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21:20:03

DD(유희왕/카드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DD
파일:위차원왕아크크라이시스.png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colbgcolor=#C0C0C0><colcolor=#111111> 한국어판 명칭 [ruby(DD, ruby=디디)]
일본어판 명칭 [ruby(DD, ruby=ディーディー)]
영어판 명칭 D/D
<rowcolor=#111111>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bgcolor=#fff,#191919> 어둠(메인 덱)
다양(엑스트라 덱)
악마족
[ 접기 ]
효과
융합
싱크로
엑시즈
펜듈럼
링크
1. 개요2. 설명3. 성능
3.1. 역사
3.1.1. 9기3.1.2. 10기3.1.3. 11기 ~ 12기3.1.4. 13기
3.2. 장단점
3.2.1. 장점3.2.2. 단점
3.3. 유희왕 듀얼링크스3.4. 유희왕 마스터 듀얼
4. 효과 몬스터 (非펜듈럼)
4.1. 레벨 1
4.1.1. DD 네크로 슬라임4.1.2. DD 라미아
4.2. 레벨 2
4.2.1. DD 스월 슬라임4.2.2. DD 고스트4.2.3. DD 랜스 솔저
4.3. 레벨 3
4.3.1. DD 나이트 하울링
4.4. 레벨 4
4.4.1. DD 릴리스4.4.2. DD 바포메트4.4.3. DD 디펜스 솔저
4.5. 레벨 5
4.5.1. DD 판도라
4.6. 레벨 7
4.6.1. DD 바이스 튜폰4.6.2. DDD 제패왕 카이젤4.6.3. DDD 패룡왕 펜드래곤
5. 효과 몬스터 (펜듈럼)
5.1. 레벨 1
5.1.1. DD 마도현자 케플러
5.2. 레벨 2
5.2.1. DD 스케일 서베이어
5.3. 레벨 4
5.3.1. DD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5.3.2. DD 케로베로스5.3.3. DD 오르트로스5.3.4. DD 아크5.3.5. DD 이블5.3.6. DD 그리폰
5.4. 레벨 5
5.4.1. DD 프라우드 슈발리에5.4.2. DD 엑스트라 서베이어
5.5. 레벨 6
5.5.1. DD 마도현자 니콜라5.5.2. DD 프라우드 오우거5.5.3. DD 도그
5.6. 레벨 7
5.6.1. DD 마도현자 뉴턴5.6.2.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5.6.3.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5.6.4.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5.7. 레벨 8
5.7.1. DD 마도현자 토마스5.7.2. DD 카운트 서베이어5.7.3.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5.7.4.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5.7.5.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5.7.6. DDD 영사왕 제로 마키나
5.8. 레벨 10
5.8.1. DD 마도현자 갈릴레이5.8.2.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5.8.3.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5.9. 레벨 12
5.9.1.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6. 융합 몬스터
6.1. 레벨 6
6.1.1. DDD 열화왕 테무진
6.2. 레벨 7
6.2.1. DDD 신탁왕 다르크
6.3. 레벨 8
6.3.1.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6.3.2. DDD 극룡왕 베어 울프
6.4. 레벨 10
6.4.1.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6.4.2.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6.5. 레벨 12
7. 싱크로 몬스터
7.1. 레벨 6
7.1.1. DDD 창시왕 클로비스
7.2. 레벨 7
7.2.1. DDD 질풍왕 알렉산더
7.3. 레벨 8
7.3.1.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7.4. 레벨 10
7.4.1.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7.4.2.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8. 엑시즈 몬스터
8.1. 랭크 3
8.1.1. DDD 반석왕 다리우스
8.2. 랭크 4
8.2.1. DDD 노도왕 시져8.2.2. DDD 지혜왕 솔로몬
8.3. 랭크 5
8.3.1. DDD 저격왕 텔
8.4. 랭크 6
8.4.1.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8.5. 랭크 88.6. 랭크 10
8.6.1.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9. 링크 몬스터
9.1. 링크 2
9.1.1. DDD 심연왕 빌가메스
9.2. 링크 3
9.2.1. DDD 천공왕 제우스 라그나로크
10. 마법 카드
10.1. 영왕의 계약서
11. 함정 카드
11.1. DD 리크루트11.2. DD 리빌드11.3. DDD의 인사권11.4. DDD의 계약변경11.5. DDD 헤드헌트
12. 관련 테마: 계약서
12.1. 마법 카드
12.1.1. 지옥문의 계약서12.1.2. 마신왕의 계약서12.1.3. 마신왕의 금단계약서12.1.4. 암흑 마계의 계약서12.1.5. 이형신의 계약서12.1.6. 특허권의 계약서류
12.2. 함정 카드
12.2.1. 발키리의 계약서12.2.2. 오봉의 계약서12.2.3. 상암의 계약서12.2.4. 이차원의 계약서
12.3. 관련 함정 카드
13.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13.1. 엑스트라 덱 몬스터13.2. 마법/함정 카드
14. OCG화되지 않은 카드15. 둘러보기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V점프 2014년 7월 호에 실린 유희왕 ARC-V 특별 단편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한 것으로 최초 공개되었으며, 여기서 나온 카드들이 V JUMP EDITION 11 펜듈럼 V팩에서 최초로 OCG용 카드로 등장했다.

한편 공격력 2000 이상이자 레벨 7 이상 최상급 몬스터 및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은 이름에 D가 하나 더 붙어서 DDD로 되어 있다.[1]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냥 상징적인 차이점 정도지만 일부 카드는 DDD만 지원하니 주의.[2]

12화 및 레이징 마스터즈 광고 영상에 따르면 DD는 Different Dimension을 의미하고, DDD는 Different Dimension Demon, 즉 다른 차원의 악마를 의미한다. D.D. 크로우 같은 놈들과 동일한 약자인 것. 코믹스에서의 DD 몬스터는 Data Dictionary상대를 관측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설정일 뿐인 것인지 정작 카드에 있는 독음은 그냥 "디디", "디디디"로만 되어 있어서 DDD가 데몬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설정에선 데스티니 히어로의 D에 3가지 뜻이 담겨 있지만, 실제 OCG에서는 그냥 데스티니뿐인 것과 비슷하다. 위차원왕과 함께 등장한 DDDD는 아직 무슨 의미인지 나오지 않았다.

애니메이션에서 레이지가 의식 소환을 제외한 당시의 모든 소환법을 사용하면서 펜듈럼 소환 이외에도 융합/싱크로/엑시즈 DDD 몬스터들이 공개되었다. 한편 애니메이션에서 첫 선보이는 카드들은 OCG에서는 SP 레이징 마스터즈(SPRG)[3]에서 발매되었다.

대체로 하급 DD 몬스터들의 경우에는 괴물이나 악마에서 이름을 따오고, 펜듈럼 존 세팅용 펜듈럼 몬스터들인 "마도현자" 시리즈는 천문학자물리학자, 공학자에서 따왔다. DDD 몬스터들은 모두 이름에 "왕"이 붙어 있다는 특징이 있고, 비펜듈럼 몬스터는 유명한 영웅의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펜듈럼 몬스터의 경우에는 지옥이나 종말과 관련된 이름이거나, 사용자 본인과 관련된 사람들이 모티브인 몬스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펜듈럼 몬스터들은 칭호가 회사의 직책을 말장난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특정 인물을 모티브로 하지 않는 DDD 몬스터 일람 ▼
<table bgcolor=#ffffff,#2d2f34> 카드명 말장난에 해당하는 부분 말장난 이외의 이름 모티브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사위왕(死偉王,시이오우)
=CEO
(지옥), 아마게돈(종말의 땅)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극지왕(極智王,쿄쿠치오우)
=국장(局長,쿄쿠쵸우)
카오스(혼돈), 아포칼립스(세계 종말)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괴치왕(壊薙王,카이치오우)
=회장(会長,카이쵸우)
어비스(심연), 라그나로크(신들의 황혼)
DDD 식혜왕 툼 콘키스타도르[4] 식혜왕(識慧王,시케이오우)
=CKO
(무덤), 콘키스타도르(정복자)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 사구왕(死謳王,시오우오우)
=COO
바이스(사악한), 레퀴엠(진혼곡)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사치왕(赦俿王,샤치오우)
=사장(社長,샤쵸우)
데스(죽음), 데우스 엑스 마키나(기계장치로 내려온 신)
DDD 영사왕 제로 마키나 영사왕(零死王,레이지오우)
=영애(令嬢, 레이죠)[5]
제로(0), 데우스 엑스 마키나(기계장치로 내려온 신)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위차원왕(偉次元王,이지겐오우)
=이차원왕(異次元王, 이지겐오우)[6]
아크(호)[7], 크라이시스(위기)
}}}}}} ||

북미판에선 그냥 DD로 발매될 경우 북미판 명칭에 소문자 dd가 들어가는 수많은 카드들[8]과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인지, /를 넣은 D/D가 되었다.

애니메이션 테마는 DDD.

3. 성능

주요 제약
  •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DD"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토마스 이외 DD 마도현자 계열)
  •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 턴에,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DD 오르트로스)
  • 효과의 발동 후, 자신은 "DD"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DDD 심연왕 빌가메스, 영왕의 계약서)

애니메이션 사용자인 레이지가 말한 대로 의식 소환 외에 모든 종류의 소환법을 사용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엑스트라 덱을 이용하는 특수 소환법들인 융합 소환, 싱크로 소환, 엑시즈 소환, 펜듈럼 소환, 링크 소환[9]을 모두 다루는 타이틀답게 사용하는 맛은 굉장히 좋은 편이지만, 초기에는 뭔가 2% 부족하다는 평이 대세였다. 하급/상급 DD들을 이용해 소환하는 최상급 DDD 몬스터 개개의 성능이 그다지 넘사벽급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었다.

펜듈럼 도미네이션 지원 이후 DD 덱은 스타일을 크게 바꾸어 계약서에 의한 안정적인 패, 필드 수급과 라미아의 자체 특수 소환 등 몬스터 효과에 의한 연계로 시너지를 이루면서 전개를 해 나가는 덱이 되었으며, 특히 라미아를 이용한 싱크로 소환을 주력으로, 보조로 융합 / 엑시즈 소환을 추가하는 식으로 엑스트라 덱을 구성하기 시작했다. 이 외에도 제외된 슬라임과 라미아를 재활용할 수 있게 해 주는 PSY프레임로드 Ω, 주혈왕 사이프리트와 함께 DD 날빌을 책임지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라미아도 제외되지 않고 필드에 남는 마도현자 케플러도 처리하면서 묘지로 보낼 수 있는 삼라의 희아궁 등이 발매되며 DD는 가끔씩 우승 덱에 이름을 올릴 수 있게 될 정도가 되었다.

링크 몬스터인 심연왕 빌가메스의 발매 및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사치왕 데스 마키나 등의 지원을 받은 이후 디메리트로 인해 DD 내부의 전용 몬스터들과 펜듈럼 소환으로부터 엑시즈 소환에 주력하는 구축이 정립되었다. 범용 몬스터 싱크로 소환 위주로 구축했던 기존과 다른 플레이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안정성이 싱크로 축보다 더 높기에 현재는 정석으로 자리잡았다.

실전성과는 별개로 사용자 본인이 모든 사용법을 다룬다 했지만 의식 소환이 없다는 것이 농담 소재로 자주 나오기도 한다. 엑스트라 덱 위주의 전개를 선호하는 DD 특성상 의식 소환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도 있지만, 외전 코너에서 의식 소환을 할 줄은 아는데 굳이 하진 않는다는 언급도 있어 제작진들도 알고 있는 네타 요소이기도 하다.

또한, 애니메이션상의 에이스 몬스터인 사위왕 헬 아마게돈 및 그 진화체들이 실전 DD 덱에서 전혀 사용되지 않았던 점도 특징. ARC-V 작중에서도 사위왕 시리즈들의 비중이 별로 없긴 했지만, 성능도 저열하니 OCG에서도 외면받는다. 물론 ARC-V 쪽 카드 덱들이 그런 경향이 비교적 낮긴 하지만 하다못해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도 초창기에 쓰인 걸 고려하면 굉장히 묘하다. 오히려 DD 덱의 저점과 고점을 담당하는 전천후 만능 에이스는 OCG 오리지널 몬스터인 데스 마키나로 평가받는다.

3.1. 역사

3.1.1. 9기

초기의 DDD들은 레이지가 적으로 두고 있는 융합 소환에 상당히 치우친 편이었는데, 싱크로 소환은 레벨 3 DD 나이트 하울링으로 뽑을 만한 실전적인 몬스터가 많지 않아 아예 버리는 경우가 많았고, 엑시즈 소환은 대부분 레벨이 각기 따로 놀아 소환하기 힘들었다. 펜듈럼 소환은 일단 DD 자체가 엑스트라 덱에 펜듈럼 카드를 쌓기보다는 묘지 자원을 더 선호하는 테마이고, 하이 스케일 담당인 케플러의 펜듈럼 효과에 있는 디메리트가 까다로운 데다 몬스터로서의 계약서 서치 효과가 좋아 펜듈럼 존에 넣기 아까워지는 이유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다. 반면에, 융합 지원 카드는 3장이나 되고, 몬스터 효과로 사용한 공격력 0짜리 약골인 DD 마도현자 케플러를 필드에서 처리하기도 편하며, 열화왕 테무진과 신탁왕 다르크가 상당히 고성능이기도 해서 DD 덱은 융합 소환에 많이 의존했다.

이때는 카드풀 또한 넓지 않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급으로 프라우드 슈발리에/프라우드 오우거나 제패왕 카이젤 등을 투입해야 했고 변수가 심히 많았기 때문에 성능 또한 애매했다.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에서 DDD 패룡왕 펜드래곤이란 신카드가 나왔으나, 자력으로는 소환할 수 없는 카드였다.

그러다가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슬라임들을 포함한 지원과 펜듈럼 도미네이션의 발매가 확정되면서 DD는 큰 상향을 받게 되는데, 우선 DD 라미아라는 자체 특수 소환 조건을 가진 튜너와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가 나오면서 싱크로 부분이 해결되었다. 융합 몬스터도 DDD 극룡왕 베어 울프가 나오면서 각각 연계, 타점 및 LP를 담당하는 DD끼리의 융합 몬스터들에 추가로 DDD를 융합해 필드 견제와 공격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으며,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으로 빠르고 간편한 융합 소환이 가능해졌다. 이때부터 DD의 주력 소환법은 융합 소환에서 싱크로 소환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러던 중 2016년 4월 금제가 발표되었고, EM룡검사, 피안, 제왕, 인페르노이드 등 대부분의 티어 덱이 몰락한 상황에서 DD는 마침내 티어권 진입에 성공했다. 4월 이후 환경에서는 SR 피안, 푸른 눈, 클리포트 3강 체제 바로 아래에서 EM오드아이즈, 마제스펙터와 같이 1.5군 정도로 맹활약했다.[10]

더 다크 일루전에서 나온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의 압도적인 드로우력의 힘으로 4월에서는 완전히 1티어로 부상하다 마침내 원래 점유율이 가장 높았던 푸른 눈을 제치고 점유율 1위가 되었으며, 7월 금제 때 아무런 타격을 받지 않았고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2016년 10월 금제로 스월 슬라임과 라미아가 준제한되어 욕망과 탐욕의 항아리을 쓸 때 위험성이 좀 더 심해졌고, D.D 크로우의 압박이 심해졌다. 그래도 십이수 독주 아래에서 다른 2티어 덱들과는 그럭저럭 할 만하다.

3.1.2. 10기

2017년 4월, 링크 소환이 등장하면서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전개가 크게 제한됨으로써, 전개를 하려면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 테무진과 알렉산더가 서로의 효과의 격발해야 하는 DD에게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 그래서 7월 금제로 스월 슬라임이 무제한으로 완화되었음에도 DD는 싹이 말라버렸다.

그나마 마도현자 케플러를 가볍게 처리할 수 있는 링크리보링크 브레인즈 팩에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등장하면서 어느 정도 숨통이 트였고 링크 브레인즈 팩 2에서 DDD 심연왕 빌가메스가 등장하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덱이 되었다.

이후이그니션 어썰트에서 테무진과 연계되는 쿠로시프가 등장하면서 마스터 룰 3에서만 가능했던 스월-라미아-네크로 전개도 부활해 신 마스터 룰에 완전히 적응했으며, 싱크로 축 DD가 완전히 정립되었다.

3.1.3. 11기 ~ 12기

2020년 4월 1일부터 적용되는 마스터 룰에서 융합, 싱크로, 엑시즈 몬스터는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어도 아무 메인 몬스터 존에 놓을 수 있게 되어서 많이 나아졌다. 신 마스터 룰 당시에는 하리파이버의 링크 마커에다가 빌가메스를 소환하면 링크 마커를 확보하기 위해 빌가메스를 라미아의 코스트로 사용해야 했지만, 그런 문제가 사라져 혜택을 보았다.

2021년 4분기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추가 지원을 받았다. 공개된 카드들의 성능은 대체로 호평. 신규 지원인 DD 그리폰은 빌가메스를 뽑기 쉽게 해 주어 용병의 의존도를 줄이면서 강력한 전개를 쓸 수 있게 되었고, 신규 엑시즈 몬스터인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는 간편한 소환 조건으로 퍼미션이 걸린 상황에도 3천대의 타점을 보장해 준다. 특허권의 계약서류라는, 차원 장벽에 버금갈 만한 초특급 소환 방해 카드와 DDD 헤드헌트의 막강한 필드 탈취권 역시 호평을 받는 편.

그리폰이 레벨 4 몬스터고 페듈럼 몬스터임에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해야 한다는 것을 살리기 위해 빌가메스 아래에 노도왕 시저를 엑시즈 소환하는 틀이 정립되었다. 이로써 지원 이후 No.77 더 세븐 신즈네가로기어 아제우스등 강력한 엑시즈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빌가메스의 사용 빈도가 올라간 기존의 싱크로 소환 위주였던 DD와 구분되게 되었다. 기존의 3핸드에서 벗어나 2핸드에 1핸드도 가능한 펜듈럼 덱이 되어 11기 초반에 어느 정도 어울리는 성능이 되었다. 물론 기존의 싱크로 축도 그리폰, 사치왕을 투입해 강화되었다.

그리고 2022년 7월 금제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금지가 됨에 따라 완전히 싱크로 축에서 엑시즈 축으로 넘어갔다.

11기 말에 비스테드, 크샤트리라의 등장으로 각각 묘지와 펜듈럼 존이 카운터당해 여타 덱들과 마찬가지로 사장되었다. 그나마 2023년 1월 금제로 비스테드와 크샤트리라가 금제를 당해 조금 숨통이 트였다.

2024년 4분기에는 프리미엄 팩으로 코믹스 카드 3장이 OCG화되었다.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받은 건 아니라서 덱의 플랜 자체는 그대로지만, 그 중 카운트 서베이어와 스케일 서베이어는 초동이자 공격권으로 덱의 기믹을 굉장히 수월하게 돌릴 수 있게 하여 필수 카드로 평가받는다.

3.1.4. 13기

「DD」 덱이 이차원급진화!

애니메이션 「ARC-V」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하는 「DD」 시리즈에 신 카드 등장!

그 중에서도 악마족의 융합・싱크로・엑시즈・펜듈럼의 합계 4체를 소재로서 불러내는 새로운 융합/펜듈럼 몬스터 「위차원왕」에 주목!
(융합 소환 이외로도, 필드・묘지의 소재를 제외하는 것으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공수 4000・펜듈럼 스케일 13으로, 상대 필드 위의 모든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화, 전 몬스터에 1회씩 공격, 파괴되어도 자신을 펜듈럼 존에 놓는 3개의 효과가 모두 강렬! 더욱이, 펜듈럼 효과는 필드의 「계약서」 카드를 파괴하면서, 그 수까지 덱・엑스트라 덱에서 「사위왕」 펜듈럼 몬스터를 특수 소환! 최대 5체의 에이스들을 불러내는 이차원급의 포진은 압권!

또한, 몬스터 효과와 펜듈럼 효과로 전선을 유지하는 펜듈럼 스케일 0으로 공격력 3000인 「영사왕」이나, 「DD」의 레벨을 올리는 효과로 싱크로・엑시즈를 서포트하는 「랜스 솔저」, 덱에서 매 턴 특수소환할 수 있는 「영왕의 계약서」처럼 에이스로 이을 수 있는 전개를 서포트하는 카드들도 다수 등장. 그리고, 새로운 싱크로・엑시즈인 「창시왕」, 「지혜왕」은 전개의 서포트 외에 제외했을 때의 효과도 함께 가지고 있다. 「위차원왕」을 특수 소환할 때 제외하면, 전투 시 데미지 관통이나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부여한 「위차원왕」의 연속 공격으로 막아서는 상대를 쓰러트리며 단숨에 승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

13기 둠 오브 디멘션즈의 메인 카드군으로 선정되어 대규모 지원을 받았다. 원 핸드 전개 루트를 만드는 초동의 수와 결과물, 전개력, 과도한 융합 의존도 완화, 턴킬 플랜 등 여러 방면에서 강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연계를 많이 요구하는 스월 슬라임 파츠, 라미아와 질풍왕 파츠가 퇴출되었고, 최적화를 통해 DD 몬스터 중 바람 속성 몬스터가 덱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 덕분에 도미나스 임펄스의 채용도 부담이 없어졌다.

공개 당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고, 출시 직후 데이터가 별로 쌓이지 않은 것을 감안하더라도 비공인 대회에서 여러 번의 우승과 입상을 올리면서 상당히 선방하고 있다. 비록 하위권이긴 해도 티어게임 재진입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둠오디에서 지원받은 대부분의 테마가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거나 티어권 진출에 실패한걸 생각하면 사실상 최대 수혜자인 셈.

3.2. 장단점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정립된 엑시즈 축 기준으로 설명한다.[11]

3.2.1. 장점

3.2.2. 단점

====# 해결된 단점 #====

3.3. 유희왕 듀얼링크스

TRUTH UNIVERSE에서 신규 출시됐으며, 당시에는 패룡왕 펜드래곤으로 상대의 마함을 제거, 기회가 오면 스월 슬라임과 나이트 하울링을 이용하여 필드에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를 포함하는 DDD 몬스터를 3체 깔고 상대방을 턴킬내는 방식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다.

ARC-V 월드 출시 이후 첫 캐릭터 획득 이벤트로 레이지의 공개와 함께 EX 스트럭처 "D/D/D APOCALYPSE"의 출시가 발표되었으며, 방송에서 신규 카드로 DDD 시위왕 헬 아마게돈, 마도현자 케플러/갈릴레오, DDD의 인사권이 공개되었다. 그 후 사위왕 헬 아마게돈이 메인인 미니팩 "IDEA OF ARMAGEDDON"의 출시 역시 발표되었다.

이후 DD 덱의 방향은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
2022년 5월 이후 펜듈럼 DD가 1티어가 된 이후 두 번의 금제를 거처 사위왕의 통솔 하향 및 DD 마도현자 토마스 1제한, DD 마도현자 케플러 2제한, DD 스월 슬라임 및 지옥문의 계약서 3제한으로 많은 카드가 금제에 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티어를 사수했고, 그 후로 시간이 좀 더 지난 후에는 티어권에서는 멀어졌지만 쓸만한 덱 수준은 유지하고 있다. 여전히 8축을 사용하는 펜DD가 주력.

이후 2023년 4월 금제에서 지옥문의 계약서가 해제, DD 마도현자 케플러가 3제한으로 완화되었다. 이후 동년 8월 금제에선 케플러 무제 / 지옥문 3제한으로 맞교환, 동년 9월 지옥문 해제, 동년 11월 스월 슬라임이 해제되어 토마스를 제외한 나머지 전원이 해제되었다.

레벨업 보상 확장으로 이그제큐티브 테무진과 이그제큐티브 시져, 2025년 3월 26일, "SCARRED RESONANCE" 팩에서 라미아, 네크로 슬라임, 주혈왕과 신규 스킬 사위왕의 조율을 지원받았지만

1. 스킬의 도움을 받아도 최소한 2핸드 전개가 강요되는점
2. 전개 도중 견제를 맞으면 그대로 덱이 올스탑되는 점
3. 패에 잡힌 발키리나 중복되는 계약서 등을 처리할 방법이 없는 등, 호감패가 생기기 쉬운 구조인 점

등의 고질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시즌말 듀얼킹이나 KC20 정도 겨우 노려볼 수 있는 정도의 덱으로 남게 되었다. 현재 DD는 스킬을 최대한 활용한 8축 + 1축 엑시즈 덱이나 사위왕을 최대한 배제하고 스월 네크로 라미아 위주로 굴리는 싱크로 채용 덱, 2가지 타입으로 나눠진다 볼 수 있다.

참고로 전용 소환 연출(3D) 애니메이션은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단 1장만이 존재한다.

3.4. 유희왕 마스터 듀얼

시크릿 팩 이차원의 왕과의 계약에서 관련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으며 마스터 듀얼 초기에는 배틀 오브 카오스의 지원 카드들이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싱크로 전개 축이 유행했으나 이후 2022년 8월 9일에 등장하는 셀렉션 팩 '인빈시블 레이드'에서 배틀 오브 카오스의 지원 카드들의 등장으로 엑시즈 축으로 최적화가 이루어졌다. 2025년 6월 24일 셀렉션 팩 '배틀 오브 데스티니'에서 프리미엄 팩 2025 지원이 등장하였다.

UR 배정 카드는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주혈왕 사이프리트, 쌍효왕 칼리 유가, 사치왕 데스 마키나, 카운트 서베이어. 배정 자체는 7종이나 되지만 2~3장씩 쓰는 카운트 서베이어를 빼면 모두 엑스트라 덱인데다 채용률이 떨어지는 카이사르와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가 배정돼서 덱값은 그리 높지 않다. 다만 이런 덱이 으레 그렇듯 범용 카드 없이 호환성이 없다시피한 파츠를 맨땅부터 만들어야 하다보니 체감 가격은 나름 나가는 편이고, 데먼스미스 용병과 쓰론도 모두 UR가 많이 든다. 거기다, 사실상 둠 오브 디멘션즈의 추가 지원 카드가 있어야 제대로 완성되는 덱이기 때문에 추가 지원이 나오면 빠질 카드를 위해서 보석이나 CP를 투자해야 한다는 점 역시 입문을 망설이게 하는 요소 중 하나.

게임 서비스 개시 시점부터 오랜 시간 동안 전용 소환 연출이 없어 놀림받던 테마였지만[12], 2025년 6월 24일 업데이트로 프리미엄 팩 2025의 서베이어 시리즈 지원이 나옴과 동시에 사치왕에 소환 연출이 추가되었다. 이는 2024년 11월에 실시한 유저 앙케이트를 반영한 결과라고 하며, 오프라인에서 출시가 예정된 둠 오브 디멘션즈의 홍보 차원이기도 한듯.

4. 효과 몬스터 (非펜듈럼)

4.1. 레벨 1

4.1.1. DD 네크로 슬라임

파일:DDネクロ・スライ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네크로 슬라임,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ネクロ・スライム,
영어판명칭=D/D Necro Slime,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3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꾸는 신비의 소용돌이.
DD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해 DDD를 융합 소환하는 카드.

스월 슬라임과 마찬가지로 카이사르 라그나로크/퍼플리시 아마겟돈/아크 크라이시스는 못 소환한다. 이 중 전자의 2장은 DD 덱에서 퇴출된 지 오래이며, 아크 크라이시스는 이 카드를 쓰지 않고도 묘지의 각 소환법별 악마족들을 제외하여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실질적인 제약은 없다.

DD 초동 전개의 중반을 담당하는 카드로, 묘지의 DD를 융합해 테무진을 소환하는 것이 정석 사용법이다. 꽤 오랜 시간 동안 3장 풀투입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투입 매수가 감소하여, 원 핸드 빌드가 성립된 13기 기준으로는 1장 정도만 투입한다.

이 카드는 필드나 패에서는 그저 공수 300짜리 약소 몬스터에 불과하므로 빨리 묘지로 보내야 한다. 패 / 덱에서의 덤핑 수단이 워낙 많은 덱인 데다가 레벨 1이라 링크리보의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어 묘지로 보내는 것 자체는 쉽다.

원작에서는 묘지의 이 카드를 코스트로서 제외하고,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 융합하는 효과였다. 참고로 이 차이 때문에 원작에서 이 카드의 효과로 카이사르 라그나로크를 융합 소환했던 장면은 재현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이라는 조건을 충족할 수 없기 때문. 이후 128화에서는 OCG 효과와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12 |

[[노멀|
N
노멀
]]
2018-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JP069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6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12 |

[[노멀|
N
노멀
]]
2017-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11-KR00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9-03-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KR069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6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12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15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3-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7-EN027 |
STAR PACK BATTLE ROYAL

[[노멀|
N
노멀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5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4.1.2. DD 라미아

파일:DDラミア.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라미아,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ラミア,
영어판명칭=D/D Lamia,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100, 수비력=19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DD(디디) 라미아"가 아닌\,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미래에 흐르는 피
일반 소환권을 소모하지 않고도 쉽게 필드에 내놓을 수 있는 DD의 하급 튜너. 과거에는 DD를 굴리다 보면 정말 사골처럼 우려먹게 되는 카드였다.

현재 배틀 오브 카오스 이후 생긴 엑시즈축의 DD에서는 의존도가 낮다. 마땅히 뽑을 만한 싱크로 몬스터를 거의 채용하지 않다 보니 빌가메스의 소재나 테무진, 괴치왕 등의 특수 소환 트리거 등 싱크로 소환 외의 목적으로 더욱 많이 사용하게 된다. 12기까지는 지옥문의 계약서 1핸드 전개를 위해서 코페르니쿠스로 라미아를 묻어야만 전개가 되기에 1장은 반드시 채용했지만, 13기에서는 그럴 필요마저 없어져서 퇴출되었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성의 상반신과 뱀의 하반신을 가진 반인반수 라미아.

[과거 싱크로 축 사용 방법]
날빌을 세우는 형식의 싱크로축 DD에서는 이 카드가 매우 중요한데, 단적으로 말해 라미아를 한 번 더 사용할 수 있느냐의 여부가 DD 날빌의 성립을 좌우한다. 일반 소환권을 써서 일반 소환하거나, 스월 슬라임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거나, 알렉산더나 테무진 등으로 끝없이 묘지에서 불러내서 골수까지 빨아먹은 이후에야 자체 효과로 특수 소환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간혹 패가 말려서 어쩔 수 없이 이른 타이밍에 특수 소환권을 쓰게 될 경우 케플러 같은 카드를 일반 소환으로 꺼내서 랭크 1 엑시즈 소환 이후 소재로 묘지로 보내면서까지 끈질기게 붙들어 놓게 된다.

테무진과 같이 알렉산더를 싱크로 소환하거나 다양한 레벨 8 싱크로 소환을 하는 데 주로 사용한다.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는 강력한 범용 싱크로 몬스터들이 많기 때문에 충분히 강력한 전법. 특히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에는 PSY프레임로드 오메가가 있기 때문에, 이 카드를 소환한다면 다음 상대 턴에 라미아를 묘지로 되돌려보내 라미아를 다시 우려먹을 수 있다. 또는 테무진과 알렉산더의 소생 효과를 이용해 다르크와 튜닝해 사이프리트를, 알렉산더와 튜닝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동시에 필드에 전개하기도 한다. 정확히 말하면 테무진-다르크 소환[13] 이후 테무진 효과로 라미아 소생-테무진과 튜닝으로 알렉산더 소환, 이후 DD특수 소환 후 라미아 소생-알렉산더와 튜닝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이후 라미아 효과로 소생 후 다르크와 튜닝해 사이프리트를 불러내는 식.

혹은 튜너라는 속성을 아예 버리면 간단히 특수 소환해 필드에 남은 케플러와 랭크 1 엑시즈 소환으로 연계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이렇게 사용하면 필드를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제외되는 디메리트까지 피할 수 있다. 한편 지옥문의 계약서로 서치가 가능하며 서치한 즉시 지옥문을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이 가능하므로, 특수 소환이 쉬운 레벨 1 튜너로서 용병 카드로 채용되기도 했다.[14]


99화에서 등장. 레이지가 이 카드와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를 소재로 베어 울프와 사이프리트를 융합 / 싱크로 소환했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5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5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7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4.2. 레벨 2

4.2.1. DD 스월 슬라임

파일:DDスワラル・スライ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스월 슬라임,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スワラル・スライム,
영어판명칭=D/D Swirl Slime,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200, 수비력=2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패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자유자재로 모습을 바꾸는 신비의 소용돌이.

①의 효과는 패 몬스터들로만 DDD 몬스터를 융합한다. 이 카드 외에도 네크로 슬라임, 마신왕의 계약서에 융합 효과가 붙어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패의 DD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둠 오브 디멘션즈 이전 DD의 초동 파츠로, 이 카드를 통해 테무진을 소환하는 것이 DD의 전개 시작이었다. 그러나 다른 융합 소재가 누구냐에 따라 결과물이나 전개 루트가 죄다 바뀌기 때문에 안정성 문제가 계속 대두되었고, 비스테드, D.D. 크로우 등을 필두로 한 묘지 견제, 이펙트 뵐러, 무한포영 등의 소환된 테무진 견제, 이 카드로 낼 만한 몬스터 중 증식의 G에 강한 카드가 없다는 점, 테무진이 다른 카드와의 연계가 필수인 만큼 필연적으로 3핸드 이상의 전개 패를 요구하는 등 DD의 평가를 깎아먹는 원인 중 하나였고 이 카드를 완전히 카운터하는 고첨병 켈벡이 발매된 이후로는 디스아도라는 밈이 생길 정도로 평가가 폭락했다.

이후 12기에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한 스케일 서베이어, 카운트 서베이어가 등장함에 따라 스월 슬라임은 특정 전개 루트[15] 에서나 쓰는 파츠가 되어 1장만 투입되고 있다. 그리고 13기에 영사왕, 영왕의 계약서 등 스월 슬라임이 필요 없는 각종 원 핸드 루트를 가능하게 하는 초동 파츠가 여럿 발매되고, 클로비스를 필두로 한 전개력 보강 카드들도 늘어나 테무진에 대한 의존도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약 10여 년 만에 이 카드는 DD 덱에서 완전히 퇴출되게 된다.

[13기 이전 평가]
마신왕의 계약서 없이 패 자원만으로 순식간에 열화왕 테무진과 신탁왕 다르크 등의 융합 몬스터를 띄울 수 있는 강력한 융합 서포트 DD.

지옥문의 계약서 등의 서치 카드로 보통 1순위로 가져오는 카드. 열화왕 테무진으로 대량 전개를 시작하는 DD는 거의 모든 루트에서 이 카드가 없으면 전개 자체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

DD 덱에서 라미아와 함께 날빌 루트의 핵을 담당하고 있는 카드다. 물론 라미아가 없어도 이 카드만 있다면 다르크 등의 고타점 몬스터를 세워 놓는 것 자체는 가능하니 중요도는 이 카드가 우위.

이 효과 자체도 굉장히 중요한 효과지만, DD에서의 전개의 핵심이 되는 효과는 ②의 효과다.

①의 효과로 대다수의 경우 테무진을 불러올 텐데, 테무진이 특수 소환에만 대응하기 때문에 여차하면 이 카드로 패의 DD를 특수 소환해 테무진의 효과를 발동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패에 괴치왕 같은 카드만 잔뜩 잡히는 경우 베어울프 소환 후 이 카드를 제외해 괴치왕을 소환하고 베어울프의 소재가 된 DDD를 묘지에서 뽑아내는 식으로 전개도 가능. 융합 대체+패의 DD 1장 뭐든지 특수 소환이라는 효과에 DD 특유의 온갖 소생 효과가 합쳐지면 정말 무궁무진한 전개 방법을 만들어낼 수 있다.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함께 DD가 적은 패로 다수의 몬스터를 뽑아낼 수 있게 만드는 실질 공로자.

요약하자면 DD의 초동 전개에서 반드시 필요하며 ①, ②의 효과 모두 적극 활용해야 하는 카드. 날빌을 못 세우더라도 패 자원으로 고성능 융합 몬스터를 한 번에 띄워 운영 싸움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먼저 찾게 된다.

이 카드가 발매되기 이전의 DD는 지옥문의 계약서를 이용한 장기적 서치, 마신왕의 계약서를 이용한 전개의 시작, 발키리의 계약서를 이용한 장기적 견제를 1번에 하지 않으면 스피드를 따라갈 수 없어 불안정했지만 이 카드의 발매로 마신왕의 계약서가 없어도 안전하게 전개를 시작할 수 있어 덱의 안정성이 대폭으로 상승했다.

게다가 괴치왕, 나이트 하울링, 테무진, 알렉산더, 릴리스 등의 효과로 엑스트라 덱보다 묘지 자원을 더욱 많이 활용하는 DD의 특성상 패에서 썩고 있을 몬스터를 바로 묘지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DD 덱의 전개력 및 전개 결과의 다양성을 책임지는 카드라 DD가 티어 덱이었을 당시에는 준제한 카드가 되기도 했다. 티어권에서 DD가 거의 사라진 2017년 7월에 다시 무제한 카드로 복귀했다.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11 |

[[노멀|
N
노멀
]]
2018-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JP068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6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11 |

[[노멀|
N
노멀
]]
2016-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09-KR01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9-03-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KR068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6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11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14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3-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7-EN026 |
STAR PACK BATTLE ROYAL

[[노멀|
N
노멀
]]
2017-04-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04-EN009 |
OTS TOURNAMENT PACK 4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4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5-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4-EN258 |
QUARTER CENTURY STAMPEDE

[[시크릿 레어#플래티넘 시크릿 레어|
PS
플래티넘 시크릿 레어
]]

4.2.2. DD 고스트

파일:DDゴース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고스트,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ゴースト,
영어판명칭=D/D Ghost,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600, 수비력=3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DD(디디) 고스트"가 아닌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이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이름의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DD(디디) 고스트"가 아닌 자신의 제외 상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이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묘지로 되돌린다.)]
어둠에서 꿈틀대는 망령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DD 고스트 메이트.jpg
신비한 빛을 발하는 노란 결정.
속에 보이는 고양이의 모습은, 어둠에 꿈틀거리는 망령인가......?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 설명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OCG화되면서 '(묘지로 보내진) 이 카드 이외의'에서 "DD 고스트 이외의"로 대상 제한이 카드명 제한이 되었고 ②의 효과가 추가되었다.

①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고스트 이외의 자신 묘지의 DD 또는 계약서와 같은 카드명의 카드를 덤핑하는 효과. DD 덱은 전개를 하고 나면 묘지의 자원이 다 비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는데, 이 효과를 사용함으로 전개에 보충할 파츠나 후속 파츠를 묘지로 보낼 수 있다. 특히 라미아가 중요했을 당시에는 자체 효과로 소환 후 제외될 라미아를 대신해 묘지에서 소생 효과로 나와줄 2장째 라미아를 묻는 데 주로 사용했다.

②의 효과는 DD 덱에서 자주 채용되는 어둠의 유혹의 코스트로 이 카드를 제외하여 묘지에 자원을 쌓거나, 네크로 슬라임 또는 바이스 튜폰의 효과로 제외되었을 때 묘지 자원을 쌓아줌으로써 후속을 마련하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엔 레벨 2 튜너라는 점에서 테무진과 같이 더 적은 자원으로 레벨 8 싱크로 몬스터를 뽑거나, 레벨 8 DD와 같이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를 뽑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심연왕 발매 이후 묘지 자원을 쌓아줌과 동시에 극지왕 P효과의 묘지 코스트를 경감하면서 후속을 남기기 좋다는 시너지가 발견되자 1~2장씩 채용되었다. 이후 이 카드를 간편하게 끌어와 주는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금지가 됨에 따라 퇴출당했다.

이름의 어원은 유령을 의미하는 고스트(ghost)이며 모티브는 팬텀 쿼츠. 안에 있는 고양이의 모습으로 봤을 때 슈뢰딩거의 고양이도 의식했을 수도 있다.
수록 시리즈
2017-0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JP015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1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KR015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1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5-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EN015 |

[[노멀|
N
노멀
]]

4.2.3. DD 랜스 솔저

파일:DDランス・ソルジ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랜스 솔저,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ランス・ソルジャー,
영어판명칭=D/D Lance Soldier,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4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자신의 필드 / 묘지의 "계약서" 카드의 수까지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발매된 메인 덱 비펜듈럼 DD 몬스터 중 한 장으로, 이름은 원작의 랜서즈의 정식 명칭인 Lancers Defense Soldiers에서 가져왔다. 비주얼 또한 랜서즈의 심볼로 그려져있는 기마병의 모습을 하고 있다.

①의 효과는 레벨 조정 효과. ②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다면 최소한 1레벨은 올릴 수 있다. 자신을 지정할 필요는 없으니 다른 몬스터의 레벨을 올리는 것도 가능.

②의 효과는 기존의 라미아와 유사한 소생 효과. 라미아와 달리 필드의 계약서를 파괴해야만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스스로 제외되는 디메리트가 있으나, 이 디메리트마저 제외 상태의 DD를 소생하는 창시왕의 소재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창시왕과 자신을 소재로 하여, 8레벨인 주혈왕을 소환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01 |

[[노멀|
N
노멀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01 |

[[노멀|
N
노멀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01 |

4.3. 레벨 3

4.3.1. DD 나이트 하울링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05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나이트 하울링,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ナイト・ハウリング,
영어판명칭=D/D Nighthowl,
속성=어둠, 레벨=3, 공격력=3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0이 되고\, 그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때에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어둠을 가르는 포효.
정크 싱크론처럼 일반 소환되면 묘지의 DD를 필드로 꺼내 오는 DD. 꺼낸 몬스터의 효과도 무효화되지 않으며 일반 소환 1번으로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기에 공격력 / 수비력 0, 꺼내온 몬스터가 파괴될 시 1000 데미지, 효과 발동 후에는 턴 종료시까지 악마족만 소환 가능하다는 강력한 디메리트가 붙어 있다.

ARC-V 방영 초창기의 DD에서는 일반 소환으로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 중 하나라서 한두 장 채용되었으나, 펜듈럼 도미네이션 발매 이후로는 마도현자 몬스터들에게 일반 소환권을 주는 것이 가장 강한 플레이가 되어 덱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9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9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9 |

[[노멀|
N
노멀
]]

4.4. 레벨 4

4.4.1. DD 릴리스

파일:DDリリ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릴리스,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リリス,
영어판명칭=D/D Lilith,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3=●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어둠으로 꾀어내는 요부
(어둠으로 유혹하는 요부더빙판)
앞면 표시로 소환에 성공하면 묘지의 DD 또는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DD를 패로 회수하는 DD.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며 자기 자신은 펜듈럼 몬스터가 아니므로, 묘지로 들어간 후 나이트 하울링으로 퍼 올려 묘지의 또 다른 나이트 하울링을 패로 넣고 질풍왕 알렉산더를 싱크로 소환하는 식의 운용이 가능하다. DD 케로베로스를 패에 넣어 또다른 지속 마법 샐비지를 노릴 수도 있고, 쓰다가 날아간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를 계속해서 패로 회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장점 외에는 효과가 상당히 미묘한 편이라 자주 채용되지 않는다. 묘지 회수는 DD 특성상 그렇게 자주 쓰일 만한 효과가 아니고 엑스트라 덱 회수는 DD 마도현자 토마스라는 대체재가 생겨서 채용되지 않는 편이다.

모티브는 남자의 정기를 빨아먹는다고 알려진 몽마 혹은 마녀인 릴리스(Lilith). 또한 일단은 リリス는 페니키시안 클러스터 아마릴리스에서 릴리스로 번역된 사례가 존재.

원작 효과는 패에서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묘지의 DD 몬스터를 패에 넣는 효과였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1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8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1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8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8 |

[[노멀|
N
노멀
]]

4.4.2. DD 바포메트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0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바포메트,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バフォメット,
영어판명칭=D/D Berfomet,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4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1턴에 1번\, "DD(디디) 바포메트"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1~8까지의 임의의 레벨을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선언한 레벨이 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검은 날개를 가진 이형의 신.
다른 DD 몬스터의 레벨을 조작하는 카드로, 이후 DD 몬스터 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다른 DD 몬스터의 레벨을 조정한 뒤 이 카드와 오버레이해서 노도왕 시져나 아니면 몬스터를 더 전개해 쌍효왕 칼리 유가나 저격왕 텔 같은 전용 엑시즈 몬스터를 뽑는 것. 그러나 아쉽게도 본인 레벨은 못 조작하기 때문에 칼리 유가 같은 랭크 8 DDD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하려면 레벨 8 DD와, 다른 DD 몬스터, 그리고 이 카드가 있어야 소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 환경에서는 굳이 이렇게 안 해도 칼리 유가의 소환이 매우 쉬운데다 선턴 날빌 조합이 발견된 직후에는 더더욱 넣을 이유가 없어졌다.

여담으로 DM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바포메트와 공격력, 수비력이 동일하다. 이름도 같기도 하고 오마주인 것으로 추정된다.

원작에서는 자신 필드의 DD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그 몬스터의 레벨을 배로 하는 효과였다. 이 효과로 레벨 2 스월 슬라임을 레벨 4로 만들어 노도왕 시져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13 |
2016 MEGA-TINS MEGA PACK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2-06-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9-EN007 |
OTS TOURNAMENT PACK 19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4.4.3. DD 디펜스 솔저

파일:DDディフェンス・ソルジャ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디펜스 솔저,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ディフェンス・ソルジャー,
영어판명칭=D/D Defense Soldier,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의 펜듈럼 존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3=●자신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의 "DDD(디디디)" 몬스터가 공격할 경우\, 상대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4=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 / 묘지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등장한 메인 덱 비펜듈럼 DD 몬스터 중 한 장으로, 이름은 원작의 랜서즈의 정식 명칭인 Lancers Defense Soldiers에서 가져왔다. 들고 있는 방패의 모양은 아카바 레이지의 듀얼 디스크가 모티브.

①의 효과는 펜듈럼 존의 DD 특수 소환과 DDD 몬스터에게 앤틱 기어식 전투 시 효과 봉쇄 효과 부여 중 한 쪽을 고르는 효과. 그리폰 등의 레벨 4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면 랭크 4 엑시즈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②의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혹은 묘지의 DD 펜듈럼 몬스터를 회수하는 효과.

펜듈럼 카드의 재사용에 중점을 둔 효과를 가지는 카드. 토마스의 대체재로 1장 정도 취향에 따라 투입한다. 공격력이 0이라 카운트 서베이어로도 서치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02 |

[[노멀|
N
노멀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02 |

[[노멀|
N
노멀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02 |

4.5. 레벨 5

4.5.1. DD 판도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302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판도라,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パンドラ,
영어판명칭=D/D Pandora,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17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 필드에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재앙을 봉한 도가니.
엘리멘틀 히어로 버블맨과 비슷한 효과를 가진 카드로,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있어 4랭크 엑시즈 소재로 요긴하게 사용되었던 버블맨과 달리 도저히 쓸모를 찾을 수 없는 카드다. 자체 특수 소환 수단이 없는 레벨 5 몬스터 주제에 공격력이 레벨 4 DD 케로베로스보다도 못하며, 수동적으로 효과를 발동해야 하며 그 발동도 자신 필드에 카드가 아예 없어야 가능해 효과 발동이 굉장히 어렵다. 상급 몬스터라 펜듈럼 소환을 하자니 펜듈럼 카드가 필드에 남으므로 드로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원작에서는 레이지가 40화에서 사용했다. 효과는 발동하지 않고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함께 펜듈럼 소환된 뒤 저격왕 텔의 엑시즈 소재가 되었고, 이후 소재를 제거해 슈발리에와 함께 묘지로 간뒤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슈발리에와 함께 신탁왕 다르크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모티브는 당연히 판도라의 상자. 한편 '판도라' 라는 이름 때문에 뜬금없게도 듀얼링크스에서 판도라에게 전용 대사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15-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JP011 |

[[노멀|
N
노멀
]]
2015-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EN011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057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5-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KR011 |

[[노멀|
N
노멀
]]

4.6. 레벨 7

4.6.1. DD 바이스 튜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80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바이스 튜폰,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ヴァイス・テュポーン,
영어판명칭=D/D Vice Typh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300, 수비력=28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7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제외하고\, 레벨 8 이상의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DD 몬스터를 릴리스해 덱에서 레벨 7 DDD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레벨 7의 DDD를 잘 채용하지 않으며 몬스터를 2장이나 릴리스해서 나오는 것치곤 거기에 코스트가 또 붙어있기 때문에 사실상 쓸 상황이 매우 안 나오는 효과라고 외면받는다.

②의 효과는 최상급 DDD 융합 소환 효과. 발동 타이밍은 물론 대상 레벨에까지 제한이 달려 있는데다, DD는 이런 카드를 쓰지 않고도 융합 소환을 무리없이 해낼 수 있어 경쟁력이 없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의 마룡 티폰.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DDD 몬스터
DDD 제패왕 카이젤
DDD 패룡왕 펜드래곤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②의 효과로 융합 소환할 수 있는 레벨 8 이상의 DDD 융합 몬스터
DDD 극룡왕 베어 울프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수록 시리즈
2017-04-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JP017 |

[[노멀|
N
노멀
]]
2017-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KR017 |

[[노멀|
N
노멀
]]
2017-08-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EN017 |

[[노멀|
N
노멀
]]

4.6.2. DDD 제패왕 카이젤

파일:card10003043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제패왕 카이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 )</rp>制覇王<rp>(</rp><rt>せいはおう</rt><rp>)</rp></ruby>カイゼル,
영어판명칭=D/D/D Supreme King Kaiser,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1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카드의 효과는 턴 종료시까지 무효화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한 턴의 메인 페이즈에 1번\, 자신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턴에\, 이 카드는 일반 공격 외에도\, 이 효과로 파괴한 카드의 수까지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공격할 수 있다.)]
모티브는 DDD 노도왕 시져와 같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비 펜듈럼 DDD. 이 단편에서 아카바 레이지의 에이스 역할을 했다. 모든 효과가 펜듈럼 소환에 집중되어 있지만, 상대 필드를 마비시키는 무효화 효과와 최대 3번까지 가능한 연속 공격 효과는 상당히 강력하다. DD 케로베로스나 프라우드 오우거, 사위왕의 공격력 증가를 사용하면 원턴킬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의 펜듈럼 소환에 사용한 펜듈럼 스케일 한 쌍을 파괴하는 것으로 충족이 가능하니 코스트는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원래도 안 쓰이는 카드였지만, 펜듈럼 스케일에 구애받지 않고, 메인 덱 스페이스를 차지하지도 않으면서 전투 파괴할 수 있는 범위나 몬스터의 수도 더 많은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가 발매되며 가치를 상실했다.

전자의 효과는 CNo.106 용암장 자이언트 핸드 레드침략의 범발감염등과 같이 "모든"/"currently"이라는 텍스트가 붙어있지는 않지만, 효과 적용 이후에 등장한 앞면 표시 카드도 무효화되는 것은 아니다.
수록 시리즈
2014-05-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11-JP001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3 |

[[노멀|
N
노멀
]]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26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3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3 |

[[노멀|
N
노멀
]]

4.6.3. DDD 패룡왕 펜드래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201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패룡왕 펜드래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覇龍王<rp>(</rp><rt>はりゅうおう</rt><rp>)</rp></ruby>ペンドラゴン,
영어판명칭=D/D/D Dragon King Pendrag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2400, 종족=악마족,
효과1=①: 이 카드가 패에 존재할 경우\, 자신의 패 /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와 악마족 몬스터를 1장씩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500 올린다. 그 후\,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과 함께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에 동봉되는 신규 한정 특전 카드 중 하나. 모티브는 이름대로 아서 펜드래곤.

①의 효과는 자력 특수 소환 효과지만, 소환 조건을 보면 DD에서는 도저히 써먹을 수 없는 카드임을 알 수 있다. 이 카드 하나를 소환하자고 악마족만 있는 DD에 억지로 드래곤족 몬스터를 넣거나, 힘들여 소환한 엑스트라 덱 드래곤족 몬스터를 희생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일이다. 그라비 크러시 드래곤으로 계약서를 처리하고 상대도 견제한 뒤에 이 카드를 부르라고 추천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도 쉬운 일은 아니고 패만 말린다. 그렇다면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으로 불러내면 된다지만, DD는 DDD 제패왕 카이젤을 펜듈럼 소환하자고 패에 붙들고 있는 것도 힘겨운 카드군인데 이 카드까지 집어넣을 수는 없다. 마법 / 함정 견제 효과로 차별화하려고 해도, 이미 몬스터까지 견제해주는 발키리의 계약서가 있다. 다만 이 카드는 발키리의 계약서와는 달리 대상 비지정이라 완전한 하위 호환은 아니다.

소환 조건 때문에 간혹 붉은 눈 덱에 용병으로 쓰이기도 한다. 효과도 마침 붉은 눈 계열에 부족한 마함 견제 능력이라 유용하며, 레벨도 7이니 랭크 7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다. 그리고 일단은 DD 카드군 내의 몬스터라 스월 슬라임으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거나 융합 소재로 사용한 이 카드를, 테무진이나 알렉산더 등으로 묘지에서 소생시켜 써먹을 수도 있다.

이렇게 자주 까이는 OCG에서와 달리, 카드풀이 좁은 듀얼링크스에서는 많이 투입되는 카드이다. 일단 같은 레벨 7인 튀폰을 사용하기에는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이 없기도 하고, DDD라는 점을 살려 베어 울프의 융합 소재로 사용한 뒤 나이트 하울링으로 소생해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하는 콤보가 있다. 또는 융합 소재로 묘지에 보내고 바이스 튜폰으로 2장째 베어 울프를 세울 수도 있다.

여담이지만, 왕이라면서 악마족이며, 우연히도 패왕룡과 엮이는 이름이다.

같은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출신인 오드아이즈 세이버 드래곤이 원작에 출현해서 이 카드도 후에 레이지가 사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지만, 끝내 혼자만 등장하지 못했다.
수록 시리즈
2015-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S15-JPD00 |

[[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EXSE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2015-05-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S15-END00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5-05-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S15-ENL00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07-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S15-KRD00 |

[[시크릿 레어#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EXSE
엑스트라 시크릿 레어
]]

5. 효과 몬스터 (펜듈럼)

5.1. 레벨 1

5.1.1. DD 마도현자 케플러

파일:DD魔導賢者ケプラー(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케플러,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ケプラー,
영어판명칭=D/D Savant Kepler,
속성=어둠, 레벨=1,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2개 내린다(최소 1까지). 그 후\,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의 수치 이상의 레벨을 가지는\, "DD(디디)"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필드의 다른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효과3=●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마도현자 갈릴레이의 짝. 이름의 유래는 요하네스 케플러. 외형은 행성들이 타원 궤도로 돈다는 케플러의 법칙.

갈릴레이 같이 굉장히 괴리감이 심한 스케일과 레벨의 차를 지닌다. 시간이 지날수록 스케일이 내려지는 게 특징이고, 그 이상의 DD 이외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해버린다. 펜듈럼 존의 효과가 좋은 편이 아닌지라 쓰고 나면 빨리 처리하는 편이 좋다.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의 DD를 바운스시키거나 덱에서 계약서를 서치하는 효과. 패로 되돌리는 효과의 경우 갈릴레이가 속공성이 훨씬 높은 편이지만, 대신 펜듈럼 소환으로 재활용된 DD 케로베로스 등을 패로 올릴 수 있다. 혹은 펜듈럼 존에 하나 남은 카드를 패로 가져오고 DDD 심연왕 빌가메스의 스케일 세팅 효과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계약서의 서치는 심플하고 강력한 효과. 보통 몬스터로써의 이 카드는 이 효과를 위해 많이 사용한다. 원하는 계약서를 쉽게 뽑을 수 있으며, 지옥문의 계약서로 유사 몬스터 서치 효과로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일단 나오고 나면 공격력 / 수비력 0의 약체 몬스터라는 점이 문제. 레벨 1밖에 되지 않아 싱크로 / 엑시즈 소재로 치워버리기도 힘들다. 레벨이 1이라 펜듈럼 소환이 안되는데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로 가기 쉽지 않으므로 재활용하기 힘든 점이 아쉽다. 하지만 이런 문제는 헬웨이 패트롤의 효과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하거나 원 포 원 같은 카드를 활용하거나 아님 같은 DD 덱의 DD 케로베로스/DD 바포메트의 펜듈럼 효과로 레벨 4로 만든 후 싱크로 / 엑시즈 소환으로 회피 가능하다. 마스크 체인지 세컨드를 투입해서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로 변신시키는 것도 괜찮은 방법. 신 마스터 룰 이후에는 DDD 심연왕 빌가메스, 링크리보,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등 링크 소재로 써먹는 일이 많아 신경 쓸 일이 적은 단점이 되었다.

원작에서는 아카바 레이지가 만든 펜듈럼 카드로 처음 사용할 때는 펜듈럼 효과란이 공백이었다. 자신만이 펜듈럼 사용자라 믿고 있던 유우야에게 충격을 주었지만, 프로토타입의 한계로 다음 턴 갑자기 디메리트 효과가 공란에 생성되면서 헬 아마게돈 2장을 파괴시켰다. 그럼에도 무언가의 핀트를 잡은 레이지는 그 위기에서 펜듈럼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겠다며 선언하지만 듀얼은 그대로 중지. 원작에선 턴마다 스케일을 5개씩 내리고 DD 몬스터 또한 파괴했기에 디메리트가 더욱 강했으며 또한 1턴에 1번,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릴 수 있었다. 이후 재대결 때 OCG 효과와 같아졌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4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1 |

[[노멀|
N
노멀
]]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39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4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1 |

[[노멀|
N
노멀
]]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39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2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67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1 |

[[노멀|
N
노멀
]]
2022-11-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MA-EN05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2. 레벨 2

5.2.1. DD 스케일 서베이어

파일:DDスケール・サーベイヤ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스케일 서베이어,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スケール・サーベイヤー,
영어판명칭=D/D Scale Surveyor,
레벨=2,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1000, P스케일=9,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 상대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2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턴 종료시까지 0으로 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4로 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넣어졌을 경우\, 자신 필드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livedoor.4.blogimg.jp/52b3cee1.jpg
한글판 명칭 [ruby(DD, ruby=디디)] 스케일 서베이어
일어판 명칭 [ruby(DD, ruby=ディーディー)]スケール・サーベイヤー
영어판 명칭 D/D Scale Surveyor
펜듈럼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2 어둠 악마족 0 1000
P스케일 펜듈럼 효과 P스케일
9 ①: 상대 턴에 1번, 상대 플레이어의 펜듈럼 스케일을 0으로 한다. 9
①: 효과 불명

레이지가 코믹스에서 쓴 DD 펜듈럼 몬스터. 프리미엄팩 2025에서 OCG화되었다. 모티브는 자. 신체의 디자인이 프리저와 유사하여 유머 소재가 되고 있다.

1번 효과는 자신 필드 위에 DD 펜듈럼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 패에서 특수소환 가능한 효과. 덕분에 스월 슬라임과 그리폰 의존도가 줄었으며 펜듈럼 몬스터 "카드"가 존재할 경우라 펜듈럼 존에 세팅된 카드가 있어도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공격력이 0이라 카운트 서베이버의 효과로 곧바로 서치 후 특소도 가능하며 이렇게 특소된 이 카드와 카운트 서베이어를 소재로 빌가메스를 링크 소환하거나 레벨의 합이 10인 걸 이용해 카오스 앙헬-혼돈의 쌍익-을 싱크로 소환 할 수 도 있다.

2번 효과는 소환됐을 시 레벨을 4로 전환할 수 있는 효과. 덕분에 이 카드와 다른 레벨 4의 DD 몬스터로 시저를 낼수 있다. 그리폰은 레벨 4 펜듈럼 몬스터이면서 자체 특수 소환 효과가 있기에 궁합이 좋은 편.

3번 효과는 묘지 혹은 엑덱에 앞면으로 갔을 시 자신 필드 위의 DD 펜듈럼 몬스터 카드를 바운스시키는 효과. 펜듈럼 존의 카드도 해당하기에 스케일을 조정하거나 빌가메스로 세팅한 카드를 패로 올려 몬스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펜듈럼 효과는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 또는 상대의 펜듈럼 스케일을 0으로 만드는 것. 코믹스에선 상대 턴에'만' 상대 펜듈럼 스케일'만' 0으로 하는 거였으나, 스탠바이 페이즈 한정으로 자신의 펜듈럼 스케일도 바꿀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적어도 1턴을 버티면 스케일이 꼬이는 상황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그리폰과 유사한 효과를 가진 카드. 패에서 특수 소환 가능한 레벨 2 / 4 DD 펜듈럼 몬스터이면서 스케일을 다시 세팅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2~3장 투입되고 있다.

코믹스에선 14화에서 등장했고 15화에서 펜듈럼 효과를 사용해 유우야의 펜듈럼 존에 있는 오드아이즈 팬텀 드래곤과 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의 스케일을 0으로 만드는 활약을 펼쳤다.

원작에서 몬스터 효과가 없던 카드들이 그렇듯 OCG화되면서 쓸만한 몬스터 효과가 붙어 상향되었다. 특히 패 특소 수단과 시저를 소환할 수단이 늘어난 것은 호재. 다만 펜듈럼 효과 쪽은 발동 타이밍이 프리체인에서 스탠바이 페이즈로 바뀐만큼 원작처럼 상대의 펜듈럼 소환을 방해하는 용도로 쓰기엔 어려워졌다.

효과명은 스케일 제로(Scale Zero).
수록 시리즈
2024-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JP015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KRA15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6-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M-EN042 |
BATTLES OF LEGEND: MONSTER MAYHEM (Americas only)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3. 레벨 4

5.3.1. DD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파일:DD魔導賢者コペルニ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コペルニクス,
영어판명칭=D/D Savant Copernicu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의 효과 처리시에\, 그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DD(디디)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가 아닌\,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낸다.)]
마도현자 뉴턴의 짝. 낮은 스케일에 낮은 레벨이라는 자신의 짝인 뉴턴과 같이 이전에 나온 마도현자와는 다른 특징을 가진 마도현자. 모티브는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의식한건지 중심에 태양이 있고 행성들이 그 주위를 돌고 있다.

펜듈럼 효과는 데미지를 주는 마법 카드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효과. 번 데미지라는 페널티를 안고가야하는 DD의 특성상 나쁘지 않고 특히 대부분의 서치를 지옥문의 계약서에 의존하는 만큼 나름 써먹을 만하다고 볼 수 있다. 흔들리는 눈빛도 막을 수 있는 것 또한 확실한 장점.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일반 / 특수 소환에 성공할 경우 DD 카드 또는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내는 효과. 대부분의 콤보의 전제가 묘지에 있는 카드에 비례하는 DD의 특성상 굉장히 유용하다고 볼 수 있으며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기 때문에 DD 카드군의 주력 효과라 할 수 있는 소생 효과뿐만 아니라 펜듈럼 소환[16]과의 궁합 또한 적절하다.

DD의 초동 전개를 여는데 가장 어울리는 효과이기 때문에 코페르니쿠스가 손패에 잡히거나 서치한다면 어떻게든 전개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다만 이 카드 혼자서는 뭔가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케플러에 비해 중요도는 떨어진다. 출시 이후 웬만하면 3장 투입되던 카드였으나, 13기 이후로는 메인 덱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1장만 쓰게 되었다.

128화에서 등장. DD 케로베로스와 같이 펜듈럼 존에 세팅되었다. 이후 129화에서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의 효과로 레이지의 필드의 다른 카드들과 같이 터져나갔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3 |

[[노멀|
N
노멀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6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3.2. DD 케로베로스

파일:DDケルベロ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케로베로스,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ケルベロス,
영어판명칭=D/D Cerberu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6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4로 하고\, 공격력 / 수비력을 400 올린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펜듈럼 소환했을 때\, "DD(디디) 케로베로스" 이외의 "DD(디디)"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고 있으면\, 자신 묘지의 지속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이차원의 문을 지키는 머리가 세 개인 경비견.
흉포하고 잔인한 모습으로 송곳니를 드러내며 누구의 침입도 용납하지 않는다.
유희왕 크로스 듀얼플레이버 텍스트
송곳니를 드러낸 지옥의 번견(지옥의 성난 맹견더빙판)
펜듈럼 존에서 1턴에 1번 필드의 DD를 레벨 4로 하고 공/수를 400 올려 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D의 비트 능력을 올려 주는 평범하게 쓸만한 효과. 필드에 나오고 나면 할 일이 없는 케플러나 릴리스 등을 랭크 4 엑시즈로 처리할 수도 있다. 이 효과는 영구적이므로 취급에 주의.

몬스터 효과로는 패에서 펜듈럼 소환했을 때 다른 DD 몬스터가 존재하면 묘지에서 지속 마법 1장을 샐비지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효과로 묘지의 계약서나 보급 부대와 같은 고성능 지속 마법들을 계속 퍼 올릴 수 있다. 물론 일반 소환하거나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소환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소환하면 그냥 하급 어태커로밖에 쓸 수 없다. 안타깝지만 펜듈럼 도미네이션 출시 이후에는 완전히 버려진 듯했으나...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의 지원 이후 1장 정도 투입하기도 한다. 주 사용처는 케플러나 라미아를 레벨 4로 만들어서 노도왕 시저의 엑시즈 소재로 삼는 것. 이 카드를 투입해야만 전개가 가능한 패 조합[17]이 있는 등 전개를 다양하게 해주지만, 제로 갓 레이지도 같이 써야 하는 만큼 호불호가 갈렸다. 13기 이후로는 메인 덱의 구성이 변화하면서 다시 퇴출되었다.

원작에서 첫 등장했을 때에는 펜듈럼 몬스터가 아닌 평범한 효과 몬스터였는데, 이후 재등장할 때는 사카키 유우야가 한 것처럼 기존의 몬스터가 펜듈럼 몬스터가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실제로 40화에서 펜듈럼 몬스터가 되었다. 41화에서는 아카바 레이지의 회상에서 궁지에 몰린 세레나를 공격하려는 앤틱 기어 몬스터들을 박살냈다.

모티브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저승을 지킨다고 알려진 지옥의 파수견 케르베로스.
수록 시리즈
2014-08-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JMP-JP02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7 |

[[노멀|
N
노멀
]]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4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7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7 |

[[노멀|
N
노멀
]]

5.3.3. DD 오르트로스

파일:DDオルトロ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튜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오르트로스,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オルトロス,
영어판명칭=D/D Orthros,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6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과\,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자신이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때에 적용한다. 이 턴에\,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모티브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에키드나와 티폰 사이에서 태어난 2개의 머리를 가진 개. 지옥의 파수견 케르베로스와 형제이기도 한 오르토스로, 그래서인지 일러스트가 DD 케로베로스와 유사하다.

펜듈럼 효과는 소소한 마함 파괴 효과. 다르크 등의 데미지 방어 카드가 없어졌을 때 계약서를 처리해 자멸을 방지하거나 스케일이 잉여로워진 갈릴레이, 케플러, 몬스터 효과를 사용하기 위해 필드에 공격 표시로 나온 케플러, 코페니르쿠스를 파괴해 코스트를 어드밴티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발키리의 계약서 외의 마함 제거 수단이 부실했던 DD 덱에 상당히 쓸만한 효과. 설사 상기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자기 펜듈럼 존의 카드를 파괴하고 엑스트라 덱에 올려놓은 다음에 바로 펜듈럼 소환할 수도 있다.

몬스터 효과가 상당히 주목할 만한데,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특수 소환하는 효과가 계약서뿐 아니라 아무 효과, 심지어 전투에도 대응하므로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도 발동이 매우 쉽다. 대개 데미지를 받은 후 특수 소환해서 튜닝을 하는 식으로 쓴다.

그러나 특수 소환으로 꺼내면 악마족 몬스터만 소환할 수 있게 하는 디메리트를 걸기에 범용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많이 사용하는 DD 덱 특성상 조심해야 한다.

일반적인 펜듈럼 덱에서라면 싱크로 소환을 무한 반복시킬 수 있는 펜듈럼/튜너로 발매됐지만, 정작 묘지 자원을 굉장히 능숙하게 사용해 묘지로 가는 게 더 높은 메리트인 DD에서 묘지로 가지 않고 엑스트라 덱으로 가는 펜듈럼 몬스터는 굉장히 치명적이다. 오죽하면 괴치왕, 케플러, 오르토로스 등을 펜듈럼 몬스터로 내놓은 게 코나미가 DD에 가한 가장 치명적인 금제라는 우스갯소리마저 나올 지경(...) 랭크 8 엑시즈 소환 외에는 딱히 릴리스할 필요가 없어 어지간해선 묘지로 가 재활용하는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달리 절대 다수의 경우 튜닝 용도로 사용하는 이 카드는 거의 무조건 엑스트라 덱으로 가기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다 보니 대세인 펜듈럼 DD 덱에서 이 카드는 사실상 특수 소환이 쉬운 1회용 튜너 취급. 때문에 아예 안 넣는 덱도 상당했었다. 그나마 빌가메스가 출시된 이후로는 덱에서 스케일 세팅이 가능해지면서 활용하기가 편해져 자주 채용된다.

엑시즈 축 DD에서는 꽤나 쓸만한 카드이다. 4레벨 튜너라는 점은 노도왕 시저와 주혈왕 사이프리트 소환 양쪽에 대응하고, 열화왕 테무진과 튜닝해서 플뢰르 드 바로네스를 뽑기도 한다.[18] 싱크로축 DD와 달리 펜듈럼 소환도 잘 사용하기에 펜듈럼 몬스터라는 단점도 잘 느껴지지 않는다. 악마족만 소환 가능하다는 디메리트도 어처피 자기 카드군 위주로 덱이 굴러가다 보니 신경이 덜 쓰이는 편. 심지어 펜듈럼 효과로 자신 필드의 노도왕 시저나 저격왕 텔을 부숴 효과를 발동시키는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13기 이후로는 펜듈럼 효과로 계약서와 함께 자폭함으로써 영사왕의 특수 소환 트리거를 만들어 5소환 내에 천공왕을 뽑아 니비루를 케어하는 역할까지 생겨 중요도가 더욱 높아졌다. 천공왕의 추가 펜듈럼 소환을 이용해 창시왕과 주혈왕의 소재로 2번 우려먹히는 건 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5.3.4. DD 아크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9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プラチナ・ガジェット.jpg
파일:ゴッドアイズ・ファントム・ドラゴン.jpg
파일:HSRカイドレイク.jpg
파일:アンクリボー.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56
플라티나 가제트
VJMP-JP157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
VJMP-JP158
HSR 카이드레이크
VJMP-JP159
앙크리보
파일:ローグ・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カクリヨノチザクラ.jpg
파일:말살의 지명자.jpg
파일:ストライカー・ドラゴン.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60
로그 오브 엔디미온
VJMP-JP163
붉은 벚꽃
VJMP-JP164
말살의 지명자
VJMP-JP165
스트라이커 드래곤
파일:天威の龍拳聖.jpg
파일:塊斬機ダランベルシアン.jpg
파일:ワルキューレ・シグルーン.jpg
파일:始原竜プライマル・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69
천위의 용권성
VJMP-JP170
괴참기 달랑베르시안
VJMP-JP171
왈큐레 시그룬
VJMP-JP172
시원룡 프라이멀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61 EM 턴트루퍼
VJMP-JP162 DD 아크
VJMP-JP166 EM 미스 디렉터
VJMP-JP167 스모크 모스키토
VJMP-JP168 DD 이블
}}}}}}}}} ||
← 2018년2020년 →


파일:DDアー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아크,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アーク,
영어판명칭=D/D Ark,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상대 필드의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아크" 이외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코믹스에서 등장한 DD. 원작에선 펜듈럼 효과가 펜듈럼 몬스터를 1장만 소환할 수 있는 대신 펜듈럼 소환에 필요한 스케일 수치를 무시할 수 있었는데 생판 다른 효과가 되었다.

펜듈럼 효과는 상대의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 1장과 같이 파괴한다. 이어서 몬스터 효과의 트리거도 되지만, 상대가 펜듈럼 소환을 하지않으면 썩히게되는 효과인게 단점.

몬스터 효과는 이 카드의 효과 파괴시, 엑스트라 덱에서 자신 외의 앞면 표시 DD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효과 무효화된 상태로 불러오는 것. 엘렉트럼과 같이 효과 파괴 기믹과 같이 쓰는 게 적절하다.

희한하게도 실제 OCG로 나온 카드는 어째선지 원작에서 한 세트로 나왔던 DD 이블의 일러스트에 DD 아크의 능력치로 나왔다. 때문에 이후 발매된 아래의 DD 이블은 원작에서 아크의 일러스트에 이블의 성능을 가지고 나왔다. 일러스트가 서로 바뀐 셈. 다만 각 DD들의 생김새로 봤을 때 작가가 이름을 서로 바꿔서 잘못 낸 듯하다.

모티브는 방주 Ark인데, 이 카드의 이름과 카드군의 D를 붙여놓으면 Dark, 즉 어둠이 된다.
수록 시리즈
2019-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6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9-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4-KRB1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EN084 |

[[노멀|
N
노멀
]]

5.3.5. DD 이블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9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プラチナ・ガジェット.jpg
파일:ゴッドアイズ・ファントム・ドラゴン.jpg
파일:HSRカイドレイク.jpg
파일:アンクリボー.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56
플라티나 가제트
VJMP-JP157
갓아이즈 팬텀 드래곤
VJMP-JP158
HSR 카이드레이크
VJMP-JP159
앙크리보
파일:ローグ・オブ・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カクリヨノチザクラ.jpg
파일:말살의 지명자.jpg
파일:ストライカー・ドラゴン.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60
로그 오브 엔디미온
VJMP-JP163
붉은 벚꽃
VJMP-JP164
말살의 지명자
VJMP-JP165
스트라이커 드래곤
파일:天威の龍拳聖.jpg
파일:塊斬機ダランベルシアン.jpg
파일:ワルキューレ・シグルーン.jpg
파일:始原竜プライマル・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69
천위의 용권성
VJMP-JP170
괴참기 달랑베르시안
VJMP-JP171
왈큐레 시그룬
VJMP-JP172
시원룡 프라이멀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61 EM 턴트루퍼
VJMP-JP162 DD 아크
VJMP-JP166 EM 미스 디렉터
VJMP-JP167 스모크 모스키토
VJMP-JP168 DD 이블
}}}}}}}}} ||
← 2018년2020년 →


파일:DDイービ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이블,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イービル,
영어판명칭=D/D Evil,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20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8,
P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상대가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몬스터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다른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공격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 메인 페이즈에\, 상대 필드의 펜듈럼 소환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한 쌍인 아크와 마찬가지로 정기구독 특전으로 OCG화. 위에 이야기했듯 이 카드의 일러는 원작에선 아크의 일러스트였다. OCG화되면서 서로 일러스트가 바뀌어서 OCG화된 셈.

다만 생김새를 보면 이쪽이 더 이블이란 이름에 어울리고 아크도 OCG판 일러가 아크란 이름에 어울리는 걸 봐선 코믹스 쪽에서 작화 실수를 한 듯하다.[19]

펜듈럼 효과는 상대의 펜듈럼 소환 성공시, 이 턴 그 몬스터들은 공격 불가 + 효과 무효를 걸어버린다. 또한 몬스터의 ②번 효과도 상대 메인 페이즈에 한하여 펜듈럼 소환된 상대 몬스터 1장의 효과를 프리 체인으로 무효를 걸 수 있다. 발동 타이밍 및 무효 범위가 다를 지언정, 어느 효과든 펜듈럼 소환을 견제하는 성능이다.

덤으로 공격력이 레벨 4치곤 높은 수치라 공격 제약 디메리트가 걸려있지만, DDD들을 부르기 쉬운 DD 덱 특성상 크게 의미는 없다.

아크와 마찬가지로 카드명과 카드군을 붙여놓으면 Devil이 된다.
수록 시리즈
2019-09-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68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5-KR02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EN085 |

[[노멀|
N
노멀
]]

5.3.6. DD 그리폰

파일:DDグリフォン(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그리폰,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グリフォン,
영어판명칭=D/D Gryphon,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2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필드 / 묘지의 "계약서" 마법 / 함정 카드의 종류 × 500 올린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펜듈럼 소환했을 경우\, 패에서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효과3=③: 이 카드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그리폰" 이외의 "DD(디디)"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모티브는 그리폰.

펜듈럼 효과는 필드 / 묘지의 계약서의 종류에 비례해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 공격력 증가 효과도 효과지만 자신 턴에 펜듈럼 존에서 능동적으로 터질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렇기 때문에 빌가메스로 덱에서 스케일 세팅된 뒤 자괴하고 펜듈럼 소환해서 ②의 효과를 사용하거나, 마도현자 토마스로 패로 가져와서 ①의 효과를 사용할 수도 있다.

①의 효과는 DD 몬스터가 필드에 있으면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카드가 등장하기 전까지 DD 덱에서 패에서 몬스터를 바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는 라미아, 오르트로스, 묘지로 간 스월 슬라임의 효과 등이 있었지만, 이들에 비해 디메리트도 없고 특수 소환하는 조건이 간편하기에 필드 소재를 늘리는 데 유용하다.

②의 효과는 펜듈럼 소환되면 DD 혹은 계약서 카드를 버리고 카드를 드로우하는 효과. 묘지로 가야 진가를 발휘하는 네크로 슬라임, 고스트 등을 묻는 데 사용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면 DD를 서치하는 효과. 효과는 좋지만 이 카드는 펜듈럼 몬스터라서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 사용하거나, 패나 덱에서 묘지로 보내 버려야 할 필요가 있다. 주로 스월 슬라임의 효과로 융합 소재로 보내거나, 다른 레벨 4 DD와 함께 노도왕 시져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쓰인다.

다양한 효과로 DD 덱의 전개를 더욱 다양하고 강력하게 만들어 준 만큼 출시된 이후 3장 전부 투입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1-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JP013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KR013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2-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EN013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11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노멀|
N
노멀
]]

5.4. 레벨 5

5.4.1. DD 프라우드 슈발리에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5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프라우드 슈발리에,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プラウド・シュバリエ,
영어판명칭=D/D Proud Chevalier,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000, 수비력=7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1=①: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내린다.,
P효과2=②: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은 5가 된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긍지 높은 기사여.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펜듈럼 몬스터. 이후 40화에서도 등장했다. 이때는 단순히 레벨 5 몬스터가 필요해서 사용된 듯한 모습만 보였다.

프라우드 오우거와 세트로 맞추는 카드. 그 2장으로 펜듈럼 소환한다면 딱 7로 카이젤을 뽑을 수 있다. 펜듈럼으로서의 효과는 500 LP를 지불해서 몬스터의 공격력을 내리며, 프라우드 오우거와 마찬가지로 다른 DD 카드가 펜듈럼 존에 없으면 스케일이 5가 된다. 다만 더 낮은 스케일의 DD 몬스터들이 나타나면서 오우거와 짝을 이룰 일은 별로 없게 되었다. 아예 동일한 스케일에 전략적 활용도는 대부분 더 높은 DD 케로베로스도 있기에 펜듈럼으로 쓰기에는 몹시 애매해졌다.

몬스터로는 일반 소환에 성공 시 엑스트라 덱의 어둠 속성 펜듈럼 1장을 패에 넣알 수 있다. 다만 상급 몬스터인지라 제물이 필요하고, 필드에 나오고 나서도 공격력이 2000밖에 되지 않는다. 게다가 정작 이 카드를 소환하는 시점에서 패의 펜듈럼 몬스터가 1장 줄어드니 펜듈럼 소환하려면 미리 준비가 필요하다는 맹점이 있다. 게다가 DD를 대상으로는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며 엑스트라 덱은 물론 묘지에서도 패로 회수할 수 있는 릴리스가 있으므로 몬스터로 쓰기에도 애매하다. DD가 아닌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그것도 엑스트라 덱보다 패에서 월등히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몬스터가 나오기 전까지는 차별화하기 매우 어려운 카드가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5-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11-JP003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5 |

[[노멀|
N
노멀
]]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2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5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5 |

[[노멀|
N
노멀
]]

5.4.2. DD 엑스트라 서베이어

파일:DDエクストラ・サーベイヤ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엑스트라 서베이어,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エクストラ・サーベイヤー,
영어판명칭=D/D Extra Surveyor,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000, 수비력=0, P스케일=4,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몬스터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2장을 제외하고\, 이 턴에\, 대상 몬스터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엑스트라 서베이어" 이외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인 펜듈럼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의 덱 위에서 카드를 제외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이 효과로 제외한 카드의 수 × 200 올릴 수 있다.)]
[ 원작 효과 ]
파일:DD 엑스트라 서베이어.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 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엑스트라 서베이어,
일어판 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エクストラ・サーベイヤー,
영어판 명칭=,
레벨=5,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1000, 수비력=0, P스케일=4,
P효과1=①: 1턴에 1번\, 카드가 엑스트라 덱으로 넣어졌을 때\, 이 카드와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는 덱에서 카드를 제외한다. 그 후\,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골라 그 공격력을 이 효과로 제외한 수 × 200만큼 올리고\, 그 몬스터는 한번 더 공격할 수 있다.,
효과1=(불명))]

코믹스 ARC-V 21화에서 사용. 펜듈럼 효과로 DDDD 초차원통황에게 한번 더 공격권을 주어 승기를 잡으려했으나, 상대가 발동한 함정 카드에 의해 엑스트라 덱으로 간 펜듈럼 카드가 전부 덱으로 되돌아가면서 불발되었다. 모티브는 컴퍼스. 신세기 에반게리온사키엘과 유사한 디자인이 특징.

OCG에서는 프리미엄 팩 2025로 나왔으며 슈발리에 이후 드디어 추가된 레벨 5 DD 펜듈럼 몬스터.

1번 효과는 패에서 버리고 엑스트라 덱의 앞면 DD 펜듈럼 몬스터 회수 효과. 엑덱 회수 효과는 토마스의 펜듈럼 효과나 특허권의 계약서류의 묘지 발동 효과 등이 있어서 가치는 낮다.

2번 효과는 제외됐을 경우 상대 엑덱의 앞면표시로 나와있는 펜듈럼 몬스터 수만큼 상대의 덱을 갈고 그 수 x200만큼 자신 필드위의 몬스터 하나에게 공뻥을 거는 효과. 원작에서의 펜듈럼 효과가 너무 길어서 나뉜 것으로 상대가 펜듈럼 덱이여야 쓸 수 있는지라 웬만해선 거의 사용하기가 힘들 것이다.

펜듈럼 효과는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가 파괴됐을 경우 자신 펜듈럼 존의 카드들을 전부 제외하고 DDD 몬스터 하나에게 더블 어택을 부여하는 효과. 원작에서의 난해한 발동 조건이 상대 몬스터 파괴로 완화 되었다, 효과가 나뉜 원작의 공격력 증가 버프의 경우 쓰기 힘들지만 더블 어택 같은 경우엔 펜듈럼 세팅만 되어 있다면 손쉽게 사용 가능 하므로, 킬각을 내는 데 용이하다.

같이 나온 스케일 서베이어와 카운트 서베이어와 달리 이 카드는 안 쓰인다. DD는 복구력도 좋고, 위차원왕을 필두로 한 턴킬 플랜도 있어 이 카드까지 사용할 가치가 낮고, 선공 빌드에 도움을 주기도 힘든 카드라서 패말림 요소만 되기 때문이다.
수록 시리즈
2024-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JP016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KRA16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6-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M-EN043 |
BATTLES OF LEGEND: MONSTER MAYHEM (Americas only)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5. 레벨 6

5.5.1. DD 마도현자 니콜라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0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니콜라,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ニコラ,
영어판명칭=D/D Savant Nikola,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8,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1턴에 1번\, 패에서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버리고\, 자신 필드의 레벨 6 이하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2000 올린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고\,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를 2장까지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그 카드의 펜듈럼 효과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마도현자 토마스의 짝. 천문학자들을 모티브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마도현자 시리즈와 달리, 니콜라 테슬라가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격력 / 수비력도 0/0이 아니고, 펜듈럼 스케일도 1~10으로 극단적이던 기존 마도현자와 비교할 때 8이란 상당히 이질적인 수치며, 마도현자 토마스와 더불어 모티브가 된 인물의 성이 아닌 이름이 쓰였다.

펜듈럼 효과는 패를 1장 버리고 레벨 6 이하의 DD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2000 올려 주는 효과. 대부분의 엑스트라 덱 DD 몬스터는 이 효과의 대상에서 벗어나는데다, 전개 덱인 DD가 패가 남아날 일도 없어 사용하기 어렵다.

분보그 005/006처럼 펜듈럼 존에서 파괴되었을 때에 발동하는 몬스터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이 효과로 원작에서 카오스 어포컬립스 + 마계진자의 계약서의 무한 콤보를 걸어 로제를 골로 보내버렸다. 펜듈럼 효과를 발동할 수는 없게 되지만 펜듈럼 소환이 막히지는 않는다.

전개에서 이런저런 방법으로 쓰여 1장 투입되는 토마스와 달리, 효과가 수동적이고 발동 조건도 매우 까다로워 안 쓰인다.
수록 시리즈
2016-04-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JP011 |

[[노멀|
N
노멀
]]
2016-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KR011 |

[[노멀|
N
노멀
]]
2016-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EN011 |

[[노멀|
N
노멀
]]
2017-08-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7-EN066 |
2017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5.5.2. DD 프라우드 오우거

파일:DDプラウド・オーガ.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프라우드 오우거,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プラウド・オーガ,
영어판명칭=D/D Proud Ogre,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300, 수비력=1500, 종족=악마족, P스케일=8,
P효과1=①: 1턴에 1번\, 500 LP를 지불하고\,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P효과2=②: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은 5가 된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V점프 특별 단편에서 등장한 펜듈럼 몬스터.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함께 세팅되어 DDD 재패왕 카이젤을 펜듈럼 소환했다.

스케일은 8이지만, 반대쪽 스케일이 DD 카드가 아니라면 5가 된다. DD 덱은 DD 이외의 펜듈럼 몬스터를 사용하지 않기에 사실상 없는 효과. 그 외에도 LP 500을 지불하고 내 DD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영구적으로 500 올리는 효과가 있다.

몬스터 효과는 일반 소환 시 엑스트라 덱에 들어간 어둠 속성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효과가 무효화된 상태로 특수 소환하는 효과. 발동 후에는 DD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걸린다.

초창기 펜듈럼 카드라 효과는 좋지 않다. 펜듈럼 소환으로 소환한 하급 DD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어드밴스 소환하라고 만든 카드로 추정되나, DD는 노도대왕의 발매 전까지 레벨 6 몬스터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인 테마였으며 일반 소환권을 주는 것도 초동 역할을 하는 케플러나 코페르니쿠스에게 주는 것이 더 나았기 때문에 펜듈럼 도미네이션 발매 이후 즉각 퇴출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5-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11-JP002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4 |

[[노멀|
N
노멀
]]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27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4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4 |

[[노멀|
N
노멀
]]

5.5.3. DD 도그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0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風霊媒師ウィン.jpg
파일:焔聖騎士-リナルド.jpg
파일:アーマード・ビットロン.jpg
파일:マシンナーズ・メタルクランチ.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73
풍령매사 윈
VJMP-JP174
불꽃성기사-리나르도
VJMP-JP175
아머드 비트론
VJMP-JP176
머시너즈 메탈크런치
파일:電脳堺姫-娘々.jpg
파일:暗黒騎士ガイアオリジン.jpg
파일:百年竜.jpg
파일:太陽の魔術師エダ.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80
전뇌계희-냥냥
VJMP-JP181
암흑 기사 가이아오리진
VJMP-JP182
백년룡
VJMP-JP183
태양의 마술사 에다
파일:超重禽属コカトリウム.jpg
파일:ドラグニティ-ギザーム.jpg
파일:カオス・グレファー.jpg
파일:迅雷の暴君 グローザー.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87
초중금속 코카트륨
VJMP-JP188
드래그니티-기잠
VJMP-JP189
카오스 그레퍼
VJMP-JP190
신뢰의 폭군 그로자
정기구독 특전
VJMP-JP177 SR 블록큰롤
VJMP-JP178 SR 카르터보
VJMP-JP179 DD 도그
VJMP-JP184 레프티아 에그
VJMP-JP185 다크 앨리게이터
VJMP-JP186 윤회룡 삼사라
}}}}}}}}} ||
← 2019년2021년 →

파일:DDドッ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도그,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ドッグ,
영어판명칭=D/D Dog,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상대 필드의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그 후\,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가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그 앞면 표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으며\, 효과는 무효화된다.)]
작중에선 레이지가 3장 사용. 유우야가 사천룡을 소환할 때마다 '도플러 데몬 다우징'의 효과로 덱에서 튀어나오고, 바로 효과를 사용해 무력화시켰다. 이후 GO-DD WORLD에 의해 GO-DD 몬스터가 되고, 제로 갓 레이지의 효과를 위해 릴리스된다. 이때의 카드명을 영문명으로 풀면 GO-DD DOG로, 회문이 된다.

발매 이후에는 잘 쓰이지 않다가 2022년 1월 기준 한 장 정도 투입되기도 했다. 주된 목적은 일반 소환된 오르트로스와 싱크로하여 바로네스를 띄우거나, 효과가 빠진 테무진과 엑시즈하여 노도대왕을 띄우는 용도. 당시 티어덱이 데스피아용사천위라서 이들도 겸사겸사 견제할 수 있었다.

효과명은 데블 하울링.
수록 시리즈
2020-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79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5-KR05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EN091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5.6. 레벨 7

5.6.1. DD 마도현자 뉴턴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1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뉴턴,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ニュートン,
영어판명칭=D/D Savant Newton,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1번만\,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경우\, 그 효과를 무효로 할 수 있다. 그 후\, 이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DD(디디) 마도현자 뉴턴" 이외의 자신 묘지의\,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마도현자 코페르니쿠스의 짝. 높은 스케일과 높은 레벨이라는, 자신의 짝과 같이 이전에 나온 마도현자와는 대비되는 특징을 가진 마도현자. 모티브는 아이작 뉴턴. 뉴턴의 진자 모형을 의식하고 만든 모습이다.

펜듈럼으로서의 효과는 데미지를 주는 함정의 효과가 발동할 경우 1번만 그 효과를 무효로 하고 자신을 파괴하는 효과. DD에서 이 효과를 유의미하게 쓸 법할 상황은 VS 스노우데블 무효화 지속 함정 계약서의 1000 데미지 회피 정도인데, DD가 까는 지속 함정 계약서는 기껏해야 한 장 정도인데다 효과 한 번 썼다고 파괴하는 것보다는 지속적으로 상대에게 견제를 넣기 위해 필드에 남기는 것이 더 유리해서 이 효과를 제대로 사용할 일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몬스터 효과인 회수 효과도 그 자체만으로 보면 쓸만하지만, DD에서 묘지의 카드를 쓴다면 회수가 아니라 소생하는 편이 더 나은데다 명칭 제약이 걸린 카드가 많은 DD 덱의 특성상 카드를 회수해도 유의미하게 사용하기 어렵다. 펜듈럼 스케일 세팅용으로 카드가 필요한 경우라 해도, 이 카드를 직접 스케일 세팅에 이용하거나, 빌가메스를 사용하여 덱에서 직접 스케일을 세팅하는 것이 더 낫다. 레벨도 7이라 8레벨 싱크로 이외에는 사용하기 어려워 9기에도 잘 쳐 줘야 한 장 정도만 사용하였고, 얼마 지나지 않아 DD 덱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2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2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2 |

[[노멀|
N
노멀
]]

5.6.2. DDD 반골왕 레오니다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92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반골왕 레오니다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反骨王<rp>(</rp><rt>はんこつおう</rt><rp>)</rp></ruby>レオニダス,
영어판명칭=D/D/D Rebel King Leonidas,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6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P스케일=3,
P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파괴하고\, 이 턴에\, LP에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았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받은 데미지의 수치만큼만 자신의 LP를 회복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이 받는 효과 데미지는 0이 된다.)]
헬 아마게돈의 뒤를 이어 등장한 펜듈럼 DDD. 모티브는 레오니다스 왕.

스케일 3에 레벨 7이라 DD 프라우드 오우거, DD 케로베로스와 함께 서로서로를 펜듈럼 소환할 수도 있고, 몬스터 효과를 이용해 계약서의 페널티로도 소환할 수 있기 때문에 얼굴을 보기 쉽다. 공격력도 2% 부족하지만 DDD답게 출중해 메인 어태커로 사용되는 등, 유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러나 이후 DDD 신탁왕 다르크의 발매로 인해 사실상 실업자가 된 비운의 카드. 특수 소환이 워낙 쉬워 묘지나 엑스트라 덱보다 패에 잡혀야 더 좋은 카드이므로 바운스에도 어느 정도 강한 편이지만, 엑스트라 덱에서 나오는 다르크의 효과와 타점이 더 우월하고 나오기도 훨씬 편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르크가 없을 때의 보험용으로 가끔 쓰이긴 한다. 특히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 봉인으로 다르크를 쓸 수 없다면 이 카드가 도움이 되주기도 한다.

또한 계약서의 데미지 리스크를 없애는 카드이며, 계약서의 페널티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기에 소환이 매우 쉽다. 주의할 점은 특수 소환시는 어디까지나 복구이기 때문에, 데미지로 LP가 0이 되면 그대로 끝. 시져의 출현으로 계약서뿐만이 아닌 DD 몬스터들과도 접점이 생겼고, 이 카드 자체도 DD인지라 지옥문의 계약서로 서치가 가능하다.

혁작룡 마스카레이드, 전황의 폭-동영 등 라이프를 지불하게 만드는 효과는 효과 대미지가 아니기에 막을 수 없다.

10기 트릭스터가 상위권일 시기에 효과 대미지 방어와 타점 모두 준수한 덕에 패 트랩으로 사이드 덱에 채용되기도 했다.
수록 시리즈
2014-08-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B17-JP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6-12-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1-KR03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73 |
2016 MEGA-TINS MEGA PACK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277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노멀|
N
노멀
]]

5.6.3.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드래곤의 힘 언데드의 위협 작열하는 대지
붉은 눈의 암룡 뱀파이어 제네시스 헬프레임 엠페러
해룡신의 분노 전사의 전설 마법사의 심판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전설의 길포드 흑마도의 집행관
무적의 요새 열풍의 패왕 고대룡의 분노
수호신 엑조드 신조 시무르그 초전도 티라노
기계의 반란 섬광의 파동 암흑의 주술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마왕 디아블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거대룡의 부활 황제의 강림 언데드 월드
펠그란트 드래곤 사 제왕 가이우스 붉은 눈의 불사룡
매지션의 패왕 전사의 일격 머시너즈의 지령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포트리스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데블즈 게이트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마스터 히페리온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해황의 포효 염왕의 급습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해황룡 포세이도라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사이버 드래곤 노바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싱크론 익스트림 마스터 오브 펜듈럼 펜듈럼 도미네이션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펜듈럼 에볼루션 사이버스 링크 파워코드 링크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마스터 링크 소울 버너 리볼버
슈팅코드 토커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리버스 오브 섀도르 혼돈의 삼환마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동옥의 빙결계 사이버류의 후계자 오버레이 유니버스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알버스트라이크 '''''' 충혹마의 숲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왕자의 고동 파란 눈의 광림
스카레드 데몬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진제왕강림 거신룡부활 기계룡반란
명 제왕 에레보스 거신룡 펠그란트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공수의 고동 신광의 파동 암흑의 주박
궁극의 전도 티라노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언데드 월드 로드 오브 매지션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붉은 눈의 불시룡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머시너즈 커맨드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잃어버린 성역
머시너즈 카넬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데블즈 게이트 염왕의 급습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1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極智王<rp>(</rp><rt>きょくちおう</rt><rp>)</rp></ruby>カオス・アポカリプス,
영어판명칭=D/D/D Chaos King Apocalypse,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상대 턴에만 발동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2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악마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혼돈스러운 이 세상의 앞날을 지켜보는 왕
스트럭처 덱 펜듈럼 도미네이션의 메인 카드.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과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와 비슷한 구성으로 이름이 조합되어 있으며, 각각 혼돈의 카오스 + 세상의 종말을 의미하는 단어 아포칼립스이다. 왕을 수식하는 "극지(極智)"는 북극, 남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지혜의 끝, 현명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름인 극지왕(極智王(きょくちおう), kyokuchiō)은 국장(局長(きょくちょう), kyokuchō)의 발음과 유사하여, CEO - 회장에서 이어지는 펜듈럼 DDD의 회사놀이 말장난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다른 카드와의 보조 없이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하여 어비스 라그나로크 및 DDD 열화왕 테무진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패룡왕 펜드래곤도 자체 특수 소환이 되지만 그쪽은 악마족과 드래곤족을 1장씩 릴리스해서 패에서 특수 소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DD 몬스터로만 소환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일단 묘지의 DD 몬스터 2장을 제외하고 펜듈럼 존에서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는 묘지 자원도 한계까지 우려먹는 DD의 특성상 다소 아쉽지만, DD 리빌드를 발동하거나 DD 고스트를 제외시켜 손해를 어느 정도 메워볼 수 있다.

마함을 파괴하고 특수 소환되는 몬스터 효과의 경우 계약서의 셀프번으로 자멸할 상황이거나 펜듈럼 존의 스케일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져 애물단지가 된 갈릴레이나 케플러를 미리 처리할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다.

레벨이 8이 아닌 7이라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 8이였으면 사위왕, 괴치왕만으로는 그동안 소환이 어려웠던 칼리 유가를 더욱 쉽게 소환할 수 있었을 것이기 때문. 대신 꿩 대신 닭이라고 랭크 7 DDD 엑시즈 몬스터를 기대하는 사람들도 꽤 되는데, DD는 아포칼립스를 포함해 레오니다스/다르크/뉴턴/알렉산더로 이어지는 빵빵하고 전개하기도 쉬운 레벨 7 라인이 잘 구축되어 있어서 랭크 7 엑시즈도 매우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헬 아마게돈이랑 라그나로크와 달리 채용률이 바닥을 긴다.

그러나 덱에서 펜듈럼 스케일을 조달하는 DDD 심연왕 빌가메스의 출시 이후로는 덱에 1장씩 투입되고 있다. 빌가메스의 효과로 이 카드랑 괴치왕을 펜듈럼 스케일로 세팅하면, 이 카드의 펜듈럼 효과로 자체 소환한 후 괴치왕의 펜듈럼 효과로 묘지의 라미아를 소환, 이후 주혈왕을 소환할 수 있게 된다.

펜둘럼 존에서 특수 소환되는 레벨 7 DD 몬스터라는 비슷한 롤을 가진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이 등장하면서 둘이 경쟁하게 되었다. 그러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DD의 신규 지원이 나오면서 다시 덱에서 빠지게 되었는데, 필드의 계약서만 파괴하면 나올 수 있어 가끔 쓰는 덱이라도 있던 사구왕과 달리 묘지에서 카드를 제외해야 하고, 펜듈럼 스케일이 하필 4이다 보니 4레벨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해야 하는 엑시즈 축과 상극이라서 완전히 실직해버렸다.

한국 정발명은 웜 어포컬립스라는 선례로 인해 '어포컬립스'가 되고 말았다.신룡 아포칼립스는 제대로 했으면서?--

일러스트는 사위왕 헬 아마겟돈과 유사한데, 팔이 달려 있어서 능력치와는 달리 이쪽이 훨씬 더 강해보인다.

유희왕 ARC-V 99화에서 출현, 레이지가 이 카드와 라미아를 소재로 DDD 극룡왕 베오울프를 융합 소환,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싱크로 소환했다. 또한 장 미셸 로제의 무한 난입에 대항하여 무한 콤보의 한 축이 되어 로제의 무한 난입을 무력화시켰다. 어느 쪽이든 단순 소재용이라 커버 카드로서는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그래도 무한 루프의 끝을 장식하며 레이지의 실력을 과시하는 역할을 했으니 나름대로 활약한 셈.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6.4.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7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70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404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56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9269_1.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24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VJMP-JP125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VJMP-JP126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VJMP-JP127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0590_1.jpg
파일:リンク・ディサイプル.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6356_1.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30
사이버스 가제트
VJMP-JP131
프록시 드래곤
VJMP-JP132
링크 디사이플
VJMP-JP133
V-LAN 히드라
파일:사이버스컨버터.jpg
파일:六武衆の真影.jpg
파일:サブテラーの導師.jpg
파일:セキュリティ・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36
사이버스 컨버터
VJMP-JP137
여섯 무사의 진영
VJMP-JP138
서브테러의 도사
VJMP-JP139
시큐리티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28 EM 카드 가드너
VJMP-JP129 에지임프 코튼 이터
VJMP-JP134 화이트 스팅레이
VJMP-JP135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 2016년2018년 →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파일:ddd_supersight_king_zero.jpg
나타나라! 세계를 응시하는 나의 심복!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現れろ!世界を凝望せし我が下僕! 「DDD超視王ゼロ・マクスウェル」!

-코믹스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
파일:DDD超視王ゼロ・マクスウェ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초시왕 제로 맥스웰,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超視王<rp>(</rp><rt>ちょうしおう</rt><rp>)</rp></ruby>ゼロ・マクスウェル,
영어판명칭=D/D/D Supersight King Zero Maxwell,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수비력을 턴 종료시까지 0으로 한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의 수비 표시 몬스터에 공격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수비력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0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③: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 원작 효과 ]
||<nopad><tablewidth=400> 파일:제로맥스웰.jpg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초시왕 제로 맥스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超視王<rp>(</rp><rt>ちょうしおう</rt><rp>)</rp></ruby>ゼロ・マクスウェル,
영어판명칭=D/D/D Supersight King Zero Maxwell,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1=불명,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할 경우 공격 대상이 된 몬스터의 수비력은 0이 되고\, 이 카드의 공격력이 그 몬스터의 수비력을 넘은 수치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경우 그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한 에이스 몬스터. 애니판의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포지션이지만 공격력은 2800으로 애니판의 역대 라이벌 몬스터의 전통인 3000이 아니다. 이쪽은 코믹스판이니 딱히 전통이 깨진 건 아니다.[20]

V점프 정기 구독 특전으로 OCG화되었다. 몬스터 효과는 원작과 동일하게 나왔으며 펜듈럼 효과로 1턴에 1번 몬스터 1장의 수비력을 0으로 만드는 효과를 들고 나왔다.

원작처럼 수비 표시 몬스터를 상대로는 강력함을 보여주겠지만 이 카드 자체에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꾸는 효과가 달려있질 않다. 즉 원작처럼 따로 마함 등을 사용해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꿔야 한다는 뜻. 거기다 이 컨셉 자체가 기존의 DD 컨셉이랑 맞질 않아서 은근히 쓰기 힘들다. 펜듈럼 효과까지 똑같이 수비력만 0으로 만드는 거라 더더욱 미묘. 레벨 7 DDD 몬스터만 해도 이미 DDD 재패왕 카이젤과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2장이 있는 데다 같은 펜듈럼 몬스터인 극지왕도 잘 쓰이지 않는단 걸 보면...

이 카드를 활용하려면 결국 상대가 초중무사를 쓰거나 달의 서, 어둠의 봉인검, 모래 먼지의 배리어 -더스트 포스- 등으로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바꾸어 쓸 수밖에 없는데 이마저도 수비력이 존재하지 않는 링크 몬스터에겐 통하지 않는다. 당장 푸른 눈의 카오스 MAX 드래곤도 내성과 공격력을 보고 사용하지 2번의 관통 2배 효과는 덤 정도로만 보고 쓰는 판국인데... 링크 소환이 주류가 될 신 마스터 룰 환경에서 수비 표시 몬스터에게 강한 이 카드는 별로 쓰이질 않을 듯하다. 거기다 펜듈럼 몬스터라 묘지 소생도 힘들다.

여러모로 원작의 활약에 비해 아쉬운 카드. 진화체인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가 먼저 나와 더 비참해 보인다.

반면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DD 덱의 주력 어태커로 활약하고 있다. 상대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만들어 놓으면 최소 2800의 관통 데미지를 박을 수 있기 때문. 시작 라이프가 4000인지라 OCG보다 더욱 유용하다.

2023년 사이버스톰 액세스가 발매되면서 FTK 파츠로 언급되었다. 초중무사소울 브레이크 아머의 ②번 효과는 턴 제약이 없어 여러 번 덤핑만 가능하다면 최대 3번 데미지를 줄 수 있었으나 몬스터를 최소 3장 소모해 소환이 어려운 초중증귀 테츠도-O를 빼면 초중무사 중 수비력이 높은 카드가 없거니와 수비력을 능동적으로 깎을 수 있는 카드도 없었는데, 수비력이 높은 몬스터 초중천신 마스라-O가 등장하자 이 카드로 수비력을 0으로 깎은 뒤 브레이크 아머를 2번 덤핑하여 원 턴 킬을 내는 것. 다만 루트가 발견된 지 얼마 되지 않았으므로, 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처럼 각광받기 전까지는 이 카드의 사용처가 생겼다는 것에 의의를 둬야 할 것이나, 대회에서 선턴킬을 6번 시도해 5번 성공한 사례가 나옴으로써 실전성은 충분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V점프 동봉 출신인 이 카드의 가격에 거품이 꼈으나 한국에서는 프리미엄 팩으로 발매되어 별 영향이 없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브레이크 아머가 금지되며 이 카드의 사용처도 다시 없어졌다.
작중에서는 15화에서 사카키 유우야와의 듀얼 중 처음 등장. 첫 턴부터 펜듈럼 소환된 후 유우야의 EM 카드 가드너를 공격하면서 효과로 수비력을 0으로 만들고 2800의 관통 데미지를 주며 전투로 파괴했다. 다음 턴에는 인격을 바꿔 나타난 유토다크 앤서리온 드래곤의 공격에 파괴되었으나 자신의 효과로 전투 데미지는 0이 되었고, 펜듈럼 몬스터였기에 바로 다음 턴에 펜듈럼 소환으로 부활한다.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의 효과로 약체화되었지만 공격봉인의 효과로 다크 앤서리온을 수비 표시로 바꾸고 OO플래시의 효과로 2회 공격 능력을 얻은 상태에서 샌드백으로 삼아버렸다. 그 다음 턴에는 다시 인격을 바꿔 나타난 유리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의 효과로 효과까지 무효화되고 약체화되었으나, 이번엔 함정 카드 디멘션 드레이프에 의해 전투 파괴를 회피, 다음 레이지의 턴에 창조적 파괴의 효과로 파괴된 다음 펜듈럼 소환으로 다시 나타난 직후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의 특수 소환을 위해 릴리스되었다.

효과명은 '데미지 제로(ダメージ[ruby(零, ruby=ゼロ)] / Damage Zero)'. 특이하게도 데미지를 받고 자신의 LP가 남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었다.

모티브는 맥스웰의 악마.
수록 시리즈
2017-09-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35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9-08-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4-KRA27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1-06-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IOV-EN095 |

[[노멀|
N
노멀
]]
2022-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2-EN112 |
2022 TIN OF THE PHARAOH'S GODS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7. 레벨 8

5.7.1. DD 마도현자 토마스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477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토마스,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トーマス,
영어판명칭=D/D Savant Thomas,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1800, 수비력=2600, 종족=악마족, P스케일=6,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레벨 8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마도현자 니콜라의 짝. 천문학자들을 모티브로 삼았던 지금까지의 마도현자 시리즈와 달리, 토머스 에디슨이 모티브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인지 그의 대표 발명품인 전구의 형태를 하고 있다. 또한, 공격력 / 수비력도 0/0이 아니고, 펜듈럼 스케일도 1~10으로 극단적이던 기존 마도현자와 비교할 때 6이란 상당히 이질적인 수치며, 마도현자 니콜라와 더불어 모티브가 된 인물의 성이 아닌 이름이 쓰였다.

펜듈럼 효과는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DD를 회수하는 효과. 케플러를 회수해서 다시 일반 소환하거나 레오니다스를 회수해서 데미지를 땜빵하는 등의 활용이 기대된다.

몬스터 효과는 펜듈럼 존의 DD를 파괴하면서 덱에서 레벨 8 DDD를 리크루트하는 효과. 수비 표시로 소환하는데다가 효과도 무효화되고, 그 턴에 받는 전투 데미지도 절반이 되지만 이 카드 역시 레벨 8이므로 곧 바로 랭크 8 엑시즈 소환이 가능해진다. 첫턴에 타이타닉 갤럭시를 세워 날빌을 도와줄 수도 있고 칼리 유가 역시 쉽게 소환이 가능하다.

발매 초창기에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트레이드 인에 대응하는 레벨 8, 칼리 유가나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엑시즈 소환에 도움되는 몬스터 효과, 샐비지하고 다시 콤보로 잇는 펜듈럼 효과 등 다양한 역할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조명받게 되며 필수 카드가 되었고, DD 그리폰 발매 이후로는 빌가메스의 효과로 이 카드와 그리폰을 세팅한 이후 그리폰을 자괴 후 이 카드로 회수하여 특수 소환할 수 있게 하는 콤보가 만들어지며 더욱 평가가 올랐다.

13기 이후에는 패 말림을 줄이기 위해 빠지는 경우도 있으나, 엑덱에 박힌 DD 몬스터를 간편히 회수하고 8랭크를 쉽게 뽑도록 돕는 역할은 지금도 유용하므로 채용률은 여전히 높다.

99화에 등장. DD 마도현자 니콜라와 같이 세팅되었다가, 무한 루프의 파츠로 파괴되고 재세팅되고를 반복한다.

별개로 이름이 토마스인 것과, 사용자의 성우인 호소야 요시마사가 전작에서 맡았던 역이 IV인 탓에 공개 이후 한국, 일본 둘 다 개드립이 나왔다.

여담으로 토마스의 얼굴은 위쪽에 사람 얼굴 같은 부분이 아닌 아랫쪽에 눈과 입 조형이 붙은 부분이 얼굴이다.[21] 윗쪽 얼굴은 그냥 장식.
수록 시리즈
2016-04-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JP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6-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KR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6-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EN01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8-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7-EN065 |
2017 MEGA-TINS MEGA PACK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8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7.2. DD 카운트 서베이어

파일:DDカウント・サーベイヤ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펜듈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카운트 서베이어,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カウント・サーベイヤー,
영어판명칭=D/D Count Surveyor,
레벨=8,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000, 수비력=2000, P스케일=1,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이 "DDD(디디디)"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했을 경우\, 상대 필드의\, 종족이 같은 몬스터 3장이나 속성이 같은 몬스터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앞면 표시 몬스터 3장 중 2장을 릴리스한다. 나머지 1장의 공격력 / 수비력은 릴리스한 몬스터 각각의 수치의 합계만큼 올린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다른 "DD(디디)" 몬스터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공격력이나 수비력이 0인 "DD(디디)"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external/livedoor.4.blogimg.jp/f3d73775.jpg
한글판 명칭 [ruby(DD, ruby=디디)] 카운트 서베이어
일어판 명칭 [ruby(DD, ruby=ディーディー)]カウント・サーベイヤー
영어판 명칭 D/D Count Surveyor
펜듈럼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어둠 악마족 2000 2000
P스케일 펜듈럼 효과 P스케일
1 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1장으로 취급하여 공격력 / 수비력도 전부 합한 수치로 한다. 1
①: 효과 불명

토마스 이후로 드디어 추가된 DDD 이외의 레벨 8의 DD 펜듈럼 몬스터. 모티브는 현미경. 소환이 간단한 레벨 8 DD인 이 카드의 등장으로 DD 내에서의 DDD 쌍효왕 칼리 유가 소환 난이도가 크게 내려갔다.

1번 효과는 DD 몬스터를 패에서 버리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 덕분에 스월 슬라임과 그리폰의 의존도가 줄었다. 패에 잡힌 네크로 슬라임이나 라미아를 묻는 용도로도 나쁘지 않은 편.

2번째 효과는 소환 성공시 공격력 혹은 수비력이 0인 DD 몬스터 1장 서치. 초동인 케플러는 물론 스케일 서베이어를 서치하여 전개로 이어갈 수 있다. 나이트메어 쓰론과는 달리 DD 카드군 소속이라 훨씬 다루기 편하며, 서치 범위도 더 넓다. 이 카드에 미리 패트랩을 빼두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펜듈럼 효과는 DDD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하면 조건이 맞는 몬스터 1장에게 능력치를 몰아준 뒤 나머지를 전부 릴리스시키는 효과. 노리고 쓰긴 어렵지만 상황만 맞는다면 깜짝 돌파 정도는 가능하다.

원작에선 같은 이름의 상대 몬스터의 장수와 능력치를 합치는 특이한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 효과로 수비력 3000으로 올라간 EM 카드 가드너 3장을 1장으로 취급해서 수비력 9000으로 만들고,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의 효과와 연동해 벽 몬스터 3장을 한꺼번에 치우는데에 쓰였다. OCG화되면서 발동 타이밍이 생겼으나 대신 카드명이 아닌 종족이나 속성이 같은 몬스터 3장으로 조건이 완화되어 사용하기엔 더 편해졌다.
수록 시리즈
2024-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JP014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PP-KRA14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6-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M-EN041 |
BATTLES OF LEGEND: MONSTER MAYHEM (Americas only)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5.7.3.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파일:card1000304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사위왕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死偉王<rp>(</rp><rt>しいおう</rt><rp>)</rp></ruby>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Doom King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린다.,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없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대상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지 않는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4.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파일:ddd_oblivion_king_abyss_ragnarok.jpg
나타나라, 신들의 황혼에 심판을 내리는 최고신!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現れ出でよ、神々の黄昏に審判を下す最高神! 「DDD壊薙王アビス・ラグナロク」!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22]
파일:DDD壊薙王アビス・ラグナロク(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壊薙王<rp>(</rp><rt>かいちおう</rt><rp>)</rp></ruby>アビス・ラグナロク,
영어판명칭=D/D/D Oblivion King Abyss Ragnarok,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2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5,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이 "DD(디디)"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DD(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V-JUMP 에디션에서 새롭게 등장한 DDD이자, 펜듈럼 소환을 대표하는 또다른 DDD 몬스터이다. 레이지의 애니메이션 에이스인 헬 아마게돈과 대비되는 듯한 몬스터로, 둘 다 레벨 8의 펜듈럼 몬스터이고, 이름이 저승을 의미하는 헬↔어비스/종말을 의미하는 아마게돈↔라그나로크로 대칭을 이루며, 사위왕은 공격력이, 괴치왕은 수비력이 3000이다.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 DD를 특수 소환하면 묘지의 DD를 추가로 특수 소환해주는 효과. 테무진이나 알렉산더와 연계하면 순식간에 필드를 전부 채울 수 있다. 대신 자기가 1000 데미지를 받고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가 절반이 되는 디메리트가 있는데, 전자의 디메리트는 레오니다스나 다르크를 사용해서 커버할 수 있지만, 후자의 전투 데미지 절반은 전투가 주요 딜링수단인 DD에게는 약간 아쉬운 디메리트.

참고로 이 효과로 데미지를 회복으로 바꾸는 다르크나 데미지를 0으로 만드는 레오니다스를 소환해볼 생각을 해볼 수 있는데, 처리가 동시라서 데미지가 그대로 들어간다.
Q: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①: 자신이 "DD(디디)"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펜듈럼 효과로 "DDD 신탁왕 다르크"를 특수 소환한 경우, 효과 처리는 어떻게 됩니까?

A: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는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처리와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처리가 동시 취급입니다. ("이 턴에, 상대가 받는 전투 데미지는 절반이 된다." 효과도 적용됩니다.)
"DDD 신탁왕 다르크"의 "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자신의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효과는 지속 효과이므로, 질문하신 상황에서는 "DDD 신탁왕 다르크"가 특수 소환에 성공한 후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로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처리는 통상대로, 데미지로 처리됩니다. ("DDD 신탁왕 다르크"의 몬스터 효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

몬스터 효과들은 어느쪽이든 굉장히 유용한 효과인데, ①번의 경우 일반/특수 소환시 묘지의 DDD를 소생시키는 강력한 효과다. 라미아가 튜닝을 통해 DD의 몬스터 풀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면, 괴치왕은 스월 슬라임과 함께 필드에 몬스터를 다수 늘어놓는데 굉장히 강한 면모를 보인다.

②번 효과 또한 DD 1장을 릴리스해서 상대 몬스터 하나를 제외하는 효과인데, 1번과 달리 2번은 카드명 지정 제한이 아니므로 괴치왕이 2장 있다면 상대 몬스터를 2장 치우는 게 가능하다. 제외가 치명적이지 않은 테마는 드물기 때문에 강력한 제거 효과. 또한 코스트가 릴리스여서 펜듈럼 몬스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 효과 견제가 부족한 DD엔 굉장히 유용한 효과.

괴치왕을 일본어로 읽으면 카이치오ː(かいちおう, kaichiō)정도가 되는데, 이는 "회장(会長, かいちょう, kaichō)"과 발음이 비슷한 것을 착안한 말장난이다. 이 때문에 한때 처음 공개됐을 땐 이 캐릭터와 관계가 있는 거 아니냐는 설이 있었지만, 작중에선 아무런 연관성도 제시되지 않았다.

참고로 이름에 있는 薙는 목련 치, 깎을 체라는 뜻이 있어서 정발 전엔 괴치왕, 괴체왕으로 비공식 표기가 갈렸다. 카이사르 라그나로크가 먼저 '노도괴치왕'으로 번역되었고,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야 정발된 이 카드 또한 '괴치왕'으로 번역되었다. 다만 '무너뜨리고 깎아내는 왕'이라는 뜻을 살리려면 '괴체왕'이 맞는 번역. '괴치왕'은 '무너뜨리는 목련의 왕'이라는 애매한 호칭이다.

원작에선 51화에서 등장해 ①의 효과로 노도왕 시져를 소생시켰고 ②의 효과로 네크로 슬라임을 릴리스하고 유우야의 룬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제외했다. 이후 86화에서 오랜만에 재등장했다.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하는 고 스탯 몬스터 중 하나일 뿐이라 특별한 비중을 차지하는 카드는 아니지만, 이 카드를 소재로 한 노도괴치왕, 쌍효왕이 그 비주얼을 이어받는 등 여러 디자인이 많은 DD 안에서 '의자에 앉은 왕'이라는 독자적 이미지를 확립하는 카드이기도 하다.
수록 시리즈
2014-11-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P14-JPA02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2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38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9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2 |

[[노멀|
N
노멀
]]
2017-03-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7-EN029 |
STAR PACK BATTLE ROYAL

[[노멀|
N
노멀
]]
2017-04-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04-EN010 |
OTS TOURNAMENT PACK 4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2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38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5.7.5. 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

파일:DDD死謳王バイス・レクイエム(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死謳王<rp>(</rp><rt>しおうおう</rt><rp>)</rp></ruby>バイス・レクイエム,
영어판명칭=D/D/D Vice King Requiem,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4,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이 카드의 레벨을\, 파괴한 수만큼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DDD(디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필드의 이 카드를 소재로서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 소환한 "DDD(디디디)" 몬스터는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3=●1턴에 1번\,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필드(앞면 표시) / 묘지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대상의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레전더리 골드 박스에 수록된 신규 DDD 펜듈럼.

펜듈럼 효과는 계약서 카드들을 원하는만큼 파괴하고 펜듈럼 존에서 이 카드를 특수 소환, 이후 자신의 레벨을 조정하는 효과로 계약서들의 디메리트를 회피하면서 레벨을 입맛대로 조절해 싱크로/엑시즈 소환을 이어갈 수 있다.

몬스터 효과 중에서 ①는 효과는 펜듈럼 존에서 손쉽게 뽑을 수 있는 점을 고려한 디메리트 효과. 빠르게 치워서 디메리트를 없애야 한다.

②의 효과는 이 카드를 소재로 쓴 DDD 몬스터에 계약서 카드 재활용+카드 파괴+회복 효과를 달아주는 효과. 펜듈럼 효과로 터트린 계약서를 회수할 수 있으며 자신 필드의 카드도 파괴할 수 있다. 최신 카드라 그런지 링크 소환에도 대응하지만 제로 라플라스 같은 어드벤스 소환에는 대응하지 않는다. 어차피 DD 덱은 엑스트라 덱 위주로 플레이하니 큰 문제는 아니지만.

나올 때부터 애매하다는 평이 많았지만,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의 발매 이후 완전히 망했다. 가장 큰 문제는 이 카드의 소환을 위해 계약서를 깨먹는다는 것. 빌가메스에 겹쳐 데스 마키나를 소환하게 되는 경우가 잦은데 이때 데스 마키나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한 계약서를 날려버린다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다. 하지만 스프라이트티아라멘츠가 등장한 이후 상대가 꺼낸 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를 단 기간틱 스프라이트, 엘섀도르 미도라시를 돌파하기 위해 한 장 정도 채용되고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 등을 미리 치우는 용도로 한 장 채용된다. 그러나 13기 지원 이후로는 완전히 사장되었다.

오히려 DD보다는 언체인드에서 더 자주 사용되는데, 바이스 레퀴엠을 먹고 나온 데스 마키나가 가진 파괴 효과를 이용해 돌파나 전개 트리거에 사용하는 식이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낙인 덱진염룡 알비온의 발사 용병으로도 종종 사용한다. 나이트메어를 메인 착지 플랜으로 사용하는 오프의 낙인과는 달리 마듀는 나이트메어가 금지이기에 대신 사구왕을 사용한다. 나이트메어와 달리 묘지로 가지 않아 재사용이 어렵고 잔존 효과가 아니라서 쉽게 파훼된다는 점은 아쉬운 점 대신 금지된 일적으로는 보낼 수 없다는 차이전이 있다.

이름의 사구왕은 しおうおう, 즉 COO로 읽을 수 있으며 해석하면 최고운영책임자가 된다. 사위왕CEO처럼 말장난.
수록 시리즈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37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37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02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5.7.6. DDD 영사왕 제로 마키나

파일:DDD零死王ゼロ・マキナ.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영사왕 제로 마키나,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零死王<rp>(</rp><rt>れいじおう</rt><rp>)</rp></ruby>ゼロ・マキナ,
영어판명칭=D/D/D Zero Doom Queen Machinex,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계약서" 지속 마법 / 지속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놓는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몬스터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엑스트라 덱에 앞면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DDD(디디디) 영사왕 제로 마키나" 이외의 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의 "DDD(디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그 후\,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발매된 메인 덱 DDD 펜듈럼 몬스터.

펜듈럼 효과는 이 카드의 핵심으로, 덱에서 아무 계약서나 앞면 표시로 놓는다. 함정 카드도 앞면 표시로 놓을 수 있고, 덱에서 놓는 것이기에 하루 우라라도 무시한다. 단 DD답게 유령토끼에는 약하며, 빌가메스를 내기 전에 이 카드를 썼다면 소환 전에 다른 방법으로 치워야 한다. 그리고 빌가메스나 이 카드의 ②의 효과 등으로 펜듈럼 존에 놓으면 '발동'한 것이 아니기때문에 펜듈럼 효과를 쓸 수 없다. 이 경우 스케일 서베이어, 디펜스 솔저 등으로 패로 되돌리거나 천공왕 등으로 부순 후 토마스로 패로 가져오는 등의 방식으로 펜듈럼 존의 이 카드를 패로 가져온 다음에 다시 발동하면 된다.

①의 몬스터 효과는 엑스트라 덱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때 내 DDD나 계약서가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을 특수 소환하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비대상 파괴할 수 있는 효과. 전개 과정에서는 영왕의 계약서, 천공왕의 효과 등과 연계하여 개체수로 사용 가능하고, 상대 턴에는 사치왕의 효과와 연계해 후열로서 작용한다. 데미지 스텝에도 발동 가능하기 때문에 전투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인의 타점도 푸른 눈의 백룡 급이라 방어 성능이 좋다.

②의 몬스터 효과는 엑스트라 덱 펜듈럼 몬스터에서나 볼 법한 몬스터 존에서 파괴될 시 내 펜듈럼 존에 놓는 효과. ①의 몬스터 효과로 자기 자신을 파괴해서 펜듈럼 존을 채우는 연계도 가능하다. 저스케일이 필요할 때 사용하게 될 것이며, 특히 토마스를 쓰지 않는다면 전개 도중 이 효과를 쓸 일이 많다 상술했듯이 '발동'이 아니기에 펜듈럼 효과는 쓸 수 없다.

일반적으로 자신, 혹은 케플러의 효과로 영왕의 계약서를 가져온 다음, 그 영왕의 계약서로 이 카드를 파괴하고 랜스 솔저의 소생 효과 또는 오르트로스의 펜듈럼 효과와 연계하여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다. 특히 원 핸드 전개에서 오르트로스가 계약서와 자폭하면 바로 튀어나와 심연왕과 함께 소재로 쓰임으로써 5소환 내에 천공왕을 뽑아 니비루를 손쉽게 케어할 수 있다.

옥좌에 앉아 있는 자세나 색상, 남성형-여성형으로 대치되는 디자인 등으로 보아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의 대칭형으로 디자인된 몬스터.[23] 디자인의 모티브는 레이지의 어머니인 아카바 히미카.[24] 이름의 '영사왕' 은 '레이지오우'로 발음하는데, '아카바 레이지 왕' 이라는 말장난으로 볼 수도 있으나, 다른 사장 시리즈와 같은 방식으로 대입하면 '레이죠우', 즉 영애가 된다.

또한 카드의 파괴를 트리거로 특수 소환되어 추가 효과를 실행하는 ①의 효과는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의 DD / 계약서 버전 어레인지로 보인다. 영사왕은 패가 아닌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되고, 서치가 아니라 파괴를 실행하는 것이 차이점이다.

한편 색감과 갑옷 디자인 때문에 엘리멘틀 히어로 선라이저의 TS 버전 같다는 평도 존재한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0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0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03 |

5.8. 레벨 10

5.8.1. DD 마도현자 갈릴레이

파일:DD魔導賢者ガリレ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마도현자 갈릴레이,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魔導賢者<rp>(</rp><rt>まどうけんじゃ</rt><rp>)</rp></ruby>ガリレイ,
영어판명칭=D/D Savant Galilei,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펜듈럼 소환할 수 없다. 이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P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을 2개 올린다(최대 10까지). 그 후\, 이 카드의 펜듈럼 스케일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DD(디디)" 몬스터 이외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외1=이 카드명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마도현자 케플러의 짝. 케플러 같이 굉장히 괴리감이 심한 스케일과 레벨의 차를 지닌다. 이름의 유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형태의 모티브는, 실제 갈릴레이가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보인다.

펜듈럼 효과는 케플러와 비슷하게 시간이 지날수록 스케일이 올라가는 게 특징이고, 그 이하의 DD 이외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해버린다. 펜듈럼 존의 효과가 좋은 편이 아닌지라 쓰고 나면 빨리 처리하는 편이 좋다.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 나온 코페르니쿠스와 오르트로스를 시작으로 로우 스케일로 쓰기 좋은 카드가 많이 나와서 이 카드를 쓸 일은 없다.

몬스터로서의 효과는 자신의 DD나 계약서를 바운스시키는 것. 자기 자신을 패에서 버려야 하는지라 엑스트라 덱에 가지 못하지만, 어차피 레벨이 10인지라 스케일이 10을 넘지 못하는 DD에서는 펜듈럼 소환이 안되므로 그냥 묘지에 있는 편이 더 좋다. 몬스터로 존재하는 DD 펜듈럼 몬스터를 주워와 펜듈럼 존에 놓거나,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가 오기 전에 계약서를 되돌릴 수 있다.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몬스터에게 제외나 덱 바운스 같은 영 좋지 못한 일이 벌어질 것 같으면 패로 후퇴시키는 용도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케플러나 릴리스의 효과가 데먼즈 체인이나 이펙트 뵐러와 같은 무효 계열의 카드들에게 막힐 때 체인하여 몬스터에게 써주면 무효화를 무시하고 발동이 되는 전략도 있다. 특히 빌가메스에 무효계열이 박히면 치명적인지라 이 카드로 케어하는 방식이 고려되기도 했으나, 링크 마커와 사치왕 소환을 포기하는 셈이라서 거의 안 쓰인다.

이쪽 또한 케플러처럼 처음엔 펜듈럼 효과가 공백이였으나 불안정한 탓에 스케일 변동이 일어났으며 변동 수치 또한 턴마다 2배가 되는 식. 이후엔 재조정에 성공했는지 OCG 효과와 같아졌다. 또한 원작에선 전투 시에 펜듈럼 존의 공격력 합계를 자신에게 더하는 효과가 존재했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3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10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3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10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1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66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10 |

[[노멀|
N
노멀
]]

5.8.2.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파일:ddd_destiny_king_zero_laplacefullview.jpg
시간의 어둠에 숨은 패러다임. 필연의 힘이 인과율의 악마를 불러깨운다!
時の闇に潜むパラダイム。必然の力が因果律の悪魔を呼び覚ます!
특수 소환!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特殊召喚! 「DDD運命王ゼロ・ラプラス」!

-코믹스 유희왕 ARC-V 中 아카바 레이지-[25]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087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運命王<rp>(</rp><rt>うんめいおう</rt><rp>)</rp></ruby>ゼロ・ラプラス,
영어판명칭=D/D/D Destiny King Zero Laplace,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D(디디디)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이외의 "DDD(디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1=①: 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그 상대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배가 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4=④: 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그때\, 자신이 받는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 원작 효과 ]
파일:운명왕.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運命王<rp>(</rp><rt>うんめいおう</rt><rp>)</rp></ruby>ゼロ・ラプラス,
영어판명칭=D/D/D Destiny King Zero Laplace,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불명,
효과1=①: 이 카드는 공격력 2500 이상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전투하는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의 배가 되고 관통 데미지를 준다.,
효과3=③: 1턴에 1번만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그 전투로 발생하는 데미지를 0으로 한다.)]

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 ARC-V 코믹스 3권의 동봉 카드로 OCG화되었다.

펜듈럼 효과는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DDD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효과. 신 마스터 룰의 도입으로 엑스트라 덱에서의 대량 전개가 힘들어진 환경에 맞춘 효과로 보이며 엑스트라 덱의 펜듈럼 카드를 패로 회수해 메인 몬스터 존으로 불러내거나 펜듈럼 존에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①의 몬스터 효과는 원작에도 있었던 특수 소환 룰 효과. 원작과는 달리 공격력 제한이 없어져 2500 미만인 DDD 열화왕 테무진이나 DDD 노도왕 시져 등을 릴리스하고도 특수 소환이 가능해졌다.

②의 몬스터 효과는 전투하는 상대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의 배의 수치를 자신의 공격력으로 하는 유발 효과. 클리어 바이스 드래곤과 유사한 효과지만, 해당 카드와는 달리 상대 몬스터에게 공격받을 때에도 발동 가능하며 추가로 관통 데미지를 주는 효과도 있으며, 배틀 페이즈 종료 시 표시 형식이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

③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 전투로 파괴되지 않고 전투 데미지를 0으로 하는 지속 효과. 이 카드의 수비력이 0이기에 표시 형식 변경 계열 + 관통에 뚫리기 쉬운데 이 효과 덕에 그 점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 카드의 2번 효과 덕에 실질적으로 전투에서 질 일이 없기에 그냥 덤 정도로 보면 될 듯. 효과 내성이었으면 좋았을 텐데 아쉽다.

레벨 10이라 DD 덱에서 펜듈럼 소환은 불가능하지만 어차피 자체 특수 소환 능력도 있고 DD 스월 슬라임의 효과도 있기에 필드에 내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다.

효과 자체는 괜찮은 편이지만 현 DD 덱에서의 컨셉과는 매우 동떨어진 카드여서 채용율은 그다지 높지 않다.

작중에서는 18화에서 사카키 유우야와의 1차전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을 릴리스하여 특수 소환되었다. 공격봉인의 효과로 수비 표시가 된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을 공격해 파괴하고, 추가로 지속 함정 00러시의 효과로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을 자신 효과로 공격력을 6000까지 뻥튀기한 상태로 연속 공격하여 듀얼을 끝내려 했으나 펜듈럼 존의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의 펜듈럼 효과로 전투 데미지가 0이 되어 불발. 다음 턴 유우야가 소환한 오드아이즈 판타즈마 드래곤의 효과로 공격력이 5000이나 내려가 파괴될 뻔하지만 자신 효과로 전투 파괴와 데미지를 무효화해 살아남는다. 중간에 의 난입으로 듀얼이 중단되고 레이지는 이 녀석을 타고 사라진다.

모티브는 라플라스의 악마. 악마를 상징하는 산양 머리 형태에, 눈 부분이 시계추로 되어있는 디자인이 특징이다.

원래 이름은 "DDD 운명왕 제로 라플라스"지만 붙어서 쓰면 그 명왕(冥王)과 헷갈리기 때문인지 한글판에서는 "운명의 왕"이라고 풀어서 썼다. DDD의 몬스터들은 대부분 "XX왕"이라는 작명을 지켰왔기 때문에 상당히 이질적이다.
수록 시리즈
2017-04-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A03-JP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8-03-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A03-EN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079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8-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3-KR027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5.8.3.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파일:GO-DDD神零王ゼロゴッド・レイ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GO<rp>(</rp><rt>고</rt><rp>)</rp></ruby>-<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일어판명칭=<ruby>GO<rp>(</rp><rt>ゴー</rt><rp>)</rp></ruby>-<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神零王<rp>(</rp><rt>しんれいおう</rt><rp>)</rp></ruby>ゼロゴッド・レイジ,
영어판명칭=Go! - D/D/D Divine Zero King Rage,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0, 수비력=0, 종족=악마족, P스케일=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펜듈럼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을 경우\, 그 데미지는 0이 된다.,
P효과2=②: 이 카드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레벨 5 이상의 "DD(디디)" 몬스터를 일반 소환할 경우에 필요한 릴리스를 없앨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다른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고르고\, 턴 종료시까지 적용한다.,
효과2=●이 카드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3=●상대는 마법 & 함정 존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4=●상대는 패 / 묘지의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5=②: 상대의 LP가 4000 이하일 경우\, 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상대의 LP의 수치만큼 올린다.,
효과6=③: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이 카드의 전투로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9. 레벨 12

5.9.1.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파일:DDDD超次元統皇ゼロ・パラドック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소환=,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D<rp>(</rp><rt>디디디디</rt><rp>)</rp></ruby>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일어판명칭=<ruby>D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超次元統皇<rp>(</rp><rt>ちょうじげんとうおう</rt><rp>)</rp></ruby>ゼロ・パラドックス,
영어판명칭=D/D/D/D Super-Dimensional Sovereign Emperor Zero Paradox,
속성=어둠, 레벨=12,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상대의 펜듈럼 존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이 효과로 놓은 카드는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으며\, 이 카드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이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했을 때\, 자신의 펜듈럼 존의 펜듈럼 스케일의 합계가 펜듈럼 소환한 몬스터 레벨의 합계를 넘고 있으면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하고\, 필드의 다른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그 후\,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을 수 있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다른 앞면 표시의 "DDD(디디디)" 몬스터가 마법 카드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6000이 된다.)]
[ 원작 효과 ]
파일:제로패러독스.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소환=,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D<rp>(</rp><rt>디디디디</rt><rp>)</rp></ruby>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일어판명칭=<ruby>D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超次元統王<rp>(</rp><rt>ちょうじげんとうおう</rt><rp>)</rp></ruby>ゼロ・パラドックス,
영어판명칭=D/D/D/D Super Dimension King Zero Paradox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12,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1=불명,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DDD(디디디)"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했을 때\, 자신의 펜듈럼 스케일의 합계가 그 레벨을 넘으면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이 카드 이외의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할 수 있다.,
효과2=②: 서로의 턴에 1번\, 상대 펜듈럼 존에 존재하는 카드를 자신의 카드로 취급할 수 있다.,
효과3=③: "DDD(디디디)" 몬스터가 필드를 벗어난 턴에 1번\, 이 카드의 공격력을 배로 할 수 있다.)]

유희왕 ARC-V 코믹스에서 아카바 레이지가 사용. 작중에서는 아카바 레오가 레이지를 위해 만들어준 카드로 언급되며, 유우야와의 듀얼에서 존재를 암시했으나 렌에 의해 듀얼이 중단되어 직접 등장하지는 않았다. 이후 아이작과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레이지는 이 몬스터의 특수 소환을 '트랜센던스 펜듈럼 소환([ruby(超越, ruby=トランセンデンス)]ペンデュラム召喚)'이라 칭했다.

프리미엄 팩 2023에서 OCG화. 쓰기 힘들게 크게 하향되었다.

원작에서는 통상 소환할 수 없을 뿐, 다른 카드의 효과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였지만[26], 이 카드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도록 하향되었다. 대신 원작은 DDD 몬스터의 펜듈럼 소환에만 대응하여 소환 가능했지만, OCG화되며 다른 펜듈럼 몬스터의 펜듈럼 소환에도 대응하도록 소환 조건이 좀 더 범용적으로 바뀌었다.

또한, 원본의 1번 효과는 모든 특수 소환에 대응하는 효과였으나, 특수 소환 효과에 통합되어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는 물론, 이 카드의 펜듈럼 효과에 의한 특수 소환에도 대응하지 않게되었다. 또한 특수 소환방법이 효과인지 룰에 의한 특수 소환인지 불분명했으나, 파괴하는 효과에 통합되어 단순히 효과 무효는 물론, 파괴하는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에도 무효되도록 하향되었다. 대신 펜듈럼 존으로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추가되었으나, 그 펜듈럼 효과가 원래는 몬스터 효과였음을 감안하면 오히려 너프다.

원본의 2번 효과가 펜듈럼 효과로 바뀌었는데, 원래는 상대 턴에도 상대 펜듈럼 존의 카드의 효과를 기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당히 유틸성 높은 효과였으나,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는 효과가 되어 기습성이 떨어졌고, 한 번 소환된 후에는 이 효과를 발동할 기회가 1번 효과 처리 중 1번뿐이므로, 이 카드의 소환 후 발동된 펜듈럼 카드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대신 펜듈럼 효과로도 특수 소환할 수 있게 되었는데, 애초에 1번 효과로 펜듈럼 존에 놓였다면 상대의 펜듈럼 존에 펜듈럼 카드가 없을 가능성이 높고, 패에서 먼저 펜듈럼 존에 놓고 특수 소환할 경우에는 1번의 파괴 효과를 사용하지 못한다. 또한 대부분의 펜듈럼 덱의 펜듈럼 카드는 해당 카드군에 최적화된 효과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27] 펜듈럼 효과를 사용하는 상황은 한정될 것이다.

3번 효과는 DDD 몬스터가 필드만 벗어나면 공뻥이 되던 원작이랑 달리 마법 카드의 효과로 벗어났을 경우에만 쓸 수 있으며, 발동 타이밍 역시 필드에서 벗어나자마자 강제로 발동하도록 하향되었다. 덕분에 원작처럼 나오자마자 필드 클린 후 공격력 6000으로 직접 공격을 노리는 플레이는 불가능해졌으며, 상승 수치 역시 2배에서 6000이 된다로 고정되어 이 카드의 공격력을 미리 변경해두고 효과를 발동하는 플레이는 불가능하게 바뀌었다.

1번 효과로 소환된 시점에서 자신 필드에 다른 DDD 몬스터나 계약서 마법 카드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3번 효과를 바로 사용하기는 어렵고, 펜듈럼 효과로 소환된 후 효과를 발동하거나, 1번 효과를 DD 아크나 노도왕처럼 파괴되었을 경우에 어드밴티지를 버는 카드와 연계할 필요가 있다.

펜듈럼 소환 룰상 소환하는 몬스터의 레벨보단 한 쪽 스케일이 높아야 하므로 하급 한두 장 소환 시에는 쉽게 특수 소환할 수 있으나,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같은 최상급이 섞여있을 경우 레벨 합이 12를 넘어갈 수도 있기에 상황을 보면서 쓰는 것이 좋다. 펜듈럼 앙코르랑 함께 쓰면 상대 턴에 갑툭튀하여 필드 클린을 시전할 수도 있기는 하나 펜듈럼 스케일이 덱으로 돌아가는 점에는 주의.

이전까지는 별다른 절차나 디메리트 없이 내놓을 수 있는 스케일은 9가 끝이었으나, 10 스케일을 내놓을 수 있는 최초의 카드이기도 하다. 이후 예성의 장-원모어 더 나이트가 스케일 11로 나왔다.

4개의 D를 쓰며, 왕도 아닌 황을 쓰고 있다. 기존의 DDD와는 궤를 달리하는 몬스터인 것으로 보이나 정작 첫 등장 이후엔 등장하지 않은 채 최고 몬스터 자리도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가 가져가 버렸다. 다만 등장하지 않는 것이 이득이였는지, 이 카드에 정보가 없던 사카키 유우야는 펜듈럼 매치를 쓸 때 이 카드를 염두에 두지 못했고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과 같은 스케일을 가진 이 카드가 나와 모든 카드를 파괴했다.

제로 패러독스(パラドクス)와 패러독스(パラドクス)드래곤의 명칭이 다른데 펜듈럼 패러독스의 전례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나왔다.

이름에 관해선 추측이지만 패러독스라는 단어는 보통 법칙에 어긋났거나 시간선이 꼬였다는 뉘앙스로 쓰이므로 제로 패러독스가 고정된 운명이라고 해석한다면 DDDD의 첫 D는 운명이라는 단어인 Destiny로 추측할 수 있거나 아카바 레이지가 코믹스 최후에 쓴 카드이므로 목적지를 뜻하는 데스티네이션이라는 추측도 존재한다.
수록 시리즈
2022-12-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3PP-JP015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3-04-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3PP-KRA15 |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3-06-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R-EN046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6. 융합 몬스터

6.1. 레벨 6

6.1.1. DDD 열화왕 테무진

DDD 열화왕 테무진
파일:ddd_flame_king_genghis__wallpaper_pre.jpg
송곳니를 드러낸 지옥의 번견이여! 암야로 꾀어내는 요부여![28]
牙むく地獄の番犬よ!闇夜にいざなう妖婦よ!
명부에 소용돌이치는 빛 속에서, 지금 하나가 되어 새로운 왕을 만들어내라!
冥府に渦巻く光の中で、今ひとつとなりて新たな王を生み出さん!
융합 소환! 생탄하라, 「DDD 열화왕 테무진」!
融合召喚!生誕せよ、 「DDD烈火王テムジン」!

-유희왕 ARC-V 제12화 中 아카바 레이지-[29][30]
파일:DDD烈火王テムジ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열화왕 테무진,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烈火王<rp>(</rp><rt>れっかおう</rt><rp>)</rp></ruby>テムジン,
영어판명칭=D/D/D Flame King Genghis,
속성=화염, 레벨=6, 공격력=2000, 수비력=15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레이징 마스터즈에 등장하는 융합 DDD. 모티브는 칭기즈 칸의 본명인 테무진.

DD 빌드 전개의 핵심. DD의 전개는 일단 이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DD가 특수 소환되었을 때 묘지의 DD를 특수 소환하고, 전투, 상대 효과로 파괴되면 묘지의 계약서를 회수하는 융합 DDD. 융합 소재가 굉장히 느슨하기에 아무나 섞어서 뽑을 수 있고, 추가적인 전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이 출시되고나서는 더 더욱. 그 대신 뽑기 쉽고, 묘지의 몬스터들을 전개시킨다는 장점 때문인지 전투력이 굉장히 낮으므로 상대 턴에는 목숨을 장담할 수 없다. 이 단점은 발키리의 계약서로 보충하거나 그냥 파괴되게 내버려두고 묘지에서 뽑아올 계약서들로 다음 턴을 도모하도록 하거나, 다른 소재로 써버리자.

비슷한 효과인 알렉산더와 타점과 일반 소환에는 대응하지 않는 점에서 밀려보이지만, 서로 소생시키는 범위가 다르기 때문에 차별화가 가능하다.

처음 나왔을 때부터 오랜 기간동안 전개의 핵심 몬스터였으며, 의존도가 굉장이 높았다. 초창기 때는 상술했듯이 DD의 주력 소환법이 융합이었고, 이후 싱크로, 엑시즈 소환의 비중이 늘어갈 때는 라미아, 스월 슬라임 등 특소 효과를 가진 몬스터들이 많아져 효과를 쓰기 쉬워졌기에 싱크로로 넘어가는 중간다리로서의 비중이 높았다. 신 마스터 룰 이후로도 하리파이버-빌가메스로 이어지는 링크 소환의 개체수를 충당하기 위해 여전히 테무진을 먼저 뽑으며, 빌가메스 전에 다른 싱크로 몬스터를 뽑으려면 역시 이 카드를 비튜너로 써야 했다. 배틀 오브 카오스 이후의 엑시즈축 DD에서는 이그제큐티브 시저의 소재 충당을 위해 2장 뽑기도 한다. 그러다가 13기 이후 창시왕이 등장한 이후로는 의존도를 덜게 되었다.[31]

레이징 마스터즈에서 시크릿 레어로 나오는데다가 주요 카드 중 유일하게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 재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쌌다. 한때 평균적으로 장당 3.0을 호가했으며 그마저도 레이징 마스터즈가 한, 일 양국에서도 생산이 끝났기 때문에 돈이 있더라도 매물이 없어서 구하질 못해 푸른 눈의 아백룡보다 높은 시세를 형성했었다. 이후엔 디멘션 박스에서 재록. 덕분에 가격이 대폭 내려가서 구하기 매우 쉬워졌다. 기존 시크릿 레어도 DD가 티어에서 사라지고 수요가 많이 내려가면서 가격이 대폭 하락했다.

원작에서는 첫 등장 당시 소생 조건이 DD'D' 몬스터가 특수 소환했을 경우이며, 계약서 회수 효과도 없었다. 이후 2차전에서 OCG 효과와 같아졌다.

공격명은 파이어 스트로크(Fire Stroke).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6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JP024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8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6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KR024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8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13-EN005 |
2016 MEGA-TINS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2-06-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9-EN009 |
OTS TOURNAMENT PACK 19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6.2. 레벨 7

6.2.1. DDD 신탁왕 다르크

DDD 신탁왕 다르크
파일:다크다크다크 잔다르크.jpg
파일:DDDOracleKingdArc-JP-Anime-AV-NC.webp
긍지 높은 기사여, 재앙을 봉한 도가니와 녹아들어, 진정한 왕으로 다시 태어나라!
誇り高き騎士よ、災い封じ込めし坩堝に融け込み、真の王と生まれ変わらん!
융합 소환! 나와라, 신의 위광을 전하는 왕! 「DDD 신탁왕 다르크」!
融合召喚!出でよ、神の威光伝えし王! 「DDD神託王ダルク」!

-유희왕 ARC-V 中 아카바 레이지-[32][33]
파일:DDD神託王ダル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신탁왕 다르크,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神託王<rp>(</rp><rt>しんたくおう</rt><rp>)</rp></ruby>ダルク,
영어판명칭=D/D/D Oracle King d'Arc,
속성=어둠,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에게 데미지를 주는 효과는\, 자신의 LP를 회복하는 효과가 된다.)]
테무진에 이어 2번째로 나온 융합 DDD 몬스터. 모티브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잔 다르크. 뿐만 아니라 기존에 있었던 성녀 잔느가디언 엔젤 잔느와 같은 공격력과 수비력, 그리고 유사한 일러스트를 가지고 있다. 데미지를 회복으로 바꾸는 효과는 머티리얼 드래곤과 비슷하지만, 양쪽 모두에게 적용하는 머티리얼 드래곤과는 달리 이쪽은 플레이어에게만 적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9기 환경에서는 레벨 7이라 주혈왕 등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낮은 소환 난이도에 비해 높은 공격력, LP 회복 능력 등으로 인해 1장 정도 채용되었으나, 이러한 장점이 전부 무의미해지고 전개와 후공 돌파 어느 쪽에도 도움이 안 된다는 단점이 더 중요해진 10기 이후로는 안 쓰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쓰더라도 주혈왕의 소재 조달용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게 되었다. 배틀 오브 카오스 이후 엑시즈 축에서는 주혈왕을 뽑기 힘들어져 마이너하긴 하지만 여전히 선택지 중 하나로 유효했다.[34] 그리고 13기가 되자 DD 덱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40화에서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묘지의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판도라를 융합하여 첫 등장. 바렛이 함정 카드를 발동해 융합 몬스터를 파괴하고 소재가 된 몬스터들을 묘지에서 특수 소환해 그 소재의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 즉 3500 데미지를 양쪽 모두에게 줘 무승부로 만들 생각이었으나 레이지가 다르크의 효과를 사용. 효과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무효한 수치만큼 LP를 회복해 200밖에 없었던 LP를 단숨에 7200으로 회복했다.

효과명은 라이프 이레이션(Life Erasion)[35], 공격명은 오라클 차지(Oracle Charge).
수록 시리즈
2015-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JP046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7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EN046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077 |
2016 MEGA-TINS MEGA PACK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3-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17-EN040 |
STAR PACK BATTLE ROYAL

[[노멀|
N
노멀
]]
2022-06-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19-EN010 |
OTS TOURNAMENT PACK 19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5-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KR046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7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6.3. 레벨 8

6.3.1.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7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170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404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569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9269_1.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24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
VJMP-JP125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VJMP-JP126
앤틱 기어 골렘-얼티미트 파운드
VJMP-JP127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0590_1.jpg
파일:リンク・ディサイプル.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6356_1.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30
사이버스 가제트
VJMP-JP131
프록시 드래곤
VJMP-JP132
링크 디사이플
VJMP-JP133
V-LAN 히드라
파일:사이버스컨버터.jpg
파일:六武衆の真影.jpg
파일:サブテラーの導師.jpg
파일:セキュリティ・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36
사이버스 컨버터
VJMP-JP137
여섯 무사의 진영
VJMP-JP138
서브테러의 도사
VJMP-JP139
시큐리티 드래곤
정기구독 특전
VJMP-JP128 EM 카드 가드너
VJMP-JP129 에지임프 코튼 이터
VJMP-JP134 화이트 스팅레이
VJMP-JP135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 ||
← 2016년2018년 →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파일:6ee7c789.jpg
파일:DDD烈火大王エグゼクティブ・テムジ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烈火大王<rp>(</rp><rt>れっかだいおう</rt><rp>)</rp></ruby>エグゼクティブ・テムジン,
영어판명칭=D/D/D Flame High King Genghis,
속성=화염,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종족=악마족,
소재=레벨 5 이상의 "DD(디디)" 몬스터 + "DD(디디)" 몬스터,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턴에 1번\,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테무진의 강화형.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는 원본인 테무진과 같은 효과이나 테무진과는 달리 일반 소환에도 효과가 적용된다.

②의 효과는 자신 턴의 마법 / 함정의 발동을 무효로 하는 효과. 자신 턴에만 막을 수 있기에 퍼미션으로서의 역할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상대가 함떡 덱이면 활용하기 좋으며, 무한포영도미나스의 등장과 점차 몬스터 위주의 환경에서 벗어나 다양한 견제를 걸어오는 경우가 늘어나 안정적인 전개를 할 수 있어 비중이 늘었다. 13기 지원 이후에 마신왕의 계약서를 투입하는 DD 덱이 있다면 그건 십중팔구 이 카드를 사용하기 위함이다.[36]

원작에서는 소생 효과에 카드명 제약이 없었으며, ② 효과가 DD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의 마법,함정의 효과를 다음 자신 턴까지 무효로 하는 기동 효과였다. 이 효과로 자크의 패왕문에 의한 라이프 회복 콤보를 막았으나, 어째 레이지가 패배하고 나서도 무효가 적용되어 자크가 데미지를 받았다.
수록 시리즈
2017-0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E11-JP0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8-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JP067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8-08-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3-KR04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9-03-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KR067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8-10-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OFU-EN095 |

[[노멀|
N
노멀
]]
2019-08-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9-EN229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6.3.2. DDD 극룡왕 베어 울프

DDD 극룡왕 베어 울프
파일:ddd_dragonbane_king_beowul-fullview.jpg
파일:DDDDragonbaneKingBeowulf-JP-Anime-AV-NC.webp
혼돈스러운 이 세계의 앞날을 지켜보는 왕이여,
미래에 흐르는 피를 빨아 용조차 쓰러뜨리는 용자가 되어라!
混沌たるこの世の行く末を見極める王よ
未来に流される血を吸い、竜をも倒す勇者となれ!
융합 소환! 생탄하라, 레벨 8! 「DDD 극룡왕 베어 울프」!
融合召喚!生誕せよ、レベル8! 「DDD剋竜王ベオウルフ」!

-유희왕 ARC-V 제99화 中 아카바 레이지-[37][38]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극룡왕 베어 울프,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剋竜王<rp>(</rp><rt>こくりゅうおう</rt><rp>)</rp></ruby>ベオウルフ,
영어판명칭=D/D/D Dragonbane King Beowulf,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소재="DDD(디디디)" 몬스터 + "DD(디디)" 몬스터,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DD(디디)"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만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서로의 마법 & 함정 존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모티브는 베오울프. 국내판의 '베어' 울프는 명백한 오역이다. 곰 늑대

①의 효과는 자신의 DD 전체에 관통 효과를 부여하는 심플하고 강력한 효과.

②의 효과는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하기 때문에 타임 래그가 발생하나 매 턴마다 태풍을 발동하는 좋은 효과. 계약서 비용 지불이 부담스러울 때도 질러줄 수 있다. 단, 상대의 마함을 파괴하기 위하여 사용할 경우엔 반대로 계약서를 희생할 수도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둬야 한다. 그리고 필드 마법은 건드릴 수 없으니 주의할 것. 펜듈럼 존은 기존에는 파괴가 불가능했으나 링크 소환으로 인해 필드가 개정되면서 펜듈럼 존이 마법 & 함정 존에 편입된 덕에 파괴할 수 있게 되었다.

9기에는 광역 마함 견제 효과를 가진 고타점 어태커로 1장 고정 채용되었으나, 거의 같은 소재로 소환이 가능한 열화대왕이 나온 이후 선공 전개나 후공 돌파, 어느 쪽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는 이 카드는 퇴출되었다.

원작에서는 99화에서 소환되어, 쟝 미셸 로제의 앤틱 기어 데블을 파괴한 뒤 관통 데미지를 먹여버렸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4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4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4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6.4. 레벨 10

6.4.1.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파일:노도괴치왕 월페이퍼.jpg
파일:DDDWaveOblivionKingCaesarRagnarok-JP-Anime-AV-NC.png
신들의 황혼을 깨부수고, 들이닥치는 파도의 기세로 새로운 세계를 열어라! 융합 소환!
神々の黄昏を打ち破り、押し寄せる波の勢いで、新たな世界を切り開け!融合召喚!
출현하라, 극한의 독재신!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出現せよ、極限の独裁神! 「DDD怒涛壊薙王カエサル・ラグナロク」!

-유희왕 ARC-V 제51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39]
파일:DDD怒濤壊薙王カエサル・ラグナロ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怒濤壊薙王<rp>(</rp><rt>どとうかいちおう</rt><rp>)</rp></ruby>カエサル・ラグナロク,
영어판명칭=D/D/D Wave Oblivion King Caesar Ragnarok,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2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소재="DDD(디디디)" 몬스터 × 2,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가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자신 필드의 다른\,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리고\, 이 카드와 전투를 실행하는 몬스터 이외의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장착 마법 카드로 취급하여 이 카드에 장착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효과로 장착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최초로 등장한 DDD 몬스터를 소재로 삼는 융합 몬스터. 그래서인지 이름이 작중에서 융합한 노도왕 시저와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이름으로 섞여있으며, 디자인도 노도왕과 괴치왕의 외형을 적당히 합쳐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51화에서 레이지가 사용하였다. 처음 등장해서 비스트아이즈를 쓰러뜨리지만 바로 다음 턴에 다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에게 파괴당한다. 이때 몬스터 효과로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장착해 공격력을 올려 데미지를 줄였고, 코스트로 케플러를 패로 되돌려 스케일 디메리트도 회피하는 플레이를 선보였다.

대상 비지정으로 몬스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단독 능력치 또한 높기에 어태커로서 강한 카드. 다만 DD 입상 덱에서는 자주 채용되지 않는데, 슬라임으로 소환할 수 없기 때문에 마신왕의 계약서를 이용해 융합해야 한다는 점, 어태커 이상의 입지를 가지지 못한다는 점 때문이다. 다만 간간히 상대 몬스터 장착을 위해 튀어나오는 편.

본가인 DD 덱에서도 잘 채용되는 카드는 아니지만, 어째서인지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최고 레어도인 UR로 수록되는 영광을 누렸다.

공격명은 디 엔드 오브 저지먼트(The End Of Judgement). 일러스트에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소환될 시 의자에 앉은 모습이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4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4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4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38 |
2016 MEGA-TINS MEGA PACK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6.4.2.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2072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超死偉王<rp>(</rp><rt>ちょうしいおう</rt><rp>)</rp></ruby>パープリッシュ・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Super Doom King Purple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5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의 "DDD(디디디)" 융합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1000 내린다.,
소재="DDD(디디디)"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몬스터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공격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하고\, 파괴한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상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 전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까지 원래의 수치가 된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5. 레벨 12

6.5.1.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파일:위차원왕.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D<rp>(</rp><rt>디디디디</rt><rp>)</rp></ruby>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D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偉次元王<rp>(</rp><rt>いじげんおう</rt><rp>)</rp></ruby>アーク・クライシス,
영어판명칭=D/D/D/D Maximum Dimension King Arc Crisi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속성=어둠, 레벨=12, 공격력=4000, 수비력=4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3,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를 임의의 수만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파괴한 수까지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사위왕" 펜듈럼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소재=악마족인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펜듈럼 몬스터 1장씩 합계 4장,
효과외1="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는 1턴에 1번\, 융합 소환 및 이하의 방법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외2=●자신의 필드 / 묘지의 상기 카드를 제외했을 경우에 엑스트라 덱(뒷면)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이 카드는 상대 몬스터 전부에게 1회씩 공격할 수 있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싱크로 몬스터

7.1. 레벨 6

7.1.1. DDD 창시왕 클로비스

파일:DDD創始王クロヴィ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창시왕 클로비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創始王<rp>(</rp><rt>そうしおう</rt><rp>)</rp></ruby>クロヴィス,
영어판명칭=D/D/D Foundation King Clovi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100, 수비력=1900, 종족=악마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자신의 제외 상태인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필드에 "계약서" 카드가 존재할 경우\, 대신에 자신 묘지에서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턴 중에\, 자신의 "DD(디디)" 몬스터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경우\,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은 만큼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준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추가된 엑스트라 덱 DDD 중 한 장으로, 이 카드는 그 중 싱크로 몬스터다. 모티브는 프랑크 왕국의 개창자, 클로비스 1세.[40]

소환 조건은 제한이 없지만, 효과의 특성 상 DD 덱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랜스 솔저+4레벨 비튜너의 조합으로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 시 제외 상태의 DD를 소생하는 효과. 필드에 계약서가 존재한다면 묘지의 DD도 소생할 수 있다. 필드에 계약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DD 몬스터 중에는 라미아나 랜스 솔저 등 자체적으로 제외되는 카드들이 많기에 이런 카드들을 소생하면 된다. 정 아니면 네크로 슬라임의 효과로 제외해도 된다.

②의 효과는 제외되었을 때 내 DD 몬스터 전부에게 그 턴 중 관통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같이 나온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의 소재로 제외하여 광역 공격과 관통 효과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용법이다.

기존 DD의 높은 테무진 의존도를 덜어 주는 카드로, 연계가 강제되는 테무진과 달리 이 카드 하나만으로 필드 어드밴티지를 복구할 수 있다. 레벨도 6이기에 노도대왕의 소재로 사용하는 기존 테무진의 사용법도 그대로이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38 |

[[노멀|
N
노멀
]]

7.2. 레벨 7

7.2.1. DDD 질풍왕 알렉산더

DDD 질풍왕 알렉산더
파일:ddd_gust_king_alexand.jpg
어둠을 가르는 포효여, 질풍의 속도를 얻어 새로운 왕의 울음소리가 되어라!
闇を切り裂く咆哮よ、疾風の速さを得て新たな王の産声となれ!
싱크로 소환! 생탄하라, 레벨 7! 「DDD 질풍왕 알렉산더」!
シンクロ召喚!生誕せよ、レベル7! 「DDD疾風王アレクサンダー」!

-유희왕 ARC-V 제13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41]
파일:card10004326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질풍왕 알렉산더,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疾風王<rp>(</rp><rt>しっぷうおう</rt><rp>)</rp></ruby>アレクサンダー,
영어판명칭=D/D/D Gust King Alexander,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5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기고(気高)한 질풍왕
레이징 마스터즈에 등장하는 싱크로 DDD이자 처음으로 나온 싱크로 DDD다. 모티브는 알렉산드로스.

다른 DD가 소환되었을 때 하급 DD를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싱크로 DDD. 나이트 하울링 한 장으로 바로 소환될 수 있기에 소환은 간편하지만, 나이트 하울링에다가 이미 일반 소환을 써버렸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일반 소환에도 대응하는 점은 빛을 보기 힘든 점이 아쉽다. 효과 자체는 노코스트로 DD의 전개를 가속화시키는 성능이므로 가능하다면 자주 뽑게 될 것이다.

이 카드와 테무진으로 자체적으로 콤보가 가능하다. 어느 한 쪽이 있을 경우 다른 한 쪽을 소환하면 필드 위에 있었던 쪽의 효과로 DD 몬스터가 소생, 그리고 필드에 나온 상태로 DD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으므로 나머지 한 쪽도 효과가 격발해 몬스터 1장을 소환했는데 묘지에서 2장이 더 튀어나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테무진은 마신왕의 계약서로 묘지 자원만으로 나올 수 있고, 이쪽은 나이트 하울링의 일반 소환만으로 바로 나올 수 있기에 은근히 쉽다. 패에 릴리스, 나이트 하울링, 필드에 마신왕의 계약서, 그리고 패 또는 필드에 적당한 DD가 하나 있다면,
마신왕의 계약서로 릴리스와 DD 1장을 융합→ 테무친 융합 소환→ 나이트 하울링 일반 소환→릴리스 특수 소환→효과로 묘지 또는 엑스트라 덱의 DD 몬스터 1장을 패로→싱크로→알렉산더 싱크로 소환→각각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과 릴리스 특수 소환

여기에 만약 패로 건져온 DD가 DD 케로베로스라면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을 레벨 4로 만들어서 시저까지 소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멘션 오브 카오스 발매 이후로는 이 콤보를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적은 패로 사용이 가능한데 준비물과 과정은 아래와 같다.
조건: 패에 스월 슬라임, 바포메트, 나이트 하울링
1. 패에서 스월 슬라임의 효과 발동. 패의 DD 바포메트와 융합.
2. 테무진 융합 소환
3. 나이트 하울링을 일반 소환, 효과 발동, 묘지에서 바포메트을 특수 소환.
4. 알렉산더 싱크로 소환.
5. 테무진과 알렉산더. 각각의 몬스터의 효과로 묘지에서 바포메트과 나이트 하울링을 특수 소환.
6. DD 바포메트의 효과로 나이트 하울링의 레벨 4로 조정.
7. DDD 노도왕 시저 엑시즈 소환

이 외에, 노도왕 시저를 채용하지 않는 덱에서 패 3장으로 사이프리트/크리스탈윙을 부르는 콤보가 있는데,
1. 패에서 스월 슬라임의 효과 발동. 패의 네크로 슬라임과 융합.
2. 테무진 융합 소환
3. 라미아를 일반 소환.
4. 알렉산더 싱크로 소환.
5. 묘지의 네크로 슬라임과 묘지로 간 테무진을 융합해 다시 테무진을 융합 소환.
6. 알렉산더의 효과로 묘지의 라미아를 소생.
7.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싱크로 소환.
8. 테무진의 효과로 묘지의 알렉산더를 소생.
9. 묘지의 라미아의 효과를 발동해 필드의 테무진을 묘지로 보내고 라미아를 소생.
10.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싱크로 소환.

신 마스터 룰 이후로도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뽑기 위해 종종 쓰였으나 엑시즈 축에서는 엑스트라 덱 자리 문제 때문에 더이상 쓰이지 않고 있다.

원작에서는 소생할 수 있는 몬스터의 레벨 제한이 없었고,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때 추가로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었다. 상당히 너프된 카드. 2차전에서 재등장할 때는 효과가 OCG와 같아졌다.

이 카드도 시크릿 레어라 상당히 구하기 어려웠지만, 디멘션 박스에서 테무진, 칼리 유가와 함께 재록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7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JP025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7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KR025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T13-EN010 |
2016 MEGA-TINS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7.3. 레벨 8

7.3.1.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파일:ddd_cursed_king_siegfriefullview.jpg
파일:DDDCursedKingSiegfried-JP-Anime-AV-NC.webp
그 홍빛으로 물든 검을 내세워, 영웅들의 시체를 넘어가라! 싱크로 소환!
その紅に染められし剣を掲げ、英雄たちの屍を越えていけ!シンクロ召喚!
생탄하라! 레벨 8, 「DDD 주혈왕 사이프리트」!
生誕せよ!レベル8、 「DDD呪血王サイフリート」!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42]
파일:DDD呪血王サイフリ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주혈왕 사이프리트,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呪血王<rp>(</rp><rt>じゅけつおう</rt><rp>)</rp></ruby>サイフリート,
영어판명칭=D/D/D Cursed King Siegfried,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2800, 수비력=2200, 종족=악마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DD(디디)"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필드의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의 효과를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까지 무효로 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자신은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의 수 × 1000 LP 회복한다.)]

모티브는 지크프리트 혹은 시구르드. 영어판은 아예 지크프리트라고 썼다.

1번 효과는 앞면 표시의 마법 / 함정 1장을 지정해 무효로 하는 효과. 자신 계약서 카드들의 데미지 효과를 막거나, 상대의 카드를 방해하는 퍼미션(단 데미지 스텝은 불가능)은 물론, 서로에게 디메리트를 거는 카드[43]를 원하는 타이밍에만 무력화시켜 일방적인 이득을 보는 등 다양한 활용법이 가능하다.

전개덱의 최대 천적인 명왕결계파, 금지된 일적도 막을 수 있는데, 정확히는 명왕결계파 또는 일적에 속공 마법이나 함정 카드[44]를 체인하고 여기에 이 카드의 효과를 체인해서 명왕결계파, 일적을 무효화시키면 된다.[45]

2번 효과는 전투 혹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필드의 계약서 수 × 1000만큼의 LP를 회복하는 효과로, 이미 LP 관련 효과가 굉장히 많은 DD지만 DD의 특성상 LP를 잃는 경우가 많은 만큼 쓸만한 효과. 수세에 놓여있을 때의 보험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물론 계약서 수만큼 LP를 회복한다는 건 곧 다음 자신의 턴에 그 계약서의 수만큼 LP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계약 비용을 1턴 무료로 하는 효과인 셈이지만, 일단 계약서 효과로 자멸할 가능성이 사라진다는 것으로도 값어치는 한다. 파괴된 후 계약서 데미지를 받기 전에 상대가 계약서를 부수기라도 하면 단순한 LP 이득이 되고.

유희왕 ARC-V 99화에서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와 DD 라미아를 소재로 싱크로 소환되어 장 미셸 로제가 사용한 앤틱 기어 데블이 장착한 앤틱 기어 매직 실드의 효과를 무효로 해, 베어 울프로 데블을 파괴하고 이 카드의 직접 공격으로 피니시를 낸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7.4. 레벨 10

7.4.1.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파일:DDDGustHighKingAlexander-JP-Anime-AV-NC.webp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172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疾風大王<rp>(</rp><rt>しっぷうだいおう</rt><rp>)</rp></ruby>エグゼクティブ・アレクサンダー,
영어판명칭=D/D/D Gust High King Alexander,
속성=바람,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에 "DDD(디디디)"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0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알렉산더의 강화형. 원작에서는 소환 조건의 튜너가 DD 튜너로 한정되어 있었다.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①의 효과를 통하여 무지막지한 깡공격력을 지니게 된다. 이 카드를 포함해서 'DDD' 3장이 모여있어야 하므로 효과를 누리긴 조금 까다롭다. 자기 필드의 DDD만 따지는 게 아니라서, 미러전이라면 상대의 DDD까지 카운트에 포함된다. 원작에서도 미러전은 아니지만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이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의 효과를 복사해 공격력을 폭증시켜 이그제큐티브 테무진을 박살냈다. 참고로 원작 효과는 필드에 DD 몬스터가 2체 이상 존재할 때 공격력이 2배가 되는 효과였다.[46]

②의 효과는 진화 전과 같은 발동 조건이지만 레벨 제약이 사라져 레벨 5 이상의 몬스터도 부활시키는 게 가능해졌다. 열화대왕과 함께 있는 상태에서 아무 DD나 일반 소환하면 두 몬스터의 효과로 상급 DD까지 2장을 살려올 수 있으며, 레벨 6 DD가 2장 묘지에 있다면 곧바로 살려와 노도대왕으로도 이을 수 있다. 테무진과 마찬가지로 진화하면서 상향된 셈.

주로 오르트로스+테무진의 6+4 조합이나 고스트+레벨 8 DDD의 조합으로 소환하였다. 11~12기에는 조건부 6000 타점과 소생 효과를 보고 간혹 투입되기도 했으나, 13기에는 덱의 빌드와 사용 카드가 정형화되며 빠지게 되었다.[47]
수록 시리즈
2017-04-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JP04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KR04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8-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EN040 |

[[레어(유희왕)|
R
레어
]]

7.4.2.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257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超死偉王<rp>(</rp><rt>ちょうしいおう</rt><rp>)</rp></ruby>ホワイテスト・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Super Doom King Bright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5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이하의 수비력을 가지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하고\, 파괴한 몬스터의 수 × 10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소재="DD(디디)" 튜너 + 튜너 이외의 "DDD(디디디)"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몬스터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는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고른다. 그 몬스터 이외의 상대 필드의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3=③: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엑시즈 몬스터

8.1. 랭크 3

8.1.1. DDD 반석왕 다리우스

DDD 반석왕 다리우스
파일:ddd_stone_king_darius__wallpaper__by_nhociory_dhslxu4-fullview.jpg
파일:DDDStoneKingDarius-JP-Anime-AV-NC.webp
난공불락의 무적의 왕이여! 지금 유구의 시간을 넘어 강림하라! 엑시즈 소환!
難攻不落の無敵の王よ。今、悠久の時を超え降臨せよ!エクシーズ召喚!
생탄하라. 랭크 3! 「DDD 반석왕 다리우스」!
生誕せよ、ランク3! 「DDD磐石王ダリウス」!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48]
파일:card1000463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반석왕 다리우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磐石王<rp>(</rp><rt>ばんじゃくおう</rt><rp>)</rp></ruby>ダリウス,
영어판명칭=D/D/D Stone King Darius,
속성=땅, 레벨=3, 공격력=1900, 수비력=1000, 종족=악마족,
소재=악마족 레벨 3 몬스터 × 2,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그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으며\, 데미지 계산 후에 그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상대에게 500(듀얼링크스 : 250) 데미지를 준다.)]
DD 최초의 땅 속성 몬스터이자 4번째 엑시즈 몬스터. 모티브는 왕조의 기틀(반석)을 다진 다리우스 1세. 맥시멈 크라이시스에서 OCG화. ①의 효과가 계약서를 덱에서 서치하는 것에서 1장 드로우로 변경되었지만,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드로우 효과는 쓸만하지만, 랭크 때문에 DD 덱에서 쓰는 것이 매우 힘든 카드. 애초에 DD 카드군 내의 레벨 3 몬스터는 나이트 하울링 달랑 1장이다. 그걸 고려해서인지 소재가 DD 2장이 아닌 악마족인데,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로 쉽게 뽑는 게 가능은 하지만 일반 소환권을 써 가며 뽑아야 할 정도로 이 카드의 효과가 좋은 것도 아니다. 원작 카드답게 역시 쓰기 힘든 카드인데다 레어도가 슈퍼 레어/시크릿 레어로 징그럽게 높아 유저들의 원성을 산다.

오히려 DD보다는 엑시즈 소재가 레벨 3 악마족 몬스터 × 2 라는 점을 이용해 피안 덱에서 준필수 카드로 써먹고 있다. 이후 사치왕 데스 마키나가 등장한 후 사치왕 혹은 4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사용하기 위한 악마족 전용 범용 몬스터로 활악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17-0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JP04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KR045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7-05-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EN045 |

[[레어(유희왕)|
R
레어
]]

8.2. 랭크 4

8.2.1. DDD 노도왕 시져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4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기아기앙그라.jpg
파일:아처 페리스.jpg
파일:환상의흑마도사.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084
기아기아앙그라
VJMP-JP085
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
없음 VJMP-JP086
환상의 흑마도사
파일:EM 실버 크로우.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8393_1.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없음 VJMP-JP89
EM 실버 크로우
없음 VJMP-JP92
엘리멘틀 히어로 Core
파일:노도왕 시져.jpg
파일:ビーストアイズ・ペンデュラム・ドラゴン.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093
DDD 노도왕 시져
없음 VJMP-JP094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없음
정기구독 특전
VJMP-JP087 라인몬스터 스피어 휠
VJMP-JP088 천륜의 장송사
VJMP-JP090 프리미티브 버터플라이
VJMP-JP091 정크 앵커
}}}}}}}}} ||
← 2013년2015년 →
DDD 노도왕 시져
파일:ddd_wave_king_caesar__wallpaper__by_nhociory_dhst4zj-pre.jpg
파일:DDDWaveKingCaesar-JP-Anime-AV-NC.webp
이 세상 모든 것을 다스리기 위해, 지금 세계의 정상에 강림하라!
この世の全てを統べるため、今 世界の頂に降臨せよ!
엑시즈 소환! 생탄하라, 랭크 4! 「DDD 노도왕 시져」!
エクシーズ召喚!生誕せよ、ランク4! 「DDD怒濤王シーザー」!

-유희왕 ARC-V 제13화/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49]
파일:DDD怒濤王シーザ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노도왕 시져,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怒濤王<rp>(</rp><rt>どとうおう</rt><rp>)</rp></ruby>シーザー,
영어판명칭=D/D/D Wave King Caesar,
속성=물, 레벨=4, 공격력=24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소재=악마족 레벨 4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의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이 턴에 파괴된 몬스터를 자신 묘지에서 가능한 한 특수 소환한다. 다음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자신은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수 × 1000(듀얼링크스 : 500) 데미지를 받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들이닥치는 파도같은 기세.
V점프 2014년 9월호 동봉으로 수록된 엑시즈 DDD. 모티브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한국판 애니메이션 더빙판에서는 모티브를 그대로 따라 시저가 아닌 카이사르로 번역되었지만, 정식 OCG 명칭은 노도왕 시져로 번역.[50] 따라서 OCG에선 '시져'라고 쓰고 더빙판에선 '카이사르'라고 읽는다. 여담으로 일본어 기준으로 '노도왕'이 노동왕과 발음이 비슷하다.

이 턴 중 파괴된 몬스터를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가능한 만큼 되살리는 대신 다음 턴에 데미지를 받는 효과와, 묘지로 보내지면 계약서 1장을 서치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효과 자체는 강하긴 한 편. 다만, DD 4레벨 몬스터는 하필이면 펜듈럼 몬스터가 대다수고, 그 외엔 잘 안 쓰이는 릴리스나 바포메트밖에 없기 때문에 부르기가 귀찮은 편이었다. 일단 이 턴에 파괴되었기만 하면 부활시키는 몬스터에 제약은 없는지라 융합이나 싱크로 DDD 몬스터들이 좋은 타겟이 된다.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하긴 하지만 상대가 아예 배틀 페이즈를 실행하지 않으면 말짱 꽝. 소생 시점도 배틀 페이즈 종료인지라 메인 페이즈 2에서 튀어나와 대량으로 부활시킬 수도 없다. 또한 부활시키고 나면 계약서마냥 스탠바이 페이즈에 1000 단위로 LP가 째지는 것도 감안해야 할 부분. 그래도 데미지이므로 피할 방법은 찾아보면 많고, 기본적으로 부활은 물론 LP 회복으로 바꿔주는 다르크와의 조합이 효과적이다.

이 카드가 필드에 올라와 있는 상황에서 파괴될 필요는 없으므로, 자신의 메인 페이즈 1에 격류장을 날리고 이 카드를 뽑거나, 스크랩 드래곤으로 파괴를 일삼은 후 이 카드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되돌리는 타이밍만 배틀 페이즈 종료시일 뿐이지, 이 카드의 효과의 발동은 그 전에라면 언제든지 좋으므로 상대의 제거에 체인해 효과를 발동해놓고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자신의 효과로 자기가 돌아오는 것도 가능하다. 상대가 필드를 클린시키고 공격 들어올 때 엑시즈 리본으로 배틀 페이즈 중에 갑툭튀시키면 상대의 표정은...

2번 효과는 계약서 서치 효과. 어떻게든 필드에서 묘지로 가기만 하면 계약서가 하나 들어온다. 상기한대로 자신이 자신을 부활시키는 것이 가능하기에 1턴에 1번의 제약이 붙어 있긴 하지만 이대로 다음 턴까지 필드에 남아 있기만 하면 그만. 이미 효과를 쓰지 않았다면 소생시킨 후 테무진의 융합 소재로 써버려도 좋다. 효과를 썼다면 저격왕 텔에 겹쳐 엑시즈 소환에 쓰는 것도 고려할 만 하다.

초창기 발매 이후 전혀 사용되지 않다가 DD 그리폰의 발매 이후 채용되기 시작되었는데, 펜듈럼 몬스터인 그리폰을 묘지로 보내기 위해서는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이 거의 유일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카드나 겹쳐서 X소환이 가능한 텔은 전부 묘지로 보내질 시 발동하는 서치/덤핑 효과가 있어서 후속 전개에 도움이 되어준다. 거기다가 여건만 된다면 연속 엑시즈 소환으로 6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소환도 가능하다.

물론 소환 제약은 악마족 뿐이고, 소생시키는 몬스터에도 제약이 없는지라 악마족 레벨 4 2장만 마련할 수 있다면 다른 덱에 출장나가도 된다. 2번째 효과는 사용하기 어려워지지만 주로 사치왕이나 아제우스 소재 셔틀이 될테니 문제는 없다.

텍스트 자체는 OCG/애니 모두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같지만, 애니에선 OCG 재정과 달리, ①번 효과로 소생시킨 몬스터가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데미지를 회피할 수 있었다. 현실의 재정상으로는 그럴 경우에도 데미지를 받으니 주의.[51]

원작에선 첫 등장시엔 계약서 서치 효과가 없었다. 이후 2차전에선 OCG와 동일해졌지만 왠지 선언하지 않고 오봉의 계약서를 서치했다.

미국 더빙판에서 공개된 공격명은 타이달 토런트. 이후 듀얼링크스에 편입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093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4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3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06-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0-KR03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4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3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0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43 |

[[노멀|
N
노멀
]]

8.2.2. DDD 지혜왕 솔로몬

파일:DDD智慧王ソロモ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지혜왕 솔로몬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智慧王<rp>(</rp><rt>ちけいおう</rt><rp>)</rp></ruby>ソロモン,
영어판명칭=D/D/D Wisdom King Solomon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2500, 종족=악마족,
소재=레벨 4 "DD(디디)"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DD(디디)" 효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 몬스터는 턴 종료시까지 이하의 효과를 얻는다.,
효과3=●이 카드가 전투로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추가된 엑스트라 덱 DDD 중 한 장으로, 이 카드는 그 중 엑시즈 몬스터다. 모티브는 통일 이스라엘의 마지막 군주인 솔로몬 왕.

악마족만 소재로 할 수 있던 노도왕과 달리, 이 카드는 DD 몬스터만을 소재로 하여 소환이 가능하다. 악마족이 아닌 DD는 없기 때문에 DD 내에서 제약은 아무 의미가 없으며, 다른 덱에서 사치왕, 헤드헌트 등과 함께 용병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막는 용도다.

①의 효과는 직관적이고 강력한 DD 카드 서치 효과. 계약서는 서치 대상이 아니나, 같이 발매된 영왕의 계약서는 DD 취급이라 서치가 가능하다. 기존의 DD는 노도왕의 유언 효과와 저격왕의 유언 효과 중 하나만 취사선택해야 했는데, 이 카드를 노도왕 대신 사용하면 DD 카드 1장을 서치하고 저격왕으로 이어 갈 수 있다. DDD 헤드헌트를 서치해서 드로우계 유발에 대한 착지점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제외되었을 때 내 DD 몬스터 1장에게 그 턴 중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의 효과를 부여하는 효과. 같이 나온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의 소재로 제외하여 광역 공격과 프레임 윙맨 효과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사용법이다. 특히 괴치왕 등 전투 데미지 절반 디메리트가 걸렸을 때 킬각을 내는 데 도움을 준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43 |

[[레어(유희왕)|
R
레어
]]

8.3. 랭크 5

8.3.1. DDD 저격왕 텔

DDD 저격왕 텔
파일:ddd_marksman_king_tell.jpg
파일:DDDMarksmanKingTell-JP-Anime-AV-NC.webp
영웅의 이름을 내려받은 자, 심원한 대의를 가지고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꿰뚫어라![52]
英雄の名賜りし者、深遠なる大義もて、この世の全てをいざ射抜かん!
엑시즈 소환! 강림하라, 랭크 5! 「DDD 저격왕 텔」!
エクシーズ召喚!降臨せよ、ランク5! 「DDD狙撃王テル」!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아카바 레이지-[53]
파일:DDD狙撃王テル(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저격왕 텔,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狙撃王<rp>(</rp><rt>そげきおう</rt><rp>)</rp></ruby>テル,
영어판명칭=D/D/D Marksman King Tell,
속성=어둠, 레벨=5, 공격력=2300, 수비력=2000, 종족=악마족,
소재=레벨 5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랭크 4 의 "DDD(디디디)"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은 자신/ 상대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1000 내리고\,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묘지로 보낸다.)]
2번째로 등장한 DD 엑시즈 몬스터. 모티브는 윌리엄 텔. 애니에서는 DD 프라우드 슈발리에나 DD 판도라를 소재로 소환되었지만, 원작과 달리 랭크 4 DDD를 소재로 소환이 가능한 효과를 내장해 OCG화되었다. 랭크 4의 DDD라고 해봐야 노도왕 시저밖에 없었지만, 지혜왕 솔로몬이 추가되면서, 솔로몬을 소재로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노도왕과 달리 지혜왕은 유언 효과가 없어서, 이 카드로 바꾼 다음 1000데미지+덤핑을 노리는 것이 더 이득이다.

①의 효과는 나쁘지 않은 효과지만 자신이 효과 데미지를 받아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으로 쓰긴 힘들다. 초동에 활용하기에도 힘든게, 보통 DD덱은 계약서의 디메리트로 효과 데미지를 받지만 이는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되므로 그 전까지 효과를 발동할 방법이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의 펜듈럼 효과 말고는 딱히 없다. 차라리 노도왕 시저의 엑시즈 효과로 필드 복구를 노리는 게 낫다. 참고로 자신의 몬스터를 지정하여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므로 조건부 가가가 간맨같은 운용도 일단 가능은 하다.

OCG화되면서 추가된 ②의 효과는 DD / 계약서 한정 묘지 덤핑 효과. 패에 추가하는 게 아니라 덤핑이다보니, 계약서보다는 대개 DD를 덤핑하게 되며, 괴치왕이나 타 엑스트라 덱 DD 몬스터로 특수 소환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나쁘지는 않다. 대개는 패에 잡히면 곤란하지만 묘지에 묻으면 괴치왕으로 소환이 쉬운 사위왕이나 특소 효과가 있는 스월 슬라임 등이 묘지로 가지만,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몬스터를 묻는 편. 애초에 나이트 하울링이라는 특소 요원 덕분에 묘지 자원의 상태에 따라 묻어야 좋은 카드가 천차만별로 달라지니 상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필이면 이 카드가 울트라 레어로 출시된 덕분에 팩을 뜯으면 나와야 할 울레 카드 자리를 이 카드가 차지하다보니 지뢰왕 텔이라고 불리며 팩을 뜯던 많은 듀얼리스트들을 빡침으로 몰아넣었다. 카드 자체의 위상이나 작중활약상을 보면 다르크가 울트라 레어를 먹을 줄 알았지 아무도 이 카드가 울트라 레어가 될 거라 생각하지 않았다. DD의 전개가 융합/싱크로 축으로 넘어가고 칼리 유카를 제외한 DDD 엑시즈 몬스터는 전혀 사용하지 않기에 그렇게 쓸만하지 않은 효과와 더불어 완전히 지뢰가 되었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 DD가 지원받으며 DD 그리폰 덕분에 랭크 4인 DDD 노도왕 시저의 소환 난이도가 완화됐으며, 묘지로 갔을 때의 덤핑 효과로 좀더 전개에 유동성을 주고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의 엑시즈 소재를 늘리기에도 용이하기에 엑시즈 축의 DD덱에선 1장 채용하고 있다. 13기 지원 이후에도 네크로 슬라임을 덤핑하기 위해 1장을 그대로 채용한다.

다른 DDD 카드들과는 달리 이 카드는 소재에 제약이 없기에 DD 이외의 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때문에 범용 랭크 5 몬스터로도 활용은 가능. 물론 이 카드보다 범용성이 좋은 랭크 5 몬스터들이 많기에 채용하기엔 애매하다. 다만 Em처럼 효과 데미지를 능동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테마라면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반석왕, 노도왕과 마찬가지로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셔틀로도 좋다.

원작에서는 레이지가 40화에서 소환했다. OCG와의 차이는 ①에 1턴에 1번 제약이 없는 대신에 '계약서'에 의한 데미지일 필요가 있었다는 점. 마신왕의 계약서의 효과로 데미지를 받고 난 차례에 엑시즈 소재 2개를 제거하면서 비스트보그 팬서 프레데터의 공격력을 2000 내리고 바렛에게 2000 데미지를 주었다.

효과명은 피어싱 애로우(Piercing Arrow), 공격명은 포비든 브레이크 슛(Forbidden Break Shoot).
수록 시리즈
2015-04-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JP05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12-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B1-JP03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EN052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079 |
2016 MEGA-TINS MEGA PACK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5-08-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RE-KR052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8.4. 랭크 6

8.4.1.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파일:DDD怒涛大王エグゼクティブ・シーザー(DOOD).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怒涛大王<rp>(</rp><rt>どとうだいおう</rt><rp>)</rp></ruby>エグゼクティブ・シーザー,
영어판명칭=D/D/D Wave High King Caesar,
속성=물, 레벨=6, 공격력=2800, 수비력=1800, 종족=악마족,
소재=악마족 레벨 6 몬스터 × 2,
효과1=①: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포함하는\,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그 후\,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DD(디디)"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1800 올릴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계약서"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20점

시져의 강화형. "이그제큐티브"는 "고위"를 의미하는 형용사이기도 하지만, 회사와 관련된 DD의 말장난답게 "경영자"라는 뜻도 갖고 있다. 다른 XX대왕 시리즈와 달리, 원본 몬스터를 소재로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살아있는
신의 경고. 단순히 특수 소환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포함하고 있으면 얼마든지 무효로 하고 파괴가 가능하다. 거기다 파괴 후 자신과 그 이외의 DD 몬스터의 공격력을 그 턴동안 무려 1800이나 올려준다. 상대 턴에는 공격력을 올려 살아남기 쉽고 자신의 턴엔 4600의 어태커로 쓸 수 있는 매우 강력한 효과. 여기에 1턴에 1번 제한도 없다. 다만 공격력을 올리려면 자신 이외의 DD가 있어야한다는 게 용병으로 쓸 때 조금 까다롭다.

원작에서는 몬스터 효과를 무효화하면 무효화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였고 대신 추가적으로 소재를 1개 더 제거해서 이 카드의 공격력이 올라간 만큼 다른 DD 몬스터의 공격력을 올려줄 수 있었다. 저 1800이라는 수치 역시 원작에서 무효로 했던 패왕권룡 다크브룸의 공격력과 같은 수치이다. 또 코스트로 드는 소재가 하나 줄었고 마법, 함정 카드의 효과를 무효화해도 공격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원작보다 꽤 버프를 먹었다.

②의 효과는 시져의 계약서 서치 효과를 계승했다. 다만 기존의 효과들이 대폭 강화되었던 다른 이그제큐티브와 달리 딱히 강화되지 않았다.

효과가 우수한 몬스터지만 DD 덱에서는 소환 난이도 때문에 한동안 쓰이지 않았다. DD에는 레벨 6 몬스터가 프라우드 오우거, 마도현자 니콜라, 테무진뿐이며 바포메트를 쓴다고 치더라도 다른 몬스터가 하나 더 필요하다. 하지만 언급한 몬스터 중 테무진을 제외하면 DD에서 사용하지 않는 카드들이라 DD에서는 매우 쓰기 어려웠다. DD 그리폰이 출시된 이후로 열화왕 테무진 2장으로 소환하는 전개법이 만들어졌는데 융합 소환을 2번 해야 하다 보니 다소 비효율적인 면이 없지 않았으나, 그만큼 리턴이 매우 강력하기에 전개 결과물 중 하나로 내놓으면서 DD 덱에서도 채용하게 되었다. 창시왕이 나온 이후로는 뽑기 매우 쉬워져 소환 난이도 문제는 사라졌고, 더 잘만 쓰이게 되었다.

공격력 뻥튀기와 유언효과를 빼놓고 단순히 소환계 효과의 무효만 보아도 강력하기 때문에, 6레벨 악마족 몬스터를 늘어놓을 수 있는 언체인드(샤바라, 슈야마), 라뷰린스(버틀러 아리아스), 데먼스미스(마를 새기는)에 용병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유벨 덱의 강세와 데먼스미스 출시 이후 준 범용 6축으로 크게 활약하면서 가격이 폭등했다. 이 때문에 한판, 일판, 영판 모두 대회팩에서 재록되었고, 둠 오브 디멘션즈 어시스트 팩에서도 재록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7-04-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JP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4TP-JP408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S01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7-07-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KR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10-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21-KR015 |

[[노멀|
N
노멀
]]
202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E21-KRS15 |

[[노멀|
N
노멀
]]
2017-08-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OTD-EN042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4-02-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4-EN009 |
OTS TOURNAMENT PACK 24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5-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04-EN290 |
QUARTER CENTURY STAMPEDE

[[시크릿 레어#플래티넘 시크릿 레어|
PS
플래티넘 시크릿 레어
]]
2025-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5YC-ENP06 |
Yu-Gi-Oh! Championship Prize Cards 2025

[[레어(유희왕)|
R
레어
]]

8.5. 랭크 8

8.5.1. DDD 쌍효왕 칼리 유가

파일:1000009808.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쌍효왕 칼리 유가,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双暁王<rp>(</rp><rt>そうぎょうおう</rt><rp>)</rp></ruby>カリ・ユガ,
영어판명칭=D/D/D Duo-Dawn King Kali Yuga,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5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소재=레벨 8 "DD(디디)"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때에 적용한다. 이 턴에\, 필드의 다른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서로 그 카드들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3=③: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묘지의 "계약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 쌍효왕 칼리 유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쌍효왕 칼리 유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쌍효왕 칼리 유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5.2.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257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ruby>超死偉王<rp>(</rp><rt>ちょうしいおう</rt><rp>)</rp></ruby>ダークネス・ヘル・アーマゲドン,
영어판명칭=D/D/D Super Doom King Dark Armageddon,
속성=어둠, 레벨=8, 공격력=35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
P효과1=①: 1턴에 1번\,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DDD(디디디)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이외의 "DDD(디디디)" 엑시즈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소재=레벨 8 "DDD(디디디)" 몬스터 × 2,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는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자신 필드의 펜듈럼 몬스터의 수만큼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효과4=④: 몬스터 존의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6. 랭크 10

8.6.1.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파일:유희왕 아이콘_펜듈럼.png 유희왕 타 소환법 펜듈럼 몬스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유희왕 OCG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융합 소환|파일:융합 펜듈럼.png
융합
펜듈럼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7em; word-break:keep-all"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패왕자룡 오드아이즈
베놈 드래곤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스타브 베너미 드래곤
}}}}}}]][[스타브 베너미 리설도스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스타브 베너미
리설도스 드래곤
}}}}}}]][[패왕룡 즈아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룡 즈아크
}}}}}}]][[메탈포제#파라메탈포제 아조트리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라메탈포제
아조트리스
}}}}}}]][[밸리언츠#밸리언츠의 취-마모나카|{{{#!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밸리언츠의 취-
마모나카
}}}}}}]][[밸리언츠#밸리언츠G-그랑듀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밸리언츠G-
그랑듀크
}}}}}}]][[파티시엘 쿠베르|{{{#!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파티시엘 쿠베르
}}}}}}]][[밸리언츠#침연의 밸리언츠-아르크토스 XII|{{{#!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침연의 밸리언츠-
아르크토스 XII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
}}}
[[싱크로 소환|파일:싱크로 펜듈럼.png
싱크로
펜듈럼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7em; word-break:keep-all"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패왕백룡 오드아이즈
윙 드래곤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니르바나
하이 파라딘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클리어윙
패스트 드래곤
}}}}}}]][[사운드 워리어 록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사운드 워리어 록스
}}}}}}]][[플런드롤#플런드롤-장중의 요르즈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플런드롤-
장중의 요르즈호
}}}}}}]][[초중무사#초중신장 샤나-O|{{{#!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초중신장
샤나-O
}}}}}}]][[패왕룡 즈아크-싱크로 유니버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룡 즈아크-
싱크로 유니버스
}}}}}}]]
}}}
[[엑시즈 소환|파일:엑시즈 펜듈럼.png
엑시즈
펜듈럼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7em; word-break:keep-all"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오버로드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DD(유희왕/카드군)#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
}}}}}}]][[희망의 마술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희망의 마술사
}}}}}}]][[액상거인 다이다라턴트|{{{#!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액상거인
다이다라턴트
}}}}}}]][[마제스펙터#마제스펙터 드라코|{{{#!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마제스펙터
드라코
}}}}}}]]
}}}
[[의식 소환|파일:ritual-pendulum.png
의식
펜듈럼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7em; word-break:keep-all"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오드아이즈
펜듈럼그래프 드래곤
}}}}}}]][[룡화#창성룡화-광파|{{{#!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창성룡화-광파
}}}}}}]][[네크로즈#메타트론의 네크로즈|{{{#!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메타트론의 네크로즈
}}}}}}]][[기적의 공물|{{{#!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기적의 공물
}}}}}}]][[데몬(유희왕)#데스 엠페러 데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
데스 엠페러 데몬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folding [ 미 OCG화 ]
{{{#!wiki style="margin:-5px 0 -10px; font-size:.9em"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융합 소환|[[파일:융합 펜듈럼.png|width=20]] {{{#!wiki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800aa 50%, #339191 50%); color:#ffffff;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100px;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text-align: center"
융합}}}{{{#!wiki style="display:inline-block; width:50%; text-align: center"
펜듈럼}}}}}}]] ||
[[스피릿 테크 포스#마스터 스피릿 테크 포스 펜듈럼 룰러|{{{#!wiki style="width: calc(100% / 4); max-width: calc(596px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wiki style="border: currentcolor solid 1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 width=100%><bgcolor=#8f4f9a><color=#fff><height=50> {{{#!wiki style="margin: -5px -10px; letter-spacing: -1px;"
마스터 스피릿 테크 포스[br]펜듈럼 룰러}}} ||}}}}}}]] 
}}}}}}
}}} ||


파일:DDD赦俿王デス・マキナ(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펜듈럼=,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사치왕 데스 마키나,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赦俿王<rp>(</rp><rt>しゃちおう</rt><rp>)</rp></ruby>デス・マキナ,
영어판명칭=D/D/D Deviser King Deus Machinex,
속성=어둠, 레벨=10, 공격력=3000, 수비력=3000, 종족=악마족, P스케일=10,
P효과외1=이 카드명의 펜듈럼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P효과1=①: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에 카드가 존재할 경우\, 자신의 필드 /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다른 한쪽 자신의 펜듈럼 존의 카드를 특수 소환하고\, 대상의 펜듈럼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소재=악마족 레벨 10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는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DDD(디디디) 사치왕 데스 마키나"는 자신 몬스터 존에 1장밖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 필드의 몬스터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1번까지).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거나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파괴하고\, 그 상대의 카드를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3=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어원은 죽음을 의미하는 데스 + 데우스 엑스 마키나.[54] 이름의 사치왕은 일본어 독음 시 사치오가 되는데, 이는 사장의 일본어 발음인 사쵸와 유사한 걸 이용한 말장난이다.

첫 랭크 10의 악마족 엑시즈 몬스터이자 2번째 엑시즈 / 펜듈럼 몬스터로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과 마찬가지로 엑스트라 덱 앞면 표시 상태에서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한 몬스터이다.

소환 조건은 악마족 레벨 10 × 2로 다소 빡세나 자신 필드의 아무 DDD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이 가능하기에 사실상 장식이라 봐도 좋다. 종류를 안 가리기에 전개를 끝낸 융합 몬스터인 테무진, 싱크로 몬스터인 알렉산더를 비롯한 타 엑스트라 덱 소환법 몬스터나 빌가메스는 물론 어비스 라그나로크 등 메인 덱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도 가능하다. 함께 나온 DDD 헤드헌트의 효과로 상대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된 몬스터를 빼앗아오면 DDD 몬스터로 취급되기에 그대로 이 카드를 겹쳐 먹튀할 수도 있다. 특히 효과를 다 쓰고 놀고 있는 빌가메스의 위에 겹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다른 카드 한 장 쓰지 않고 자유롭게 괴치왕이나 열화왕, 질풍왕의 효과를 발동시킬 수 있다. 다만 ①의 효과 때문에 사치왕 위에 다른 사치왕을 겹쳐 소환할 수는 없다는 점에 주의.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 효과 발동 시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거나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 1장을 파괴하고 그 카드를 엑시즈 소재로 하는 것. 효과를 무효화할 순 없으나 상대의 전개를 방해하는 용도로 쓰거나 에이스 몬스터의 효과를 쓰는 걸 망설이게 할 수 있기에 나쁘지 않은 편. 계약서만 있으면 소재가 없어도 쓸 수 있는 효과이기에 빌가메스의 유언 효과로 불러내도 사용할 수 있는 점 역시 장점. 턴 제약이 없고 그렇게 먹은 엑시즈 소재도 효과 발동을 위해 묘지로 보낼 수 있기에 한 장으로도 여러 번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카드로 인해 DD 테마군 내에서 후공에 DD 4레벨 몬스터 2장으로 노도왕 시저 또는 솔로몬, 저격왕 텔, 사치왕 데스 마키나, 더 세븐 신즈를 거쳐가며 6소재 네가로기어 아제우스를 쉽게 소환할 수 있게 되었다.

2번 효과의 경우 필드의 몬스터만 소재로 할 수 있어 보이나, 정확히는 몬스터 카드를 지정하고 있어서 펜듈럼 존의 펜듈럼 몬스터 카드, 장착 마법/지속 마법/지속 함정 카드로써 마법/함정 존에 놓여진 몬스터 카드가 발동했을 때에도 소재로 할 수 있다. 덕분에 펜듈럼을 주 기믹으로 활용하는 덱은 이 카드를 만나면 꽤나 뼈아픈 셈. 반대로 마법/함정 카드가 몬스터 카드 취급일 때는 체인이 불가능하다.

펜듈럼 효과는 펜듈럼 존에 다른 한쪽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필드 / 묘지의 펜듈럼 몬스터 하나를 그 존에 놓는 효과. 주로 어비스 라그나로크를 불러와 추가 전개 및 제거를 하는 용으로 쓰일 듯하며 파괴되어 펜듈럼 존에 세팅된 초사위왕들도 불러올 수 있다. 한번 파괴되면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한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도 펜듈럼 존에 세팅한 후 이 카드로 특수 소환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이 카드도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과 마찬가지로, 펜듈럼 소환이 불가능하다. 어차피 아크 크라이시스의 등장으로 스케일의 최대치의 기록은 그 쪽에 넘겨주긴 했지만, DD 내에선 소환 조건이 워낙 쉽기 때문에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다.

멋진 일러스트와 준수한 효과, 라이벌 에이스 몬스터 전통의 공격력 3000을 가지고 있어서, 반대로 애니메이션에서든 OCG에서든 비중이 없고 못생기고 성능도 저열한 헬 아마게돈 대신 DD 덱의 진정한 에이스 몬스터로 불리기도 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셀렉션 팩 '인빈시블 레이드'에서 출시되었을 때부터 전용 소환 연출이 없다가 2025년 6월 24일 셀렉션 팩 '배틀 오브 데스티니'에서 픽업 카드로 선정됨과 동시에 DD 테마 몬스터 최초로 전용 소환 연출을 받았다. 2024년 11월 9일 앙케이트를 반영한 결과이며, DDD 테마에서도 에이스급 효과를 가지고 있기도 하고 용병으로도 채용되는 강력한 카드이기도 하기에 레이지의 명분상 에이스인 사위왕을 제치고 선정된 당위성도 충분한 편.[55]
수록 시리즈
2021-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JP044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5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KR044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5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2-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EN044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23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시크릿 레어#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PSE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

9. 링크 몬스터

9.1. 링크 2

9.1.1. DDD 심연왕 빌가메스

파일:DDD深淵王ビルガメス(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심연왕 빌가메스,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深淵王<rp>(</rp><rt>しんえんおう</rt><rp>)</rp></ruby>ビルガメス,
영어판명칭=D/D/D Abyss King Gilgamesh,
속성=어둠, 레벨=2, link1=, link3=, 공격력=18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카드명이 다른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2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고\,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상대 몬스터의 공격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 /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에 이어 펜듈럼 소환을 지원하는 2번째 링크 몬스터이자 DD 최초의 링크 몬스터. 심연왕(신엔오)라는 별칭은 이니셜을 땄을 때 CEO가 되며, 빌가메스는 길가메시를 수메르어로 읽은 것이다. 무기를 몸에 주렁주렁 달고 있는 것은 파이널 판타지의 길가메시의 영향을 받은 듯.

① 효과는 특수 소환하면 덱에서 DD 펜듈럼 몬스터 2장을 펜듈럼 존에 놓고 1000 데미지를 입는 효과. 바로 링크 마커와 스케일이 마련되어서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게 된다. 발동하면 DD 몬스터만 소환 가능한 디메리트가 걸리지만 발동 후 걸리는 것이니 그 전에는 링크 소환이 아니라 특수 소환이기에 묘지에서 소생시켜도 효과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

펜듈럼 존에 무조건 카드를 2장 놓아야 하기에 펜듈럼 존에 다른 카드가 있거나 해서 한 칸이라도 막히면 발동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를 펜듈럼 존에 놓아도 1000 데미지는 그대로 들어오고, 반골왕 레오니다스를 놓으면 바로 레오니다스의 펜듈럼 효과를 사용할 수 없다.

② 효과는 링크 소환된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면 묘지나 엑스트라 덱에서 DD 몬스터를 소환하는 효과. 엑스트라 덱에서 소환할 경우 앞면 표시의 카드도 소환 가능하며, 펜듈럼 소환이 안 되는 엑스트라 덱의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사치왕을 재활용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부를 경우 소생 제한 룰에 걸린다는 점, 묘지에서 특수 소환한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처음에는 평가가 엇갈렸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과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를 못 세운다는 점에서는 혹평이 있지만 맹세 효과는 아니기 때문에 손해보지는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 이 경우 자신의 턴에 주혈왕 사이프리트를 세우고 상대 턴에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슈팅 라이저 드래곤-액셀 싱크로로 강력한 싱크로 몬스터를 세우는 것을 골자로 하는 빌드를 짠다. 덕분에 있으나 마나 취급받던 극지왕 카오스 아포컬립스가 어느 정도의 실용성을 갖게 됐다.

현재의 평가는 잘 나온 지원이라는 평. 빌드를 짜는 전개 루트가 더 많아 졌으며, 괴치왕 펜듈럼 효과의 소생 효과도 거의 노려볼수 있다. 제약이 걸린다는 것도 빌가메스가 나오기 전에 몬스터를 뽑거나 하리파이버로 상대턴에 새비지같은 퍼미션 몬스터를 뽑으면 그만.

또한 펜듈럼이라는 카테고리가 사실 상 디메리트나 다름 없던 DD에서, 펜듈럼 소환이 쉽게 이뤄지게 보조해주기 때문에 묘지에서 계속 우려먹지 못해 아쉬웠던 점이 스케일을 알아서 조달한다는 점은 상당한 개선점. 유언 효과도 테마 내에 최대 수비력이 3000이란 점을 생각하면 나쁘지 않은 벽 역할이자 압박이 될 것이다. 물론 상대에 의한 전투와 효과에만 반응하는 조건은 무엇보다도 주의할 점.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지원을 받은 후의, 엑시즈 축 DD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의 용병 카드의 의존이 낮아지고 테마 내 카드 만으로 덱이 굴러가면서 이 카드의 디메리트가 방해 요소가 되지않고 덱의 중심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마술사의 엘렉트럼처럼 전개 도중에 반드시 거처가는 핵심 몬스터이며, 이펙트 뵐러, 무한포영을 아프게 맞는 것도 비슷하다. 세팅하는 몬스터의 짝은 일반적으로 오르트로스 + 괴치왕, 그리폰 + 토마스,[56] 제로갓 레이지 + 케로베로스[57] 등이 있다.

바이스 레퀴엠과 특허권의 계약서류의 텍스트를 통해 이카드 이외 DDD링크 몬스터가 더 추가될 가능성이 생겼고 이후 제우스 라그라로크가 등장했다.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카드 소환 대사가 빠져있다. 더 늦게 출시된 갓 레이지는 정상적으로 수록되었고, 거기에 레이지의 스킬인 '사위왕의 통솔'이 DD 카드를 스케일에 세팅하는, 사실상 이 카드와 비슷한 컨셉의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고려하면 의도적인 제외인 것으로 보인다. 다만, 듀얼링크스에 브레인즈 월드가 업데이트 되고, 링크 소환이 추가된 후에 어떻게 될진 모른다.
수록 시리즈
2018-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JP06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9-03-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KR06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0-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UOV-EN004 |
DUEL OVERLOAD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9.2. 링크 3

9.2.1. DDD 천공왕 제우스 라그나로크

파일:DDD天空王ゼウス・ラグナロ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링크=, 효과=,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천공왕 제우스 라그나로크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天空王<rp>(</rp><rt>てんくうおう</rt><rp>)</rp></ruby>ゼウス・ラグナロク,
영어판명칭=D/D/D Aether King Zeus Ragnarok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어둠, 레벨=3, link1=, link2=, link3=, 공격력=2200, 종족=악마족,
소재="DD(디디)" 몬스터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턴에\, 자신은 통상 펜듈럼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DD(디디)" 몬스터를 펜듈럼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패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과 "계약서"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발매된 엑스트라 덱 DDD 중 한 장으로, 이 카드는 그 중 링크 몬스터다. 이름의 유래는 제우스. 제우스는 신들의 왕이기 때문에 왕 컨셉은 유지된다. 이름에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와는 별 관련 없는 북유럽 신화의 '라그나로크'가 들어가는데, 이는 괴치왕과 같은 작명 방식이기에 제우스가 그들과 같은 계통이라는 의미로 보인다. 외형은 괴치왕 라그나로크에서 옥좌와 후드가 사라짐과 동시에 붉은색을 띄고 링크 몬스터답게 등에 부스터와 전뇌적인 요소가 추가되었다.

①의 효과는 세피라 트라 그라마톤과 같은 DD 한정 2회 펜듈럼 소환 효과. 링크 소환 추가 이후 제대로 사용하는 게 불가능한 그라마톤과 달리 이 카드는 하단 링크 마커만 3개인 링크 몬스터라 이 카드의 소환에 사용한 펜듈럼 몬스터들을 거의 전부 다시 소환할 수 있다.

텍스트 상 턴 제약은 없으나, 이 ①의 효과는 추가 펜듈럼 소환권을 얻은 상태일 때에는 다시 발동할 수 없다. 또한 효과의 발동에만 성공하면, 카드를 파괴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추가 펜듈럼 소환권은 얻을 수 있다.

한편 텍스트상 턴 제약이 없다는 점 때문에 효과의 해석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처음 이루어진 질의에서 코나미 사무국은 파괴 효과는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다고 답변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이 답변을 번복하는 등 다소의 잡음이 있었다. 최종적으로는 추가 펜듈럼 소환권을 얻었다면 발동 자체가 금지되도록 고정되었다. 동일한 효과를 가진 카드 어드밴스 역시 1턴에 1번만 발동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

②의 효과는 패 트랩 케어용 효과. 코스트로 묘지의 DD와 계약서를 1장씩, 도합 2장을 제외해야 하지만 ①의 효과로 묘지 자원을 쌓을 수도 있기에 크게 발동이 어렵지 않다. 유일한 단점이라면 소환 조건의 특성상, 처음 내는 빌가메스를 보호하지는 못한다는 것 정도.

DD의 전개 중간다리 역할 및 고점을 담당하는 몬스터. 원 핸드 전개로 특수 소환 5회 안에 이 카드를 세우면서 묘지에 DD와 계약서를 마련할 수 있어 원시생명체 니비루에 대한 내성을 갖출 수 있다. 하단 링크 3개가 달린, 추가 펜듈럼 소환권을 주는 링크 3 몬스터라는 것도 강점으로, 노도왕이나 저격왕 등 묘지로 보내져야 효과가 발동하는 몬스터들의 효과 발동을 위해 빌가메스를 소재로 빌가메스를 소환하는 등의 엑덱 공간 낭비를 해야 했는데 그 플레이를 추가 전개와 견제를 하는 이 카드를 소환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4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10. 마법 카드

10.1. 영왕의 계약서

파일:零王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영왕의 계약서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零王<rp>(</rp><rt>れいおう</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Zero King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DD(디디)"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영왕의 계약서" 이외의 자신 필드의 "DD(디디)"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DD(디디)"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발매된 지속 마법 계약서. 기존의 계약서와 달리 DD 카드로도 취급하며, 이 때문에 기존에 있던 그리폰이나 같이 나온 솔로몬으로 서치할 수 있다.

고유 효과는 자기 자신 또는 동명 카드 이외의 필드의 다른 DD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원하는 DD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로, 소환 이후 DD만 소환 가능하다는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나 플뢰르 드 바로네스 등을 병용할 생각이 있다면 주의할 것.

마신왕 다음으로 DD에게 주어진 필드의 개체 수를 불리는 계약서로, 효과를 사용한 영사왕을 치워서 빌가메스의 스케일 세팅 효과가 막히지 않게 하는 역할도 겸한다.

'영왕'은 影王(그림자 왕)이 아닌 零王(0의 왕)이라 쓰며, 이는 아카바 레오의 한자 표기와 동일하다. 다만 코믹스의 장면을 레퍼런스한 카드라는 것을 생각하면 여기서는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를 의미한다. 일러스트는 코믹스 최종전에서 GO-DDD WORLD의 효과로 DD 도그들을 GO-DDD 몬스터로 만드는 장면에서 따 왔다.

애니메이션 지원임에도 코믹스쪽에서 모티브를 따온 특이한 카드.[58] 다만 DD 덱의 컨셉 자체가 '다른 차원'의 존재를 다루는 것임을 감안하면, 마치 이차원이나 암흑마계의 왕의 행적을 계약서라는 카드로 찍어내 다루듯, 어느 다른 차원의 왕인 신령왕의 행적을 관측해서 카드화한 것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즉 이 카드의 주인은 신령왕의 주인인 코믹스 레이지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애니메이션 세계의 레이지인 것. 애초에 코믹스 레이지는 계약서 카드를 쓰지도 않는다. 그리고 각 세계의 DD 자체도 다른 카드이다.(애니메이션 세계는 Diffrent Dimension, 코믹스 세계는 Data Dictionary)

설정 외적으로는 사용자를 형상화한 몬스터를 지원으로 주는 것이 메이저해지고 있는 추세 속에서 이미 완벽하게 부합하는 카드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세계관의 차이 때문에 제대로 에이스로 밀어주지 못하고 있었으니 가해진 조치라고 볼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54 |

[[노멀|
N
노멀
]]

11. 함정 카드

11.1. DD 리크루트

파일:DDリクルー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리크루트,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リクルート,
영어판명칭=D/D Recruit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필드의 몬스터 수가 자신 필드의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그 차의 수까지\, 자신 묘지의 "DD(디디)" 몬스터나 "계약서"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에 넣는다.)]
상대 몬스터가 자신 몬스터보다 많을 경우 묘지의 DD와 계약서를 패로 되돌릴 수 있는 카드. DD 카드 중 상대 턴에 패에서 튀어나오는 카드는 반골왕이나 오르트로스 정도밖에 없는데, 둘 다 펜듈럼 몬스터라 어지간하면 묘지로 안 간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무 쓸모 없다.

일러스트에는 왕궁의 칙명에 나오는 왕 앞에 4명의 인물이 있는데 왼쪽부터 각각 D·D·M, D.D.어세일런트, 이차원의 전사, 이차원의 여전사로 전원 이차원 계열의 몬스터들이다. DD의 약자가 Different Dimention, 이차원이라는 이름 장난이다. 순서대로 마법사, 전사, 용사, 도적의 이차원 파티.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13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34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13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34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33 |

[[노멀|
N
노멀
]]

11.2. DD 리빌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6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ruby>DD<rp>(</rp><rt>디디</rt><rp>)</rp></ruby> 리빌드,
일어판명칭=<ruby>DD<rp>(</rp><rt>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リビルド,
영어판명칭=D/D Reroll,
효과1=①: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계약서" 카드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의 제외 상태인 다른 "DD(디디)" 카드를 3장까지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계약서를 지키는 효과와 묘지에서 제외하여 제외된 DD 카드를 덱으로 회수하는 2가지 효과를 가진 카드.

1번 효과로 계약서는 '상대' 효과로만 파괴되지 않기에 자기 효과로는 파괴할 수 있다. LP가 간당간당할 때 자기 계약서를 베오 울프 같은 걸로 터뜨려야 할 순간이 왔을 때 방해되지 않도록 한 조치. 자체 내성이나 다른 카드에 내성을 줄 수단이 전무한 DD 입장에서, 상대 입장에선 어떻게든 치워야 하는 지옥문, 발키리를 사수하기에 유용한 카드.

2번 효과는 스월 슬라임이나 네크로 슬라임, 마신왕의 계약서 등등으로 제외한 카드를 덱으로 되돌릴 수 있는 유용한 효과로, 예시들을 보면 알다시피 소재를 제외할 일이 많은 융합 주축의 DD 덱에서 특히 잘 써먹을 수 있다.자체 효과로 제외된 라미아를 회수하는 것도 가능. 패에 넣거나 묘지로 되돌리는 효과가 아니라는 점은 좀 아쉽지만 어차피 도미네이션 시점까지도 DD 덱은 제외된 카드를 직접 활용하는 카드는 없으므로 결국 손해볼 일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일단 이 카드는 계약서를 지켜주는 효과가 있다지만 함정이라서 느리고, 덱으로 되돌리는 것 빼고는 딱히 아드를 벌어주지 못한다.

결정적으로 DD에서는 악마족 특소 제약이 없는 턴이라면 덱이 아니라 활용이 쉬운 묘지로 되돌려 주는 PSY프레임 오메가를 쉽게 뽑을 수 있다. 1장이지만 다음 턴에 바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데다가 생존력도 그럭저럭 되고 비트도 할 수 있는 오메가와는 성능 면에서 차원이 다르다. 제외된 카드를 되돌린다는 점만 놓고 보면 속공성에서 이 카드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데다가 묘지로 되돌리는 이차원에서의 매장이 있다.

일러스트는 아래의 DDD의 인사권의 다음 장면. 뒤에는 간식들이 놓여져 있는데 그중 모케모케 모양의 간식이 반쯤 녹은 채로 놓여져 있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3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33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32 |

[[노멀|
N
노멀
]]

11.3. DDD의 인사권

파일:DDDの人事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의 인사권,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の<ruby>人事権<rp>(</rp><rt>じんじけん</rt><rp>)</rp></ruby>,
영어판명칭=D/D/D Human Resources,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 / 묘지의 "DD(디디)" 몬스터 및 자신 펜듈럼 존의 "DD(디디)" 카드 중에서 합계 3장 덱으로 되돌린다. 그 후\,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2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자신 소유의 DD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DD 몬스터를 서치하는 함정 카드. 펜듈럼 존에 놓인 카드는 몬스터로 취급하지 않기에 따로 텍스트가 붙었다.

효과만 보자면 탐욕의 항아리의 상위 호환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묘지는 물론 패나 필드, 그리고 펜듈럼 존에서마저 DD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릴 수 있고, 그 후 덱에서 어떤 DD 몬스터든지 2장이나 서치해오는 엄청난 교환율을 지니고 있다. 덱으로 넣는 것이 먼저이므로 묘지의 DD를 간접적으로 2장이나 샐비지하는 것도 가능. 우월한 스케일을 지녔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애물단지가 되는 펜듈럼 존의 갈릴레이나 케플러도 쉽게 처리할 수 있고, 상황에 맞춰 원하는 DD를 아무나 가져올 수 있다. 함정 카드인지라 속공성이 떨어지지만, 대신 상대의 제거 카드에 체인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마냥 필드의 몬스터를 포함해 되돌리고 서치를 하는 것도 가능. 그런데 서치라면 지옥문이 있기 때문에 아주 가끔 쓰이긴 해도 사실상 버려진 카드. 만약 제외 존까지 포함해 되돌릴 수 있었다면 채용 가능성이 있었을지도 모르지만...

원작에서는 필드에서 DD도 아닌 DDD만 되돌릴 수 있었기에 시저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테무진, 알렉산더, 시저를 덱으로 되돌리고, 케플러와 갈릴레이를 패에 넣었다. OCG화되면서 파격적으로 상향된 셈.[59] 그냥 DD만을 지정하고 있는 이 카드의 이름이 'DDD'의 인사권이 된 건 이 원작에서의 효과 때문이다.

일러스트에 나와 있는 몬스터는 DDD 열화왕 테무진, DDD 노도왕 시저,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DD 케르베로스, DD 릴리스, DD 프라우드 슈발리에, DDD 질풍왕 알렉산더. 여담으로 일러스트의 아저씨가 아카바 레이지를 닮았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12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35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12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35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7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72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34 |

[[노멀|
N
노멀
]]

11.4. DDD의 계약변경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31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의 계약변경,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の<ruby>契約変更<rp>(</rp><rt>けいやくへんこう</rt><rp>)</rp></ruby>,
영어판명칭=D/D/D Contract Change,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묘지에서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제외한다. 공격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효과3=●덱에서 레벨 4 이하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50화에서 사용한 카드.

상대의 공격 선언 시에 묘지의 DDD를 갈아넣어 공격력을 낮추거나, 하급 DD 펜듈럼을 서치해오는 카드. 첫 번째 효과는 주로 엑시즈 DD인 시져를 갈아넣게 될 것이고, 두 번째 효과로 서치할 수 있는 카드는 계약서 서치 요원인 케플러와 축복받은 4축인 케르베로스가 있으니 초반이거나 자잘한 공격에는 이 쪽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원작에서는 효과가 조금 달라서, '①: 상대 몬스터가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가장 공격력이 높은 "DDD" 몬스터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전투 데미지를 무효로 하고,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라는 효과였다. 이 효과로 질풍왕 알렉산더를 제외하고, 케플러를 서치했다. OCG화되면서 전반부 효과는 제외하는 몬스터의 공격력 제약이 없어지는 대신 효과가 너프되었고, 전반부/후반부 어느 한 쪽의 효과밖에 못 쓰게 되었다. 상당히 너프된 셈.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68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68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68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54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11.5. DDD 헤드헌트

파일:DDDヘッドハン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ruby>DDD<rp>(</rp><rt>디디디</rt><rp>)</rp></ruby> 헤드헌트,
일어판명칭=<ruby>DDD<rp>(</rp><rt>ディーディーディー</rt><rp>)</rp></ruby>ヘッドハント,
영어판명칭=D/D/D Headhun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DDD(디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다음 턴의 엔드 페이즈까지 얻는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되고\, 공격 선언할 수 없다. 이 효과로 컨트롤을 얻은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된 몬스터일 경우\, 그 몬스터는 "DDD(디디디)" 몬스터로도 취급한다.)]
자신 필드에 DDD가 있을 경우, 상대 몬스터를 다음 턴까지 컨트롤하는 함정 카드. DD판 대대적 체포작전으로 볼 수 있지만, 이 쪽은 뺏어온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하기에 섬도기-위도우앵커마냥 사용할 수 있다.

추가로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탈취했다면 DDD로 취급하기에, 다른 DDD의 융합 소재로 먹거나 사치왕으로 겹치는 것도 가능.

헤드헌트는 외부의 유능한 인재를 스카우트해오는 용어. 그 이름대로 암흑 마계의 패왕이차원의 전사이차원의 생환자를 스카우트하고 있다. 후일 이차원의 전사가 암흑차원의 전사가 되고, 이차원의 전사가 등장한 DD 리크루트의 왕이 들고 있던 계약서 같은 게 리스 론더링에서 불태우는 걸 보면 무슨 문제가 생긴 듯.
수록 시리즈
2021-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JP075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9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KR075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90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22-02-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EN075 |

[[노멀|
N
노멀
]]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43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레어(유희왕)|
R
레어
]]

12. 관련 테마: 계약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계약서(유희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계약서(유희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계약서(유희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1. 마법 카드

12.1.1. 지옥문의 계약서

파일:地獄門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지옥문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地獄門<rp>(</rp><rt>じごくもん</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Gat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서치 능력을 가진 계약서. 매 턴 지속적으로 서치를 할 수 있지만, 서치 효과가 지속 마법의 기동 효과라서 유령토끼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펜듈럼과 지속 마법 카드를 동시에 사용하는 DD의 특성상 효과가 막히면 공간만 차지하는 애물단지가 되는데, 이는 사치왕 등의 코스트로 이 카드를 던지는 식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

테마 서치 카드의 특성상 DD는 언제나 이 카드를 3장 풀투입한다. 세피라 등 DD 파츠를 초동이 아닌 링크 몬스터 소환을 위한 용병으로 사용하던 덱은 1장만 투입했다.

원작에서는 서치 효과에 명칭 제약이 없어서 유우야와의 듀얼에서 레이지가 첫턴에 2장을 발동해 융합 소재를 충당했다.

레이징 마스터즈 슈퍼 레어 중에 봉입률이 극악이었던 카드로 악명높았으나, 펜듈럼 도미네이션에서 재록되었다. 레전더리 골드 박스에서 재록된 이후로는 아무나 다 구할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25 |

[[노멀|
N
노멀
]]
2019-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JP040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7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25 |

[[노멀|
N
노멀
]]
2020-09-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GB1-KR040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7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3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68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24 |

[[노멀|
N
노멀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159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12.1.2. 마신왕의 계약서

파일:魔神王の契約書(QCC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마신왕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魔神王<rp>(</rp><rt>ましんおう</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Swamp King,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악마족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DD(디디)"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경우\,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제외하고 융합 소재로 할 수도 있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는 늪지의 마신왕이 그려져 있다. 마신왕처럼 융합 마법을 대체하는 효과. DD 몬스터를 융합할 경우 묘지에서 제외 융합도 가능하다. 다만 DD 융합 몬스터를 제외한 악마족 융합 몬스터는 그냥 다크 퓨전을 쓰는 편이 훨씬 낫다는 문제가 있다. 애초에 이들의 태반을 차지하는 몬스터들이 이블 히어로인지라 다크 퓨전으로만 융합 가능하고,[60] 퍼니멀쪽에 속하는 데스완구들도 다크 퓨전의 대상 내성이나 서치가 더 용이한 일반 융합을 쓰는 편이 낫다. 즉, 실질적으로 DD 전용의 융합 카드. 하지만 이 카드는 지속 카드이다. 페널티는 크지만 제외가 아닌 지속 융합 카드로서 차별화가 되기는 한다.

DD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펜듈럼 몬스터들은 필드에서 묘지로 가면 대신 엑스트라 덱으로 보내져 재활용이 용이하며, 묘지에서 제외하는 융합역시 매우 강력하다. 더군다나 이 2가지 방법을 섞어서 소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융합 가능한 범위가 굉장히 넓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효과 자체는 훌륭하다 할 수 있다. 특히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이 하지 못하는 노도괴치왕의 소환을 할 수 있다는 것도 포인트.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09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26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09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26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8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4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69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25 |

[[노멀|
N
노멀
]]
2022-05-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FP2-EN160 |
GHOSTS FROM THE PAST: THE 2ND HAUNTING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12.1.3. 마신왕의 금단계약서

파일:魔神王の禁断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마신왕의 금단계약서,
일어판명칭=<ruby>魔神王<rp>(</rp><rt>ましんおう</rt><rp>)</rp></ruby>の<ruby>禁断<rp>(</rp><rt>きんだん</rt><rp>)</rp>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Forbidden Dark Contract with the Swamp King,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DDD(디디디)"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 하고\, 악마족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3=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2000 데미지를 받는다.)]
받는 데미지도 2배에 묘지 융합도 삭제되어서 스월 슬라임/원본 마신왕의 계약서에 비해 좋은 게 뭐냐는 악평을 듣고 있다.

①의 효과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봤자 수비 표시라 그 턴에는 공격도 못 하고 효과도 무효화되기에, 꺼내서 이득을 볼 만한 어비스 라그나로크도 활용을 못한다. 심지어 원작에서는 레벨 5 이상의 악마족으로 널널했던 ①의 효과의 특소 대상도 "DDD"로 대폭 줄여버렸고, 표시 형식도 자유였는데 OCG에선 수비 표시만으로 너프.

실질적으로 융합 자체보다는 엑스트라 덱 자원을 쌓아주는 펜듈럼 소환 지원 카드라 보는 게 맞다. 그런데 정작 그 DD는 펜듈럼 소환을 잘 안 쓰고 오히려 묘지 자원을 더 적극적으로 이용한다. 펜듈럼 몬스터는 필드 위에서 묘지로 가게 될 때 묘지가 아닌 엑스트라 덱으로 가므로 묘지 자원이 쌓이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오히려 마이너스.

한편, 이 카드의 등장으로 다른 'OOO의 금단계약서' 카드가 나올까 하는 예상도 있었으나, ARC-V의 종영까지 다른 금단계약서 카드는 나오지 않았고 종영 이후의 추가 지원 카드에서도 금단계약서 카드는 발매되지 않았다.
수록 시리즈
2016-04-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JP056 |

[[노멀|
N
노멀
]]
2024-03-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JP08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7-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KR056 |

[[노멀|
N
노멀
]]
2024-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QCCP-KR089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시크릿 레어|
SE
시크릿 레어
]]
2016-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IL-EN056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26 |

[[노멀|
N
노멀
]]
2017-08-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7-EN099 |
2017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12.1.4. 암흑 마계의 계약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45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암흑 마계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闇魔界<rp>(</rp><rt>やみまかい</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Yamimakai,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묘지의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3=●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에서 "DD(디디)" 펜듈럼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펜듈럼 존에 놓는다.,
효과4=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 있는 건 "암흑 마계" 소속인 암흑 마계의 패왕과 그의 명령을 받고 있는 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 칠흑의 전투용. 두 암흑 마계 출신 카드의 관계와 함께, 군주의 위엄을 보이는 암흑 마계의 패왕을 확인할 수 있다.

효과는 전폭적으로 펜듈럼 세팅을 보조하는 리크루트 카드. 터져버리면 재활용도 힘든 라그나로크나 케플러, 혹은 엑시즈 소재로 써버렸거나 패에서 코스트로 버린 뉴턴과 갈릴레이를 세팅해 펜듈럼 소환이나 효과 사용으로 우려먹을 수 있다. 단 묘지에서 세팅하는 경우라면 DD는 묘지아드도 매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덱이므로 신중히 사용해야 한다.

사실상 지옥문의 계약서의 약화판. DD는 펜듈럼 소환 의존도가 낮고, 그마저도 빌가메스로 첫 스케일을 세팅한 이후에는 다른 카드들의 효과로 알아서 펜듈럼 존의 카드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안 쓰인다.
수록 시리즈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2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24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23 |

[[노멀|
N
노멀
]]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if external != "o"
[[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uuid=c7a9b285-befb-4631-bb41-5e1a9be2c60d|r5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uuid=c7a9b285-befb-4631-bb41-5e1a9be2c60d#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from=5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if external != "o"
[[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uuid=c7a9b285-befb-4631-bb41-5e1a9be2c60d|r5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uuid=c7a9b285-befb-4631-bb41-5e1a9be2c60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암흑 마계의 전사 다크 스워드?from=5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2.1.5. 이형신의 계약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22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명칭=이형신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異形神<rp>(</rp><rt>いぎょうしん</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Entities,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이하의 종류의 "DDD(디디디)" 몬스터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되었을 때\, 각각의 효과를 1턴에 1번씩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융합: 자신은 1000 LP 회복한다.,
효과3=●싱크로: 특수 소환된 그 몬스터를 상대는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효과4=●엑시즈: 자신이나 상대의 필드 / 묘지에서 카드 1장을 제외한다.,
효과5=●펜듈럼: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버린다.,
효과6=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2000 데미지를 받는다.)]
디멘션 박스에 등장한 계약서. 일러스트에 그려진 계약서(?)는 TRPG 크툴루의 부름 RPG의 캐릭터 시트고, 거기에 그려진 것은 외신 나이알라다.

메타파이즈 호루스 드래곤이나 성사의 입김와 비슷하게 자신 필드에 정해진 몬스터의 수가 많을 수록 효과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문제라면 DD에서 주로 채용하는 DDD 엑시즈 몬스터는 칼리 유가 뿐이라 소환한 턴에 이형신의 엑시즈 효과를 쓰기는 힘들다는 점. 가장 강력한 효과인 1드로우 1버림은 펜듈럼 소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펜듈럼 몬스터이기만 하면 된다. 즉, 초사위왕을 소환하면 두 효과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는 뜻. 하지만 지불해야 하는 LP가 마신왕의 금단계약서와 같은 2000이라 부담되는 디메리트다.

융합의 경우 자주 나오기는 하나 LP 회복이 그렇게 좋은 것도 아니고, 회복 수치도 1000으로 그리 높지 않다. 싱크로의 경우 융합보다는 사정이 나아서 주혈왕에게 대상 지정 내성을 줄 수 있지만 저게 발동하는 효과라서 저 효과에 체인되는 건 대응할 방법이 없다. 그리고 엑시즈 쪽은 칼리 유가가 뽑히는 때가 대부분 확실한 마무리용인 것을 생각해 볼때 실전성은 없다. 펜듈럼 역시 마찬가지.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한' 이라는 조건이 붙어 있어서 스월 슬라임 등으로 특수 소환한 괴치왕이나 죽은 자의 소생으로 부활한 DDD 엑스트라 덱 몬스터가 효과를 받을 수 없기 때문에 현 DD 덱의 운용을 완벽하게 비껴나간 쓸모 없는 카드다.

이후 DDD 엑시즈 몬스터면서 소환 조건이 간편한 DDD 사치왕 데스 마키나가 등장했지만, 역시 안 쓰이는 것은 똑같다.
수록 시리즈
2016-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JP023 |

[[패러렐 레어|
P + UR
패러렐(울트라 레어)
]]
2018-1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JP070 |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BLE-KR023 |

[[패러렐 레어|
P + UR
패러렐(울트라 레어)
]]
2019-03-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VP2-KR070 |

[[노멀|
N
노멀
]]
2017-02-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TE-EN099 |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2017-08-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7-EN239 |
2017 MEGA-TINS MEGA PACK

[[울트라 레어|
UR
울트라 레어
]]

12.1.6. 특허권의 계약서류

파일:特許権の契約書類.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특허권의 계약서류,
일어판명칭=<ruby>特許権<rp>(</rp><rt>とっきょけん</rt><rp>)</rp></ruby>の<ruby>契約書類<rp>(</rp><rt>けいやくしょるい</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Patent Licens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DDD(디디디)" 몬스터와 같은 종류(융합 / 싱크로 / 엑시즈 / 링크)의 몬스터를 상대가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1000 데미지를 준다. 이 턴에\, 이 카드가 필드에 존재하는 동안\, 상대는 그 특수 소환한 몬스터와 같은 종류의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앞면) / 묘지에서 "DD(디디)"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배오카에서 등장한 계약서. 계약서이긴 하지만 필드 마법이며 사용자에게 디메리트를 주지도 않는다. 이름처럼 계약보다는 특허권 행사에 가까운 카드.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의 DDD와 같은 종류의 몬스터를 상대가 소환했을 시 상대에게 효과 데미지를 주고 그 이후의 소환을 봉쇄하는 지속 효과. 선출원자가 권리를 가지는 특허권이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효과다. 코드 토커낙인처럼 한 종류의 엑스트라 덱 특수 소환법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덱에서 큰 제약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실상의 엑스트라 덱 봉인이 되어 버린다. 물론 첫 소환은 가능하기에 소환된 몬스터가 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다면 도루묵이 되나, 최근의 돌파형 에이스들은 거의 다 자신과 같은 소환법의 몬스터를 소재로 요구하기에[61] 생각보다 잘 박힌다.

②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지면 묘지의 몬스터 및 자신의 엑스트라 덱의 앞면 표시 펜듈럼 몬스터 중에서 DD 몬스터 1장을 가져오는 효과. 패, 덱에서 묘지로 보내도 발동해서 계약서를 코스트로 삼는 DD 몬스터를 사용하기에 적합한 효과이다.

단점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 번째 단점은 상암의 계약서와 역할이 겹친다는 점이다. 상대가 링크 덱이 아니라면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하는 행위 자체를 막아 버리는 상암의 계약서가 더 강하게 박히고, DD는 결과물에 융합 몬스터가 잘 들어가지 않아 상대가 융합 덱이라면 이 카드를 꺼내 드는 의미가 거의 없어진다. 상암도 호불호가 갈리는 카드인데, 이 카드에 대한 평가라고 해서 크게 다를 것은 없다. 후공에는 완전히 노는 카드가 된다는 것도 단점.

두 번째 단점은 이 카드가 계약서 카드라는 것 그 자체. 계약서를 서치할 일이 있다면 13기 지원 이전에는 전개 파츠였던 마신왕이 우선 순위가 높았고, 13기 지원 이후에는 영왕의 계약서 통과가 최우선 과제가 되다 보니 고점 파츠였던 이 카드는 우선도가 높지 않았다. 사실 이 카드가 나왔던 11기 기준으로도 이 카드를 최종 빌드에 넣기보다는 저격왕으로 덤핑해서 묘지 회수 효과만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거의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회수 타이밍을 자유롭게 잡을 수 있는 디펜스 솔저가 발매되며 퇴출되었다.

특허권이라는 이름과 봉쇄 효과를 보아 원작의 독점 봉인의 계약서를 염두에 둔 카드. 서류가 쌓인 모양도 레오 코퍼레이션 본사와 비슷하다.

특이하게도 융합, 싱크로, 엑시즈는 물론 원작에도 없던 링크는 있는데 정작 펜듈럼과 의식은 없다. 의식이야 DD 카드군에 존재하지 않는 소환법이니 그렇다고 쳐도 펜듈럼 몬스터는 DD에도 많음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융합, 싱크로, 엑시즈, 링크 몬스터들이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되는 반면 펜듈럼 몬스터는 메인 덱에 투입되어 패에서도 펜듈럼 소환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아티팩트-데스사이즈와 유사하게 상대의 엑스트라 덱 봉인을 염두에 둔 효과로 유추된다. 원작에서도 펜듈럼 소환의 창시자가 따로 존재했다는 점은 기묘한 부분.
수록 시리즈
2021-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JP056 |

[[노멀|
N
노멀
]]
2022-0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KR056 |

[[노멀|
N
노멀
]]
2022-02-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EN056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30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노멀|
N
노멀
]]

12.2. 함정 카드

12.2.1. 발키리의 계약서

파일:戦乙女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발키리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戦乙女<rp>(</rp><rt>ヴァルキリー</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Witch,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DD(디디)" 카드나 "계약서" 카드를 1장 묘지로 보내고\,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마법 & 함정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악마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턴 동안 1000 올린다.,
효과3=③: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이름은 전처녀라고 쓰고, 발키리라고 읽는다.

1턴에 1번, 패의 DD나 계약서를 1장 묘지에 보내고 필드의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는 지속 함정. 썬더 브레이크와 같이 앞, 뒷면이나 종류를 가리지 않고 파괴할 수 있기에, 마함을 상대로 사용하는 편이 더 유용하다. 견제 카드가 부족한 DD에게는 가뭄의 단비같은 효과. 묘지로 보낼 카드로는 대부분 DD, 그것도 일반적으로는 묘지로 가지 않는 펜듈럼 몬스터인 헬 아마게돈 등을 보내고 테무진의 효과로 끌어올리거나, 나이트 하울링을 위한 타겟을 미리 마련해 놓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단, 지속 함정이므로 효과 선언을 한 직후 싸이크론이나 트위스터 등에 체인당하면 스펠 스피드 탓에 상당히 암울해진다. 효과 선언 후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등으로 패로 띄워져도 파괴 효과는 불발이 되어 패만 버리는 수가 있으니 주의.

다른 효과로 상대 턴에 자신의 악마족 몬스터의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함정 카드인지라 데미지 스텝에 기습적으로 발동해 상대를 낚아줄 수도 있다. 또한 상대 턴에 DD 몬스터들의 공격력이 대부분 3000을 넘기게 되어 쉽사리 전투로 파괴당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러 장을 한꺼번에 발동해 상대 턴에 폭발적인 공격력 상승을 얻는 것도 가능하지만, 여러 장이 패에 잡혔다간 전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니 보통 1장 정도만 투입한다. 아쉽게도 자신 턴에는 공격력 상승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

일러스트에는 이름대로 마법의 지배자때 나왔던 일반 몬스터인 발키리들이 그려져 있다. 뒷배경은 신의 거성-발할라로 보인다.

원작에서는 파괴 효과가 없었다.
수록 시리즈
2014-08-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JP010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5-12-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JP036 |

[[노멀|
N
노멀
]]
2014-1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PRG-KR010 |

[[노멀|
N
노멀
]]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6-03-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0-KR036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95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70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35 |

[[노멀|
N
노멀
]]

12.2.2. 오봉의 계약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631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오봉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誤封<rp>(</rp><rt>ごふう</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Errors,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필드에 "DD(디디)"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필드의 다른 함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일러스트에 그려져 있는 카드는 데먼즈 체인. 칼이 데먼즈 체인을 가리키고 있고, 체인이 압정에 박혀 있는 걸 봐서는 무효화시키겠다는 뜻인 듯 하다. 효과도 계약서판 트랩 스턴이다.

자신 턴에 사용해서 발키리의 계약서의 디메리트를 정지시키고 카운터 함정마저 무효화할 수 있는 고성능의 카드다. 주로 함떡 덱을 상대할 때를 대비하여 사이드 덱에 1장 투입한다.
수록 시리즈
2015-07-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JP069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KR069 |

[[노멀|
N
노멀
]]
2015-11-0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CS-EN069 |

[[노멀|
N
노멀
]]
2016-09-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16-EN155 |
2016 MEGA-TINS MEGA PACK

[[노멀|
N
노멀
]]
2017-01-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PD-EN036 |

[[노멀|
N
노멀
]]

12.2.3. 상암의 계약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6383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상암의 계약서,
일어판명칭=<ruby>常闇<rp>(</rp><rt>とこやみ</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Eternal Darkness,
효과1=①: 자신의 펜듈럼 존에 "DD(디디)" 카드가 2장 존재할 경우\, 상대는 필드의 몬스터를\, 마법 / 함정 카드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으며\, 어드밴스 소환의 릴리스로 할 수 없고\,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의 소재로도 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펜듈럼 존에 DD 카드가 2장 존재할 시, 필드의 몬스터를 융합, 싱크로, 엑시즈 소환을 못하게 막아주며, 어드밴스 소환 봉쇄 및 마함의 효과 대상으로 못 하게 하는 효과를 지닌 견제 카드이다. 조건만 만족하면 엑스트라 덱의 사용을 봉인하는 강력한 카드가 되지만, 함정 카드라 발동이 느리며, 링크 소환은 전혀 견제할 수 없고, 이 카드 자체가 필드에 벗어나거나 펜듈럼 존의 DD 카드가 1장만 사라지더라도 애물단지가 되기 때문에 견제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필드의 몬스터를 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막으므로, 덱이나 패, 묘지에서 융합 소재를 충당하거나 묘지에서의 싱크로 소재 사용은 막을 수 없다.
수록 시리즈
2017-01-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JP068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4-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KR068 |

[[레어(유희왕)|
R
레어
]]
2017-05-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ACR-EN068 |

[[레어(유희왕)|
R
레어
]]

12.2.4. 이차원의 계약서

파일:異次元の契約書.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이차원의 계약서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異次元<rp>(</rp><rt>いじげん</rt><rp>)</rp></ruby>の<ruby>契約書<rp>(</rp><rt>けいやくしょ</rt><rp>)</rp></ruby>,
영어판명칭=Dark Contract with the D.D.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계약서" 카드 2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상대의 필드 /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제외한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자신은 1000 데미지를 받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500 LP 회복한다.)]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발매된 계약서 카드.

①의 효과는 전뇌계문-쭈치에크리스트론 클러스터 같은 묘지 자원을 회수하면서 발동하는 제거 효과. 필드의 카드만 파괴 가능한 발키리의 계약서와 달리 묘지의 카드도 건드릴 수 있고, 파괴가 아닌 제외를 하는 점은 강력하나 13기 이후의 DD는 전개 과정에서 계약서를 영왕과 지옥문 딱 둘만 사용한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 오히려 빌가메스의 효과 발동을 막는 영사왕을 자괴해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주는 발키리의 계약서만도 못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②의 효과는 계약서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스탠바이 페이즈에 데미지를 입는 효과인데, 이 카드는 파괴되면 500(상대가 파괴하면 1000) LP를 회복하는 ③의 효과로 어느 정도 그 페널티를 상쇄할 수 있다.

일러스트의 몬스터는 이차원으로의 안내인이차원의 여전사.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73 |

[[노멀|
N
노멀
]]

12.3. 관련 함정 카드

12.3.1. 리스 론더링

파일:契約洗浄.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리스 론더링,
일어판 명칭=<ruby>契約洗浄<rp>(</rp><rt>リース・ロンダリング</rt><rp>)</rp></ruby>,
영어판 명칭=Contract Laundering,
효과1=①: 자신 마법 & 함정 존의 "계약서"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파괴한 수만큼 자신은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은 드로우한 수 × 1000 LP 회복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리스 론더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스 론더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스 론더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같이 쓰면 좋은 카드들

메인 덱과 엑스트라 덱 전반으로 전개에 굉장히 강한 제약이 걸리기 때문에 패 트랩을 제외한 테마 외 메인 덱 몬스터는 사용하지 않는다. 들어간다고 해도 특정 덱에 대한 대처용으로 사이드 덱에 저격용 몬스터를 넣는 것이 전부.

13.1. 엑스트라 덱 몬스터

본디 DD덱은 DD 라미아를 활용한 연속 싱크로로 각종 싱크로 퍼미션 몹을 꺼내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DD 그리폰의 발매로 오히려 엑시즈 쪽이 더 활용하기 쉬워지고, 엑스트라 덱도 DDD 몬스터 위주로 투입하게 됨에 따라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형태가 크게 바뀌게 되었다. 13기 지원 이후에는 영왕의 계약서의 제약까지 추가되며 안 그래도 적은 비 DD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비중이 더욱 감소하게 되었다. 특히 영사왕 원 핸드의 경우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소환하기 전에 무조건 영왕의 계약서를 경유해야 하기 때문에 비 DD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사용할 수 없는데다, 원 핸드로 5소환 이내에 제우스를 띄우고 묘지에 DD와 계약서를 놓는 빌드가 개발되며 바로네스의 중요성이 감소해 아예 모든 엑스트라 덱 몬스터를 DD 카드로 채우는 경우도 늘어났다.

13.2. 마법/함정 카드

===# 퇴역 파츠 #===

14. OCG화되지 않은 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DD(유희왕/카드군)/OCG화되지 않은 카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유희왕/카드군)/OCG화되지 않은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DD(유희왕/카드군)/OCG화되지 않은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둘러보기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라이벌들의 카드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DM GX 5D's
푸른 눈
XYZ
암드 드래곤
VWXYZ
방해꾼
레드 데몬
레조네이터
사이버
사이버 드래곤
사이버 다크
사이버네틱
데스티니 히어로
보옥
보옥수
궁극보옥신
ZEXAL ARC-V VRAINS
샤크 DD
DDD
계약서
바렛
바렐
토폴로직
포톤
갤럭시
갤럭시아이즈
SEVENS 고 러시!!
기아스
드래곤즈
드래고닉
더☆
보이드베르그
}}}}}}}}} ||

DD 관련 카드군
DD 계약서 사위왕

아카바 레이지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DD · DDD · 계약서 · 사위왕
서브 에이스 서브 에이스 진화체
DDD 열화왕 테무진
DDD 질풍왕 알렉산더
DDD 노도왕 시져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
DDD 열화대왕 이그제큐티브 테무진
DDD 질풍대왕 이그제큐티브 알렉산더
DDD 노도대왕 이그제큐티브 시져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
DDD 쌍효왕 칼리 유가
에이스 에이스 진화체/최종 몬스터
ARC-V
DDD 사위왕 헬 아마게돈
코믹스
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
ARC-V
DDD 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게돈
DDD 초사위왕 화이티스트 헬 아마게돈
DDD 초사위왕 다크니스 헬 아마게돈
코믹스
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
GO-DDD 신령왕 제로갓 레이지
OCG
DDDD 위차원왕 아크 크라이시스
}}}}}}}}} ||



[1] 신령왕과 운명의 왕은 공격력이 0/?이지만 이들도 DDD에 해당.[2] 해당되는 카드는 토마스/괴치왕/사구왕/영사왕/초차원통황(몬스터 효과 한정), 엑스트라/카운트 서베이어/초사위왕 퍼플리시 헬 아마겟돈/(펜듈럼 효과 한정), 바이스 튜폰/니콜라/운명의 왕/질풍대왕 등이 있다.[3] 해당 팩에서는 DD 이외에도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 젬나이트마스터 다이아, XX-세이버 가톰즈LDS 소속 학생들이 사용한 카드들이 재록된다.[4] 미 OCG화 카드.[5] 零児(레이지)+王(오우)라는 말장난으로 볼수도 있다.[6] 말장난 이기는 하나 유일하게 회사 직책 등과는 관계 없다.[7] 이 몬스터는 패왕룡 즈아크패왕천룡 오드아이즈 아크레이 드래곤에 대응하는 몬스터로 추정되기에 이 아크는 아크파이브의 "Arc"로 보인다. 이외에도 일본어 발음이 동일한 "Arch"로 볼 경우, "최고 통치자"라는 뜻도 있다.[8] 예시: Odd-Eyes Pendulum Dragon, Exodia, the Forbidden one[9] 당연히 9기 시점에는 없었고 이후 지원을 받았다.[10] DD 다음으로 넘어가면 제왕 덱이 나오는데, 이 덱의 승수가 DD의 2/3 정도로 통계가 나오고 있다.[11] 싱크로 축은 하리파이버의 금지 이후 완전히 몰락하여 사장되었고, 현재는 엑시즈 몬스터에 더 비중을 두는 엑시즈 축이 주류이다.[12] 심지어 인빈시블 레이드에서 지원이 출시되었을 때도, 그로부터 며칠 전에 기존 카드들의 전용 소환 연출을 추가해주는 패치에서도 전용 소환 연출을 받지 못했다.[13] 보통 스월 슬라임과 네크로 슬라임 콤보를 주로 사용한다.[14] 주로 펜듈럼 몬스터들을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로 바꾸어 로봇 링크 전개를 타는 것이 주 목적이었던 세피라헤비메탈포제 엘렉트럼과 함께 케플러-지옥문-라미아 파츠를 이용하였다.[15] 예를 들어 케플러 1핸드에서 ①의 효과로 2장째 테무진을 꺼내거나, 코페르니쿠스 기반 2핸드에서 ②의 효과로 다른 4레벨 DD를 꺼내 빌가메스로 잇는 경우가 있다.[16] 펜듈럼 효과가 조건만 만족되면 스스로 파괴되어 엑스트라 덱에 쌓이므로.[17] 케플러 1핸드(다만 4소재 사치왕을 뽑는 방법도 있다.), 코페르니쿠스+라미아 등이 있다.[18] 주의할 점은 특수 소환하면 디메리트에 걸려 뽑는 게 불가능하니 무조건 일반 소환으로 뽑아야 한다.[19] 사실 미요시 나오히토는 제알 코믹스 때부터 종종 이런 실수를 하곤 했다. 예를 들면 캡틴 콘이 쓴 콘 그물의 효과라던가...[20] 여담으로 gx 코믹스에서 주인공 라이벌 캐릭터인 만죠메의 에이스 몬스터의 공격력 또한 2800이다.[21] 애니에서 DD 마도현자 토마스와 DD 마도현자 니콜라의 얼굴이 클로즈 업 될 때 보면은 토마스만 아랫쪽 부분을 클로즈업한다.[22] 더빙판 : 어서 나와라, 신들의 황혼에 심판을 내리는 최고의 신! 「DDD 괴치왕 어비스 라그나로크」![23] 상술했듯 사치왕의 효과로 계약서를 깨 이 카드를 부르는 연계도 가능하다.[24] 하필이면 이 카드의 정보가 일본의 어머니날의 다음 날에 올라온 소식이라 어머니를 어머니날 기념으로 카드화했다고 아카바 레이지가 불속성 효자라는 밈이 돌고 있다.[25] 듀얼링크스 더빙판 : 시간의 어둠 속에 숨어있는 패러다임, 필연적인 힘이 인과율의 악마를 잠에서 깨운다!「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 / 링크스에서는 '특수 소환!'이라고 외치는 구절이 제외되었다.[26] 원작에서는 유우야의 '펜듈럼 매치'의 효과에 의해, 다크 앤서리온 드래곤과 같은 스케일 10의 몬스터로서 덱에서 특수 소환되었다.[27] 이 때문에 원작에서는 '제로 그래비티'라는 자신과 상대의 덱을 하나로 취급하는 룰파괴 카드를 사용하여 아이작의 덱에 있던 몬스터를 연속 특수 소환하는 기행을 벌였다.[28] 본 구절 중 '암야(闇夜=어두운 밤)'의 발음은 '야미요'로 한다. 극중에서도 '야미요니 이자나우'로 말하는 것을 알 수 있다.[29] TVA 더빙판 : 지옥의 성난 맹견이여! 어둠으로 유혹하는 요부여! 소용돌이치는 저승의 빛 속에서, 지금 하나가 되어 새로운 왕을 태어나게 하라! 융합 소환! 탄생하라,「DDD 열화왕 테무진」![30] 소환영창 앞구절인 '송곳니를 드러낸 지옥의 번견(DD 케로베로스)'와 '암야로 꾀어내는 요부(DD 릴리스)'는 각각 융합 소재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융합 소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고정된 영창이 아니다. 때문에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소환영창 중 소재를 호명하는 파트를 자르고 '지금 하나가 되어~'부터 영창하는 것으로 변경하였다. 이는 링크스 한국 더빙도 마찬가지.[31] 물론 2장 쓸 게 한 장이 되었다는 것이지, 여전히 잘 써먹는 필수 카드다. 2장째 테무진의 역할을 클로비스가 맡게 되었을 뿐.[32] 링크스 더빙판 : 지금 하나로 녹아들어 진정한 왕으로 거듭나라! 융합 소환! 나와라, 신의 위력을 전하는 왕!「DDD 신탁왕 다르크」![33] 소환영창 앞구절인 '긍지 높은 기사(DD 프라우드 슈발리에)'와 '재앙을 봉한 도가니(DD 판도라)'는 융합 소재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해당 구절은 융합 소재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고정된 영창이 아니다.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영창 중 소재에 관한 언급은 커트하고 영창의 구절도 '지금 하나로 녹아들어(今ひとつに融け込み)'로 통일하였다.[34] No.77 더 세븐 신즈가 구하기 어렵다 보니 대신 이 카드를 쓰는 경우도 있었다.[35] 지속효과라 듀얼링크스에서는 외치지 않는다.[36] 다른 용도로는 네크로 슬라임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위차원왕의 소재로 사용할 융합 몬스터를 공급하는 용도.[37] 링크스 더빙판 : 지금 하나가 되어 용마저 쓰러트리는 용사가 되어라!「DDD 극룡왕 베어 울프」![38] 소환영창 앞구절인 '혼돈스러운 이 세계의 앞날을 지켜보는 왕(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와 '미래에 흐르는 피(DD 라미아)'는 위와 마찬가지로 소재에 따라 달라지는 영창이기에,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소환영창에 관한 언급을 커트하고 '지금 하나가 되어 용조차 쓰러트리는 용자가 되어라!(今一つとなりて、竜をも倒す勇者となれ!)'라는 범용 표현으로 바꾸었다.[39] TVA/링크스 더빙판 : 모든 것을 깨부수고, 새로운 세계를 개척하여라! 융합 소환! 어서 나와라, 극한의 독재신! 「DDD 노도괴치왕 카이사르 라그나로크」![40] 등 뒤의 하얀 장발 때문에 디자인적 모티브는 아카바 레이라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다.[41] TVA/링크스 더빙판 : 어둠을 가르는 외침이여, 질풍 같은 움직임으로 새로운 왕을 탄생시켜라! 싱크로 소환! 탄생하라, 레벨 7「DDD 질풍왕 알렉산더」![42] 링크스 더빙판 : 붉게 물든 그 검을 앞세우고 영웅들의 시체를 넘어서 가라! 싱크로 소환! 탄생하라! 레벨 8「DDD 주혈왕 사이프리트」![43] 대표적으로 배너티 스페이스를 자신 턴에만 무효로 해서 상대에게만 특수 소환을 봉쇄한다던지.[44] DD 덱에서는 주로 발키리의 계약서, DDD의 인사권을 사용한다.[45] 다만 일적의 경우에는 3종류를 전부 버리면 못 막는다.[46] 카운트에 자신을 제외하는지는 불명.[47] 도미나스 임펄스가 투입되기 시작하며 바람 속성 파츠가 전부 나가리된 것도 컸다. 그나마 본 카드의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6000 타점은 지속 효과라 임펄스를 패에서 발동했어도 유지되지만, 설상가상으로 이 카드까지 넣을 엑스트라 덱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발목을 잡는다.[48] 더빙판 : 함락할 수 없는 무적의 왕이여! 지금 유구한 시간을 뛰어넘어 강림하라! 엑시즈 소환! 탄생하라! 랭크 3「DDD 반석왕 다리우스」![49] TVA/링크스 더빙판 : 세상의 모든 걸 지배하기 위해 지금 이 세계의 정상으로 내려와라! 엑시즈 소환! 탄생하라! 랭크 4「DDD 노도왕 시져」![50] 다만 외래어 표기법/일본어를 따르면 시"져"가 아닌 시"저"로 번역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흔히 알려진 표기법도 시저 쪽이 더 유명하다. 아마도 Scissor(가위)의 한글 표기인 '시저'(일어 표기로는 'シザー' )와 구분하기 위한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51] Q:①の効果で特殊召喚したモンスターが次のスタンバイフェイズにフィールドに存在しない場合でもダメージを受けますか?A:はい、その場合でもバトルフェイズ終了時に特殊召喚したモンスターの数×1000ダメージを受けます。(번역 : Q :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다음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데미지를 받나요? A : 예, 그 경우에도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수 × 1000 데미지를 받습니다.)(14/07/21)[52] 심원(深遠):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깊음.[53] TVA/링크스 더빙판 : 영웅의 이름을 받은 자여, 깊고 원대한 뜻으로 이 세상의 모든 것을 꿰뚫어라!
엑시즈 소환! 강림하라, 랭크 5!「DDD 저격왕 텔」!
[54] 이후에 성우가 같은 다른 캐릭터의 지원으로 같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어원으로 하는 몬스터가 나온 점이 재미있는 부분.[55] 마듀에서 사위왕의 레어도는 SR, 하다못해 R도 아닌 꼴랑 N(노멀) 등급이다(…)[56] 그리폰을 간접 서치하기 위한 짝. 필드나 묘지에 계약서가 있을 경우, 그리폰의 펜듈럼 효과로 필드의 빌가메스 등을 지정한 후 자괴하고, 토마스의 펜듈럼 효과로 그리폰을 패에 넣는다.[57] 엑스트라 덱의 케플러나 패의 네크로 슬라임, 라미아를 펜듈럼 소환한 후 케로베로스의 펜듈럼 효과로 이들을 레벨 4로 만든다.[58] 본래 사용자가 같고 테마가 같아 시너지를 노리고 있다 할지라도 애니메이션과 코믹스는 언제나 구분되어왔다. 엘리멘틀 히어로를 예로 들면 에어맨이 아무리 실전구축에서 필수카드라 할지라도 애니메이션 관련 지원 카드에서 그려진 전적은 존재하지 않는다.[59] 그러나 현 DD 몬스터들은 DD덱에서는 묘지에 남아있는 경우보다 효과나 코스트 등으로 제외되기 바쁜 실정이라 DDD 몬스터들이 묘지에서 조건을 만족할 확률이 더 높다. 상향이라고 보기에도 하향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한 상황.[60] 이후 패왕성이 다크 퓨전 외의 다른 카드로도 이블 히어로 융합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나왔기에, 실제로 이 카드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61] 네가로기어 아제우스, 액세스코드 토커, 신염룡이나 낙인룡을 소재로 나오는 빙검룡 미라제이드 등.[62] 단 이쪽은 '~때, 할 수 있다.' 이기 때문에 체인 2 이상에서 소환되면 효과 발동이 안 되므로 주의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계약서(유희왕)]]}}}{{{#!if external != "o"
[[계약서(유희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uuid=fc727bc5-e332-4e32-9064-562c0bbf1137|r10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uuid=fc727bc5-e332-4e32-9064-562c0bbf1137#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계약서(유희왕)?from=10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계약서(유희왕)]]}}}{{{#!if external != "o"
[[계약서(유희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uuid=fc727bc5-e332-4e32-9064-562c0bbf1137|r10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계약서(유희왕)?uuid=fc727bc5-e332-4e32-9064-562c0bbf113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계약서(유희왕)?from=10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DDD(유희왕/카드군)]]}}}{{{#!if external != "o"
[[DDD(유희왕/카드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uuid=cb71793b-c6c1-490c-afa1-7fa7b0fd755c|r15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uuid=cb71793b-c6c1-490c-afa1-7fa7b0fd755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DDD(유희왕/카드군)?from=158|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DDD(유희왕/카드군)]]}}}{{{#!if external != "o"
[[DDD(유희왕/카드군)]]}}}}}}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uuid=cb71793b-c6c1-490c-afa1-7fa7b0fd755c|r158]]}}}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DDD(유희왕/카드군)?uuid=cb71793b-c6c1-490c-afa1-7fa7b0fd755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DDD(유희왕/카드군)?from=158|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DDD 초시왕 제로 맥스웰,version=48, uuid=87548c08-e244-4cf4-9a9f-6b6044f0b721,
title2=DDD 운명의 왕 제로 라플라스,version2=52, uuid2=eeb2f40d-5655-4f0a-8d96-90332926d319,
title3=DDD 사구왕 바이스 레퀴엠,version3=45, uuid3=51cd9195-6819-4e7d-aabb-e6be25ff9008,
title4=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version4=76, uuid4=1fc9bdd0-7181-410f-8e7d-0a41e7bf176c,
title5=DDDD 초차원통황 제로 패러독스,version5=52, uuid5=ce99b9e7-a544-419c-bc66-86c2073f1040,
title6=DD(유희왕/카드군)/OCG화되지 않은 카드,version6=34, uuid5=ce99b9e7-a544-419c-bc66-86c2073f10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