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1:01:22

스프라이트(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스프라이트
<nopad> 파일:Splight Gamma Burst.png 스프라이트 감마 버스트
한국어판 명칭 <colbgcolor=#fff,#1f2023> 스프라이트
일어판 명칭 スプライト
영어판 명칭 Spright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어둠, 화염 번개족 효과, 엑시즈, 링크
1. 개요2. 설명
2.1. 스토리2.2. 성능
2.2.1. 전개 루트2.2.2. 장점2.2.3. 단점2.2.4. 덱 구축 목록
2.3. 역사2.4. 유희왕 마스터 듀얼
2.4.1. 출시 후2.4.2. 2023년 10월 ~
3. 효과 몬스터
3.1. 레벨 2
3.1.1. 스프라이트 블루3.1.2. 스프라이트 제트3.1.3. 스프라이트 픽시즈3.1.4. 스프라이트 레드3.1.5. 스프라이트 캐롯
4. 엑시즈 몬스터5. 링크 몬스터
5.1. 링크 2
5.1.1. 스프라이트 엘프5.1.2. 스프라이트 스프린드
6. 마법 카드
6.1. 스프라이트 스타터6.2. 스프라이트 감마 버스트6.3. 스프라이트 스매셔즈
7. 함정 카드
7.1. 스프라이트 더블크로스
8. 관련 카드9. 참고 카드
9.1. 메인 덱 카드9.2. 엑스트라 덱 카드9.3. 카운터

1. 개요

부스터 팩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에서 데뷔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2. 설명

이름의 유래는 요정, 도깨비 또는 상층대기 번개의 종류 중 하나인 스프라이트. 카드군 이름을 요정에서 따 왔으며 원소가 뭉쳐 이루어진 존재(검댕/번개)라는 점에서 스프리건즈와 유사성이 보인다.

하급 몬스터들의 신체 일부에는 세리온즈에 없는 황도 12궁의 기호가 그려져 있다.

동명의 사이다 브랜드와 같은 이름 때문에 국가를 막론하고 음료수와 엮는 드립이 많이 언급된다. 약칭은 '탄산', '사이다', '스프'.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선 3년 후의 사이킥 텐도가 쓰는 테마로 등장한다. 사이킥 텐도가 썬더 드래곤/엘드리치 등의 성능 중심 덱을 굴리는 걸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1. 스토리

무진기관 아르기로 시스템의 분신이자 짐승의 방주를 관리하는 존재로, 이 존재들이 세리온즈를 지배하고 있다.

키트스프리건즈 일행이 레귤러스를 포함한 다른 세리온즈들에게 승리하고 아르기로 시스템 앞에 서자, 아르기로 시스템이 돌연 에너지를 발산하여 이들을 등장시켰다. 갑작스레 난입한 스프라이트는 레귤러스에게 에너지를 과다 주입해 이레귤러로 폭주시키고, 자신들 또한 기간틱 스프라이트를 대동해 싸움에 난입했다. 거기다 이 난동의 여파로 봉인이 해제되어 분노에 미쳐 날뛰는 아라시아까지 난입하면서 그야말로 룰 따윈 없는 혼돈의 배틀 로얄이 펼쳐지게 된다.

그러나 어떻게든 제정신으로 돌아온[1] 레귤러스가 서로 마음이 통한 사르가스와 함께 더블 래리어트를 작렬해 기간틱 스프라이트가 패배, 그대로 스프리건즈의 에너지로써 이용당하게 된다.

이 스프라이트 에너지는 대사해에서의 결전에서 매우 큰 활약을 선보였는데, 스프라이트 에너지를 통해 사르가스와 레귤러스와 합체한 기간틱 "챔피언" 사르가스와 스프라이트 에너지로 제작된 병기 Bucephalus II가 고대 병기 알버 로스에게 기간틱 썬더크로스를 작렬시켜 박살을 내었고, 스프라이트 에너지와 심연의 힘을 동시에 다룰 수 있도록 제작된 격철룡 린드블룸혁언룡 그랑기뇰혁의 성녀 카르테시아를 격추시켜[2] 진염룡 알비온이 탄생하는 계기를 만들었다.[3]

대사해에서의 결전이 종료된 후에는 스프라이트의 힘이 알버 로스의 잔해에 깃들어 아르기로스의 낙윤이 탄생한다.

2.2. 성능

레벨 2, 랭크 2, 링크 2까지 능력치가 2와 연관된 효과를 다수 보유한 카드군으로, 테마 내 몬스터들은 어둠 속성 / 화염 속성인 번개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력한 전개 효과에 우수한 견제 효과까지 골고루 지닌 테마로 단일 테마 덱 구축은 물론,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와 관련된 테마에서 용병으로 채용하기도 매우 좋은 테마다. 다만 용병으로 채용시에는 덱에서 특수 소환하는 효과(기간틱/스타터)는 발동 후 레벨 2/랭크 2/링크 2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약이 걸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번개족이지만 패에서 발동하는 효과는 전투 시에만 쓸 수 있는 픽시즈가 전부로, 이는 초뇌룡-썬더 드래곤을 악용하기 힘들게 하기 위한 페널티에 가깝다. 핵심 전개 카드에 제한이 붙어 있고, 선공에 꺼내기도 어려워 같이 쓰기는 힘들지만 썬더 드래곤 원본은 사실상 효과 발동 조건이 없는 것을 노려 패보충+깜짝 초뇌룡을 가는 방법이 있다.

2.2.1. 전개 루트

스프라이트 스타터, 스프라이트 블루, 스프라이트 제트 중 어느 한장과 도깨비 개구리가 같이 잡혔을 경우, 증식의 G를 간접 서치할 수 있다.

[ 전개 루트 ]
||준비물: 도깨비 개구리 + 스프라이트 블루

1. 도깨비 개구리를 일반 소환. 효과로 풍류 개구리를 덤핑한다.
2. 스프라이트 블루를 특수 소환한다. 블루의 효과로 제트를 서치하고 제트의 효과로 스타터를 서치한다.
3. 블루와 제트로 기간틱 스프라이트를 엑시즈 소환한다.
6. 기간틱 스프라이트의 효과로 증식의 G를 특수 소환한다.
7. 도깨비 개구리의 효과로 증식의 G를 패로 바운스한다.
8. 도깨비 개구리와 기간틱 스프라이트로 스프라이트 엘프를 링크 소환한다.
9. 스프라이트 엘프로 도깨비 개구리를 지정하고 소생, 효과로 도깨비 개구리를 덤핑한다.
10. 풍류 깨구리를 소생하고 도깨비 개구리와 풍류 깨구리로 아이:피 마스카레나를 링크 소환한다.

필드에는 마스카레나와 엘프가, 패에는 증식의 G와 스타터가 있으며, 스타터로 레드를 꺼내 우라라를 직접 견제할 수 있고 엘프로 증식의 G를 소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덤의 지명자를 회피할 수도 있다. 또한 최종 필드가 엘프 + 마스카레나로 둘이기 때문에 라의 익신룡-구체형의 조건을 회피하는 것도 장점.

블루나 스타터 대신 제트로 전개를 시작할 경우엔 제트→스타터→블루 순서로 꺼내게 되므로 블루로 레드를 서치한 뒤 바로 꺼내면 된다.||

2.2.2. 장점

2.2.3. 단점

2.2.4. 덱 구축 목록


스프라이트를 용병으로만 쓴다면 기본적으로 블루 + 레드의 조합만 넣고 패 트랩을 케어하거나, 레벨 2 키 카드가 있어 기간틱과 엘프만 넣어서 전개의 중간다리로 써먹을 수는 있다.[5] 레벨/랭크/링크 2 몬스터가 다수 산재해 있어 스프라이트 전반을 같이 쓰기 좋은 카드군은 다음과 같다. 물론 이들이 아니더라도 레벨/랭크/링크 2가 주력이라면 어디든 불려다닐 수 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트라이브리게이드 파츠의 수를 최소한으로만 투입하는 방향으로 최적화가 이루어져 OCG와 다른 방향성을 보여 주게 되었다. 하급 및 2링크 트라이브리게이드 몬스터들을 1장씩만 투입해 그저 개체수 불리기 및 쌍룡 소환용으로만 쓰는 것.

2.3. 역사

초강력 테마
V점프의 마스터 듀얼 업데이트 공지에서 스프라이트에 붙은 수식어.

유희왕 11기 후반에 등장해 다른 덱에 비하면 확연한 장점과 적은 단점을 가져, 인플레 테마군(스프라이트-티아라멘츠-크샤트리라-비스테드)의 시작점이 되었다고 평가받는다. [6] 손쉽게 만들어지는 퍼미션 빌드도 강력하지만, 떡 깨구리와 유니온 캐리어로 게임을 닫는 빌드도 있어 고점도 높다. 핵심 카드 대부분이 금지와 제한에 이름을 올렸고, 그럼에도 일부 카드는 여전히 용병으로 채용된다. 11기 파워 인플레이션의 시작점이라는 유저들의 평가는 정확하다고 볼 수 있다.

2.3.1. 2022년 4월 출시 직후

파일:SPLIGHT DESTROYING META!!!.jpg
출처 2022년 4월에 등장한 개구리 스프라이트의 덱 파워를 요약하는 이미지.[7]
파일:OCG202204-4-PieNew.jpg 파일:1652044349.jpg
스프라이트의 발매 직후 5일간 채용률[8] 출처 22년 4월 25일 ~ 5월 8일자 일본 상위 입상 덱 비율 출처
파일:일본 선수권 2022 지역 대표 권리 획득자 덱 분포.jpg 파일:사이다티아라존나게황밸이네쉬벌.jpg
일본 선수권 2022 지역 대표 권리 획득자 덱 분포 출처 이시즈 티아라멘츠의 등장
출시 이전부터 각종 레벨/랭크 2 카드군과의 혼용이 적극적으로 연구되었으며, 발매 이후로는 강한 빌드, 높은 안정성, 넓은 덱 스페이스라는 강점으로 첫날부터 대회 입상 덱에 이름을 다수 올렸다. 가볍게 나오면서도 떡 깨구리 축은 물론 이빌트윈 축도 입상하고 있고, 생각지도 못한 테크닉이 나오면서 원래부터 강력한 덱으로 예상됐지만 그 예상보다 더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프라이트의 기가막힌 장점 중 하나가 바로 현 메타 상의 견제 카드들에 대한 대응력이다. 테마 내에 퍼미션 몬스터 두장과 비지정 제거 속공 마법이 있고, 이들의 효과를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활용한 선공 패트랩 케어, 후공 돌파에 모두 용이하다. 패 트랩 중 원시생명체 니비루, 환창룡 판타즈메이같은 특수 소환형 패트랩은 상대에게도 걸리는 기간틱의 디메리트로 봉쇄할 수 있다. 엘프의 프리체인 소생 효과는 떡 깨구리나 레드 or 캐롯을 살려 퍼미션 한개를 더 추가하는 것과 동시에 무덤의 지명자를 불발시킬 수 있다.

패에서의 특수 소환이 효과가 아닌 룰에 의한 특수 소환이라 증식의 G를 던지기 애매하며, 맞아도 드로우를 적게 주면서 스타터나 스매셔즈를 챙겨 후속 견제를 할 수 있다. 명왕결계파금지된 일적를 맞아도 스타터 + 레드 or 캐롯 / 캣 샤크 + 해황의 중장병 / 스매셔즈로 견제할 수 있으며, 투입률은 낮지만 아크 디클레어러를 뽑으면 역으로 일적을 묶어놓을 수도 있기 때문에 고점 빌드의 완성도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유벚꽃을 맞더라도 영혼 채는 도깨비불로 제외된 카드를 회수할 수 있기에 대응력과 복구력도 어느정도 보장된다. 보통 낮은 레벨이 주가 되는 카드군은 강력한 효과에 비해 낮은 타점이 문제가 되기 마련인데, 기간틱만 봐도 소환 방식에 따라 깡타점 3200의 차고 넘치는 퍼니셔가 돼서 그런 단점에 발목잡히지도 않는다.

패 1장으로 떡 깨구리가 포함된 매우 강력한 빌드를 쉽게 만들 수 있고, 원 핸드 초동이 순수 카드군 내에서만 따져도 9장이며, 빌드를 세우는 과정에서 패 트랩을 상대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높은 안정성을 지니고 있다. 덱에 쓰레기 파츠가 적게 들어가고 그 쓰레기 파츠조차 전개용으로 적절하게 써먹을 수 있다는 점도 안정성을 한층 더 높혀준다. 게다가가 덱에 스프라이트 파츠는 13장 내외고 덱에 투입되는 용병 파츠까지 포함해도 20장 내외기 때문에 넓은 덱 스페이스도 지니고 있다.

제일 큰 문제점은 떡 깨구리와 궁합이 너무 좋다는 것[9]이 꼽히고 있다. 스프라이트는 개구리 파츠도 덱에서 손쉽게 가져오고, 릴리스하고 발동하는 카드의 천적인 무덤의 지명자 회피에 재사용까지 제공해주니 떡 깨구리 활용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 상기한 대표 전개 루트 4개에서도 떡 깨구리만 빠져도 필드가 상당히 약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프라이트의 자체 기믹도 상당히 강력하다고 평가받고, 다른 전개 루트도 많지만 떡 깨구리 특유의 범위 넓은 퍼미션과 자체 회수 능력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 빌드는 그 중에서도 특히 강하다는 평을 받는다.

상상 이상의 강력한 성능에 출시 첫 날부터 높은 입상 수를 기록했고[10] 스프라이트 쇼크를 겪은 일본 탑 플레이어들은 여러 코멘트를 내놓았는데, 마경은 "이번 분기는 스프라이트 때문에 유희왕 할 생각이 사라져서 스프라이트에 대해 생각 안 해도 되겠다"라고 했으며, 다른 YP들도 "스프라이트가 너무 강해서 이번 분기는 망했고 다음 분기도 마찬가지일 것 같으니 마스터 듀얼 신팩과 금지제한 개정에 희망을 걸겠다", "기적이 일어나서 다음 금지제한 개정 때 떡 깨구리가 금지되면 평생 유희왕 따라가겠다"[11], "스프라이트가 너무 압도적인 최강 덱이라 은거하렵니다"[12]라는 등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국내 유저들 사이에서도 당연히 부정적인 반응이 많으며, 심지어 이렇게 파워 인플레가 계속되는 것을 비꼬는 글까지 나올 정도이다. 2021년에 유희왕 OCG KOREA CHAMPIONSHIP에서 우승한 카라미도 스프라이트의 성능을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을 받자 "유희왕은 X됐어요."라는 평가를 내렸다. 해당 테마가 출시된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가 여러 비티어권 테마들을 상당한 수준으로 끌어올려준 지원들이 많았고, 여기엔 티어권도 넘볼 수 있는 테마도 몇 있었지만[13] 이거 하나로 환경이 완전히 박살이 난 지라 스프라이트만 없었어도 상당히 재미있는 환경이 되었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하는 의견들도 많다.

이렇게 반응이 격한 것은 이 정도로 압도적인 0티어 카드군의 등장이 SPYRAL 이후 처음인 것도 영향이 있다. SPYRAL이 제재 이후 0티어에서 내려온 것이 2018년 1월이고, 그 이후로부터 한 카드군이 단독으로 분기 채용율 40%를 초과하여 메타를 장악하는 0티어의 자리에 오른 것은 무려 4년 만에 일어난 일이다.[14] 이전까지는 밸런스에 대해 잡음은 많았지만 최소한 압도적인 신규 덱이 모든 덱에 절대적 우위를 잡는 0티어의 등장만큼은 아슬아슬하게 피하고 있었는데, 기어이 그 불문율이 다시 한 번 깨지며 문제가 된 것이다. 일본 유명 플레이어 중 한 명인 시노도 SPYRAL과 유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15]

실제로 스프라이트가 환경을 절반 넘게 장악하자 스프라이트만 보고 이전까지 채용률이 낮거나 쓰이지 않던 카드들이 대거 사이드 덱에 채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3퍼미션 빌드를 통상 소환 한 번으로 철거 가능한 라의 익신룡-구체형이나 룰 특수 소환 + 전투로 2장 제거가 가능한 사이버 드래곤+키메라테크 메가프리트 드래곤, 지난 분기 카운터 함정을 사용하던 용사천위 때문에 밀렸던 명왕결계파 등이 후공 돌파용으로 채용되기 시작했다. 비슷하게 몬스터로 인한 견제를 어드밴티지로 커버하는 삼전의 재, 엑시즈 몬스터인 떡 깨구리와 기간틱을 틀어막는 차원 장벽, 개구리나 엘프의 소생 효과를 저격하는 D.D. 크로우 등 그간 보이지 않던 카드들의 채용률도 급상승했다. 심지어 아르테미트 슬레이를 엘프를 제거하면서 다른 퍼미션도 치우기 위해 Evil★Twin's 트러블 써니와 Evil★Twin 키스킬 리일라가 탄환으로 채용되는가 하면, 아예 스프라이트 저격 하나만 바라보고 데블리언 송을 넣는 경우도 있다. 스프라이트끼리의 미러전 선공용으로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코드브레이커 바이러스스워드맨까지 채용될 정도.

하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나면서 결국 환경권에 재진입한 카운터 카드들은 원시생명체 니비루, D.D 크로우, 유령토끼 정도로 추려지고 사요 시구레, 부유벚꽃, 응전의 G, 라의 익신룡-구체형, 용암 마신 라바 골렘 등 나머지 패 트랩, 돌파 카드들은 다시 환경권에서 도태되었다. 상대에게 손해를 주는 것은 맞지만, 사용한 자기 자신도 오히려 손해라고 결론지어졌기 때문.

그리고 돌파용으로는 그나마 최근에 무제한으로 풀린 번개, 라이트닝 스톰, 블랙홀 같은 광역 제거기가 대다수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환경 도태의 상징인 카드들이 복귀할 정도로 환경이 막장이란 반증. 이마저도 한 번 쓸고 나서 못 끝내면 손해라는 인식도 많아서 사이드 덱에 라스톰 세 장 들어가는 걸로 끝인 덱리스트가 많다.

가장 채용률이 높아진 것은 전개의 핵심인 기간틱을 직접 견제할 수 있으면서 범용성도 어느 정도 되는 유령토끼. 유령토끼는 샐러맨그레이트 알미라지를 꺼내 견제할 수 있지만, 그러면 소환 수가 늘어나 니비루가 박히게 되는 이지선다가 걸리기에 사이드 덱을 넘어 아예 메인 덱에 투입되는 추세이다.

결국 최적화, 운영법이 성립한 이후의 스프라이트는 우라라, 증G, 뵐러, 포영, 니비루를 전부 케어할 수 있는 전개덱이 전개 과정에서 다른 덱보다 적은 리스크로 퍼미션, 타점, 안정성까지 갖춰지는 입듀얼에서나 볼법한 덱으로 완성되었다. 이 새로운 괴물같은 성능의 덱은 스프라이트에 비하면 모자란 부분이 있는 이전까지 티어권을 차지하던 덱들을 크고 작은 대회에서 극소수의 케이스를 제외하면 모조리 꺾었다.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 5월말에 치러진 일본 대표 선발전에서 오사카 A 블록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스프라이트가 우승하는 것으로 스프라이트 강점기가 됐음을 공고히 했다. 단 한 명 남은 것도 잔깎 엘드리치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EMEm, 십이수, SPYRAL의 뒤를 이은 자타공인 사기 덱, 2022년 상반기의 지배자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근 몇년간 볼 수 없던 압도적인 점유율로 인해, 어차피 스프라이트만 나오다보니 보통 입상자가 32강 A덱과 xoo, 16강 B덱과 oo... 하는 식으로 만난 덱과 승패를 올릴 때에 그 자리에다 그냥 '스'만 써놓거나 아예 공란을 해놓거나 미러라고만 써놔도 사람들이 다 그러려니 하는 수준의 독주를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휘석의 듀얼리스트가 발매되며 0턴 엘섀도르 미도라시 or 프레데터 플랜츠 드라고스타페리아로 스프라이트를 카운터치는 이시즈 티아라멘츠가 새롭게 떠오르면서 점유율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이번에는 저 테마가 미친 성능을 보이며 메타에 스프라이트와 티아라멘츠밖에 안 보이는 반반 메타가 형성되었다. 몇몇 유저들은 입상 쉐어를 보고 2013년 시절을 떠올리는 중.

여담으로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카드 공개 방송에서 스프라이트 테마를 열렬하게 소개했던 '미야시타 쿠사나기'[16]가 다크윙 블래스트 카드 공개 방송 중 뉴런의 신 기능을 소개하는 도중 스프라이트가 1티어임을 확인하자 "너무 강해서 죄송합니다."라고 본의 아닌 사과를 하는 상황도 있었다.

결과적으로 11기 후반의 파워 인플레는 스프라이트의 등장에서 시작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2.3.2. 2022년 7월 ~

파일:60CBE03D-A745-4EC9-945F-F2F8C9AA2CCA.png
22년 6월 13일 ~ 6월 19일자 일본 상위 입상 덱 비율 출처 #

신규 테마답게 스프라이트 자체는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았으나, 강력한 퍼미션 요원이었던 떡 깨구리, 도깨비 개구리와 조합해 패트랩을 서치하던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가 금지되었다. 기본적인 파워가 워낙 우수해서 수습할 수 없는 정도의 피해는 아니지만 핵심 견제 수단이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덱 파워 하락은 필연적이다.

7월 리미트 레귤레이션을 무제재로 넘어간 이시즈 티아라멘츠 덱에게 입상률이 밀리는 입지가 되긴 했으나, 그럼에도 기본적인 파워가 워낙 강력해서 여전히 티어권에서 활약하고 있다. 여러 전개 결과물 중에서 떡 깨구리가 유독 사기적이었을 뿐 스프라이트 자체의 전개력과 유연성은 여전하여 티아라멘츠를 제외한 다른 덱으로는 우위를 점할 수 없음을 증명하고 있다.

떡 깨구리가 없어도 개구리 기믹 자체가 전개와 덤핑에 특화되어 있다 보니 메인 덱은 그대로 놔두고 빈 자리에 다른 기믹을 넣는 방식이 주로 상위권에 입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묘지의 카드를 회수하여 패 트랩, 특히 티아라멘츠 저격용으로 자주 쓰이는 디멘션 어트랙터를 재활용할 수 있는 세인트 디클레어러가 주로 기용되고 있고, 아이:피 마스카레나와 고링크 몬스터의 투입률도 늘었다. 유니온 캐리어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를 넣어 상대의 엑스트라 덱을 틀어막는 빌드를 쓰는 덱도 있고, 티아라멘츠를 카운터칠 수 있게 아크 디클레어러잭나이츠 파라디온 아스트람을 같이 세우는 빌드도 나왔다.

한국 금제 역시 변동 없이 적용되어, 풀 파워 스프라이트의 한글판 재현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티아라멘츠처럼 바로 다음 부스터 팩 다크윙 블래스트에서도 지원을 받았다. 스프라이트 스프린드로 인해서 과거보다 적은 핸드로 고링크가 나오게 된 것으로, 특히 3200 기간틱을 쉽게 불러낼 수 있게 되어 메인전은 유니온 캐리어와 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로 날먹 진행을 하고 그 외에는 증식의 G를 돌리던가 레드/캐롯과 스매셔즈, 픽시즈 등으로 어떻게든 턴만 받아내거나 번개/길항승부 등의 메타 카드를 잔뜩 쏴 감마 버스트로 물량 턴킬을 노리는 등 덱이 좀 더 리스크 있고 물량 특화적으로 변했다.

이에 따라 사이드전 양상 역시 크게 변화하였는데, 기본적으로 유니온 캐리어를 경유하는 빌드는 라의 익신룡-구체형에 굉장히 취약해지기 때문에 필사적으로 구체형을 억제하기 위해 선공 사이드 카드로 홍연의 지명자가 들어가게 되었으며, 후공에서는 티아라에 대항하기 위한 카드로 디멘션 어트랙터 대신 비스테드를 채용해 결과물만 자르고 길항승부나 라이트닝 스톰 등의 카드를 활용해 티아라멘츠나 비스테드의 강력한 마법/함정을 함께 제거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다만 위와의 지원과는 별개로 룡검사의 지원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오드아이즈, 마술사와 섞어쓰는 펜듈럼 굿 스터프 덱의 파워가 급부상, 2022 OCG 일본 선수권에서는 4위 내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17]. 물론 스프라이트의 파워도 약해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실상 과거 정룡마도벨즈 때처럼 3강 체제의 한 축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2.3.3. 2022년 10월 ~

스타터, 제트, 도깨비 개구리가 한꺼번에 제한을 먹었다. 게다가 스프라이트가 날빌로 쓰던 유니온 캐리어 + 드버블 빌드가 유니온 캐리어의 금지로 불가능하게 되었다. 덱의 핵심, 일종의 기초 체력이라고 할 수 있는 스타터, 제트가 도합 4장이나 날아간데다, 강력한 일소권이었던 도깨비 개구리도 제한, 캐리어로 인한 변칙 날빌까지 봉쇄되며 스프린드 정도로는 추락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고 예상되었다. 같이 미쳐 날뛰었던 이시즈 티아라멘츠의 이시즈 파츠는 상당한 제재를 받았지만 티아라멘츠 파츠 중 확실한 제재는 일세괴 제한 뿐이라 상위 티어권을 여전히 유지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스프라이트는 이 금제로 덱의 기본 기반이 치명적인 철퇴를 맞은 상황이라 티어권 유지에 위기가 찾아왔다는 여론이 팽배하다. 실제로도 10금 1주차에선 단 한번의 입상도 하지 못하고 추락하였다.

개구리-재빠른을 필두로 했던 순수 스프라이트는 이렇게 몰락했지만, 스프라이트의 본래 목적인 레벨 2 지원은 아직도 건재하다. 완전히 1티어로 올라선 티아라멘츠도 스프라이트 스프린드와 스프라이트 엘프를 메이루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쓰게 되기 때문. 비티어권에서도 트라이브리게이드, 이빌트윈 등 기존 레벨 2를 쓰던 덱들과 융화하는 등 스프라이트 용병 자체는 나쁘지 않는 평가를 받는다.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스프라이트의 지원은 없었다. 대신, 리추어가 지원을 받았는데 여기서 리추어 어비스가 레벨 2임을 감안, 스프라이트가 이 리추어 어비스의 잠재력을 극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리추어와 섞는 덱들이 나타나서 간간히 입상하기 시작했다.

2.3.4. 2023년 1월 ~

도깨비 개구리가 준제한으로 제재가 완화되었다. 이 금제는 전 분기 티어덱들에게 매우 강력한 제재를 내렸는데, 일찌감치 이전 분기에서 제재를 맞아 티어권에서 탈락했던 스프라이트는 이번 금제를 넘어갔다. 그렇게 OP였던 티아라멘츠와 크샤트리라가 제재를 받고 약화되면서 티어권에 변동이 생기자, 기존 스프라이트 융화 덱들이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특히 많이 보이는 바리에이션은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가 대표적이고, 순수 스프라이트 역시 준제한으로 내려온 도깨비 개구리와 퍼미션 혹은 바운스 양자택일이 가능한 메르피를 다시 투입하여 등장하고 있다.

이 와중에 유니온 캐리어-파괴검-드래곤버스터블레이드 루트를 잇는 봉쇄 전개가 발견되었다. 그 방법은 이 분기에 추가된 카드인 섬도희-아자레아를 상대 턴에 소환하여 아티팩트-다그자로 세트해두었던 아티팩트-데스사이즈를 깨부수는 것.

그리고 최적화 후 1티어로 부활한 이시즈 티아라멘츠 견제를 위해 어썰트 싱크론/백금룡-린고블룸+혼돈마룡 카오스 룰러를 넣은 비스테드 스프라이트 구축이 등장하고 있다. 이 비스테드 스프라이트는 펑크비스테드와 비슷한 공격권을 가져갈 수 있으면서도 레드/캐롯/스매셔즈로 자체 견제가 가능해 점유율을 추월하고 티아라, 퓨어리와 함께 3강이 되었다.

2.3.5. 2023년 4월 ~

결국 블루가 제한, 엘프가 금지되면서 덱 자체가 완전히 붕괴되었다. 용병으로서도 초동/서치를 담당하는 블루, 제트, 스타터가 전부 제한이고 후속의 순환을 담당하는 엘프가 금지라서 메르피이빌트윈 등 제약이 겹치지 않거나 시너지가 좋은 테마군을 제외하고는 별 의미가 없어진 상황이다. 그나마 트라이브리게이드를 섞어 쓰는 구축은 아직 경쟁력이 있었으며 # 여기에 호루스를 섞은 구축이 입상권에 종종 올라오기도 했다.

그러나 얼마 못가 화염 카르텔데먼스미스의 출시와 극한의 패 트랩 환경이 도래된 이후부턴 사실상 티어 아웃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2025년 7월 금제로 제트가 준제한으로 완화되었으며, 10월에는 무제한으로 풀렸다.

2.4. 유희왕 마스터 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 변경점
스프라이트 엘프 스프라이트 블루 스프라이트 스타터 암흑의 초래신 칠정의 해문
[[리미트 레귤레이션/OCG|
OCG
]]
파일:유희왕_금지 카드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제한 카드 아이콘.png 무제한 무제한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무제한 무제한 무제한 파일:유희왕_준제한 카드 아이콘.png 파일:유희왕_준제한 카드 아이콘.png

2023년 2월 14일, 마듀 1주년 기념 캠페인의 시작과 함께 셀렉션 팩 '스프라이츠 오브 미러클'로 넘어왔다. 그리고 그로부터 2년 후 시크릿 팩 파직파직 찌릿찌릿 에너지!에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UR은 어드밴티지 수급 요원인 블루, 스타터, 기간틱, 그리고 엘프가 가져갔으며, 전용 소환 연출은 테마 내 에이스인 기간틱 스프라이트가 가지고 있다. 특기할 사항이라면 SR은 제트 1종뿐이라는 것. 테마 카드의 비중이 가장 높은 순수축을 기준으로 하면 블루와 스타터가 각 3장, 기간틱과 엘프가 각 2로 테마 UR만 10장이 필요하여 상당히 비싼 편이나, 스프라이트 자체가 용병으로써 범용성이 있고, 스프라이트 주축 덱이라도 덱 슬롯의 나머지 부분을 기존 용병들이 차지하기 때문에 여러 덱을 해왔다면 생각보단 부담이 적은 편. 특히 순수축은 상기한 스프라이트 테마 카드와 패 트랩, 범용 돌파 카드를 제외하면 심해의 디바, 도깨비 개구리 같은 2축 SR 카드만 들어가며, 비범용 UR은 취향에 따라 들어가는 토폴로직 투리스바에나, 토폴로직 제로보로스, 트로이메어 그리폰 정도뿐이다.

OCG와는 달리 스프라이트 엘프가 금제를 받지 않았고 대신 도깨비 개구리, 재빠른 비버 등 초동 요원들을 제재했다 보니 OCG에 비해 상황이 낫다. 또한 환경과 금제의 차이로 인해 트라이브리게이드, 용사 혼합형, 유벨 혼합형 등 OCG와는 다른 독자 구축도 많이 등장했다.

2.4.1. 출시 후

2023년 2월 6일자 금제에서 떡 깨구리유니온 캐리어가 포함되었다. 이는 스프라이트 출시 이후 지나친 파워를 경계함과 동시에 빠른 시일 내에 등장할 것임을 암시했다. 오프라인에서의 비정상적인 파워는 보여줄 수 없더라도 여전히 1티어급의 파워와 용병으로서 매우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어 마스터 듀얼 유저의 이목이 스프라이트에게 집중되었다.

다만 스프린드가 없는 환경에서 떡 깨구리와 유니온 캐리어가 없기에 순수 스프라이트를 굴리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있었다. 이에 트라이브리게이드와의 혼성 덱인 탄산철수나 루닉과의 혼성 덱인 스프루닉 등이 거론되었고, 또한 오프에서도 좋은 파트너로 평가받았던 이빌트윈과의 혼성 덱인 스프라이트윈, 파츠를 기용하는 용사 스프라이트 등등 선택지는 광활하다.

스프라이트 출시 당시 오프라인에서와는 달리 마스터 듀얼에서는 이미 금지로 지정된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 / 떡 깨구리 / 유니온 캐리어 3장은 오프라인 스프라이트가 가진 압도적인 파워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카드들이었고, 이 때문에 일부 유저들은 스프라이트가 출시되더라도 루닉처럼 환경이 완전히 뒤집어진다거나, 압도적 1강 자리를 차지하는 등의 비정상적 환경이 되지는 않을 거라 점치기도 했다. 다만 그럼에도 워낙 강력한 덱인 것은 맞으니, 충분히 1티어권을 꿰찰 것이라는 점에는 모두가 동의하는 분위기.

그리고 예상대로 출시되자마자 랭크게임이 말그대로 사이다밭이 되는 모습을 보여주며 당당히 1티어를 꿰찼다. 출시 직전 떡 깨구리, 유니온 캐리어 금지, 스프라이트 스타터까지 준제한이 되는 선금제를 직격으로 맞았음에도 어떤 구축이던지 상당한 체급을 보여주다보니 선금제를 매우 다행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18] 그래도 치명적인 선금제를 많이 얻어맞았다 보니 참기토커, 루닉 등과 나란히 선 1티어 정도로 파워가 떨어졌고, 단판전 환경인 마스터 듀얼 특유의 지속 함정 강세 메타에 딱히 유리하진 않으며, 스프라이트 자체는 파괴내성이 없어 번개와 같은 대량 제거 계열의 카드를 맞으면 그대로 집이 날아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전까지 솜방망이 제재로 메타를 지배하던 루닉의 불쾌감이 상상을 초월했기 때문에 유저들도 꽤 무난하게 받아들이는 편이다.

대회에서 역시 최상위 쉐어를 유지하며 순항 중이지만 우승 숫자로 한정지을 경우 경쟁 덱들인 루닉과 데스피아에 크게 밀리고 있다. 아무래도 메타의 중심 덱이다보니 마지막까지 저격을 안 당하기는 어렵기 때문인듯. 또한 스프라이트의 등장과 함께 기존의 2황 중 하나이던 참기의 쉐어가 급감하고 데스피아의 쉐어가 크게 오른 것이 특기할 만한 점이다.

워낙 확장성이 넓은 테마다보니 별의별 아키타입이 보이고 있다는 점도 체크해둘만하다. 앞에서 언급한 순수/루닉/트라브/트윈축 이외에도, 심해의 디바야마타코오로치를 불러서 바로네스를 세우고 시작하는 순수축이라거나 삼환마[19] 등 상륙한지 며칠 되지 않았는데도 다양한 샘플이 보이고 있다. 그 외에는 기간틱 스프라이트로 게일 도그라를 소환해 아프카로네 덤핑 후 섀도르크를 가져와 엘섀도르 미도라시를 상대턴에 소환하는 플랜이나 3월 금제 이후 퓨데가 준제한으로 풀린 것을 이용해 디드라군을 채용하는 실험적인 덱리도 존재한다.

다만, 3월에 열린 듀얼리스트 컵에서는 그다지 힘을 쓰지 못했다는 평. 루닉은 아마노이와토의 제한을 인스펙트 보더로 메꾼 순수 함떡루닉이 여전히 대세였고, 오프라인에서는 쉬운 상대였던 데스피아가 이시즈 파츠를 투입한 60장 구축을 선보이며 스프라이트를 역으로 제압했다. 참기또한 이시즈 파츠를 투입하여 비슷한 쉐어를 차지하였고, 사실상 참기, 루닉과 같이 데스피아에게 1티어를 내주고 1.5티어 정도의 자리를 차지했다.

티아라멘츠의 출시 이후에는 엄청나게 늘어난 묘지 견제 수단으로 인해 스프라이트 계열 덱들이 몰락하는 와중에 같이 들어온 메르피 신지원을 쓰는 메르피 스프라이트가 어느 정도 선전하고 있다. 스프라이트 계열 덱 중에서는 묘지 의존도가 적어 디멘션 어트랙터, 차원의 틈을 쓰기 좋고, 메르피 파츠나 홉 이어 비행대로 상대 턴 아크 디클레어러 프리체인 소환, No.29 마네킹 캣으로 상대 턴 엔드 오브 아누비스 소환 등 대항 수단이 있기 때문이다. 이후 월드 챔피언쉽 2023 예선전에선 깔끔하게 메르피 캣시와 랏시 및 레벨 4 싱크로들만을 넣고 패트랩으로 억제수단을 늘리는 구축이 완성되었고, 3월 듀얼리스트컵과는 달리 오히려 금장을 다수 배출해낸 다크호스로써 티아라멘츠와 나란히 할 1티어덱으로 불러도 손색이 없을 활약을 보였다.

메르피 스프라이트 구축으로 WCS에서 활약했기 때문인지, 2023년 6월 금제에서 스프라이트 블루가 준제한이 되었다. UR 등급의 카드보단 SR 등급의 카드를 규제하는 마스터 듀얼의 금제 성격 상, 제트 대신 블루가 제재를 받은 것이 의외라는 평이다. 이 금제 적용과 동시에 신 셀렉션 팩 '클라이맥스 오브 쇼다운'에서 스프린드가 실장되었다.

오프의 제트 스타터 도깨비 3제한이라는 강력 금제와 달리 블루 준제한이라는 제재밖에 받지 않아 덱 파워는 오히려 상승했다. 스프린드와 더블크로스라는 매우 강력한 지원과 함께 티아라멘츠를 카운터하는 메르피 구축의 최적화가 이루어지고, 이시즈 파츠까지 강력한 제재를 받아 이제는 정말 티아라멘츠마저 넘어선 파워를 보이고 있다. 추가로 단판전으로만 이루어진 마듀 특성상 티아라멘츠와는 달리 쉬운 난이도, 상대적으로 적은 스트레스라는 이점 또한 큰 강점으로 작용한다.[20]

결국 2023년 7,8월 금제로 도깨비 개구리, 제트가 추가로 준제한 카드가 되면서 초동이 2장 줄어들었으며, 여전히 위세를 떨치고 있는 점을 감안해서 9월 1일자 금제로 두 카드가 다시금 제한으로 제재가 강화되었다. 9월 금제로 인해 풍류 깨구리가 2번 묘지 소환하기 위해서는 마지 개구리 등 다른 개구리를 넣어야 하게 되었다. 그래도 아직 스프라이트 엘프가 건재하다 보니 마지 개구리를 넣거나 아예 개구리 파츠를 빼 버리고 빈 자리를 히어로 키즈 등으로 채워서 여전히 티어권에 있다. 그리고 제재의 영향을 덜 받는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가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았다.

2.4.2. 2023년 10월 ~

2023년 10월 금제재빠른 비버가 제한이 되면서 초동이 또 줄어들었다. 이로 인해 스프린드로 재빠른 아귀를 묻을 경우 이전처럼 몬스터를 2장 소환하려면 전개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 다른 재빠른 몬스터를 넣어야 할 필요가 생겨 안정성에서 타격을 입었다. 특히 재빠른 비버가 트라이브리게이드의 효과 발동에 사용되는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가 메르피 스프라이트보다 타격을 많이 입었다.

마듀 스프라이트의 몰락은 보통 이 비버 제한을 결정적 계기로 본다. 스프라이트는 테마 내 초동보다는 다른 초동으로 2레벨을 증식시켜 스프라이트 내의 레드나 캐럿, 제트 결과물에 닿는 것이 가장 강력한데, 그러기 위한 원핸드 전개 파츠가 극히 줄어들어버렸기 때문. 거기에 도구리나 해문으로 아귀를 버리면 덱에서 다른 재빠른을 보충해오는 연계도 강력했는데, 비버 2장을 부를 수 없으니 맨터든 맘보든 다른 쓸모없는 재빠른 몬스터를 넣어야만 한다. 즉 원래는 증식의 G 일소조차 초동으로 쓸 수 있어서 말림 리스크라는 것이 없다시피하다는 것이 장점이었던 스프라이트가, 개구리든 재빠른이든 드라이버 역할을 넣던가, 아니면 히어로 키즈를 넣어야만 굴러가는 역으로 호감패가 넘쳐나는 덱으로 변모해버린 것이다.

결국 순수 스프는 이때부터 기반이 박살나 2군 신세를 전전하였고, 비스테드나 이빌트윈 등의 다른 덱에서 용병으로 가져가는 포지션으로 역할이 축소되었다.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스프라이트 엘프 또한 금제권에서 슬그머니 멀어져갔다.

위의 금제와 같은 달, 레벨 2 몬스터 위주로 전개해 상성이 좋은 리추어의 지원이 나왔다. 하지만, 기간틱의 효과와 의식 소환기믹의 충돌, 드롤에 취약, 복잡한 난이도 등이 문제가 되어 듀얼리스트 컵에서 스프라이트 리추어는 의외로 힘을 쓰지 못했고, 그 대신 이빌트윈 스프라이트가 2명의 금장을 배출하였다. 하지만 이빌트윈 스프라이트는 덱 자체가 강하다기보다는, 듀얼리스트 컵에서 빠른 판수를 챙길 수 있는 것과 고스트릭 퓨어리가 혼자 독주하며 메타가 유리하게 흘러가 성공할 수 있었다.[21] 실제로 듀얼리스트 컵 이후 이빌트윈 스프라이트는 잠깐 주목받다가 입상권에 아예 보이지도 않으며 빠르게 사장되었다.

2023년 12월에는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백금룡-링고블룸이 출시되며 비스테드 스프라이트 구축이 떠오르기 시작했다. 비슷한 덱인 펑크 비스테드와는 달리 혼돈마룡이 막혀도 레벨 2 전개로 틀 수 있는 것과, 사이버스 가제트의 좋은 복구력이 주목받아 펑비보다 좋은 성능을 뽐내며 활약했다. 다만 12월 듀얼리스트 컵에서는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가 은장 3명을 배출하며 비스테드 스프라이트보다 더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2024년 1월 금제로 혼돈마룡이 금지가 되며 비스테드 스프라이트는 덱이 사라지고 말았다. 이후 스프라이트는 스프라이트 트라이브리게이드만 환경권에 맞설 만한 성능이고, 나머지 구축은 영 시원찮은 상태.

2024년 3월죄보, 티아라멘츠, 트랜젝션 롤백 등으로 인해 작년 이시즈 티아라멘츠 분기처럼 디멘션 어트랙터차원의 틈을 넣은 순수축이 쓰이고 있다.

2024년 6월에는 오히려 제트가 준제한으로 내려오는 호재를 맞았다. 2024년 7월에는 유벨 테마의 지원이 수록되면서 기존에도 잘쓰던 암흑의 초래신-칠정의 해문을 나이트메어 쓰론과 함께 채용할 수 있게 되었고, 뵐포가 초래신에게 빠질 확률도 높아져 패 트랩 관통력도 높아졌다. 다만 유벨은 물론 센츄리온, 염왕, 순성 등 지속물을 활용하는 덱이 환경권에 많아지면서 전통의 카운터인 유령토끼의 투입률이 올라간 것은 악재.

2024년 9월 DC컵에서는 순성급의 점유율을 보이면서 국밥덱으로 자리잡았음을 증명했다. 이어 2024년 10월, 유벨과 더불어 초래신-해문 파츠가 쌍 준제를 먹으며 너프되었다. 2024년 11월, 스타터가 무제한이 되는 버프를 받았다.

2025년 3월, 도깨비 개구리가 무제한이 되어 히어로 키즈 같은 말림패 가능성이 있는 카드를 채용하지 않게 되었다.

2025년 6월 1일 금제로 블루와 제트, 그리고 재빠른 비버가 모조리 무제한으로 내려오면서 선금제로 스타터가 준제였던 출시 당시보다도 금제가 더 느슨해지는 수혜를 받았다. 이로 인해 기존의 파생 구축으로 쓰던 이빌트윈은 데먼스미스와 섞이고 트라이브리게이드는 구식 기믹으로 인해 배제되어 재빠른과 개구리를 투입한 구축으로 회귀하기 시작했는데 이후 연구를 거쳐 도미나스 임펄스로 후공을 강화하는 순수 구축이나 덱 스페이스와 엑스트라 덱을 조금 희생해 공격권과 고점을 강화하는 데먼스미스 혼합 구축이 주로 보이고 있다. 데먼스미스 자체는 세퀜티아가 2링크라는 것 외에는 시너지가 거의 없지만, 필드에 2레벨/2랭크/2링크 몬스터를 남기는 게 중요한 스프라이트 특성상 일소권을 쓰지 않고 나오는 2링크 용병으로썬 우수한데다 둘다 원핸드 전개에 개체 수 불리기를 통한 링크 전개에 최적화된 기믹이다 보니 데먼스미스를 섞는데는 무리가 없는 편.심지어 천년까지 넣는 구축도 연구되고 있는데 이렇게 되면 개체수가 상당히 불어나서 전열 중심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으며 중간에 니비루가 발동되어도 이어갈 수 있다. 증식의 G엔 여전히 약하지만 드롤을 넣는데다 스프라이트는 자턴 드롤도 사용할 수 있다보니 크게 신경쓰지 않는 편.

하지만 고질병인 낮은 타점과 필드에 몬스터를 남겨야 전개가 가능하다는 점이 크게 발목잡아 2025 월드 챔피언십 예선에서는 단 한 명의 은장조차 배출하지 못하며 크게 부진했다. 설령 선공에 어찌저찌 전개해도 공격권 중심의 덱이 산재한 환경에선 레드와 캐롯의 일회성 퍼미션으로는 턴을 받기가 쉽지 않아졌는데 그렇다고 후공돌파도 힘든 편이다. 결정적으로 위광과 천광으로 개체수 억제가 가능한 원석 푸른 눈이 환경에 잔류하고 있는데 고점이 아닌 푸른 눈 빌드를 스프라이트가 뚫고 나아가기가 쉽지 않은 편이다.

설령 이를 극복하기 위해 데먼스미스나 천년을 투입한다면 니비루 케어는 완전히 포기해야하고 임펄스도 사용할 수 없어지는 딜레마에 쌓이기 쉽다보니 이래저래 험난한 싸움을 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나마 오크의 금지로 인해 스네이크아이가 부진함을 노려 비슷한 역할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해 구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실제로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선 4강 진출 덱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3. 효과 몬스터

메인 덱 하급 "스프라이트" 몬스터의 공통 효과
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 필드에 레벨 2 또는 (랭크 / 링크)[22] 2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②: (각 몬스터별 고유 효과)
각 몬스터별 고유 효과
카드명 고유 효과 요약
스프라이트 블루 특수 소환 성공시 덱에서 본인 이외 "스프라이트" 몬스터 1장 서치
스프라이트 제트 특수 소환 성공시 덱에서 "스프라이트" 마/함 1장 서치
스프라이트 픽시즈 자신 레벨/랭크/링크 2의 몬스터가 전투시 공격력 보강
스프라이트 레드 본인 이외 자신 필드의 레벨/랭크/링크 2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상대 몬스터 효과 무효화
스프라이트 캐롯 본인 이외 자신 필드의 레벨/랭크/링크 2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상대 마/함 효과 무효화

메인 덱 하급 몬스터는 위의 효과를 공유한다. 속성에 따라 특수 소환 조건이 약간 다르며 어둠 속성 몬스터는 주로 서치 효과를, 화염 속성 몬스터는 주로 퍼미션 효과를 지니고 있다.

3.1. 레벨 2

3.1.1. 스프라이트 블루

파일:スプライト・ブルー(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블루,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ブルー,
영어판명칭=Spright Blue,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1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2나 랭크 2 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스프라이트 블루" 이외의 "스프라이트"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파일:유희왕 마스터 듀얼 스프라이트 블루 메이트.jpg
「무진기관」의 분신체이기도 한 에너지 생체 중 하나.
그 기만한 움직임과 넘쳐흐르는 에너지는 과도할 정도의 큰 힘을 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메이트(스프라이트 블루) 플레이버 텍스트
고유 효과는 특수 소환 시 스프라이트 몬스터 서치. 서치한 스프라이트는 바로 스프라이트의 공통 효과인 ①의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특수 소환이 풍부한데다 소환만 했다 하면 레드나 캐롯을 서치하여 퍼미션을 세우거나 제트를 서치한 후 스타터를 바로 들고 와서 덱을 총 3장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카드다. 이로 인해 스프라이트가 제재를 먹는다면 스프라이트 스타터와 함께 가장 먼저 제재를 받을 카드로 손꼽혀 왔으나, 다른 카드를 먼저 제재하는 식으로 제재를 피하다 2023년 4월 스프라이트 엘프의 금지와 함께 이 카드도 제한 카드로 선정되었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선금제로 준제한이 된 스타터에 이어 2023년 6월 8일 준제한 카드로 선정되었다. UR 등급이라 제트나 도깨비 개구리를 먼저 제재할 것이라는 추측이 많았기에 의외라는 반응. 이 제재가 메이트로 출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루어졌기 때문에 떡 깨구리처럼 메이트로 나오면 금지먹는다는 드립이 나오고 있다. 다만 제한까지 먹어버린 OCG와 달리 마스터 듀얼에서는 2025년 6월에 무제한으로 완화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상층대기 번개의 종류 중 하나인 블루 제트. 헤드폰과 신발에 천칭자리의 기호가 있다. 마스터 듀얼에서 슈퍼히어로 랜딩을 하거나 지면 발로 땅을 구르는 등의 동작을 보면 장난스러운 성격인 듯 하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03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06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1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03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06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03 | POWER OF THE ELEMENTS
2023-02-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1-EN001 | OTS TOURNAMENT PACK 21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075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3.1.2. 스프라이트 제트

파일:スプライト・ジェット(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제트,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ジェット,
영어판명칭=Spright Jet,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300, 수비력=7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2나 랭크 2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스프라이트"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고유 효과는 특수 소환 시 스프라이트 마법 / 함정 서치. 블루 덕분에 서치 및 특수 소환이 쉽고 스프라이트의 마함은 4종류밖에 없지만 강력한 성능의 카드가 3개나 되므로 상황에 따라서 블루보다 더 강력할 수 있다. 이 파워 카드 서치 성능 때문에 2022년 10월 금제로 스프라이트 스타터와 함께 OCG 제한이 되었다가 2025년 7월에 준제한으로 완화되었고, 2025년 10월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마스터 듀얼에서는 블루의 준제한 이후에도 스프라이트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2023년 7월 준제한 카드, 9월 제한 카드가 되었다가 2024년 6월에 준제한으로 풀린데 이어 1년 후인 2025년 6월에 무제한으로 완화되기에 이르렀다.

이름의 유래는 스프라이트 블루와 같은 블루 제트, 또는 자이언트 제트. 망토에 사수자리의 기호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04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07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2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04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07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04 | POWER OF THE ELEMENTS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076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3.1.3. 스프라이트 픽시즈

파일:スプライト・ピクシーズ(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픽시즈,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ピクシーズ,
영어판명칭=Spright Pixies,
속성=어둠,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4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2나 랭크 2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다른 자신의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가 상대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계산시에\,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올린다.)]
고유 효과는 레벨 2 / 랭크 2 / 링크 2 몬스터 한정 어니스트. 수비력도 증가시켜서 수비 몬스터도 지킬 수 있다. 발동 시의 위력은 매우 강력하고, 엘프로 블루를 살린다면 상대의 전투 돌파 플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지만 그 이상으로 효과를 자주 쓰는 상황은 나오지 않아 주로 한 장씩 투입되거나 투입되지 않는다.

스프라이트 몬스터 중에선 유일하게 패에서 효과를 발동할 수 있지만 전투 시에 발동하는 효과라 초뇌룡-썬더 드래곤을 활용하기에는 어렵다.

유희왕 OCG 스트럭처즈에서는 레드에게 사용해서 비틀트루퍼 크루엘 새턴을 격파했다.

이름의 유래는 상층대기 번개의 종류 중 하나인 픽시즈. 몸통에 물병자리의 기호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05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3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05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05 | POWER OF THE ELEMENTS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077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3.1.4. 스프라이트 레드

파일:スプライト・レッド(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레드,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レッド,
영어판명칭=Spright Red,
속성=화염,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2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2나 링크 2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다른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랭크 2나 링크 2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그 무효로 한 몬스터를 파괴할 수 있다.)]
고유 효과는 레벨 / 랭크 / 링크 2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몬스터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랭크 2 / 링크 2 몬스터를 릴리스하면 파괴까지 가능하다.

블루로 서치해서 바로 꺼내면 블루를 코스트로 패 트랩을 1번 막을 수 있어 선턴 전개 시의 활용도가 높으며, 상대 턴에도 유용한 퍼미션 요원으로 활약할 수 있다. 이 카드를 손해 없이 뚫으려면 공격력 1850 이상의 하급 몬스터나 룰 효과로 소환되는 상급 이상의 몬스터가 필요한데, 이 카드가 고작 스타터 1장만으로 가볍게 튀어나오는 레벨 2 몬스터라는 걸 생각하면 참으로 악랄한 설계가 아닐 수 없다. 사실상 캐롯과 함께 높은 저점을 담당하고 있는 퍼미션 요원.

이름의 유래는 상층대기 번개의 종류 중 하나인 레드 스프라이트. 신발에 처녀자리의 기호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06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08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4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06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08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06 | POWER OF THE ELEMENTS
2023-02-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OP21-EN004 | OTS TOURNAMENT PACK 21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078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3.1.5. 스프라이트 캐롯

파일:スプライト・キャロット(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캐롯,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キャロット,
영어판명칭=Spright Carrot,
속성=화염, 종족=번개족, 레벨=2, 공격력=10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2나 링크 2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상대가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 자신 필드의 다른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효과를 무효로 한다. 랭크 2나 링크 2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발동했을 경우\, 추가로 그 무효로 한 카드를 파괴할 수 있다.)]
고유 효과는 레벨 / 랭크 / 링크 2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마법/함정의 효과를 무효로 하는 효과. 랭크 2 / 링크 2 몬스터를 릴리스하면 파괴까지 가능하다.

레드와의 가장 큰 차별점은 레드가 막지 못하는 무한포영, 길항승부를 커트할 수 있다는 점. 마법 / 함정 카드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발동하기에 이미 발동되어 있는 지속 마법 / 함정의 효과 발동이나 묘지에서 발동하는 효과 등도 막을 수 있다. 허나 카드의 발동을 막지는 않기에 패 또는 세트되어있던 지속 함정 및 지속 / 필드 마법 카드 자체는 파괴 효과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필드에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스킬 드레인등 치명적인 영속류 함정은 반드시 파괴 효과까지 적용해야 한다.

이름의 유래는 상층대기 번개의 종류 중 하나인 캐럿 스프라이트. 팔에 쌍둥이자리의 기호가 있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07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2-11-1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2YJ-JPO01 | YCSJ OSAKA 2022 記念商品 - スプライトデュエルセット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09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5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07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09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07 | POWER OF THE ELEMENTS
2023-06-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MR-EN067 | BATTLES OF LEGEND: MONSTROUS REVENGE

4. 엑시즈 몬스터

4.1. 랭크 2

4.1.1. 기간틱 스프라이트

5. 링크 몬스터

5.1. 링크 2

5.1.1. 스프라이트 엘프

5.1.2. 스프라이트 스프린드

파일:スプライト・スプリンド(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스프린드,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スプリンド,
영어판명칭=Spright Sprind,
속성=화염, 레벨=2, 공격력=1400, 종족=번개족,
link1=, link9=,
소재=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를 포함하는 몬스터 2장,
효과외1=이 카드는 링크 소환된 턴에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링크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2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몬스터가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엑시즈 소재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소환 조건은 엘프와 똑같아 매우 널널하며, 몬스터 효과도 준수하다. 엘프처럼 레벨 2, 링크 2 몬스터를 활용하는 엑시즈 위주의 덱에 넣어서 방해 요원으로 써먹을 수도 있다. 대신 마커 방향은 한쪽이 상대 필드를 향하는 대각선으로 바뀐데다 링크 소환된 턴에는 링크 소재로 할 수 없는 제약도 엘프와 똑같아, 전개 과정에서 써먹으려면 엘프처럼 기간틱 스프라이트의 소재로 써먹는 식으로 우회해야 한다.

①의 효과는 링크 소환시 레벨 2 한정 어리석은 매장. 엘프의 효과로 소생시킬 몬스터를 덱에서 직접 덤핑할 수도 있고, 재빠른 아귀풍류 깨구리처럼 묘지로 보내지면 효과가 발동되거나 자체적으로 묘지 소생이 가능한 몬스터를 덤핑해 전개에 써먹을 수 있다. 특히 기간틱 스프라이트로 특수 소환하면 효과 사용이 사실상 막히던 데블 프랑켄을 덤핑 후 엘프로 소생시키는 것으로 써먹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이 효과를 사용한 턴에는 ②의 효과를 사용할 수 없으니 주의. 혹은 티아라멘츠 메이루를 덤핑하면 스프린드의 소재로 썼던 개구리와 함께 융합하여 키토칼로스를 소환하는 등의 플레이가 가능하다.

②의 효과는 다른 몬스터가 특수 소환된 경우에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패로 되돌리는 효과. 엑시즈 소재를 코스트로 요구해서 엑시즈 몬스터가 필요하긴 하지만 스프라이트 전개 과정에서 기간틱 스프라이트가 나오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준비해둘 수 있다. 트리거가 되는 특수 소환은 자신이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 경우에도 발동할 수 있으며, 그 특수 소환된 몬스터가 아니라 다른 몬스터를 대상으로도 발동할 수 있어 전개와 동시에 제거가 가능하다. 패로 되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파괴수미계역처럼 조건만 되면 턴 제약 없이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를 되돌리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 물론 반대로 파괴수카구야처럼 자신의 파괴수를 바운스해 상대 몬스터를 2번 제거할 수도 있긴 하다.

전반적으로 떡 깨구리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의 금지로 떨어진 고점을 보완해주는 카드라고 볼 수 있다. 기존 전개의 결과물에 이 카드까지 전개하려면 추가적인 자원 소모가 필요하지만, 덤핑 효과로 보완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가볍게 비파괴 제거 1회를 추가할 수 있다는 점은 강력하다. 굳이 이 카드를 필드에 남기지 않더라도 상술한 데블 프랑켄 등을 꺼내는 수단으로 사용하면서 빌드의 고점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단순히 엘프의 소생, 기간틱의 덱 특소에 더해서 초동 전개 방향성이 추가된 것만 봐도 무의미한 지원은 아닌 셈.

'스프린드'라는 이름은 철구룡 스프린드와 같은데, 이로 보아 스프리건즈 키트가 자신의 전투장비를 벗어서 블루와 레드를 포획한 결과물로 보인다. 일러스트를 잘 보면 홀이 열렸는데 스프라이트 역시 이세계의 존재임을 의미하거나, 키트의 '미니스프린드 포'의 힘으로 스프라이트를 제압한 듯하다. 이후 트라이브리게이드 암즈 "Bucephalus II"를 만드는 재료로 쓰였다.
수록 시리즈
2022-07-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JP048 | ダークウィング・ブラスト[ DARKWING BLAST ]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33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10-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KR048 | 다크윙 블래스트
2022-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EN048 | DARKWING BLAST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095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6. 마법 카드

6.1. 스프라이트 스타터

파일:スプライト・スターター(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스타터,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スターター,
영어판명칭=Spright Starter,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스프라이트"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자신은 그 몬스터의 원래 공격력만큼의 LP를 상실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인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리미트 레귤레이션
OCG'display:nonTCG=e'>[[리미트 레귤레이션/TCG|
TCG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
KCG
]]KCG'display:non마스터듀얼=e'>[[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
듀얼링크스
]]듀얼링크스'display:non리모트듀얼=e'>[[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 금지 카드|
리모트 듀얼
]]
파일:유희왕_ 아이콘.png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
러시 듀얼
]]러시듀얼'display:non제네시스=e'>[[제네시스 룰|
제네시스 룰
]]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

덱에서 스프라이트를 특수 소환하는 고성능 속공 마법.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공격력(1000~1400)만큼 라이프를 상실하고 발동 후 레벨 2 / 랭크 2 / 링크 2만 특수 소환할 수 있는 소환 제약이 걸리지만 하급 몬스터의 성능을 생각하면 싸게 먹히는 편이다.

무엇보다 덱에서 서치도 아니고 바로 특수 소환시키기에 1핸드 초동으로 기능한다는 점이 강력하다. 서치 효과를 가진 블루와 제트도 초동으로 쓸 수는 있지만 특수 소환시에만 효과를 발동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카드 1장만 잡힌 상태로는 전개가 되지 않는다. 물론 다른 레벨 2 몬스터 1장만 있으면 되고, 레벨 2 몬스터들 중에도 자체적으로 1핸드 2축 전개가 되는 카드가 많긴 하지만, 그 자체만으로 1핸드 초동도 되고 다른 초동이 있으면 추가 전개나 패 트랩 케어 역할도 할 수 있는 스타터의 성능은 상당히 강력하다.

속공 마법인 만큼 상대 턴에도 발동할 수 있다는 점도 뛰어나다. 기습적으로 레드나 캐롯을 꺼내 상대를 견제하거나, 상대 엔드 페이즈에 블루를 꺼내 디메리트를 회피하며 후속 전개를 마련할 수도 있는 등 이 카드 하나만으로도 무궁무진한 선택지가 열려 있다. 손쉽게 고성능 하급 몬스터를 덱에서 꺼낼 수 있는 마법 카드인
히어로 얼라이브십이수의 회국도 일반/지속 마법이었는데, 덱 특수 소환을 해주는 "속공 마법"이라는 데서 매우 파격적인 카드라고 할 수 있다.

OCG에서 2022년 10월 제한 카드로 지정되었다.

일러스트는 무진기관 아르기로 시스템이 푸른 전류를 만들어내는 모습. 스프라이트들이 무진기관의 근원인 모양이다.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55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16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0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55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16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55 | POWER OF THE ELEMENTS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104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6.2. 스프라이트 감마 버스트

파일:スプライト・ガンマ・バースト(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감마 버스트,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ガンマ・バースト,
영어판명칭=Spright Gamma Burst,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모든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인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1400 올린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자신 필드의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인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상대 턴 종료시까지 1400 올린다.)]
평범하게 발동하면 레벨 2 / 랭크 2 / 링크 2의 몬스터의 공격력 / 수비력을 1400, 자신 메인 페이즈에 묘지에서 제외하는 것으로도 같은 조건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1400 올려주는 타점 강화 카드.

상승량이 꽤 높은데다 필드 전체에 적용되기 때문에 총합 타점이 순식간에 확 올라가 버린다. 이빌트윈의 경우 써니로 줄 수 있는 대미지가 5500에서 8300으로 늘어서 보다 확실하게 턴킬 각이 잡히고, 메르피는 두근두근 메르피즈와 병행하면 3400의 엑시즈 몬스터와 1500~1800의 하급들이 전부 직접 공격을 하게 된다. 그동안 화력이 부족했던 크롤러도 몬스터에 따라 1700~2700의 공격력 상승에, 크롤러 퀄리야크와 같이라면 타점 상승은 물론 배틀 페이즈 시 효과 면역과 직접 공격까지 부여해 준다. 가장 궁합이 좋은 몬스터는 다이가스타 피닉스로, 캣 샤크와 함께 쓸 경우 혼자서 8800의 핵딜을 넣을 수 있다.[23]

다만 ①의 효과는 상대 필드의 몬스터도 조건에 맞다면 공수가 올라가 버리므로 주의. 범용 링크 몬스터는 링크 2가 많으며 공격력도 1500 이상인 경우가 많다. 대신 이런 경우 오히려 상대에게도 적용되는걸 역이용해서 No.2 문학첩자 섀도우 모스키토로 억지 킬각을 잡을 수도 있다.

타점 상승 자체는 무난하게 우수한 효과긴 하지만 전투 보조용 효과밖에 가지고 있지 않아 선공 전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캣 샤크로도 어느 정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런 부류의 카드가 대부분 그렇듯 대회권에서는 채용되지 않으나, 킬각을 잡기 정말 쉬워져 티아라전 결전 병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이유로 간혹 한 장 채용되기도 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퓨전 x 엑시즈 페스티벌에서는 후공 스프리이트 덱의 주요 승리 플랜으로 사용되기도 했었다.

이름의 유래는 초신성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감마선 폭발.
수록 시리즈
2022-04-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JP056 | パワー・オブ・ジ・エレメンツ[ POWER OF THE ELEMENTS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18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26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07-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KR056 | 파워 오브 디 엘리멘츠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18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08-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OTE-EN056 | POWER OF THE ELEMENTS
2024-06-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LTR-EN105 | BATTLES OF LEGEND: TERMINAL REVENGE

6.3. 스프라이트 스매셔즈

7. 함정 카드

7.1. 스프라이트 더블크로스

파일:スプライト・ダブルクロス(CF0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스프라이트 더블크로스,
일어판명칭=スプライト・ダブルクロス,
영어판명칭=Spright Double Cros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나 상대의 필드 /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대상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랭크 2 몬스터 1장의 엑시즈 소재로 한다.,
효과3=●대상의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링크 2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놓고 컨트롤을 얻는다.,
효과4=●대상 묘지의 몬스터를\, 자신 필드의 링크 2 몬스터의 링크 앞이 되는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다크윙 블래스트에서 추가된 최초의 스프라이트 함정 카드. 효과 자체는 스프라이트를 지정하고 있지 않아 어느 정도 범용성이 있지만 효과 처리를 위해 랭크 2 엑시즈 몬스터, 또는 링크 마커 앞이 비어있는 링크 2의 링크 몬스터가 필요하다.

엑시즈 소재로 겹치기, 컨트롤 영구 탈취, 소생 등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어 상대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면 비파괴 제거, 상대 묘지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면 묘지 견제,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자신 묘지의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면 지명자 회피 등 매우 다양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카드다.

제거 카드로서는 마법/함정에도 대응하는 비대상 제외에 속공 마법이라 세트 없이 바로 발동 가능한 스프라이트 스매셔즈와 비교되지만, 묘지 견제나 자신의 카드를 대상으로도 발동 가능한 점이나 단순 제거가 아닌 추가적인 활용의 여지가 있는 점, 3:1 교환인 스매셔즈와 달리 코스트가 없는 점에서 충분히 차별화된다. 단, 엘프의 경우 마커 앞에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어 전개가 끝난 후 이미 마커 앞을 여타 에이스 몬스터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기간틱은 전개 결과물에 항상 남아있지 않고 링크 소재나 레드/캐롯의 코스트로 소모되면서 치워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스매셔즈에 비해서 사용 상황을 좀 더 탄다는 것이 중론. 함정이라는 특성상 속도가 살짝 느린 점도 아쉬운 만큼 일반적으로 스매셔즈가 우선돼서 투입되며 더블크로스는 취향에 따라 들어가기도 안 들어가기도 한다.

일러스트는 오월동주스프리건즈 캡틴 사르가스세리온즈 "킹" 레귤러스기간틱 스프라이트에게 크로스 봄버를 작렬하는 모습. 결국 패배해 키트에게 포획된 것이 스프라이트 스프린드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2-07-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JP074 | ダークウィング・ブラスト[ DARKWING BLAST ]
2024-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JPB25 | TACTICAL-TRY DECK 怪盗コンビEvil★Twin
2024-09-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F01-JP132 | COMPLETE FILE-白の物語-
2022-10-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KR074 | 다크윙 블래스트
2024-09-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T01-KRB25 | 택티컬 트라이 덱 괴도 콤비 Evil★Twin
2022-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ABL-EN074 | DARKWING BLAST

8. 관련 카드

8.1. 몬스터 카드

8.1.1. 아르기로스의 낙윤

9. 참고 카드

9.1. 메인 덱 카드


9.2. 엑스트라 덱 카드

9.3. 카운터


[1] 정황 상 키트가 되돌렸을 확률이 높다. 키트는 홀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다룰 수 있는 존재 중 하나이기 때문.[2] 다만 이것은 린드블룸이 의도적으로 격추한 것이 아니라 루벨리온에게 날아온 공격을 카르테시아가 대신 맞아준 것이다.[3] 린드블룸의 공격을 받고 추락하는 카르테시아에게 알버스가 손을 뻗는 순간, 둘이 빛에 감싸여 카르테시아로부터 에클레시아가 분리되고, 동시에 알 수 없는 힘으로 둘이 융합하여 진염룡 알비온이 탄생한 것.[4] 보통 2장을 채용하므로 소모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5] 후자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신비의 대행자 어스, 디클레어러 디바이너가 주요 초동인 대행자리추어 어비스가 핵심 중 핵심 카드인 리추어가 있다.[6] 티아라멘츠는 휘석 팩의 이시즈와 그 뒤에 나온 추가 지원카드가 나오고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 평가가 치솟은 케이스였다. 물론 악명 자체는 이시즈티아라-크샤티아라로 티어권으로 올라간뒤 덱의 반이 날아가는 금제를 얻어맞고 나서야 1티어에서 내려온 티아라멘츠 쪽이 더 높다.[7] 스프라이트와 개구리에게 당하고 있는 세리온즈 "킹" 레귤러스/황금경 엘드리치/알버스의 낙윤/성전의 수견사/No-P.U.N.K. 폭시 튠은 전부 스프라이트 등장 직전까지 티어권을 차지하던 덱의 카드들로, 스프라이트가 단번에 메타를 뒤바꾼 것이다. 맨 왼쪽에는 티아라멘츠 키토칼로스가 있는데, 당시 티아라멘츠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고 이시즈 파츠가 나오기 전이라서 스프라이트만큼의 위력을 발휘할 수 없었기에 들어가 있다.[8] 스프라이트를 섞은 이빌트윈 4개와 트라이브리게이드 1개까지 포함하여 총 58.8%의 전체 채용률을 발매 후 단 5일만에 기록하였다.[9] 떡 깨구리는 카드명 제약 없는 퍼미션 + 조건부로 무효화한 카드 강탈 + 자체 회수 능력으로 악명이 높았다. 다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구리 파츠나 바하무트 샤크를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필수적이고, 떡 깨구리를 투입하는 덱이 대부분 떡 깨구리 원툴에 가깝다는 점으로 밸런스를 맞추고 있었다.[10] 발매된지 단 이틀만에 상위 입상 통계가 26회로 2022년 4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환경 6주(3/14~4/24) 통계에서 스프라이트의 성적을 넘긴 테마가 후완다리즈데스피아 뿐이다. 강력한 덱으로 유명한 천위용사가 6주간 쌓아올린 25회를 뛰어넘어버린 것은 덤. 심지어 이빌트윈 축까지 포함하면 31회에 달한다.[11] 싱크로 다크식물 링크를 만든 일본 최고의 유희왕 플레이어 중 한 명이자 주식회사 Next Play 대표이사 시노. 공교롭게도 없뎃과 허술한 운영으로 욕먹던 마스터 듀얼이 5월 초에 금지제한 개정과 편의성 개선, 신규 팩 추가 등 유저들이 원하던 패치를 하면서 평가가 반등하자 "마듀가 시노 눈치 보고 할 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그리고 정말로 7월 금제에서 떡 깨구리가 금지되는 기적까지 일어났다.[12] 2017년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 '히츠지' 츠지무라 료스케[13] 스프라이트 환경에서도 우승 덱에 이름을 올린 엑소시스터육화, 티아라멘츠, 참기 등등 스프라이트 공개 전까지만 해도 고성능 지원 카드들을 보고 환경이 재미있어질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14] SPYRAL 이후의 10기 마술사(유희왕), 섬도, 샐러맨그레이트, 드래곤 링크, 오르페골과, 11기 십이수+트라이브리게이드, 용사+팬텀 나이츠, 용사+낙인 등 0티어에 근접한 덱들은 수도 없이 많았지만 이들은 전부 분기 채용률이 단독으로 40%를 넘지 못하고 다른 1~2티어와 어느 정도 공방이 교환되는 수준에 그쳤다. 즉, SPYRAL이 몰락한 이래 '용병'이 아니라 하나의 '카드군'이 메타의 과반수를 잡아먹는 일은 단 한 번도 없었다. 굳이 따지자면 섬도가 2018년 7월 분기 특정 주차에서 70% 이상을 보이긴 했으나 통계에 따라서는 분기 전체에서 35% 정도까지 내려가는 등 오락가락한 편이다. Yugioh-kankyou.jp 2018년 7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1-4주차 통계 RoadoftheKing 2018년 7월 리미트 레귤레이션 전체 통계[15] 플레잉 방식보다는 환경에 대한 영향력에 관한 얘기다. 사이드 덱의 구성이 환경을 장악한 테마에 맞춘 패 트랩으로 완전히 갈아엎어지는 점, 다른 테마와 혼용으로 쓰기는 어렵기에 순수와 용병을 합쳐서 90% 가까운 점유율을 보인 십이수 같은 완전 독재 체제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점에서 비슷할 거라 예상한 것이다. 실제로 후술할 이시즈 티아라멘츠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전성기 SPYRAL처럼 70% 정도의 점유율을 보였다.[16] 11기 들어 정기적으로 공개 중인 신팩 공개 방송의 고정 출연진 중 1명.[17] 1, 3위는 이시즈 티아라멘츠, 2, 4위는 펜듈럼 굿 스터프 덱이었다.[18] 만일 떡 깨구리와 유니온 캐리어가 풀려있었다면 유니온 캐리어 소환 후 파괴검을 장착해와서 엑덱을 틀어막는 플레이나, 떡 깨구리 무한 소생을 이용한 날빌 플레이로 인해 유저들의 불쾌감이 엄청났을 것이다.[19] 정확히는 '암흑의 초래신'과 '칠정의 해문'만을 용병으로 쓰는 구축이다. 초래신이 패에 잡혔다면 일소권을 1번 더 쓸 수 있다는게 장점.[20] 이 점은 WCS 예선에서 금장 1위를 달성한 타스쿠 역시 거론한 부분이다. 최상위권의 플레이어라도 쉬지 않고 게임을 하다 보면 실수가 나오기 마련이고 이런 실수는 패배로 이어지는데 단순한 구조에 똥파워로 밀어붙이는 스프라이트는 그럴 일이 적다는 것.[21] 고스트릭 퓨어리의 취약 카드인 드롤&로크 버드를 포함한 복수매의 패트랩을 챙겨 선후공 모두 좋은 싸움을 할 수 있었다.[22] 어둠 속성 몬스터는 랭크, 화염 속성 몬스터는 링크.[23] 킬각인지 계산하기 귀찮을 경우 빈 필드에서 엘프+블루+제트+감마버스트가 딱 8000딜임을 이용해서, 딜 가감이 어떻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