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20:48:03

사일런트 스워드맨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사일런트 스워드맨
<colbgcolor=#334074><colcolor=#fff> 한국판 명칭 사일런트 스워드맨
일어판 명칭 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영어판 명칭 Silent Swordsman
<rowcolor=#33A2DA>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전사족
[ 접기 ]
효과
특수 소환

1. 개요2. 설명
2.1. 원작
3. 효과 몬스터
3.1. 사일런트 스워드맨 LV33.2. 사일런트 스워드맨 LV53.3. 사일런트 스워드맨 LV73.4.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3.5. 사일런트 스워드맨 제로
4. 서포트 카드5. 기타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유희왕의 카드군.

2. 설명

왕의 기억 편에서부터 등장한 무토우 유우기의 몬스터. 어둠의 유우기와의 공유하는 카드가 아닌, 유우기만의 본인만의 덱에서만 사용되는 카드중 하나다. 토이 매지션, 사일런트 매지션, 간드라와 함께 무토우 유우기를 상징하는 카드가 되었다.

2.1. 원작

파일:SilentSwordsmanLV0-JP-Manga-DM.png파일:SilentSwordsmanLV0-JP-Anime-DM.png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한글판 명칭 사일런트 스워드맨 LV0
일어판 명칭 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ruby(LV, ruby=レベル)]0
영어판 명칭 Silent Swordsman LV0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4 전사족 1000 1000
사일런트 스워드맨이 공격 표시라면 턴마다 레벨을 올리고 500 포인트씩 공격력이 UP한다.
파일:SilentSwordsmanLV0-JP-Anime-DM-NC.png 파일:SilentSwordsmanLV1-JP-Anime-DM-NC.webp
레벨 0 레벨 1
파일:SilentSwordsmanLV3-JP-Anime-DM-NC.png 파일:SilentSwordsmanLV4-JP-Anime-DM-NC.png
레벨 3 레벨 4
파일:SilentSwordsmanLV5-JP-Anime-DM-NC.png 파일:SilentSwordsmanLV6-JP-Anime-DM-NC.png
레벨 5 레벨 6
파일:SilentSwordsmanLV7-JP-Anime-DM-NC.png
레벨 7

시작 레벨은 0으로, 턴이 하나 지날때마다 레벨이 1씩 불어나고[1] , 레벨1에 공격력이 500씩 증가하는 형식이었다. 처음에는 약하지만 조용히 참아가며 기회를 노리면서, 상대를 서서히 압도하는 무토우 유우기 그 자체인 카드.

애니메이션에서는 레벨이 올라가면 일러스트와 카드에 쓰여있는 정보들인 카드명, 공격력 표기도 변하는 기묘한 연출이 있다.

3. 효과 몬스터

3.1. 사일런트 스워드맨 LV3

파일: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LV3.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일런트 스워드맨 LV3,
일어판명칭=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ruby>LV<rp>(</rp><rt>レベル</rt><rp>)</rp></ruby>3,
영어판명칭=Silent Swordsman LV3,
속성=빛, 레벨=3,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이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상대의 마법 카드 효과는 무효화된다.,
효과2=②: 자신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사일런트 스워드맨 LV5"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 / 리버스한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사일런트 스워드맨 중 레벨이 제일 낮은 몬스터. 마법 카드에 내성이 있지만 공수 1000밖에 안 되어서 상대가 이 카드를 상대로 굳이 마법 카드를 써서 제거해줄 리도 없는데다 전투로도 쉽게 털린다.

3.2. 사일런트 스워드맨 LV5

파일: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LV5.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사일런트 스워드맨 LV5,
일어판명칭=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ruby>LV<rp>(</rp><rt>レベル</rt><rp>)</rp></ruby>5,
영어판명칭=Silent Swordsman LV5,
속성=빛, 레벨=5, 공격력=23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1=①: 이 카드는 상대의 마법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직접 공격에 성공했을 경우\, 다음 자신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사일런트 스워드맨 LV7"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사일런트 스워드맨 시리즈 중에서는 소환 제약이 걸리지 않은 카드 중에 레벨이 가장 높은 카드. LV3도 일반 소환이 가능하긴 하나 공격력도 낮고 두 턴에 걸쳐 진화시키기에는 한세월이 가기 때문에 후술할 침묵의 검사가 나오기 이전에는 보통 LV5를 특수 소환할 방안을 마련해놓고 그걸로 한큐에 LV7을 소환하고는 했다.

직접 공격에 성공해야 레벨업을 할 수 있기에 마함으로 적 몬스터존을 비워버리거나 도블 파세 같은 직공을 도와주는 카드를 적극적으로 쓰는게 좋다.

성능은 둘째치고 이 카드가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국내 입장자 특전 카드 중에 끼어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뢰 취급을 받았다. 거기에 밀레니엄 덱에서 복각되고 듀얼리스트 팩─왕(파라오)의 기억 편─에서도 노멀로 재록되기도 했다.

일러스트 변경도 없으면서 특전에 왜 이 카드를 끼워넣은건지 의문을 가진 사람들이 많았는데, 사실 일본 현지에서 TOHO 시네마일리지 특전으로 KC 사양의 이 카드를 배포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3.3. 사일런트 스워드맨 LV7

파일: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LV7.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사일런트 스워드맨 LV7,
일어판명칭=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ruby>LV<rp>(</rp><rt>レベル</rt><rp>)</rp></ruby>7,
영어판명칭=Silent Swordsman LV7,
속성=빛, 레벨=7, 공격력=28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사일런트 스워드맨 LV5"의 효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마법 카드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사일런트 매지션과 함께 무토우 유우기가 사용했던 레벨 몬스터. 원작에서는 어둠의 바쿠라의 배때기에 마지막에 칼침을 박기도 했고 아템과의 최종듀얼에서는 금가는 도끼시간의 비약 -턴 점프-와의 콤보로 공격력이 2500까지 떨어진 오벨리스크의 거신병과 공멸하기도 했다.[2] 원작에서 공격력만 올랐기 때문인지, 레벨이 올라가도 수비력은 그대로다. 공격명은 침묵의 검.

여담으로 애니메이션에 나온 사일런트 스워드맨의 몸과 옷의 색깔이 다른데, 분위기의 차이가 매우 크다. OCG에서는 금발에 푸른색 바탕에 흰 테두리로 어둡고, 차가운 느낌이지만, 애니메이션에 나온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청발에 옷색은 흰색 바탕에 파란색 테두리로 밝고, 산뜻한 느낌이 난다.[3] OCG쪽이 대체로 선호되는 사일런트 매지션과 달리, 이쪽은 양쪽이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거기다 애니메이션에서의 공격력은 무려 4500이였다.

3에서 5로 갈때는 효과가 더 좋아지지만, 스킬 드레인 처럼 영구적으로 자신의 카드까지 틀어막는다는 점에서 열세보단 우세에서 힘을 발휘한다. 그리고 어디까지나 스킬 드레인처럼 필드 위에서 존재하는 카드의 발동만 막을 뿐이지 묘지와 같은 곳에서 발동하는 경우에는 이 카드도 힘을 쓰지 못한다.

LV7은 게임 한정 동봉이라서 일본에서는 수집가들도 구하기 힘든 프리미엄 카드였지만 국내에서는 대원이 프리미엄 팩으로 내면서 대량으로 풀렸으며 이후 밀레니엄 박스 골드 에디션에서 한일 모두 복각되었다.

3.4.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GX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암드 드래곤 LV10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사이버 다크 드래곤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패왕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5D's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ZEXAL~9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없음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
파일:沈黙の剣士-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명칭=침묵의 검사 - 사일런트 스워드맨,
일어판명칭=<ruby>沈黙<rp>(</rp><rt>ちんもく</rt><rp>)</rp></ruby>の<ruby>剣士<rp>(</rp><rt>けんし</rt><rp>)</rp></ruby>-サイレント・ソードマン,
영어판명칭=Silent Swordsman,
속성=빛,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10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자신 필드의 전사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했을 경우에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스탠바이 페이즈에 발동한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1턴에 1번\, 마법 카드가 발동했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한다.,
효과3=③: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이외의 "사일런트 스워드맨" 몬스터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침묵의 검사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특수 소환!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소환 대사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공격력이 올라간다!"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① 효과 발동 대사
"사일런트 스워드맨은 마법 카드의 발동[4]을 무효로 할 수 있다!"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② 효과 발동 대사
"사일런트 스워드맨이 쓰러졌을 때 새로운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불러올 수 있어!"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③ 효과 발동 대사
듀얼리스트 팩 -파라오의 기억 편-에서 리메이크된 몬스터. 원작에서 턴이 지날때마다 진화해가는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재현한 기존 사일런트 스워드맨들의 리메이크 카드로, 역시 레벨 몬스터로서는 현재 환경의 듀얼 스피드에 뒤떨어진다고 판단했는지 그냥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그러면서 동시에 사일런트 스워드맨이 카드군화 되었다.

전사족 몬스터를 아무거나 릴리스하면 패에서 특수소환이 가능해서 툭툭 튀어나온다.

첫번째 효과는 자신/상대의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공격력을 500점 올리는 효과. 원작의 사일런트 스워드맨의 효과인 레벨이 올라갈때마다 공격력이 500점 상승하는 효과를 재현한 효과이다.

두번째 효과는 1턴에 1번 마법 카드가 발동될 경우 그 마법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하는 효과. 심지어 노코스트이다. ~때라서 임의로 발동할 수 있으며 상대턴, 자신턴을 가리지않고 무효가 가능한지라 후술할 3번째 효과와 합쳐지면 강력한 억제력이 될 수 있다.

세번째 효과는 필드의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될 경우 패 / 덱에서 사일런트 스워드맨 몬스터 한장을 골라 그 카드의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 파괴, 전투 외의 선택지가 많은 것이 현 환경의 상황이라곤 해도 파격적인 효과이며 이 효과로 사일런트 스워드맨 Lv 5를 소환해 다른 카드의 보조를 받아 안정적으로 비트하거나 Lv7를 소환해 대부분의 마법 카드를 봉인시키는 강력한 락을 걸 수 도있다.

현재 가장 높게 평가받는 형태는 바로 히어로와 같이 사용하는 히어로 사일런트. 그럭저럭 승률이 괜찮은 편이며, 현재도 연구중에 있다. 히어로들은 마함 견제가 부실하기에, 그족에서도 환영하는 스타일.

비전 히어로 바이온히어로 얼라이브 한 장만 있어도 안정적으로 서치하고 소환할 수 있다. 얼라이브로 에어맨을 소환하고 바이온을 서치해서 소환하고 효과로 섀도우 미스트를 묻고 효과로 융합이랑 디아볼릭 가이를 서치해서 융합을 해서 데스티니 히어로 데들리 가이를 소환하고 디아볼릭 가이를 다시 소환해서 둘을 엑시즈 시켜서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를 소환하고 효과로 덱에서 침묵의 검을 묻어주고 효과로 침묵의 검을 제외하고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서치하고 디아볼릭 가이 효과를 한 번 더 써서 소환하고 그 카드를 릴리스 하고 소환하면 패 한장 만으로 베아트리체랑 사일런트 스워드맨이 필드에 있게 된다. 게다가 상대가 블랙홀을 쓰면 굳이 막을 필요가 없다. 패에 해피의 깃털 같이 쓸만한 마법카드가 있는게 아니면 블랙홀에 그냥 파괴되면 베아트리체랑 자신의 효과로 각각 LV7이랑 피안의 여행자 단테가 소환된다.[5]

히어로 이외에는 팬텀 나이츠, 강귀등의 조합이 괜찮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는 2019년 1월 12일 스트럭처덱 SWORDBOUND SILENCE 출시와 함께 등장하였다. 침묵의 마술사-사일런트 매지션과는 다르게 500보석으로 얻을수 있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ilentSwordsman-JP-OW.png
매끈해진 일러스트로 일신된 사일런트 매지션과는 달리, 일러스트도 기존 사일런트 스워드맨들의 화풍을 잘 재현하고 있다.

공격명은 침묵의 검. 뒤에 "레벨 (쓰리/파이브/세븐)"이 붙던 기존의 사일런트 스워드맨들과 달리 저 두 단어로 끝이다.

3.5. 사일런트 스워드맨 제로

4. 서포트 카드

4.1. 침묵의 검

파일:沈黙の剣(24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침묵의 검,
일어판명칭=<ruby>沈黙<rp>(</rp><rt>ちんもく</rt><rp>)</rp></ruby>の<ruby>剣<rp>(</rp><rt>つるぎ</rt><rp>)</rp></ruby>,
영어판명칭=Silent Sword Slash,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사일런트 스워드맨"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의 발동과 효과는 무효화되지 않는다). 그 자신의 몬스터는\, 공격력 / 수비력은 1500 올리고\, 턴 종료시까지 상대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사일런트 스워드맨"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속공 마법! 침묵의 검!!!"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① 효과 발동 대사
"묘지에서 침묵의 검을 제외! 난 덱에서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손에 넣는다!"
유희(DSOD), 유희왕 듀얼링크스 ② 효과 발동 대사
원작에서 시간의 비약 -턴 점프-로 시간을 뛰어넘게 해서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진화시킨 것을 재현시키는 카드. 속공 마법이라 상대 턴에도 발동 가능하다. 상대 효과를 받지 않는 것은 턴 종료시까지만 한정되지만, 공격력/수비력이 올라가는 것은 영구적이다. 또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해 사일런트 스워드맨을 서치할 수 있는데, "묘지에 보내진 턴에는 안 된다." 라는 제약조건도 없고, 아무 사일런트 스워드맨이나 서치할 수 있다.

필살기 카드는 대체로 애매한 경우가 많은데, 이 카드는 이례적으로 확실하게 강력한 효과를 갖고있다.

여기에 발동과 효과가 무효화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사일런트 스워드맨 LV7을 필드에 내놓은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소소한 장점.

듀얼 링크스에서는 쓸만한 성능에 때문에 스트럭쳐덱 출시 직후 준제한 카드가 되었다. 특히 라이프 4천 환경에서 보물로 가는 비밀통로 콤보가 상당히 흉악했다. 무려 7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2제한을 유지하다가, 사일런트 스워드맨이 환경권은커녕 듀얼킹조차 못 달 수준의 딕이 되고 나서 한참 지난 25년 7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4.2. 침묵의 마도검사-사일런트 파라딘

5. 기타

참고로 "스워드맨"은 Swordman이다. 다크 스워드도 그렇고 발음이 소드에 가까운 Sword가 스워드로 번역되었다. 이건 발매순서상으로 Swordstalker를 스워드 스토커로 번역하는 바람에 벌어진 문제이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사일런트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 빛의 황금궤
<rowcolor=#000> 서브 에이스 에이스 몬스터 핵심 마법 카드
DM
데몬 소환
암흑 기사 가이아
버스터 블레이더
블랙 매지션 걸
DSOD
암흑 기사 가이아로드
매지션 걸
OCG
데몬 광래
마술사의 제자-블랙 매지션 걸
원작 · DM
블랙 매지션
파괴룡 간드라
사일런트 스워드맨
사일런트 매지션
DSOD
파멸룡 간드라X
OCG
파괴룡 간드라-기가 레이즈
파괴룡 간드라G
검은 마술사-블랙 매지션
원작 · DM
봉인의 황금궤
OCG
빛의 황금궤
}}}}}}}}} ||

[1] 그러나 잘보면 카드명에"레벨 0"이라고 써있어도, 몬스터 자체의 레벨은 별 4개(레벨 4)로 따로 되어있다. 이는 사일런트 매지션도 동일하다. 아마 카드 명의 "레벨"은 몬스터의 그 "레벨"하고는 별개의 개념인 모양이다.[2] 원작한정. 원작에서는 사일런트 스워드맨 LV7이 사일런트 스워드맨 LV3로 표기되었고 공격력 역시 2500이었다.[3] 파일:silent-swordman-ani.jpg[4] 한국어판에서는 "효과"로 잘못 번역되어 있다.[5] 소환 순서를 스워드맨을 체인1, 베아트리체 효과를 체인2로 하면 우라라의 효과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