 제 6회 FISU 세계대학 야구선수권대회에 선발되어 대학교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2.3.2. 제43회 미·일대학 야구선수권대회

2019년에 제43회 미·일대학 야구선수권대회에 선발되어 대학교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3. 플레이 스타일

컨택이 준수한 교타자로 50m 달리기가 6.2초가 걸릴 정도로 준수한 주력을 가지고 있다. 120m 롱토스가 가능할 정도로 좋은 어깨를 가지고 있고 외야 전표지션 수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4. 연도별 성적

파일:NPB 로고.svg 야나기마치 타츠루의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팀 출장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사구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20 소프트뱅크 12 6 4 1 0 0 0 1 0 1 0 0 .250 .400 .250 .650
2021 20 54 11 3 0 1 7 2 0 5 0 12 .229 .302 .354 .656
2022 107 364 89 14 4 0 21 32 3 38 2 79 .277 .357 .346 .703
2023 116 375 80 18 1 0 27 34 2 58 1 104 .257 .375 .322 .696
2024 73 237 58 11 5 4 26 40 1 14 1 65 .269 .313 .421 .735
2025 131 517 129 17 1 6 54 50 2 62 6 109 .292 .384 .376 .760
NPB 통산
(6시즌)
459 1553 368 63 11 11 135 159 8 178 10 369 .274 .362 .362 .724

5. 여담

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