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1 23:57:07

메가리스(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메가리스
<colbgcolor=#87989C> 한국어판 명칭 메가리스
일어판 명칭 メガリス
영어판 명칭 Megalith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암석족 효과
의식

1. 개요2. 설명3. 의식 몬스터
3.1. 레벨 2
3.1.1. 메가리스 풀
3.2. 레벨 4
3.2.1. 메가리스 오피엘3.2.2. 메가리스 하기트3.2.3. 메가리스 오쿠3.2.4. 메가리스 프로츄
3.3. 레벨 8
3.3.1. 메가리스 파레그3.3.2. 메가리스 베토르3.3.3. 메가리스 아라트론
3.4. 레벨 12
3.4.1. 메가리스 노트라 플루라
4. 마법 카드
4.1. 메가리스 포털4.2. 메가리스 언폼드4.3. 메가리스 아나스타시스
5. 함정 카드
5.1. 메가리스 프로모션5.2. 메가리스 에멀전
6.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

이그니션 어썰트에서 데뷔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식 소환 카드군.

모티브는 거석 기념물을 가리키는 메가리스로, 각 몬스터의 이름은 올림피아의 천사의 이름에서 따왔다.

2. 설명

OCG 20주년에서 최초로 등장한 땅 속성 / 암석족 의식 소환 테마이며, 검성의 네크로즈-세피라세이버처럼 전용 의식 마법 없이 의식 몬스터의 자체 효과만으로 의식 소환하는 게 특징이다.

소속된 몬스터는 전부 의식 몬스터이며, 기본적으로 의식 마법 카드 없이 스스로 의식 소환할 수 있기에 패 소모가 한층 덜한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레벨 4 / 8 몬스터가 3장씩 있어서 랭크 4, 8 엑시즈 소환에 용이하고, 레벨 4의 메가리스의 의식 소환 효과는 어느 의식 몬스터든 의식 소환할 수 있어 네크로즈, 에스프릿 등 강력한 의식 몬스터들을 용병으로 채용할 수 있다. 암석족이다 보니 당연히 암석족 관련 카드들과의 궁합도 좋다. 의식 마법 없이 의식 소환할 수 있어서 순수로 굴리는 것보단 다른 의식 테마와 섞어 쓰는 게 낫고, 패 말림도 데블리철 없이도 해소시켜 준다. 메가리스 풀이 추가된 이후에는 데블리철이 그러했듯 단독으로 운영해도 충분히 강력한 덱이 되었다.

연속 의식 소환을 통한 전개라는 구조 탓에 기존의 의식 소환과 달라서 사용 난이도는 매우 높은 편이다. 특히 첫 하급 메가리스 몬스터를 전개해야 어드밴티지가 복구되는 구조라, 만수의 신 같은 카드로 하루 우라라를 유도하거나, 패 트랩을 틀어막을 필요가 있고, 의식 소환 효과를 안 쓴 카드가 뭐였는지 기억해두는건 필수. 빌드를 전개하다보면 7장의 의식 소환 효과에다가 메가리스 언폼드까지 써먹는 것도 생각보다 드물지 않다.

2.1. OCG

메가리스 풀의 발매 이후 대량 전개가 원활해지면서 별의별 벽듀얼을 양산해 내고 있는데 그 중 하나로 이비리추어 거스트크라케의 효과를 우려먹어 선턴에 상대 패를 전부 털어버릴 수도 있는 강력한 빌드가 발견되었다. 상대 턴에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를 의식 소환해 전개를 틀어막는 것도 가능. #참고.

선공을 뺏기면 상대에게 벽듀얼이 강요된다는 점, 증식의 G를 발동하면 덱 파괴가 가능하다는 점, 상대의 패를 전부 털거나, 몬스터의 효과를 원천 봉쇄한다는 점에서 과거의 미계역+암흑계카디언을 연상시킨다는 게 유저들의 반응이다.

다만 굳이 패털이를 하고 싶다면 카디언, 해황머메일 등의 다른 선택지가 있다는 점과 드라이트론이라는 강력한 의식 테마의 등장으로 인해 아주 반짝 주목받고 사장되었다.

따라서 현재 돌아가는 메가리스 덱은 굳이 패털이에 집착하기 보다는 궁극환신 얼티메틀 비시바르킨을 이용한 번 FTK이나 No.97 룡영신 드래글라비온으로 No.100 누메론 드래곤을 뽑아서 킬각을 보거나, 엑조디아 파츠까지 이용하는 덱, 운영형 메가리스 등 다양한 구축을 사용하고 있다.

메가리스 풀의 솔리테어 빌드쪽 임팩트가 강해서 솔리테어 계열덱으로 생각되곤 하지만, 의식 소환으로 일반 소환권을 쓰지 않는다는 점과 자원 보급 능력을 기반으로 하고있기 때문에, 구축에 따라선 후술할 No.100 누메론 드래곤처럼 죽창 비트나 제거덱으로 짜는 것도 가능하고, 간혹 부가 파츠는 덤으로 두고 혹은 어드밴티지를 천천히 늘려가면서 운영으로 틀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래저래 이해도가 높을 수록 머리를 굴리게 되는 덕에 익숙해질수록 난이도가 올라가는 대표적인 장인덱 중 하나.

둠 오브 디멘션즈에서 신규 지원을 받았는데, 기존의 벽듀얼을 의식했는지 고타점 및 공격적인 효과를 가진 신규 에이스가 등장했다. 또한 묘지에서도 의식 소환할 수 있고, 아드 보충, 퍼미션 등 강력한 효과를 가졌고, 몬스터 효과가 무효화되면 덱을 굴리기 힘든 단점도 크게 보완하는 등 양질의 지원을 받았다. 비록 티어권에 진입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기존의 치명적인 단점을 여럿 보완해준 것은 물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강력하다.

2.2. 유희왕 마스터 듀얼

시크릿 팩 '영묘한 강림'에서 관련 카드들을 획득할 수 있고, 솔로 모드로써 구현되었으므로 솔로모드를 클리어하면서도 관련 카드를 획득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레어도가 싼 것도 있고[1], 시크릿 팩에서 같이 나오는 것이 데블리철디클레어러이니만큼 이들을 모으기 위해 시크릿 팩을 까게 된다면 자연스레 메가리스 카드들도 모이기 쉽다. 메가리스 아라트론 소환시 Live2D 연출이 적용된다.

모든 카드가 다 나왔으므로 오프에서 쓸 수 있는 전략을 쓸 수 있다. 순수 빌드로 구상하여 풀 - 상대턴 베토르를 이용한 상대턴 견제, 궁극환신 얼티메틀 비시바르킨을 이용한 FTK 전략 등등 유효한 전략이 수없이 많다. 다만, 이 모든 것이 의식 소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패 트랩을 많이 맞으며, 기본적으로 집을 짓는 덱은 아니기 때문에 다음턴 돌파의 여지를 준다는 단점이 있다.

메가리스 테마 자체는 모든 카드가 나왔지만 안정성을 챙겨주는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는 저작권 문제로 나올 수 없기에 증식의 G로 덱사시키거나 메가리스 오쿠로 상대 턴에 블카맥을 뽑는 날먹은 할수 없다.

N/R등급만을 투입하도록 제한한 이벤트 듀얼에서는 메가리스 풀이 제한을 당하고 메가리스 베토르가 준제한을 당하는 금제가 적용되었다. 그럼에도 풀을 파괴하면 에멀전으로 꺼내오면 되기 때문에, 아직도 유효한 풀-베토르를 통한 상대 턴 견제능력으로 1티어를 차지했다. 사실상 N/R등급 페스티벌에서는 민속놀이덱이나 다름없다. 덕분에 엠뒤리스라는 안좋은 의미의 별명을 가지게 됐으며 메가리스덱을 상대하기 위한 시계신덱이 늘어나 비트덱이나 각종 예능덱으로 이벤트를 즐기려던 유저들이 고통 받게 되는 상황을 만들었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이후 개최된 퓨전 페스티벌, 엑스트라 제로 페스티벌에서도 제재를 먹었다. 그래도 SR 이상이 얼마 들어가지 않는 가성비 좋은 덱으로서의 입지는 어느 정도 유지하고 있다. 이후에 개최된 의식 소환 페스티벌에서도 다시 모습을 드러냈으며, 특히 추가미션중 의식소환 횟수를 채우는 미션이 연속 의식소환이라는 덱 기믹과 맞물리며 상당히 애용되었다. 또한 아직까지도 살아있는 스프라이트 엘프와의 연계를 중점으로한 메가리스 스프라이트 아키타입이 소수의 메가리스 장인들에 의해 운용되기도 한다.

2.3. 설정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언급된 메가리스의 설정
태고의 시대, 여러 거석 신조물들이 만들어졌다. 스톤 서클, 피라미드 등도 그 일부이다.
하지만, 수많은 세계에는 그 말고도 수수께끼에 감싸인 거석 건조물이 존재하고 있다.
이번에는 그중 하나인 「메가리스」라 불리는 석상에 대하여 주목해 보도록 하자.

「메가리스 오피엘」은 천사를 본뜬 하얀 석상이다.
웨이브 진 머리카락을 어깨까지 늘어뜨리고, 온화한 표정으로 눈을 감고 있다.
무엇보다 눈을 끄는 것은, 이거야말로 천사라는 듯한 등의 날개.
그 눈부신 신성함은 보는 자들에게 경이로운 느낌을 받게 한다.

한편, 검은 악마가 바로 「메가리스 하기트」이다.
마른 남자 악마의 석상으로, 손과 발을 접은 것처럼 굽히고 있다.
얼굴은 가면으로 감춰져, 감정을 알아낼 수단은 아주 조금 노출되어 있는 입밖에 없다.
그 몸에 솟아 나온 가시는, 보는 자들에게 두려움을 준다.

백과 흑, 두 명의 아이의 석상인 「메가리스 오쿠」. 쌍둥이처럼 짝을 이룬 사랑스러운 모습이다.
그 날개의 형태를 보면, 하얀 아이는 천사고, 검은 아이는 악마일 것이다.
또한, 하얀 아이와 검은 아이의 표정이 대비되고 있는 것도 흥미 깊다.

「메가리스」의 대좌는, 자연석과 다른 미지의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칠각형의 형태와 신비로운 문양이 입혀진 장식.
어렴풋하고 부드러운 빛을 발하는 이 대좌에는, 대체 어떤 힘이 숨겨져 있는 걸까?
「메가리스」의 대좌는, 다른 세계를 연결하는 문, 혹은 다른 생명을 연결 짓는 말뚝과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메가리스 오피엘」의 대좌로부터 나타나, 두 쌍의 날개를 가지는 대천사 「메가리스 파레그」.
「오피엘」이 가지고 있는 분위기와는 다른, 투구와 방패를 몸에 입고, 창을 쥔 용맹한 천사다.

「메가리스 하기트」의 대좌로부터 나타나, 네 개의 날개를 가지는 대악마 「메가리스 베토르」.
꺼림칙한 황금의 뿔을 기른, 강고한 육체를 가진 악마다.

「메가리스 오크」의 대좌로부터 나타나, 수많은 머리를 가진 용 「메가리스 아라트론」.
그 기세는 세계를 평정하고, 모든 것을 삼켜버릴 것만 같다.

이들은 「메가리스」가 품은 힘에 의해 탄생한 것 중 하나의 형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이 「메가리스」는 잔해가 되어도, 어느 정도의 역장을 만들어내는 힘을 가지고 있다.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품고 있는 힘의 정체는 무엇인지, 많은 수수께끼에 감싸인 존재인 「메가리스」.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열쇠는, 「메가리스」를 통하여 저편으로 나타나는 것, 일지도 모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스토리 모드 '메가리스의 수수께끼'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공개된 설정에 따르면, 메가리스는 스톤 서클이나 피라미드와 같은 고대의 거석 건조물이다. 그러나 자연석과는 다른 미지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교한 형태의 천사상과 악마상이 칠각형의 대좌 위에 새겨져 있다고 한다.

대좌는 어렴풋하게 빛을 발하는데, 그 정체는 바로 다른 세계로 연결하는 문이다. 천사상 오피엘의 대좌가 열리면 그 뒷면에 파레그가 나타나며, 악마상 하기트의 대좌가 열리면 베토르가 뒷면에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오크의 대좌가 열리면 수많은 머리를 가진 용, 아라트론이 나타난다.

메가리스는 잔해가 되어도 어느 정도 역장을 만들어 내 차원문으로서의 역할을 지속하는데, 이 차원문 저편에서 미지의 형체가 나타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 바로 메가리스 풀이다.

3. 의식 몬스터

보통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하는 효과지만, 풀 & 오쿠 & 아라트론은 자신들의 효과로 상대 메인 페이즈에도 의식 소환할 수 있다. 덕분에 후공을 잡아도 아라트론으로 상대 턴에 베토르를 의식 소환해 견제할 수 있다.

참고로 레벨 4 몬스터들의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란 효과엔 룰에서 기인한 맹점이 있다. 만약 자신 필드에 오피엘이 있고, 패에는 레벨 8 파레그와 베토르가 있다고 가정하자(다른 카드는 고려하지 않는다.). 여기서 오피엘의 ②의 효과를 발동해 필드의 오피엘과 패의 파레그를 릴리스해서 베토르를 의식 소환하고 싶다면? 언뜻 보면 가능해 보이지만, 결론부터 말해 이는 불가능하다.

의식 소환엔 소환하려는 몬스터의 레벨이 이미 만족됐다면 그 이상의 릴리스는 못 한다는 룰[2]이 있고, 레벨 4 메가리스들의 효과는 모두 자신을 포함한 릴리스를 강제하기 때문. 예시로 든 상황에서 베토르의 레벨 8을 만족시키려면 파레그를 릴리스할 수밖에 없는데, 그렇게 되면 파레그가 릴리스에 포함된 시점에서 레벨 8이 만족돼 룰상 오피엘을 릴리스에 포함할 수 없게 된다. 근데 오피엘의 효과는 반드시 자신을 포함해서 릴리스할 것을 강제한다. 레벨 4 메가리스의 효과는 어디까지나 의식 소환을 시행하는 것이므로, 의식 소환의 룰에 위배되는 방식으로 몬스터를 릴리스할 수는 없다. 직관적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룰이라 사용 시에 주의가 필요하다.

3.1. 레벨 2

3.1.1. 메가리스 풀

파일:メガリス・フール(25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풀,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フール,
영어판명칭=Megalith Phul,
속성=땅, 레벨=2, 공격력=500, 수비력=20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의식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그 몬스터와 같게 한다. 그 후\, 대상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 / 덱에서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 추가된 유일한 레벨 2의 메가리스 몬스터.

고유 효과는 레벨 조정 및 의식 몬스터 회수. 다른 하급 메가리스 카드와는 달리 회수 효과에도 카드명 제약이 있다. 대신 의식 소환으로 빵꾸 난 패를 채워주고, 레벨을 같게 한다는 점에서 엑시즈 / 싱크로의 연계가 가능함은 물론, 상대 턴에도 의식 소환이 가능하면서, 유일하게 덱에서 의식 소환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인 데다, 레벨도 2이므로 아다마시아 카드를 용병으로 쓰면 블록드래곤으로 패를 3장 불리는 사기도 칠 수 있으므로 메가리스를 굴린다면 반드시 채용해야 하는 카드다.

설정 상 대좌를 통해 등장한 다른 메가리스와 다르게 잔해들 안에서 등장한 미지의 존재이다. 여타 메가리스와 다르게 결정화된 광물이 많은데, 이후 등장한 신규 메가리스에서도 폴의 광물이 섞인 디자인이 등장한다.

모티브는 을 다스리는 천사 풀. 지구의 잔해로부터 탄생한 가설을 따온 듯하다.
수록 시리즈
2020-04-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JP036 | ライズ・オブ・ザ・デュエリスト [ RISE OF THE DUELIST ]
2020-07-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KR036 | 라이즈 오브 더 듀얼리스트
2020-08-0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OTD-EN036 | RISE OF THE DUELIST

3.2. 레벨 4

레벨 4 메가리스는 필드에 있다면 자신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한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해 대부분의 몬스터를 의식 소환할 수 있다.

3.2.1. 메가리스 오피엘

파일:メガリス・オフィエル(25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오피엘,
일어판명칭=メガリス・オフィエル,
영어판명칭=Megalith Ophiel,
속성=땅,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25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메가리스 오피엘" 이외의 "메가리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메가리스 몬스터 서치. 레벨 4의 다른 메가리스를 서치했으면 ②의 효과로 바로 그 몬스터를 꺼낼 수 있다. ①의 효과에 턴 제약이 없는 것도 장점으로, 패에 이 카드가 2장 이상 잡혔을 경우 1번째 오피엘 소환 후, ②의 효과로 2번째 오피엘을 꺼내는 걸로 연속 서치할 수 있다. 단 ②의 효과는 턴 제약이 있어 3번째까진 힘들다. 보통 이 카드로 하기스를 가져와 마법 카드도 1장 서치한 뒤 뒤를 이을 의식 몬스터로 나가는 식.

대응하는 소환수는 파레그.

모티브는 수성을 다스리는 천사 오피엘.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5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5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5 | IGNITION ASSAULT

3.2.2. 메가리스 하기트

파일:メガリス・ハギト.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하기트,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ハギト,
영어판명칭=Megalith Hagith,
속성=땅, 레벨=4, 공격력=1300, 수비력=26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메가리스"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메가리스 마법 / 함정 서치. 곧바로 어드밴티지 회수가 가능한 필드 마법 메가리스 포털, 덱에서 의식 소재를 조달하는 메가리스 언폼드 2가지 카드 중 상황에 맞는 카드를 서치한다. 어차피 하기트의 서치 효과는 턴 제약이 없으므로 결국 두 카드 다 서치하는데 뭘 먼저 가져올지는 상황에 따라 판단하면 된다. ①의 효과로 메가리스 포털을 서치하고 발동, ②의 효과로 의식 소환을 하면 바로 메가리스 포털의 ②의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대응하는 소환수는 베토르.

모티브는 금성을 다르리는 천사 하기트.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6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6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6 | IGNITION ASSAULT

3.2.3. 메가리스 오쿠

파일:メガリス・オク.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의식=,
한글판명칭=메가리스 오쿠,
일어판명칭=メガリス・オク,
영어판명칭=Megalith Och,
속성=땅, 레벨=4, 공격력=1000, 수비력=27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골라 버린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패 교환. 하지만 메가리스는 묘지 자원을 의식 소재로 쓰는 테마도 아니고 의식 마법의 의존도가 없다시피 한 테마라서 패 말림의 우려가 딱히 없기에 다른 메가리스에 비해 뭔가 아쉬운 고유 효과다.

이 카드의 진가는 ②의 효과에 있다. 포뮬러 싱크론과 비슷하게 상대 턴에도 의식 소환할 수 있단 것. 다른 레벨 4에게도 있는 본인을 포함해 의식 소환하는 효과가 오크는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 이는 아라트론도 비슷하지만, 아라트론은 메가리스의 의식 소환에 한정되는 반면에 오쿠는 다른 의식 몬스터도 자유자재로 소환할 수 있다. 단순히 아라트론처럼 같은 테마의 베토르를 상대 턴에 기습적으로 꺼내 대량 파괴를 노리는 것도 강력하지만, 에스프릿을 내서 대량 바운스를 노릴 수도 있고 네크로즈 중에서도 트리슈라의 네크로즈sophia의 네크로즈 같은 카드들로 상대 전개를 끊을 수 있으며,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를 쓰면 상대는 몬스터의 효과가 봉인된다.

대응하는 소환수는 아라트론. 메가리스에서 주역의 위치인지 오쿠와 아라트론 관련의 일러스트가 많다.

모티브는 태양을 다스리는 천사 오크. 근데 정발판은 오쿠로 번역한 데다[3], "메가리스" 카드 의해 의식 소환으로 오타까지 냈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7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7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7 | IGNITION ASSAULT

3.2.4. 메가리스 프로츄

파일:メガリス・フローチュ.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 명칭=메가리스 프로츄,
일어판 명칭=メガリス・フローチュ,
영어판 명칭=Megalith Phuloch,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000, 수비력=300,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으며\, ①②의 효과는 동일한 체인 위에서는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메가리스"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필드의 이 카드를 포함하는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자신 묘지에서 "메가리스 프로츄" 이외의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고유효과는 메가리스 카드 샐비지. 풀과는 달리 아무 메가리스 카드이기만 하면 샐비지가 가능하며 몬스터 / 마법 / 함정 종류를 가리지 않아 샐비지 범위가 폭넓다.

②의 효과가 풀과는 살짝 다른데 묘지의 몬스터를 의식 소환한다. 효과 발동하거나 소재로 묘지로 보낸 위해 묘지로 보낸 고레벨 메가리스 몬스터 불러오거나 노트라 플루라를 소생한느 용도로 쓴다.

메가리스는 의식 소환을 위해 패나 필드를 과도하게 털어야 했는데 이 카드는 묘지 의식 소환 및 샐비지로 후속 빌드를 세울 수 있게 해준다.

오쿠와 같은 외형을 하고 있지만 폴과 같이 형형색색의 수정이 돋아나 있는데 아나스타시스의 일러스트로 보아 변이된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33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33 | 둠 오브 디멘션즈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33 | DOOM OF DIMENSIONS

3.3. 레벨 8

레벨 8 메가리스는 패에서 버림으로써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해 메가리스 몬스터를 의식 소환하는 효과가 있다.

3.3.1. 메가리스 파레그

파일:メガリス・ファレ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파레그,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ファレグ,
영어판명칭=Megalith Phaleg,
속성=땅, 레벨=8,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필드의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자신 묘지의 의식 몬스터의 수 × 300 올린다.)]

데몬 소환과 같은 능력치를 가진 메가리스의 어태커. 메가리스 중 유일하게 공격력이 2000을 넘는다. 최대한 몬스터를 전개한 뒤 이 카드를 의식 소환, 다 같이 타점이 늘어난 필드의 몬스터들로 상대를 공격해 이기는 게 메가리스 덱의 최종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오피엘의 하반신에 달린 차원문에서 나온 천사. 아래쪽에는 있는 하얀 물체는 오피엘.

모티브는 화성을 다스리는 천사 팔레그.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8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8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8 | IGNITION ASSAULT

3.3.2. 메가리스 베토르

파일:メガリス・ベトー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베토르,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ベトール,
영어판명칭=Megalith Bethor,
속성=땅, 레벨=8, 공격력=1500, 수비력=26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의식 몬스터 종류의 수까지 상대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대량의 효과 파괴로 필드 어드밴티지를 역전시킬 수 있는 카드.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라 대상 내성이 있으면 파괴할 수 없지만, 몬스터 / 마법 / 함정을 안 가리므로 효과 자체가 무효화되지 않는 이상 본전은 뽑을 수 있다. 묘지의 의식 몬스터의 종류를 세는 만큼 후반에 더 큰 위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한 반동으로 수비력에 치중된 낮은 스탯이 단점이다.

하기트의 하반신에 달린 차원문에서 나온 악마. 아래쪽에 있는 검은 물체는 하기트.

모티브는 목성을 다스리는 천사 베토르.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9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9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9 | IGNITION ASSAULT

3.3.3. 메가리스 아라트론

파일:メガリス・アラトロ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명칭=메가리스 아라트론,
일어판명칭=メガリス・アラトロン,
영어판명칭=Megalith Aratron,
속성=땅, 레벨=8, 공격력=2000, 수비력=3000, 종족=암석족,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 이상이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패에서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의식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상대 효과가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묘지에서 의식 몬스터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리고\, 그 발동을 무효로 하여 파괴한다.)]
수수께끼가 가득한 거석 「메가리스」 중 하나가 그려진 아이콘.
대좌를 무너트리고, 용의 머리가 요사하게 움직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상대가 대상 지정 효과를 발동하면 묘지의 의식 몬스터 1장을 덱 맨 아래로 되돌리는 코스트로 퍼미션을 건다. 수비력이 높아 전투로 버티긴 쉽다. 효과와 스탯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전투로 나서는 비트 역할보단 버티는 역할이다. 사실 파레그 빼곤 전부 수비력이 더 높기는 하다.

또한 ①의 효과는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하다. 그러니까 패 트랩 몬스터.

오쿠의 하반신에 달린 차원문에서 나온 마물. 아래쪽에 오쿠가 없는데 에멀전에서 아라트론이 깨어나면서 부서졌기 때문.(...)

모티브는 토성을 다스리는 천사 아라트론.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가리스 아라트론 소환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메가리스 카드군에서는 유일하게 Live 2D 연출이 적용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36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36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36 | IGNITION ASSAULT

3.4. 레벨 12

3.4.1. 메가리스 노트라 플루라

파일:メガリス・ノートラ・プルーラ.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의식=, 효과=,
한글판 명칭=메가리스 노트라 플루라,
일어판 명칭=メガリス・ノートラ・プルーラ,
영어판 명칭=Megalith Notrah Plura,
레벨=12,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3700, 수비력=2700,
효과외1="메가리스" 카드에 의해 의식 소환,
효과외2=이 카드는 의식 몬스터만을 사용한 의식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3=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자신의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대하여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상대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이 효과로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의 발동을 무효로 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할 수 있다.)]

메가리스의 신규 에이스. 메가리스 최초이자 암석족 최초의 레벨 12 몬스터이다. 에이스로 설정되어서인지 다른 메가리스 몬스터와는 달리 완전히 다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오로지 의식 몬스터를 사용한 의식 소환으로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어 언뜻보면 소환하기 까다롭지만 메가리스는 전부 의식 몬스터로 구성되어 있고, 덱 의식 소환 및 레벨 조정 효과를 가진 풀과 묘지 의식 소환 효과를 가진 소환하게 하는 프로츄가 있어서 생각보다 소환하기 쉬운 편이다.

①의 기동 효과는 패의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는 것으로 그 턴 동안 자신의 메가리스의 효과 발동에 상대의 체인 불가를 적용한다. 메가리스는 기본적으로 자체 몬스터들의 효과를 통해 움직이기 때문에 메가리스가 견제당하면 그대로 정지하는데 그 약점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체인 불가만 걸어줄 뿐 효과의 확정 발동을 보장하는 건 아니니 스킬 드레인 등으로 이미 무효화가 되어있거나 퀵 타이밍에 무효화 계열 카드를 던지는 것은 방지가 불가능하다. 대신 풀 / 오쿠 / 프로츄 / 아라트론 등 의식 효과가 프리체인인 카드들에게는 상대 퀵 타이밍도 무위로 돌릴 수 있는만큼 상당히 좋은 보호 효과가 되어준다. 그 덕분에 최종 결과물임에도 초반에 패에 잡혀도 유용하다.

②의 유발 즉시 효과는 아라트론의 상위 호환으로, 상대가 카드 효과를 발동했을 때 퍼미션을 실행한다. 거기다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의 발동을 무효화했을 시에는 추가로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할 수 있는 선택지가 주어진다. 퍼미션에 아무런 코스트도 존재하지 않는데다 대상 지정 카드를 퍼미션했을 경우 상대 필드에 대한 견제까지 수행할 수 있어 피니셔다운 위용을 보여준다. 또한 ①의 효과와 맞물려서 자신의 턴에는 사실상 카운터가 불가능한 퍼미션이 되는 점도 플러스.

최종 결과물답게 높은 타점은 물론 효과 무효 및 비대상 비파괴라는 강력한 퍼미션을 겸비한 우수한 카드. 거기에 메가리스의 치명적인 단점도 보완해줘 빠르게 패에 잡히기만 한다면 초중반 전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도 큰 도움을 준다.

효과와 디자인으로 볼때 아라트론이 변이된 모습으로 보인다. 정확히는 오쿠가 변이한 모습인 프로츄에서 나온 아라트론으로 추정된다. 아라트론과 프로츄의 레벨을 합하면 이 카드의 레벨과 같아진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34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KR034 | 둠 오브 디멘션즈
2025-09-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EN034 | DOOM OF DIMENSIONS

4. 마법 카드

4.1. 메가리스 포털

파일:メガリス・ポータ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메가리스 포털,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ポータル,
영어판명칭=Megalith Porta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의식 소환한 몬스터는 각각 1턴에 1번만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메가리스"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의식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승화하는 혼을 연상시키는 효과를 지닌 메가리스의 필드 마법. ②의 효과로 의식 소환의 고질적인 문제인 어드밴티지 소모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벨 8 몬스터들의 ①의 효과로 의식 몬스터 전개를 시작할 테니 처음부터 회수 효과를 쓸 수 있다. 패가 쉽게 마르는 의식 테마에게 샐비지는 귀중한 효과다. 전투 내성 부여는 상대의 의식 몬스터도 적용되기에 상대가 의식 테마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메가리스 몬스터가 특수 소환된 경우에 발동하는 효과라 묘지에서 소생시키는 등의 상황에서도 타이밍을 안 놓치고 효과를 발동할 수 있으며, 샐비지 대상도 의식 몬스터로만 지정되어 있어서 용병으로 투입한 다른 의식 몬스터도 재활용할 수 있다. 다만 대상을 지정하는 효과라 무덤의 지명자D.D. 크로우로 저격당할 수 있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57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57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57 | IGNITION ASSAULT

4.2. 메가리스 언폼드

파일:メガリス・アンフォーム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메가리스 언폼드,
일어판명칭=メガリス・アンフォームド,
영어판명칭=Megalith Unformed,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상대 필드의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필드의 의식 몬스터의 수 × 500 내린다.,
효과3=●레벨의 합계가 의식 소환할 몬스터의 레벨의 배가 되도록\, 자신의 패 / 필드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덱에서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의식 소환한다.)]

상대 몬스터들의 타점을 줄이거나, 덱에서 메가리스 몬스터를 의식 소환할 수 있는 속공 마법. 소환하려는 몬스터 레벨의 배가 되도록 의식 소재를 조달해야 해서 조건이 빡세다. 아래의 프로모션과 연계하면 완화할 수 있지만, 프로모션의 성능이 나빠서 일러스트처럼 풀의 소환을 자주 하게 될 듯하다. 풀은 메가리스의 핵이라 이 카드가 유용하게 쓰인다. 굳이 풀이 아니라도 메가리스 의식 몬스터들의 자체 의식 소환 효과에는 카드명 제약이 걸려 있으므로 카드명 제약 없이 계속 의식 소환할 수 있는 카드는 이게 유일하고, 덱에서 서치 효과가 워낙 유용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쓰게 될 마법 카드다. 거기에 숙공 마법이라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용도로도 유용하다.

일러스트는 메가리스의 잔해들이 무지개빛 소용돌이에서 서로 뒤섞이고 있으며, 이후 풀로 연성된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70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70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70 | IGNITION ASSAULT

4.3. 메가리스 아나스타시스

파일:メガリス・アナスタシス.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지속=,
한글판 명칭=메가리스 아나스타시스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メガリス・アナスタシス,
영어판 명칭=Megalith Anastasis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를 1장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와 8 이상의 "메가리스" 몬스터를 각각 1장씩 패에 넣는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이 "메가리스" 몬스터를 의식 소환했을 경우\,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명의 이하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선택할 수 없다).,
효과3=●자신은 2장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패를 1장 고르고 버린다.,
효과4=●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한다.)]

①의 효과는 1:2 교환. 주로 패의 노트라 풀라를 보여줘 체인 면역을 건 다음 묘지에 묻고, 노트라 플루라를 소환하기 위한 프로츄와 다른 8레벨 몬스터를 서치하게 될 것이다.

②의 효과는 의식 소환시에 고르는 양자택일 효과. 후술할 효과 모두 각각 1턴에 1번씩이라 의식 소환을 2번하면 아래 효과를 다 쓸 수 있다. 선택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쉬운 소재 조달 및 연속 의식 소환으로 인한 과도한 패/필드 소모를 해소해주는 우수한 지원. 이 카드 1장만으로 1턴에 총 4장이나 패로 가져올 수 있고, 풀, 오쿠, 프로츄, 아라트론으로 상대 턴에 의식 소환하는 카드와 연계하면 기습적으로 튀어나오면서 아드를 벌거나 상대 몬스터를 지우는 등 상대 견제 능력도 향상했다.

이름의 유래는 헬라어로 부활을 뜻하는 아나스타시스(Anastasis). 일러스트는 오쿠가 프로츄로 변형되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7-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OOD-JP066 | ドゥーム・オブ・ディメンションズ [ DOOM OF DIMENSIONS ]

5. 함정 카드

5.1. 메가리스 프로모션

파일:メガリス・プロモー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메가리스 프로모션,
일어판명칭=メガリス・プロモーション,
영어판명칭=Megalith Promo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레벨 4 이하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을 턴 종료시까지 원래의 레벨의 배로 한다.)]

레벨 2 / 4 메가리스의 레벨을 4 / 8로 해 의식 소환에 필요한 어드밴티지를 줄일 수 있으며, 레벨 8의 메가리스가 1장 더 있다면 랭크 8의 엑시즈로 이을 수도 있다. 랭크 8의 경우 같은 암석족인 No.68 마천뢰 산달폰 등 강력한 효과를 가진 몬스터들이 있으니 생각해 볼 수 있으며, 튜너 몬스터가 같이 있다면 최소 레벨 6 이상의 싱크로 소환으로 이을 수도 있다. 하지만 레벨 조정 효과뿐인데도 굳이 함정 카드로 낸 건 의문. 아마 메가리스 오쿠를 생각해서 만든 것 같은데, 이 때문에 성능 문제로 공개되자마자 효과가 이게 뭐냐고 대차게 까였다.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71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71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71 | IGNITION ASSAULT

5.2. 메가리스 에멀전

파일:メガリス・エマージョン .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메가리스 에멀전,
일어판명칭=メガリス・エマージョン,
영어판명칭=Megalith Emergence,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메가리스"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주인의 덱 맨 아래로 되돌아간다.)]

의식 소재 충당이 주 용도. 급할 땐 벽으로 사용 가능하며, 메가리스 몬스터들은 대부분 레벨 4 또는 8이니, 랭크 4 또는 8의 엑시즈 소환으로 이을 수도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메가리스가 엑시즈 소재가 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덱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묘지에 남게 되니[4], 다시 이 카드의 효과로 되살릴 수 있다. 지속 함정이라 양쪽 턴마다 소생이 가능해서 필드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덱으로 돌아가는 디메리트도 장기전에선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일러스트는 오쿠의 대좌에서 아라트론이 깨어나오고 있는데 여기에 휘말린 오쿠가 부서지는 장면. 그리고 오쿠는 풀로 변화한다. 근데 이 카드가 코스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재현은 불가능.
수록 시리즈
2019-10-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JP072 | イグニッション・アサルト [ IGNITION ASSAULT ]
2020-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KR072 | 이그니션 어썰트
2020-01-3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GAS-EN072 | IGNITION ASSAULT

6.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카드군 내에 SR이 아라트론 하나가 다고, UR은 아예 없다.[2] 예를 들어 카오스 솔저를 의식 소환하려고 카오스의 의식을 발동해 패에 있는 레벨 8인 푸른 눈의 백룡을 릴리스했다면, 자신의 패와 필드에 얼마나 많은 몬스터가 남아 있어도 더 이상의 릴리스는 불가능하다. 이미 푸른 눈의 백룡의 릴리스로 레벨 8이 만족됐기 때문.[3] 이는 이미 자이언트 오크 등에서 오크로 번역된 オーク와 이 카드에 쓰인 オク의 구분을 위해 부득이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4] 이는 엑시즈 소재가 된 몬스터는 필드에는 존재하지만 카드로 치지는 않기 때문에 가능한 것. 엑시즈 소환의 재정을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