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해황머메일]]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바다 관련 카드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 "바다" ]][[해황(유희왕)| 해황 ]][[머메일| 머메일 ]][[심해(유희왕)| 심해 ]][[환황룡| 환황룡 ]][[염왕| 염왕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의 등장인물 카지키 료타를 지원하기 위해 등장한 맨 위 바다(유희왕)/서포트 카드를 제외한 아래의 다섯 테마는 같은 세계관이다. |
<colbgcolor=#424D9C> 해황 | |||||
<nopad> 해황룡신 포세이도라 어비스 | |||||
한글판 명칭 | <colbgcolor=#fff,#191919> 해황 | ||||
일어판 명칭 | [ruby(海皇, ruby=かいおう)] | ||||
영어판 명칭 | Atlantean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물 | 해룡족, 물족 | 효과, 엑시즈 |
1. 개요
<nopad>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25주년 특별영상 캡처본 Yu-Gi-Oh! CARD GAME THE CHRONICLES "불타는 대해 염왕 vs. 해황"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환영의 어둠에서 시조인 해황의 장창병이 등장하고, 이후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해황의 돌격병이 등장했다. 해황의 돌격병이 등장했을 때까지만 해도 그저 장창병의 오마주격 카드라고 생각되었지만, 직후 공개된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에서 저격병의 존재로 하나의 카드군으로 승격했다.일러스트를 잘 보면 해황병들은 전부 동일 개체 여러 마리가 같이 있는 것이 보인다. 장창병 때부터 지켜져오고 있는 전통으로, 2명이 나란히 늘어서 있는 용기대를 제외하면 맨 앞에서 전신이 드러난 1명의 뒤에 검푸른 그림자 여러 명이 플레이어를 향해 달려들고 있는 것이 특징.
태그 포스 스페셜에서는 하마구치 모모에가 해황 덱을 사용했으며, 유희왕 25주년 PV에서 불타는 대해 일러스트로 모습을 비췄다.
2.1. 설정
남쪽 바다에 존재하던 세력으로 그 리더는 해황룡 포세이도라.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를 포식하고 포세이도라로 성장한 진해황 트라이돈은 그 주체할 수 없는 식욕을 만족시키기 위해 해황 군단을 결성한다. 포세이도라는 바다 뿐만 아니라 육지까지 세력을 확장시키기를 원했고, 군대를 앞세워 남쪽 바다 육지 곳곳의 약한 세력들을 공격해 하나씩 점령하며 어느새 거대한 세력으로 성장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염왕들이 살고 있는 화산지대만은 거센 반격에 밀려 점령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 염왕에 대한 1차 침공은 불타는 대해의 일러스트에서 볼 수 있다.그러던 중 해황군은 지각변동에 의해 망각의 도시 레뮤리아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그 통에 머메일의 여왕이 팔찌를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팔찌를 얻으면 머메일의 왕이 될 수 있다고 전해지는데, 레뮤리아의 부상으로 머메일이 혼란에 빠진 틈을 타 해황은 그 팔찌를 손에 넣고 머메일을 강제로 자신들의 지배 아래 두게 되었다. 머메일을 선봉에 세워 염왕의 성역에 다시 공격을 감행했고 팔찌의 힘까지 등에 업은 포세이도라는 이전에 비해 싸움을 우세하게 이끌 수 있었다.
그러나 기세 등등해져 팔찌를 직접 착용하기에 이른 포세이도라는 팔찌 속에 깃들어 있던 머메일의 왕에게 육체를 허무하게 빼앗겨 버린다. 팔찌를 손에 넣으면 머메일의 왕이 될 수 있다는 것은 그런 의미였던 것. 머메일의 여왕 어비스트리테가 팔찌를 숨겨 놓았던 것도 왕의 등장에 희생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그렇지만 가이오어비스가 포세이도라의 몸을 차지한 이후에도 가이오어비스는 머메일의 부흥을 위해 염왕 세력에 대한 공격을 멈추지 않고 2차 침공을 가한다. 결국 가이오어비스는 결집한 염왕신의 반격으로 후퇴하게 된다.
그런데 무리한 전투로 가이오어비스의 힘이 약해지자 그 틈을 타 포세이도라가 다시 정신의 주도권을 잡았다. 사실 포세이도라는 아군인 해황군이 쓰러질 때마다 그 영혼을 제물삼아 힘을 되찾고 있었던 것이다. 가이오어비스의 힘을 빼앗은 포세이도라는 팔찌를 둘로 쪼개서 가이오어비스를 자신으로부터 분리해내 넵트어비스로 만들었다. 팔찌의 힘이 약화되면서 머메일들은 지배에서는 벗어났지만, 해황에게 다시 복수를 하기 위한 어비스트리테는 그 사실을 숨긴 채 복종하며 공투하는 척하고 있었다.
그 사실을 모르는 포세이도라는 약화된 힘을 되찾고, 염왕의 섬에 3차 침공을 가한다. 우두머리간의 싸움에서는 염왕신 가루도닉스가 가진 팔찌에 포세이도라의 팔찌도 호응하면서 삼두룡으로 진화한다. 하지만 뒤에서 독립을 꿈꾸던 머메일은 넵트어비스의 기억을 되찾는 데 성공하면서 머메일의 새로운 왕으로 등극해, 해황군에서 독립을 선언해버린다. 거기에 어비스팀의 일러스트에서는 포세이도라에게 착취당하던 해황군마저도 머메일 병력과 수평적으로 팀을 맺은 모습을 보였다.
2.2. 성능
해황 몬스터 카드의 공통 효과 | |
①: (고유 효과) 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고유 효과) | |
카드명 | 고유 효과 |
해황자 넵트어비스 | <colbgcolor=#fff,#191919>②: 자신 묘지의 "해황"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대상 지정) |
해황의 중장병 | ②: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대상 지정) |
해황의 저격병 | ②: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파괴한다. (대상 지정) |
해황의 용기대 | ②: 덱에서 해룡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
머메일의 심영대 | ②: 레벨 4 이하의, "해황" 몬스터나 "머메일"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
물 속성, 해룡족으로 이루어져 있는 카드군.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 발동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효과가 발동하는 공통 컨셉이 있다.
2024년에 샤크 드레이크가 등장하기 전까지 오랜 세월 동안 유일한 해룡족 카드군이었다. 사실 해황의 존재 자체가 새로운 해룡족 카드군의 출현을 억제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 용기대의 효과로 모든 해룡족 몬스터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해황이 첫 출시된 당시에는 부진의 끝을 달리던 해룡족에게 한 줄기의 빛이 되어 주었다.
제알 시대 테마답게 코스트 사용시의 효과는 임의 효과가 아닌 강제 효과이므로 운용시에 주의가 필요하다. 게다가 이런 특성은 9기 이후 카드인 해황자와 심영대에도 계승되어버려서 적절치 않은 상황에서도 강제로 발동되어서 카드명 턴제를 소모하는데, 덱 특소인 심영대는 불발날 일이 사실상 없으니 별 상관 없지만 해황자는 묘지에 대상 찍을 몬스터가 없는 상황에서도 괜히 발동되어 불발나고 난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머메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머메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유희왕 듀얼링크스
항상 머메일과 섞어 썼던 OCG의 해황과 다르게, 이쪽은 OCG와는 공통점을 찾을 수 없는 완전한 별개의 형식의 덱으로 구축되었다. 핵심은 물 속성 몬스터들을 4레벨로 만들어 심연에 숨은 자의 소재로 만들 수 있게 하는 스킬 '상어의 영역'을 이용해 해황 몬스터들의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질 때 발동하는 견제 효과를 프리 체인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자세한 것은 료(유희왕 듀얼링크스) 참조.3. 일반 몬스터
3.1. 레벨 2
3.1.1. 해황의 장창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해황의 장창병,
일어판명칭=<ruby>海皇<rp>(</rp><rt>かいおう</rt><rp>)</rp></ruby>の<ruby>長槍兵<rp>(</rp><rt>ながやりへい</rt><rp>)</rp></ruby>,
영어판명칭=Atlantean Pikeman,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2, 공격력=1400, 수비력=0,
효과외1=해저를 지배하고 있다는 해왕을 섬기는 장창병. 깊고 어두운 바다 속에서 덮쳐오는 장창의 연속 공격은 심해어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희왕의 모든 레벨 2 몬스터 중 공격력이 세번째로 가장 높은 카드.[1] 해황 테마와 연계할 방법은 없다.
이 카드가 처음 나왔을때엔 GX가 방영 중이었기에 뜬금포 수준이었다.
사실 하극상의 목걸이를 머더 서커스 좀비(레벨 2의 공격력 1350)에다가 붙여서 놀던 때 나온거라 하극상의 목걸이 활용을 위해 만든 것이라고도 한다. 정크 워리어와 같이 쓰면 1장만으로도 정크 워리어의 공격력을 3700으로 만들어 줄 수 있다. 그 외에도 2레벨의 일반 몬스터니 사우전드 에너지로 강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족까지 물족이었다면 습지초원의 효과를 받아 금상첨화였겠지만 마지막 양심으로 해룡족.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환영의 어둠 | PTDN-KR00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스타터 덱 2008 | YSD3-KR009 | 노멀 | 한국 |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5 | 노멀 | 한국 | |
PHANTOM DARKNESS | PTDN-JP00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스타터 덱 2008 | YSD3-JP009 | 노멀 | 일본 | 절판 |
DUELIST EDITION Volume 2 | DE02-JP066 | 노멀 | 일본 |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5 | 노멀 | 일본 | |
Phantom Darkness | PTDN-EN00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Starter Deck: Yu-Gi-Oh 5D's | 5DS1-EN009 | 노멀 | 미국 |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5 | 노멀 | 미국 |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1
4.1.1. 해황자 넵트어비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자 넵트어비스,
일어판명칭=<ruby>海皇子<rp>(</rp><rt>かいおうじ</rt><rp>)</rp></ruby> ネプトアビス,
영어판명칭=Neptabyss\, the Atlantean Prince,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1, 공격력=80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해황자 넵트어비스" 이외의 "해황"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해황자 넵트어비스" 이외의 "해황"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해황자 넵트어비스" 이외의 자신 묘지의 "해황"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크로스오버 소울즈에서 일본판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등장.
1번 효과는 해황판 제넥스 운디네. 묘지로 보내는 것이 해황 몬스터로 한정되어 있지만 어차피 운디네가 하는 일이라곤 해황을 보내고 컨트롤러를 가져오는 것이 끝인 반면, 이 카드는 딱히 쓸 데가 없는 컨트롤러 대신 애초에 패 코스트로 써먹으라고 디자인된 해황 몬스터를 가져오는데다가, 용기대가 준제로 풀려서 1턴에 용기대의 서치 효과를 두번 쓸 수 있는 점도 강력하다. 동시에 하급 해황 공통의 코스트 사용시 효과도 내장되어 있어 다용도로 쓸 수 있다.
유발 효과였던 운디네와 달리 이쪽은 기동 효과이며 운디네는 다른 물 속성 몬스터도 묻을 수 있기에 운디네의 상위 호환은 아니고 상호 호환이기는 하지만, 해황 덱에서는 역시 이 카드가 우선이 된다. 제넥스 운디네와 이 카드를 같이 쓰는 덱들도 있지만 이 카드 3장에 심해의 디바, 원 포 원까지 채워 넣고도 부족하다고 느낄때 넣는 정도. 게다가 해황덱에서 이 카드가 묻을 수 없었던 폭정룡-타이달은 2015년 4월부터 OCG에서 금지 카드다.
참고로 묘지로 보내는 것은 운디네와 같은 제정인 코스트로 취급하기 때문에 하루 우라라에 맞아도 서치만 무효화되고 덤핑은 여전히 가능하다.
게다가 빙결계의 수송부대를 외롭지 않게 해 주는 레벨 1 해룡족이라는 점도 중요한데, 해황머메일이 즐겨 사용하는 심해의 디바는 물론이고 전술한 저격병의 효과와 원 포 원, 부상, 샐비지 전부에 다 대응되기 때문에 이 카드 자체의 서치/리크루트/샐비지/소생 전부가 엄청나게 쉽다. 레뮤리아를 채용하면 디바 한장으로 빙결계의 용 궁니르 등의 레벨 7 싱크로 몬스터도 소환 가능하며 레뮤리아 없이 디바와 함께해 둘을 소재로 타츠노코, 하조 클라우솔라스를 싱크로 소환할 수도 있다.
특이하게도 기존의 해황 몬스터들과 달리 서치하는 종류가 해황 "카드"다. 덕분에 해황의 포효도 서치 가능. 물론 그 포효가 딱히 좋은 카드는 아니다 보니 성능이 뛰어난 해황 마법/함정 카드가 추가되어야 이 점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2번 효과는 해황 특유의 코스트로 보내졌을 때의 효과로, 이 카드 이외의 묘지의 해황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게 해준다. 묘지의 하급 해황들을 소환해도 좋고, 해황덱의 잊혀진 에이스인 포세이도라를 불러도 된다. 포세이도라를 채용할 경우 소환 코스트로 사용해 포세이도라 소환 후 허전해진 필드에 몬스터를 추가로 남길 수도 있고 자체 효과로 포세이도라를 소생시켜 랭크 7 엑시즈 소환이나 2800짜리 고타점 몬스터로 써먹어도 좋다. 실제로 이 카드의 발매 이후에 메인 덱에 포세이도라를 투입하는 경우도 실제로 생기기 시작했다.
이 카드의 장점을 길게 써놨지만 이 카드가 해황덱에 끼친 가장 큰 영향은 뚜렷한 콤보를 만들었다는 것. 이 카드의 등장 이전 해황은 강력한 덱으로는 평가받고 있었으나 무슨 카드를 뽑고, 그 카드를 중축으로 무슨 콤보를 잇는다는 개념이 없었다. 그저 상급 몬스터가 패에 잡히면 그걸 쓰고 안 잡히면 하급 머메일이나 엑시즈 등으로 하급 해황을 소비해 어드밴티지를 벌며 적에게 타격을 준다거나 디바를 이용해 1턴만에 고급 싱크로 몬스터를 뽑는다 정도만 있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해황자 단 하나만 뽑는데 성공해도 뒤이어 콤보가 연속적으로 일어나며 막대한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는 방법을 해황 덱에게 선물했을 뿐 아니라 "해황이 이길 수 없는 적이라면?"이란 질문 앞에 답이 없던 해황에게 "선턴 물랭레이스로 패를 털어버리면 되지!" 같은 입듀얼을 실제로 가능하게 만들었다. 잘 설계된 카드가 시대에 뒤쳐져가던 덱을 어디까지 날아오르게 만들어주는지 보여주는 가장 성공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결국 크로스오버 소울즈 발매 후 해황 덱의 새로운 에이스로 급부상해 해황의 새로운 전성기를 이끌었다. 월드 프리미어임에도 다음 금제 예상에 오르내렸을 정도였으며 결국 이 카드를 소환할 수 있던 핵심 카드 심해의 디바를 금제 리스트에 올리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에서 해황머메일이 다시 떠오른 이후로는 이 카드가 덱 구축 난이도를 높이는 주범이 되었었다. 몇 년간 재록되지도 않았고 스트럭처 덱 R이 사실상 무산되면서 가격이 오르고 매물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다행이 쿼터 센츄리 아트 컬렉션에서 재록이 되면서 다시 구하기 쉬워졌다.
밸류어블EX 5에 의하면 염왕의 반격에 의해 후퇴한 가이오어비스가, 다시 주도권을 빼앗은 포세이도라에 의해 몸에서 쫓겨나 별개의 존재로 분리당한 모습. 기억조차 잃은 상태였으나 머메일의 여왕 어비스트리테는 그를 해황자로 옹립하였다.
4.2. 레벨 2
4.2.1. 해황의 중장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의 중장병,
일어판명칭=海皇の重装兵,
영어판명칭=Atlantean Heavy Infantry,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2,
공격력=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은 통상 소환 외에도 1번만\, 자신 메인 페이즈에 레벨 4 이하의 해룡족 몬스터 1장을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상대의 앞면 표시의 카드를 파괴한다.)]
빠른 전개에 특화된 몬스터. 심해의 디바로 소환한다면 순식간에 랭크 2 엑시즈나 포세이도라의 효과 발동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로 일반 소환까지 하면 랭크 1, 랭크 2, 레벨 5~8 정도의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전개에 특화된 소환 효과 보다는 카드를 파괴하는 효과가 더 주목받고 있다. 패에서나 필드에서나 코스트로 묘지행이면 무조건 발동한다. 포세이도라처럼 릴리스하는 것은 물론이고, 빙결계 일부 카드나 개구리의 효과 발동 코스트로 묘지에 가도 발동한다. 이 때문에 급하면 그냥 패 코스트 있으면서 효과가 강한 물 속성 몬스터 꺼내서 상대를 압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심지어 캣 샤크의 엑시즈 소재로 넣으면 필드에 스킬 드레인 같은 것이 깔려 있어도 상대 턴에 프리 체인 파괴를 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해황머메일 역사상 단 한 번도 덱에서 빠진 적이 없는 카드.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Astral Pack Two | AP02-EN006 | 슈퍼 레어 | 미국 |
4.3. 레벨 3
4.3.1. 해황의 돌격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의 돌격병,
일어판명칭=海皇の突撃兵,
영어판명칭=Atlantean Attack Squad,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다른 어류족 / 해룡족 / 물족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의 공격력은 800 올린다.)]
조건을 만족하면 공격력 2200으로, 발매 당시에는 나름 강력한 어태커가 되었다. 일례로 엘섀도르 미도라시와 자폭도 가능하다.
12기 시점에서는 굉해황 같은 고타점 몬스터가 이미 많아 이런 비트 몬스터는 채용되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리턴 오브 더 듀얼리스트 | REDU-KR03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6 | 노멀 | 한국 | |
RETURN OF THE DUELIST | REDU-JP03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6 | 노멀 | 일본 | |
Return of the Duelist | REDU-EN03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6 | 노멀 | 미국 |
4.3.2. 해황의 저격병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의 저격병,
일어판명칭=海皇の狙撃兵,
영어판명칭=Atlantean Marksman,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상대에게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해황의 저격병"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해룡족 "해황"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상대 필드의 뒷면 표시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상대의 뒷면 표시 카드를 파괴한다.)]
공격력 1400 주제에 전투 데미지 트리거를 가지고 있고, 파괴하는 카드도 중장병과 달리 뒷면 표시 카드라서 범용성이 떨어진다.
사실 과거에는 용기대와 같이 사용하면 ①의 효과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3레벨이라 제넥스 컨트롤러와 튜닝해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을 소환하거나 거기에 제넥스 운디네를 추가해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소환할 수도 있어 3장 풀투입되던 카드였다. 지금은 선공에 아무 쓸모가 없어 사용할 가치가 낮다. 다만 12기 들어서는 굉해황의 존재 덕분에 쉽게 능력을 격발함과 동시에 우라라를 회피하는 덱에서 세트하는 카드들을 저격하는 역할도 겸하여 사이드에서 1장 정도 커스텀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3.3. 진해황 트라이돈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1450_1.jpg[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진해황 트라이돈,
일어판명칭=真海皇 トライドン,
영어판명칭=Legendary Atlantean Tridon,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3,
공격력=1600,
수비력=800,
효과1=①: 이 카드와 자신 필드의 해룡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해황룡 포세이도라"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상대 필드에 앞면 표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추가로 그 몬스터들의 공격력은 300 내린다.)]
발매 후 부하들에게도 곧잘 버려지던(…) 해황룡 포세이도라를 지원하는 특이한 카드. 설정상 포세이도라의 어린 시절로,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를 포식하고는 해황룡 포세이도라로 진화했다. 실제로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는 해룡족이라 이 카드와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를 릴리스하고 포세이도라를 소환하면 설정을 재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효과로 소환한 포세이도라는 효과를 못 써서 아무 쓸모가 없다.
참고로 능력치는 포세이도라의 공격력에서 2000을 뺀 후 공/수를 뒤집은 것과 똑같다. 이 카드와 대비되는 듯한 염왕수 가루도닉스와는 설정상으로도 비슷한 포지션이다.
이름의 유래는 포세이돈의 아들인 트리톤으로 추정. 한편 한국판에서는 처음 카드가 발매될 때 진해왕 트라이돈으로 이름이 잘못 번역되어 나왔다가 에라타되어 진해황 트라이돈으로 되돌아왔다.
배경에 나오는 곳은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 코나미답게 코다로스-다이달로스마냥 이 카드에도 말장난이 들어가 있는데 진해황과 심해황의 표기가 같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로드 오브 더 타키온 갤럭시 | LTGY-KR033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JP033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Lord of the Tachyon Galaxy | LTGY-EN033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3.4. 머메일의 심영대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머메일의 심영대,
일어판 명칭=<ruby>水精鱗<rp>(</rp><rt>マーメイル</rt><rp>)</rp></ruby>の<ruby>深影隊<rp>(</rp><rt>しんえいた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Mermail Shadow Squad,
레벨=3, 속성=물, 종족=해룡족, 공격력=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은 룰상 "해황" 카드로도 취급한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묘지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물 속성 몬스터의 레벨은 턴 종료시까지 7 이 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머메일의 심영대"가 아닌\, 레벨 4 이하의\, "해황" 몬스터나 "머메일"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자신은 물 속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에서 등장한 몬스터. 실제 카드명에는 머메일이 적혀 있으나, 룰상 해황 몬스터로 취급되며 일러스트와 효과 컨셉도 해황 쪽에 더 가깝다.
①의 효과는 패를 1장 버리고 자신 필드의 물 속성 몬스터들의 레벨을 7로 맞추는 효과. 가이오어비스나 해황정-어비스트리테의 소환을 준비하면서 코스트로 보내진 해황의 효과를 격발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②의 효과는 해황 몬스터들의 공통 조건으로, 엑스트라 덱 물 속성 몬스터 소환 제약이 붙는 대신 덱에서 심영대 이외의 하급 해황/머메일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기존의 해황에게 용기대만으로 부족하던 전개 효과라 좀 더 다양한 플레잉을 가능하게 해준다. 최우선 순위는 해황자를 소환하는 것이고 차순위로는 어비스파이크를 소환, 상황에 따라서는 용기대나 중장병을 소환하는 상황도 연출된다. 물론 최신 카드에 덱 특수 소환이라는 강력한 효과에 비례해 명칭 제약과 엑스트라 덱 속성 제약이 이중으로 걸렸다.
버려졌을 때 의미가 있는 해황 몬스터이면서 동시에 패를 버리는 역할도 겸하는, 총으로도 총알로도 쓸 수 있는 유능한 설계의 카드. 머메일 카드군에도 속하기에 디니크어비스로 서치하거나 어비스팀으로 회수할 수 있으며, 3레벨이라서 어비스파이크의 범위에도 들어간다.
성능 외적으로는 이름 탓에 한국에서 웃음거리가 됐다. 마침 당일 방송에서 해황머메일이 공개되기 전 신지 웨버가 직접 소개한 비 포스 카드들 중 별명이 빨치산인 카드도 있어서 한국에서는 방송을 두고 야인시대 드립[2]이 흥했다. 해석해보면 '깊은 그림자 부대'라는 뜻으로, 이 깊은 그림자는 머메일의 공통 키워드인 '어비스'로도 번역할 수 있다. 일본어로는 친위대와 발음이 같다.
수록 시리즈 |
2024-07-27 |
ROTA-JP018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
2024-10-11 |
ROTA-KR018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
2024-10-11 |
ROTA-EN018 | RAGE OF THE ABYSS |
4.3.5. 해황정 어비스라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정 어비스라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정 어비스라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4. 레벨 4
4.4.1. 해황의 용기대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의 용기대,
일어판명칭=<ruby>海皇<rp>(</rp><rt>かいおう</rt><rp>)</rp></ruby>の<ruby>竜騎隊<rp>(</rp><rt>りゅうきたい</rt><rp>)</rp></ruby>,
영어판명칭=Atlantean Dragoons,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4, 공격력=180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의 레벨 3 이하의 해룡족 몬스터는 직접 공격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덱에서 "해황의 용기대" 이외의 해룡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해황의 하급 어태커겸 만능 서포터. 필드에 있을 경우 해황의 저격병의 효과 발동을 도와줄 수 있으며, 해황의 포효 등으로 대량전개하면 일제히 직접 공격해 들어가 단번에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다.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가 깔려 있는 상태라면 자신도 레벨 3이 돼 하급 몬스터가 2000으로 직접 공격 가능한 파격적인 몬스터가 된다.
중요한 건 2번째 효과. 물 속성 몬스터의 효과 발동을 위해 묘지로 보내질 경우 자신을 제외한 어떤 해룡족이든 서치한다. 주로 심해의 디바나 빙령신 물랭레이스, 또는 머메일 메가로어비스 등의 키 카드를 서치하는 용도. 단 심해의 디바로 소환이 불가능한 레벨 4와 공격력이 발목을 잡는다. 만일 이 카드의 공격력이 1500 이하였다면 이 카드를 다른 카드의 코스트로 써서 메가로어비스를 서치해오고 샐비지로 도로 주워서 재활용하는 대재앙이 벌어졌을 것이다.
이 "발동을 위해" 텍스트에 패나 필드 등 어디에서부터 묘지로 가는가는 따지지 않기 때문에 거의 모든 상황에서 코스트로 사용된다면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는 재정인데, 이 때문에 엄연히 코스트 판정인 엑시즈 소재로 소모되는 것도 포함하여,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의 소재로 있다 효과 발동을 위해 사용되면 효과가 터진다. 이 때문에 해황머메일의 전성기에는 용기대 +@로 바하무트 샤크를 뽑아 떡 깨구리를 뽑으며 해황자를 서치하는 콤보가 퍼미션/패트랩 케어 빌드의 핵심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머메일이 2012년 후반부터 계속해서 랭킹에 오르면서 TCG에선 2013년 9월에, OCG에선 2014년 2월부터 제한 카드가 됐다. 이는 해황머메일 덱에게 매우 치명적이었는데,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해황머메일 덱에서 레벨 4 카드는 용기대 외엔 기껏해야 터지나 파이크가 1~2장 들어가는 게 전부였기에 레벨 4 몬스터가 덱에서 차지하는 숫자가 줄어들면서 랭크 4 엑시즈 몬스터인 바하무트 샤크와 심연에 숨은 자를 뽑기 어려워진다.
레벨 4 몬스터가 1장뿐이므로 빙결계의 용 궁니르를 뽑는 조합이 제넥스 컨트롤러+용기대에서 심해의 디바+중장병+저격병의 조합 등 카드 2장만으로 궁니르를 소환할 기회가 줄어들고 '이렇게 효과가 유용한 카드를 효과도 못 쓰는 형태로 소모할 것인가?'란 고민을 플레이어에게 요구했다. 그 외에도 머메일에서 특히 악명높았던 디바 1장으로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가 튀어나오는 디바+저격병+용기대 콤보, 크림즌 블레이더를 뽑는 디바+중장병+용기대 콤보 역시 플레이어에게 고민을 요구했다. - 또한 레벨 4에 공격력이 1800이기에 샐비지로 재활용도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심해의 디바로 덱에서 불러낼 수도 없다.
구신 노덴과 함께 쓰이기도 했다. 구신 노덴 덕에 랭크 4 엑시즈가 쉬워진 데다 물 속성 엑시즈 몬스터라면 서치 효과를 한번 더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제넥스 운디네와 인스턴트 퓨전을 같이 들고있다면 바로 필드에 몬스터를 3장 전개하고(운디네, 바하무트 샤크, 샤크의 효과로 소환된 몬스터) 패를 6장인 채로 시작할 수 있다. 이후 구신 노덴은 금지 카드가 됐다.
섀도르,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클리포트, 네크로즈 등 전성기 해황머메일에 필적하는 신규 티어덱들이 다수 등장함에 따라 OCG에서 2015년 1월에 이 카드가 준제한으로 내려왔다. 여기에 해황자 넵트어비스가 등장하면서 원턴킬 루트도 만들어졌다.
- 심해의 디바로 해황자 넵트어비스를 덱에서 특수 소환.
- 1장째 해황의 용기대를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해황자 넵트어비스의 효과 발동, 2장째 해황의 용기대를 패로 가져옴.
- 1장째 해황의 용기대의 효과를 발동해 덱에서 머메일-메가로어비스를 패로 가져옴.
- 패에 다른 물 속성 몬스터가 1장이라도 있다면, 그 몬스터와 2장째 해황의 용기대를 버리고 머메일-메가로어비스의 효과를 발동, 특수 소환
- 머메일-메가로어비스로 어비스케일-미즈치 또는 어비스케일-케토스를 패로 가져옴.
- 2장째 해황의 용기대의 효과를 발동해 빙령신 물랭레이스를 패로 가져옴.
- 해황자 넵트어비스를 릴리스하고 머메일-메가로어비스의 효과 발동, 이단공격 획득. 패에 있는 어비스케일도 장착.
- 해황자 넵트어비스의 효과 발동, 두 해황의 용기대 중 하나를 적당히 골라 소생
- 심해의 디바와 해황의 용기대로 적당히 강한 레벨 6 몬스터 싱크로 소환
- 묘지에 해황의 용기대 2장, 해황자 넵트어비스 1장, 심해의 디바 1장, 물 속성 몬스터 1장이 있으므로, 패에서 빙령신 물랭레이스 특수 소환.
- 2800 + 3200 × 2 + α = 9200 + α 원턴킬
하지만 시대의 흐름을 못 이기고 해황머메일도 티어에서 밀려나면서 용기대도 무제한으로 풀렸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링크 브레인즈 팩 | LVP1-KR049 | 노멀 | 한국 |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2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LINK VRAINS PACK | LVP1-JP049 | 노멀 | 일본 |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2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Astral Pack Two | AP02-EN001 | 얼티밋 레어 | 미국 |
4.5. 레벨 7
4.5.1. 해황룡 포세이도라
유희왕 OCG의 스트럭처 덱 커버 카드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01 ~ SD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드래곤의 힘 | 언데드의 위협 | 작열하는 대지 | ||
붉은 눈의 암룡 | 뱀파이어 제네시스 | 헬프레임 엠페러 | ||||
해룡신의 분노 | 전사의 전설 | 마법사의 심판 | ||||
해룡신-네오다이달로스 | 전설의 길포드 | 흑마도의 집행관 | ||||
무적의 요새 | 열풍의 패왕 | 고대룡의 분노 | ||||
수호신 엑조드 | 신조 시무르그 | 초전도 티라노 | ||||
기계의 반란 | 섬광의 파동 | 암흑의 주술 | ||||
앤틱 기어 가젤 드래곤 | 천공용사 네오파샤스 | 마왕 디아블로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13 ~ SD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거대룡의 부활 | 황제의 강림 | 언데드 월드 |
펠그란트 드래곤 | 사 제왕 가이우스 | 붉은 눈의 불사룡 | |
매지션의 패왕 | 전사의 일격 | 머시너즈의 지령 | |
신성마도왕 엔디미온 | 피닉스 기어프리드 | 머시너즈 포트리스 |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잃어버린 성역 | 데블즈 게이트 | |
드래그니티 암즈-레바테인 | 마스터 히페리온 |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 | |
해황의 포효 | 염왕의 급습 | ||
라이트펄서 드래곤 다크 플레어 드래곤 | 해황룡 포세이도라 | 염왕신수 가루도닉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25 ~ SD36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사이버 드래곤 레볼루션 | 히어로즈 스트라이크 |
푸른 눈의 백룡 하늘빛 눈의 은룡 | 사이버 드래곤 노바 | 콘트라스트 히어로 카오스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엘리멘틀 히어로 볼테크 | |
싱크론 익스트림 | 마스터 오브 펜듈럼 | 펜듈럼 도미네이션 | |
스타더스트 워리어 정크 워리어 제트 싱크론 |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오드아이즈 메테오버스트 드래곤 오드아이즈 앱솔루트 드래곤 | DDD 극지왕 카오스 어포컬립스 | |
펜듈럼 에볼루션 | 사이버스 링크 | 파워코드 링크 | |
아스트로그래프 매지션 | 인코드 토커 트라이게이트 위저드 | 파워코드 토커 세그멘탈 드래곤 | |
마스터 링크 | 소울 버너 | 리볼버 | |
슈팅코드 토커 | 샐러맨그레이트 히트라이오 |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D37 ~ SD48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리버스 오브 섀도르 | 혼돈의 삼환마 | |
엘섀도르 아프카로네 엘섀도르 네피림 엘섀도르 미도라시 | 신염황제 우리아 번개황제 하몬 환마황제 라비엘 차원 융합살(삼환마해방 팩) | 지령사 아우스 수령사 에리아 화령사 히타 풍령사 윈 | |
동옥의 빙결계 | 사이버류의 후계자 | 오버레이 유니버스 | |
빙결계의 환영룡 트리슈라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궁니르 | 사이버 다크 엔드 드래곤 | No.99 유토피아 드래그너 No.39 유토피아 운명의 문(황의 문 팩) | |
알버스트라이크 | '''''' | 충혹마의 숲 | |
빙검룡 미라제이드 신염룡 루벨리온 검은 옷의 알버스(운명의 추억 팩) 추방자 에클레시아(운명의 추억 팩) | 궁극보옥신 레인보우 드래곤 오버드라이브 마음의 가교(초월하는 유대의 빛 팩) | 시트리스의 충혹마 아티푸스의 충혹마 | |
왕자의 고동 | 파란 눈의 광림 | ||
스카레드 데몬 | 궁극의 푸른 눈의 영룡 하얀 소녀 |
}}}}}}}}} ||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스트럭처 덱 R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01 ~ SR1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진제왕강림 | 거신룡부활 | 기계룡반란 | ||
명 제왕 에레보스 | 거신룡 펠그란트 | 앤틱 기어 리액터 드래곤 | ||||
공수의 고동 | 신광의 파동 | 암흑의 주박 | ||||
궁극의 전도 티라노 | 엔젤파라딘 아크파샤스 | 암흑의 마왕 디아블로스 | ||||
언데드 월드 | 로드 오브 매지션 | 워리어즈 스트라이크 | ||||
붉은 눈의 불시룡 | 창성마도왕 엔디미온 | 갓피닉스 기어프리드 | ||||
머시너즈 커맨드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잃어버린 성역 | ||||
머시너즈 카넬 | 드래그니티 암즈-그램 드래그니티 나이트-아라드와(용계곡의 전설 팩) | 마제스티 히페리온 마스터플레어 히페리온(태양신 광림 팩)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SR13 ~ SR24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데블즈 게이트 | 염왕의 급습 | |
암흑계의 마신왕 레인 암흑계의 용신왕 그라파(해방된 심연의 문 팩) | 성염왕 가루도닉스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영염의 패자재림 팩) |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해황룡 포세이도라,
일어판명칭=海皇龍ポセイドラ,
영어판명칭=Poseidra\, the Atlantean Dragon,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1600,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레벨 3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의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를 전부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이 효과로 카드를 3장 이상 패로 되돌린 경우\, 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패로 되돌린 카드의 수 × 300 내린다.)]
심해의 패자를 불러 일으켜라! 눈을 떠라, 해황룡 포세이도라! - 해황의 포효에서 츠쿠모 유마가 외친 대사.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의 커버 카드. 스트럭처 덱의 에이스 몬스터로서는 머시너즈 포트리스 이래 오랜만에 등장한 레벨 7 에이스 몬스터이다.
레벨 3 이하의 물 속성 몬스터 3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자신을 패 / 묘지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지녔다. 이 카드 자체는 특수 소환 몬스터가 아니라 다른 방법으로 특수 소환할 수도 있지만, 두 번째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으로 특수 소환해야만 한다.
상대 턴 종료시에 해황의 포효로 몬스터 3장을 소환하고, 그 몬스터들을 릴리스해 소환하면서 돌파를 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카드인데, 빌드업에 드는 카드가 너무 많은 데다 플레이의 속도도 느려서 해황머메일에서 이 콤보를 제대로 사용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 것은 염왕신수 가루도닉스도 마찬가지지만, 그쪽은 Kozmo 염왕을 제외한 모든 염왕 덱에서 핵심 에이스 몬스터로 활약한 적이 있기에 발매 당시부터 쓸모 없는 스트럭쳐 메인 몬스터라고 욕을 많이 먹었다.
장창병부터 시작해서 해황병 시리즈들이 섬기는 바다를 다스리는 '해황'의 정체가 이 몬스터다. 같은 스트럭처 덱에서 등장한 신규 해황병들(중장병, 돌격병, 저격병)의 능력치를 전부 합치면 이 카드와 같은 2800/1600이 나온다.
이름 유래는 딱봐도 알겠지만 포세이돈. 가이오어비스의 이름인 에노시가이오스의 원형이다.
설정상으로는 음식을 매우 좋아해 탐욕스럽고 끊임없는 식욕을 지녔다고 한다. 원래는 진해황 트라이돈이었으나 우연히 지나가던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를 잡아먹으면서 포세이도라로 성장, 해황 군단을 조직하여 자신의 영역을 육지까지 넓히려고 이곳저곳에 공격을 감행한다. 쉽게 이길 수 없던 염왕을 이기기 위해 머메일의 전설의 팔찌를 훔치고 그 힘을 사용하여 염왕을 밀어붙이지만, 기세 등등해져 팔찌를 직접 착용한 순간 몸에 이상한 변화가 일어나더니 머메일-가이오어비스가 되어버리고 말았는데, 이는 팔찌 속에 깃들어 있던 머메일의 왕이 포세이도라의 육체를 빼앗아 버린 것이었다고 한다. 그렇게 포세이도라는 머메일 왕의 강림을 위한 희생양이 되어 사라지고, 그가 이끌던 해황 군단도 소멸해 버리고 만다.
그러나 이후 그렇게 강림한 머메일의 왕 가이오어비스가 포세이도라처럼 염왕 세력을 공격하는데, 이에 대해 몇몇 사람들은 포세이도라가 역으로 가이오어비스의 몸을 빼앗은 거 아니냐는 가설을 제시했다. 이후 엑시즈 진화체인 해황룡신 포세이도라 어비스가 공개되면서 포세이도라가 몸을 되찾고 부활한 것이 확실해졌다. 포세이도라 입장에서는 머메일에게 몸이 빼앗기는 것까지 계략의 일부에 불과했고 머메일 입장에서는 끝의 끝까지 포세이도라 손아귀에서 놀아난 셈이 되는 것.
밸류어블 북 EX5에 따르면 가이오어비스가 염왕을 공격한건 머메일의 부흥을 위해서였고, 포세이도라가 가이오어비스의 몸을 빼앗는 게 처음부터 계획된 건 아니였으며 가이오어비스가 염왕과의 무리한 전투로 약해지자 포세이도라의 의식이 돌아왔고, 포세이도라는 자신 휘하의 해황들의 혼을 제물로 가이오어비스의 몸을 완전히 빼앗는데 성공하고 가이오어비스를 분리시켜 굉해황이 되었다고 한다.
어비스콜에서 포세이도라의 목걸이가 나오는데 이때의 목걸이는 허리띠 정도의 크기고, 해황자는 이걸 머리에 두르고 있고 가이오어비스는 팔에 차고 있는 등 그때그때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크기를 확신할 수 없으나 용기대의 기수가 사람과 같은 크기라고 가정하면 굉장히 거대한 크기로 계산된다. 일러스트 왼쪽 위에 잘 보면 첨탑이 하나 있는데 저 첨탑이 전설의 도시 아틀란티스에서도 등장하는데다 TCG에서 해황의 명칭이 'Atlantean'이라 아틀란티스와 모종의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0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01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5.2. 굉해황 포세이도라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굉해황 포세이도라,
일어판명칭=<ruby>轟海皇<rp>(</rp><rt>ごうかいおう</rt><rp>)</rp></ruby> ポセイドラ,
영어판명칭=Poseidra\, the Storming Atlantean,
속성=물, 종족=해룡족,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16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에서 다른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덱에서 "해황" 몬스터나 "머메일"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패로 되돌린다.,
효과3=③: 자신 필드에 "굉해황 포세이도라" 이외의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 몬스터는 이 카드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해황룡 포세이도라가 가이오어비스의 힘만 빼앗고 분리해내 주도권을 되찾은 형태로, 일러스트는 포세이도라가 해황의 포효에서 묘사된 전차보다 더 큰 전차에 탑승한 모습. 염왕의 성염왕 가루도닉스의 포지션에 해당하는 몬스터. 스테이터스도 포세이도라와 완전히 동일하다. 여담으로 굉해황의 발음은 고카이오랑 같다.
①의 효과는 자가 특수 소환 효과. 머메일 카드들처럼 코스트로 용기대 등을 버려 트리거를 줄 수 있다. 다른 머메일 카드와 가장 큰 차이점은 필드의 몬스터도 코스트로 묘지로 보낼 수 있다는 것이며, 해황정 어비스라인과 달리 테마 제약 없이 아무 물 속성을 쓸 수도 있다. 이 덕분에 초동용으로 필드에 내놓은 해황자 넵트어비스나 머메일-어비스파이크를 치우면서 전개도 가능하며, 특히 해황자 등은 묘지 효과 격발도 시켜준다.
②의 효과는 소환 유발로 코스트 덤핑을 하고 대상 바운스. 다만, 상대 필드의 카드가 단 하나도 없다면 이 효과는 발동할 수 없기에 선공에서는 사용이 한정적이다. 덱의 카드를 묘지로 보내는게 코스트인 덕분에 우라라도 통하지 않는다. 이 효과로 중장병을 버리면 상대 필드 카드 1장을 더 파괴할 수 있고, 용기대나 심영대를 버리면 초동이나 아드 수급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③의 효과는 공격 대상 불가 효과. 머메일-가이오어비스에게서 계승한 특성으로 보인다. 상대 턴에 어비스레인-해황자로 튀어나왔을 때 의외의 벽이 되어주기도 하긴 하는데 어디까지나 덤.
선공 전개와 견제, 후공 돌파에 전부 도움이 되는 강력한 카드로, 이 카드를 통해 선턴에 해황머메일 자체 기믹으로 세울 것이 애매하다는 단점을 해결했다. 묘지에 이 카드를 두고 패에 해황자를 잡고 있다면, 묘지의 어비스라인이나 머메일-살라키어비스의 효과로 해황자를 버리고, 버려진 해황자의 효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②의 효과를 상대 턴에 사용해 파괴와 바운스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록 시리즈 |
2024-10-26 |
SUDA-JP016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
2025-01-10 |
SUDA-KR016 | 슈프림 다크니스 |
2025-01-24 |
SUDA-EN016 | SUPREME DARKNESS ] |
5. 엑시즈 몬스터
5.1. 랭크 7
5.1.1. 해황룡신 포세이도라 어비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해황룡신 포세이도라 어비스,
일어판 명칭=<ruby>海皇龍神<rp>(</rp><rt>かいおうりゅうしん</rt><rp>)</rp></ruby> ポセイドラ・アビス,
영어판 명칭=Poseidra Abyss\, the Atlantean Dragon Lord,
레벨=7, 속성=물, 종족=해룡족, 공격력=3000, 수비력=1800,
소재=레벨 7 몬스터 × 3,
효과외1="해황룡신 포세이도라 어비스"는 1턴에 1번\, 자신 필드의\, "해황" 엑시즈 몬스터나 "머메일" 엑시즈 몬스터 위에 겹쳐 엑시즈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2개 제거하고\, 패 / 덱에서 물 속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어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카드를 3장까지 패로 되돌린다.,
효과2=②: 엑시즈 소환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패를 1장 묘지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레벨 3 이하의 어류족 / 해룡족 / 물족 몬스터 3장을 특수 소환한다.)]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에서 지원받은 해황 최초의 엑시즈 몬스터.
레벨 7 몬스터 3장을 소재로 써야 하지만 해황이나 머메일 엑시즈 몬스터라면 랭크 상관없이 겹쳐 정규 소환할 수 있다. 해당되는 몬스터는 머메일-어비스트리테, 머메일-가이오어비스, 해황정 어비스트리테 그리고 자기자신. 이 방법을 통한 소환은 1턴에 1번만 가능하지만 정규 소환을 한 이 카드에 2장째를 겹쳐 소환하는 건 가능하다.
①번 효과로 엑시즈 소재 2개와 패, 덱의 물 속성 몬스터를 코스트로 상대의 카드를 3장까지 비대상 바운스할 수 있다. 해황 특유의 코스트로 사용 시 발동하는 효과를 격발하면서 상대 필드를 초토화시킬 수 있다. 막히거나 추가 제거가 필요하면 7렙 3마리로 정규 소환한 뒤 2장째를 꺼내 한번 더 쓸 수도 있다.[3]
②의 효과는 엑시즈 소환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지면 패 한장을 코스트로 패, 묘지에서 레벨 3 이하의 어류족 / 해룡족 / 물족을 3장 소생하는 효과. 하단의 해황의 포효를 내장했다. 묘지로만 보내지면 발동되기에 선턴에 이 카드를 뽑아 링크 소재로 보내 소생한 몬스터로 빌드를 구축하거나, 돌파 후 남은 이 카드를 링크 소재로 써 추가 전개를 하는데 쓸 수 있다. 소재가 필요한 효과가 아니기에 바하무트 샤크로 3랭크 머메일-어비스트리테를 비정규 소환해 겹쳐 소환해도 쓸 수 있으며, 이후 바하무트와 이 카드를 2링크의 소재로 쓰면 링크 마커가 5개로 복사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에는 카드명 제한이 붙어있지 않다. 따라서 전개력만 충분하다면 한 턴에 여러번의 바운스를 통한 돌파나 대량전개의 트리거가 되어줄 수 있다.
설정상 굉해황으로 돌아온 해황룡 포세이도라가 3차 침공에서 염왕측의 팔찌에도 반응하여 삼두룡으로 진화한 형태.[4] 해황룡신이라는 명칭, 그리고 엑시즈 몬스터인 점에서 알 수 있듯 염왕측의 팔찌로 진화한 염왕신 가루도닉스 이터니티랑 같은 포지션으로, 효과면에서도 돌파 효과와 묘지로 보내졌을 때 후속을 마련한다는 점이 비슷하다. 실제로 소용돌이치는 해염에서는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와 싸우고 있다.
공개 당시에는 해황 스토리가 포세이도라가 머메일의 팔찌에 의해 가이오어비스의 하반신으로 전락해버린 상태라는 시점에서 멈춘지 오래였다보니, 포세이도라의 형태로 되돌아온 이 카드의 존재는 꽤나 충격을 안겨주었다. 사실 과거부터 가이오어비스가 가루도닉스 이터니티와 싸우던 것 때문에 가이오어비스의 몸을 다시 포세이도라가 먹은 거 아니었냐는 추측이 있었는데 그것이 이 카드로 완전히 증명된 셈.
이름부터가 이 전개의 복선이나 다름없었는데, 가이오어비스의 어원인 에노시가이오스는 포세이돈의 다른 이름이다. 즉 이름의 주도권을 가진 주인은 에노시가이오스=가이오어비스가 아니라 포세이돈=포세이도라인 것. 가이오어비스는 결국 포세이도라에게 복속될 존재임을 암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게다가 포세이도라 어비스는 머메일 엑시즈 몬스터에 겹칠 수 있어 가이오어비스에도 겹칠 수 있는데, 가이오어비스 위에 이 카드를 겹친다는 건 곧 소재로 먹힌 포세이도라가 다시 진화해서 가이오어비스를 소재로 먹는, 즉 가이오어비스가 된 자신의 몸을 다시 되찾는 효과인 것이나 다름없다.
여담이지만 러시 듀얼의 심연룡신 어비스 포세이도라와 이름이 꽤 비슷하다.
수록 시리즈 |
2024-07-27 |
ROTA-JP043 | レイジ・オブ・ジ・アビス [ RAGE OF THE ABYSS ] |
2024-10-11 |
ROTA-KR043 | 레이지 오브 디 어비스 |
2024-10-11 |
ROTA-EN043 | RAGE OF THE ABYSS |
5.1.2. 해황정 어비스트리테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엑시즈=, 효과=,
한글판 명칭=해황정 어비스트리테,
일어판 명칭=<ruby>海皇精<rp>(</rp><rt>かいおうせい</rt><rp>)</rp></ruby> アビストリーテ,
영어판 명칭=Abysstrite\, the Atlantean Spirit,
레벨=7, 속성=물, 종족=해룡족, 공격력=2100, 수비력=2800,
소재=물 속성 레벨 7 몬스터 × 2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엑시즈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7 이하의 어류족 / 해룡족 / 물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물 속성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의 수 × 300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어비스"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두 번씩이나 해황에게 지배당한 머메일 어비스트리테가 포세이도라에게 복수하기 위해 해황정 어비스라인과 계약한 모습으로, 자신의 힘으로 3가지 어비스케일을 모아서 넵트어비스에게 건네 준다. 이렇게 어비스케일의 힘을 얻은 넵트어비스는 황위 머메일이 되면서 해황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한다.
머메일 때처럼 엑시즈 몬스터이지만, 랭크가 7로 올랐다. 굉해황이나 심영대로 소환 조건을 만족시키기는 쉽다.
①의 효과는 엑시즈 소환 시 레벨 7 이하 어류족 / 해룡족 / 물족 몬스터의 소생. 표시형식 제한이 없어서 타점 기여는 물론이고 이미 효과를 쓴 몬스터를 소생시켜도 각종 소환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소생 대상을 이 카드의 엑시즈 소재로 묶여지는 관계상 별도로 소생 시킬 몬스터를 준비해야만한다.
②의 효과는 자신의 엑시즈 소재에 비례하는 타점 증가. 2소재로 꺼내놔도 공격력 2700이 되며 다른 몬스터도 강화할 수 있다. 물론 이 카드는 전개의 중간다리로 쓰일 몬스터이니 어디까지나 덤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③의 효과는 어비스 함정 카드의 세트. 해당되는 카드들은 견제용이 매우 적어 쓰기 어렵거나 약한 카드가 대다수고, 그나마 같이 출시된 어비스팀 또한 1~2드로에 불과해 견제력이 약해 덤 효과로 취급받고 있다.
해황의 고점을 올려 준 카드로, 원래 전개 과정에서 해황룡신을 소환하기 위해서 거치는 가이오어비스는 아무 효과가 없어 다소 낭비라는 느낌이 없지 않았는데,[5] 이 카드를 통해 개체 수를 하나 더 챙기면서 전개가 가능해졌다.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에 심해의 민스트렐도 있어서 10레벨 싱크로로 잇는 것도 가능.
수록 시리즈 |
2024-10-26 |
SUDA-JP046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
2025-01-10 |
SUDA-KR046 | 슈프림 다크니스 |
2025-01-24 |
SUDA-EN046 | SUPREME DARKNESS |
6. 마법 카드
6.1. 속공 마법
6.1.1. 해황의 포효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해황의 포효,
일어판명칭=<ruby>海皇<rp>(</rp><rt>かいおう</rt><rp>)</rp></ruby>の<ruby>咆哮<rp>(</rp><rt>ほうこう</rt><rp>)</rp></ruby>,
영어판명칭=Call of the Atlanteans,
효과외1=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자신은 이 효과 이외로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레벨 3 이하의 해룡족 몬스터 3장을 대상으로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3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름이 이 카드가 수록된 동명의 스트럭처 덱이랑 동일한 카드.
카드 1장으로 몬스터 3장을 꺼낼 수 있는 건 제법 강력하다. 속공 마법이므로 배틀 페이즈 중에 추가타를 날리거나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발동해서 디메리트를 지울 수 도 있다. 거기에 더해 효과가 무효화되지도 않기 때문에 해황은 물론 니들 길맨,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 등의 효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이라는 맹세 제약이고, 그 제약의 내용이 '이 카드 이외로는 특수 소환 불가'라는 초강력 디메리트이기 때문에 현재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결국 3레벨 이하의 자잘한 몬스터를 소생시켜 봤자 링크나 싱크로, 엑시즈로 이을 수 없다면 별로 강력한 플레이는 아니기 때문이다. 물론 이 카드를 상대 턴의 엔드 페이즈에 쓴다면 턴을 받고 소생시킨 몬스터들을 활용할 수 있겠으나, 매우 가속화된 유희왕 환경상 이 카드를 덮어두고 상대 턴을 넘긴 후 다시 턴을 받는다는 행위 자체가 힘들어졌다.
이 카드는 '레벨 3 이하의 해룡족 3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하므로, 묘지에 특수소환할 수 있는 3레벨 이하의 해룡족이 2장 이하로 존재한다면 발동 자체를 할 수 없다. 또한 '그 몬스터 3장을 특수 소환' 하므로, 이 카드에 체인하여 D.D 크로우나 무덤의 지명자 등으로 대상 지정한 몬스터가 제외되면 한 장도 살리지 못하고 효과가 불발된다.
일러스트는 해황룡 포세이도라가 해황의 용기대를 이끌고 출격하는 모습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스트럭처 덱 -해황의 포효- | SD23-KR02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STRUCTURE DECK -해황의 포효- | SD23-JP022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Structure Deck: Realm of the Sea Emperor | SDRE-EN023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7. 같이 쓰면 좋은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머메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황머메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디지트론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1위였다. 2020년 8월 네프티스 이어주는 손의 등장으로 3위로 밀렸다.[2] 이전 팩에서도 심영이 연상된 이름의 카드가 나온적이 있었다.[3] 유희왕 타임즈 방송의 첫 소개에서도 정규소환한 해황룡신의 효과가 오파츠 비마나에게 막히자 2장째의 해황룡신을 겹쳐 소환해 다시 효과를 사용해서 돌파했다. 보통 동명 카드에 겹치는 것에는 제한을 두는 경우가 많다보니 방송 소개부터 대놓고 동명 카드에 겹쳐 소환한 이 카드는 사회자로부터 전생 엑시즈 소환 같다는 평도 받았다.[4] 달고있는 머리는 포세이도라가 오래 전에 잡아먹은 로스트 블루 브레이커와 비슷하다.[5] 정확하게 말하자면 자신보다 공격력이 낮은 상대 몬스터 효과를 전부 무효시키는, 전개보다는 결과물에 더 좋은 효과다. 이 카드 덕분에 가이오어비스를 낭비하지 않고 결과물 중 하나로 세울 수 있게 된 것.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해황의 용기대,version=60, uuid=0e631989-53aa-44c7-9da0-ac210af148fc,
title2=해황룡 포세이도라,version2=49, uuid2=b0bd31b5-7500-4972-9783-e6b92668b6a6,
title3=해황의 포효,version3=82, uuid3=36681a8c-fa8d-42db-91d2-b235056d6e9d,
title4=머메일의 심영대,version4=23, uuid4=e015ddc0-8ce7-4e38-a296-1eb93b086ed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