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2:12:02

WW(유희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colbgcolor=#CEEBE6>
WW
<nopad> 파일:WW 다이아몬드 벨.jpg
WW-다이아몬드 벨
한국어판 명칭 [ruby(WW, ruby=윈드 위치)]
일본어판 명칭 [ruby(WW, ruby=ウィンド・ウィッチ)]
영어판 명칭 Windwitch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바람 마법사족 효과, 튜너
싱크로, 융합

1. 개요2. 설명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1
3.1.1. WW-스노우 벨
3.2. 레벨 4
3.2.1. WW-글라스 벨
3.3. 레벨 5
3.3.1. WW-블리자드 벨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3
4.1.1. WW-아이스 벨4.1.2. WW-프리즈 벨
5. 융합 몬스터
5.1. 레벨 8
5.1.1. WW-크리스탈 벨
6. 싱크로 몬스터
6.1. 레벨 7
6.1.1. WW-윈터 벨
6.2. 레벨 8
6.2.1. WW-다이아몬드 벨
7. 마법 카드
7.1. WW의 방울 소리
8. 서포트 카드
8.1. 빙풍의 리프레인
9. OCG화되지 않은 카드
9.1. 바람을 알리는 방울 소리9.2. WW가 부르는 소리
10.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WW · 패러사이트 퓨저너
에이스 에이스 진화체
ARC-V
WW-윈터 벨
ARC-V
WW-크리스탈 벨
OCG
WW-다이아몬드 벨
}}}}}}}}} ||
ARC-V 각 차원의 닮은 꼴의 카드군
<nopa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margin: -10px 0px -10px; word-break:keep-all;"
유우야 유토 유고 유리 즈아크
오드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EM
마술사
리벨리온
엑시즈 드래곤
팬텀 나이츠
팬텀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SR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
프레데터 플랜츠
프레데터
패왕
패왕권룡
패왕문
유즈 루리 세레나 레이
환주 LL WW 문라이트 }}}}}}

WW로 쓰고 윈드 위치라 읽는다.[1]

모든 몬스터들의 이름은 겨울이나 얼음과 관련된 영단어 + 으로 작명되어 있다. 몬스터들의 외형을 보면 종(Bell)과 소녀, 미인(Belle)이 둘 다 벨로 발음되는 걸 이용한 언어유희로 보인다.

2.1. 원작

유희왕 ARC-V에서 이 사용했다. 린의 듀얼 횟수가 단 한 번 뿐이라 등장은 짧다.

아카바 레이의 네 분신들은 각각 화조풍월의 테마에서 따왔는데, 이 카드군은 린을 상징하는 '風(바람)'에서 따왔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레이징 템피스트에서 OCG화됐다. 원작에선 다른 카드의 효과를 카피하는 카드가 많았으나, OCG화되면서 해당 컨셉은 융합 몬스터인 크리스탈 벨에만 남았고, 카드의 수가 적은 걸 감안해선지 대부분의 효과가 바람 속성 몬스터 전반과 연동할 수 있게 강화됐다. 덕분에 같은 바람 속성을 쓰는 유고가 쓰는 카드군인 SR과 궁합이 좋다.

등장 초기엔 메인 덱 카드가 3장뿐이라 단일 덱을 구축하기 어려웠다. 대신 높은 범용성을 살려 SR을 섞거나, 소환수 라이딘을 활용할 수 있는 소환수, 엑스트라 덱이 여유로운 진룡과 함께 쓰이곤 했다. 아이스 벨-글라스 벨-스노우 벨 순으로 소환하고 윈터 벨을 경유해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통상 소환권을 안 쓰고 소환하는 콤보가 강력하다.

이런 식으로 용병으로 활약한 것 때문에 2017년 10월에 아이스 벨이 준제한 카드가 됐다. 그러나 환경의 변화로 WW의 채용률이 급격하게 줄어서 2018년 7월에 아이스 벨이 다시 무제한으로 풀렸다.

블레이징 보텍스에서 추가 지원을 받아 WW 단일 덱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효과 데미지를 주는 카드가 많음을 살린 신규 카드가 추가됐다. 문제는 추가 지원을 받은 메인 덱 몬스터 2종은 WW 몬스터 필드 위에 있을 때 특수 소환/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이 가능하다는 제약이 붙었다. 덕분에 메인 덱 용병은커녕 엑스트라 덱 용병도 막 내놓으면 빌드가 꼬일 수도 있다.

2.3. 유희왕 듀얼링크스

2024년 9월 1일 "돌아온 둘! 루리 & " 이벤트와 메인 팩 MAJESTIC MAGIC에서 추가됐으며, 1차 이벤트 때는 크리스탈 벨 외의 모든 카드가, 2차 이벤트 때는 크리스탈 벨이 풀리면서 모든 카드가 풀렸다.
파일:듀링스킬.png 윈터 벨 엑셀
이 스킬의 ②③④의 효과는 각각 듀얼 중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자신은 「WW(윈드 위치)」 몬스터 및 바람 속성 튜너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고(엑스트라 덱에서의 특수 소환은 포함하지 않음), 「WW(윈드 위치)」 카드 이외의 자신의 효과로 발생하는 상대에게의 효과 데미지는 0이 된다.
②: 패의 「WW-스노우 벨」 1장 또는 「WW의 방울 소리」 1장을 상대에게 보여주고[기존]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③: 자신 필드에 「WW(윈드 위치)」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WW-스노우 벨」 1장을 낸다.
④: 자신의 묘지의 튜너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WW(윈드 위치)」 튜너 1장을 패에 넣는다.

20 레벨 스킬 WW-윈터 벨 액셀로 패의 방울 소리나 스노우 벨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덱에서 아이스 벨 1장을 서치해 전개를 할 수 있어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 전개를 쉽게 할 수 있다. 방울 소리는 필드에 WW가 있어야 하고, 스노우 벨은 단독으로는 밸류가 없으니 코스트도 큰 문제는 없고, WW-윈터 벨을 불러내면 스노우 벨 하나를 공짜로 놓을 수 있다. 스킬을 통해 아이스 벨을 패에 넣고, 패에 방울 소리나 프리즈 벨, 블리자드 벨이 있으면 레벨 8 싱크로 몬스터 2체를 한 번에 놓을 수 있다. 마지막 효과로 블리자드 벨을 패에 넣어 1파괴를 노리거나, 글라스 벨을 패에 넣어 후속 전개를 노릴 수도 있다. 메인 덱의 장수가 마스터 듀얼에 비해 적다는 점을 노려서 아예 서브 플랜으로 네크로 퓨전과 WW-크리스탈 벨을 투입한 경우도 종종 보이는 편.[3]

문제는 스킬로 인해 메인 덱 몬스터도 한정되어 있고[4], 오프보다도 심각할 정도로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의 풀이 좁고, 사실상 7 아니면 8 레벨 싱크로 몬스터만[5] 부를 수 있다. 이렇게 걸러낸 카드들 중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고, 효과가 범용적인 것은 스타더스트 드래곤, B·F-항마궁의 하마, 해피 레이디·SC,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뿐이다. 그마저도 하마나 스타더스트 드래곤,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은 효과가 수동적이거나 영 별로니 선택의 폭은 더욱 줄어든다.[6] 이런 상황이니 친구인 스피드로이드 덱보다도 상황이 별로다. 특히나 WW는 타 용병이 필드 위에 남아있기만 해도 프리즈 벨의 특수 소환 효과와 블리자드 벨의 노 코스트 일반 소환이 막히니 더더욱. 아이스 벨이나 효과로 리크루트되는 글라스 벨에 견제가 박히기라도 하면 전개력이 크게 떨어진다. 그래서 동기인 LL과 달리 출시된 직후에만 잠깐 관심을 받다가 비티어 덱이 되었다.

2025년 3월 중순에 2번 효과의 "1장을 되돌리고"가 "1장을 보여주고"로 바뀌는 상향을 받았지만, 여전히 상황은 그대로.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1

3.1.1. WW-스노우 벨

파일:WW-スノウ・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스노우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スノウ・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Snow Bell,
레벨=1,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 수비력=1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바람 속성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하고\, 바람 속성 이외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서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그 싱크로 몬스터는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①의 효과는 바람 속성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하면 특수 소환 가능한 효과. 특수 소환 효과가 많은 WW은 물론, SR 베이고맥스 등의 바람 속성 범용 카드들 덕분에 소환은 쉬운 편이다.

②의 효과는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에 효과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싱크로 몬스터의 유지력을 높이는 데에 크게 기여한다. 범용성이 뛰어난 레벨 1 튜너라 WW 외에도 가스타SR 등 바람 속성 싱크로 소환 덱에서라면 어디서든 용병으로 활약할 가치가 있다.

원작에선 특수 소환시 필드에 WW가 2장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었으며, 체인 블록을 안 만들었고 다른 조건은 없었다. 내성 부여 효과는 OCG 오리지널 효과.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레이징 템피스트 RATE-KR008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JP008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EN008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8 OP08-EN018 노멀 미국

3.2. 레벨 4

3.2.1. WW-글라스 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4320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글라스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グラス・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Glass Bell,
레벨=4,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WW(윈드 위치)-글라스 벨"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WW(윈드 위치)-글라스 벨" 이외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이 효과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은 바람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소환 시의 WW 서치 효과. 특수 소환 효과를 가진 프리즈 벨을 서치하면 바로 레벨 7~8 싱크로가 가능하며, 필드에 다른 바람 속성 몬스터가 있다면 스노우 벨을 서치 후 바로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대신 디메리트로 효과 발동 후 바람 속성 몬스터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바람 속성엔 크리스탈윙으로 대표되는 강력한 싱크로 몬스터가 많아 싱크로 전개엔 큰 문제가 없지만, 링크나 엑시즈엔 바람 속성이 딱히 많지도 않다는 게 단점. 어차피 강력한 전개 요원인 아이스벨도 엑스트라 덱에 소환 제약을 걸어버리니 SR 베이고맥스&타케톰보그처럼 용병으로 이리저리 끌려다니는 걸 막는 게 이유인 걸로 보인다.

이 카드의 발매로 인해 아이스 벨 1장만 패에 잡히면 소환권 소모 없이 패 1장으로 효과 파괴 내성이 붙은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혹은 다이아몬드 벨을 소환할 수 있게 됐다. 1300 데미지는 덤.
1. 아이스 벨의 자체 특수 소환. 이어서 그 효과로 글라스 벨을 덱 특수 소환.
2. 글라스 벨의 효과로 스노우 벨 서치.
3. 스노우 벨의 효과로 자체 특수 소환.
4. 아이스 벨 + 글라스 벨을 소재로 레벨 7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
5. 스노우 벨을 소재로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다이아몬드 벨을 싱크로 소환.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디멘션 세트 DBLE-KR014 울트라 패러렐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ディメンションボックス -リミテッド・エディション- DBLE-JP014 울트라 패러렐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EN098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8 OP08-EN019 노멀 미국

3.3. 레벨 5

3.3.1. WW-블리자드 벨

파일:WW-ブリザード・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블리자드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ブリザード・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Blizzard Bell,
레벨=5,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또는 "WW(윈드 위치)" 몬스터뿐일 경우\, 이 카드는 릴리스 없이 일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 필드에 "WW(윈드 위치)-블리자드 벨" 이외의 "WW(윈드 위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상대 메인 페이즈에 패 / 필드의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①의 효과는 릴리스 경감 효과. 공격력이 낮은 데다 딱히 필드에서만 발동 가능한 효과도 없어서 싱크로 소재 이외의 용도는 찾기 어렵다. 더군다나 "뿐"이라는 조건이므로 타 용병 몬스터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소환이 막힐 수 있다. 레벨이 높아서 소환 가능한 싱크로 풀도 좁은 편. 주로 다이아몬드 벨을 소환하는 용도로 쓰게 된다.

②의 효과는 상대 턴에 자신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하는 번 효과. 수치가 너무 적어서 데미지는 무의미하고, 다이아몬드 벨의 제거 효과 발동을 위해 쓴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블레이징 보텍스 BLVO-KR016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JP016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EN016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3

4.1.1. WW-아이스 벨

파일:WW-アイス・ベル(20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아이스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アイス・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Ice Bell,
레벨=3,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1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그 후\, 덱에서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덱에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릴리스할 수 없으며\,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레벨 5 이상의 바람 속성 몬스터밖에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①의 효과는 자기 필드가 비었을 때 패에서 특수 소환돼, WW 몬스터를 추가 전개할 수 있는 효과. SR 베이고맥스의 용병화 전례를 우려했는지, 자체 소환 조건과 서치 효과가 통합되었다. 게다가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릴리스할 수 없고, 레벨 5 이상의 바람 속성 몬스터만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엑시즈/링크 몬스터를 소환하는 것은 불가능. 그나마 융합 몬스터는 부를 수 있긴 하지만. 그래도 SR랑 엮을 경우 바람 속성엔 자체 특수 소환 몬스터가 많아서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가기 쉽다.

주로 글라스 벨을 특수 소환, 스노우 벨을 서치해 레벨 7~8 싱크로로 이어가는 콤보가 쓰인다. 이외에도 상황에 따라 다른 WW를 특수 소환해 전개를 시작해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수수한 번 효과. 다이아몬드 벨이 있으면 제거를 겸할 수도 있다.

원작에선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한 턴에 1번만 발동할 수 있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는 수수한 효과로, OCG화된 ①의 효과는 마법 카드 바람을 알리는 방울 소리의 효과를 통합한 것이다. ②의 효과는 원작과 비슷하지만 턴 제약이 붙어서 2장을 소환해도 500 데미지밖에 줄 수 없다는 단점이 생겼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레이징 템피스트 RATE-KR007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2 AE11-KR012 슈퍼 레어 한국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21 Vol.1 AE16-KR001 시크릿 레어 한국
RAGING TEMPEST RATE-JP007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0 Vol.4 20TP-JP401 슈퍼 레어 일본
Raging Tempest RATE-EN007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Shadows in Valhalla SHVA-EN046 시크릿 레어 미국
OTS Tournament Pack 15 OP15-EN023 노멀 미국

4.1.2. WW-프리즈 벨

파일:WW-フリーズ・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프리즈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フリーズ・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Freeze Bell,
레벨=3,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2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몬스터가 "WW(윈드 위치)" 몬스터뿐일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 메인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③: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서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했을 경우\, 그 싱크로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①의 효과는 몬스터가 WW뿐일 경우에 가능한 특수 소환 효과. 아이스 벨과 연계하면 소환권을 안 쓰고도 WW 몬스터를 3~4장 소환할 수 있다. 단, "뿐"이라는 조건이므로 타 용병 몬스터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소환이 막힐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자신의 레벨을 1 올리는 효과. 사실상 레벨 4 몬스터로도 쓸 수 있어서 싱크로 소환의 풀을 넓혀준다.

③의 효과는 바람 속성 싱크로 몬스터에 전투 내성을 주는 효과로, 스노우 벨과 함께 쓰면 완전 파괴 내성을 줄 수 있어 유지력이 높아진다. 아쉽게도 비 튜너로 싱크로 몬스터를 요구하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에겐 부여할 수 없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블레이징 보텍스 BLVO-KR017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JP017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EN017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5. 융합 몬스터

5.1. 레벨 8

5.1.1. WW-크리스탈 벨

WW-크리스탈 벨
<nopad> 파일:WindwitchCrystalBell-JP-Anime-AV-NC.webp
한겨울의 설원을 달려나가는 바람의 소리여! 내면의 소리와 하나가 되어 더욱 격렬하게 울려퍼져라!
真冬の雪原を走り抜ける風の音よ!内なる声とひとつになりてさらに激しく響き渡れ!
융합 소환! 나타나라, 장엄하게 울리는 수정의 종! 「WW-크리스탈 벨」!
融合召喚!現れよ、荘厳に響く水晶の鐘!「WW-クリスタル・ベル」!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린-[7]
한겨울 설원을 달리는 바람 소리여! 마음의 소리와 하나가 되어 더욱 세차게 울려퍼져라!
융합 소환! 나타나라, 장엄하게 울리는 수정의 종! 「WW-크리스탈 벨」!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린더빙판-
파일:WW-クリスタル・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크리스탈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クリスタル・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Crystal Bell,
레벨=8,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소재="WW(윈드 위치)-윈터 벨" + "WW(윈드 위치)" 몬스터,
효과외1="WW(윈드 위치)-크리스탈 벨"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또는 상대 묘지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엔드 페이즈까지\, 이 카드는 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카드로 취급하고\, 같은 효과를 얻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상대에 의해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WW(윈드 위치)-윈터 벨" 1장과 레벨 4 이하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WW의 유일한 융합 몬스터. 융합 소재로 싱크로 몬스터를 요구해서 소환 난이도가 높다. 융합 소재 대체가 가능하니 굳이 소환한다면 소재 대체 몬스터를 쓰는 게 낫다.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윈터 벨로 특수 소환하는 방식이 제일 쉬운 편.

①의 효과는 묘지의 몬스터 이름과 효과 복제. WW엔 필드에서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는 몬스터가 딱히 없어서 윈터 벨을 통한 번 정도 외엔 기대할 게 없다. 운 좋게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등이 묘지에 있거나 상대가 강력한 몬스터를 묻어뒀다면 이용할 수 있겠지만, 효과는 그 턴만 유지되니 상대 턴엔 무용지물이 된다.

②의 효과는 상대에 의해 파괴됐을 경우의 소생 효과. 윈터 벨과 스노우 벨을 소생해 다음 턴 추가 싱크로를 노리거나 글라스 벨로 서치할 수 있다. 그러나 조건이 상대에 의한 파괴로 엄격해서 노리고 발동하긴 어렵다.

능동적으로 발동할 수 있는 효과가 ①의 효과뿐인데 묘지의 상황에 크게 좌우되는 불안정한 효과라 활용이 어렵다. 싱크로 위주 덱인 WW에 융합 기믹을 굳이 섞을 만큼의 카드라고 보기 힘들다.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통한 소환은 글라스 벨에게 방해되기 쉽고, 미라클 싱크로 퓨전은 윈터 벨을 제외해야 한다. 어리석은 중장 등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는 카드로 강력한 몬스터를 묻고 효과를 복사하는 등 예능적인 활용도를 찾을 순 있다.

같은 분신이 사용한 LL-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을 베끼면 공격력 6800에 다른 카드 효과 면역 + 4천 번이라는 강력한 효과를 얻게 된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데블 프랑켄으로 이 카드와 패왕권룡 스타브 베놈을 불러 둘로 각각 인디펜던트 나이팅게일을 베껴 4천 데미지를 두 번 먹여 승리하는 매크로 덱도 존재했으나 데블 프랑켄의 금지로 써먹지 못하게 되었다.

바람 속성 마법사족 몬스터 중 WW-다이아몬드 벨과 더불어 최고 공격력이기도 하다.

원작에선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WW-윈터 벨의 융합 소재로 대체해 소환했다. 이후 패러사이트 퓨저너는 이 카드의 가슴 한쪽에 장착된다. 상당한 에너지를 가진 존재였는지 공격으로 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을 파괴하면서 유고에게도 피해가 크게 들어가 D휠이 대파되기도 했다. 원작에선 소생 가능한 몬스터가 WW이 아니라도 돼서 윈터 벨과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소생해 다시 융합 소환하고 번 데미지를 먹였다. 그 결과 유고는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으로 거의 다 이긴 상황에서 역전패를 당해 린의 세뇌를 풀지 못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레이징 템피스트 RATE-KR040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JP040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EN040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6. 싱크로 몬스터

6.1. 레벨 7

6.1.1. WW-윈터 벨

WW-윈터 벨
<nopad> 파일:WindwitchWinterBell-JP-Anime-AV-NC.webp
한겨울의 바람이여! 눈도 얼음도 나의 힘으로서 불어라![8]
真冬の風よ!雪も氷も我が力として吹き抜けよ!
싱크로 소환! 나타나라, 레벨 7! 「WW-윈터 벨」!
シンクロ召喚!現れよ、レベル7!「WW-ウィンター・ベル」!

-유희왕 ARC-V/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린-
한겨울의 바람이여! 눈도 얼음도 나의 힘이 되어 불어라!
싱크로 소환! 나오너라, 레벨 7! 「WW-윈터 벨」!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린더빙판-
파일:WW-ウィンター・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윈터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ウィンター・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Winter Bell,
레벨=7,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400, 수비력=20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WW(윈드 위치)-윈터 벨"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묘지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 × 2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자신 / 상대의 배틀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할 수 없다.)]
한겨울의 설원을 달리는 바람 소리여!
(융합 소환의 소재가 되었을 때)

린의 에이스 몬스터.

①의 효과는 묘지의 WW를 지정하고 발동하는 번 효과. 보통은 200~1000 정도로 높은 수치는 아니지만, WW 싱크로 몬스터가 있다면 1400~1600으로 꽤 높은 데미지가 된다.

②의 효과는 배틀 페이즈에 프리 체인으로 발동할 수 있는 특수 소환 효과. 자기 자신도 대상으로 할 수 있어서 단독으로도 레벨 7 이하의 몬스터를 소환할 수 있으며, 소환하는 몬스터엔 달리 조건이 없어서 다양한 용도로 쓸 수 있다. 다만 타이밍이 배틀 페이즈라 늦고 공격이 불가능해 추가타를 할 순 없다.

WW-크리스탈 벨의 융합소재이기 때문에 융합강병으로 특수 소환이 가능하다.

원작처럼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특수 소환하면 크리스탈 벨을 융합 소환해서 추가 공격이 가능해진다. 다만 패러사이트 퓨저너는 어둠 속성이라 글라스 벨의 효과를 사용한 턴엔 사용 불가능한 방식이다.

원작에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WW 몬스터의 효과를 카피하는 효과였으나, OCG화 되면서 묘지의 WW의 효과를 베끼는 원래의 효과는 베꼈던 몬스터인 아이스 벨의 효과를 개조한 윈드 위치의 레벨 × 200만큼 번 데미지를 주는 걸로 바뀌었다. ②의 효과는 원작의 "WW가 부르는 소리"의 효과를 탑재한 것.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레이징 템피스트 RATE-KR043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JP043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Raging Tempest RATE-EN043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OTS Tournament Pack 6 OP06-EN011 슈퍼 레어 미국

6.2. 레벨 8

6.2.1. WW-다이아몬드 벨

WW-다이아몬드 벨
<nopad> 파일:df36uko-228b89f4-1774-44ed-95da-fe750a0d9dcc.png
설원에 흩날리는 빙정이여! 굳게 맺어진 힘이 되어 빛과 함께 난무하라!
雪原に舞う氷晶よ!固く結ばれた力となりて光と共に乱舞せよ!
싱크로 소환! 나타나라, 레벨 8! 「WW-다이아몬드 벨」!
シンクロ召喚!現れよ、レベル8!「WW-ウィンター・ベル」!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린-
파일:WW-ダイヤモンド・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다이아몬드 벨,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ダイヤモンド・ベル,
영어판 명칭=Windwitch - Diamond Bell,
레벨=8, 속성=바람, 종족=마법사족, 공격력=2800, 수비력=2400,
소재=튜너 + 튜너 이외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 이상,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싱크로 소환에 성공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력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에게 준다.,
효과2=②: 1턴에 1번\, 상대가 전투 / 효과로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카드가 "WW(윈드 위치)" 몬스터만을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되어 있을 경우\, 이 효과는 1턴에 2번까지 사용할 수 있다.)]
싱크로 소재로 바람 속성 비 튜너 몬스터를 요구한다. WW만으로 소환하면 크리스탈윙을 소환할 때와 같은 순서를 밟아도 되고, 싱크로 몬스터 없이도 소환할 수 있어 소환은 어렵지 않다.

①의 효과는 싱크로 소환시의 번 효과. 최대 데미지는 동명 카드 또는 크리스탈 벨이 있을 때의 1400이지만, 무리하게 노리지 않아도 전 단계인 윈터 벨을 대상으로 하면 1200 데미지는 보장되며, 소환과 동시에 ②의 효과 발동이 가능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가 데미지를 받으면 발동하는 대상 지정 파괴 효과. 자신의 효과로 소환시에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WW 위주의 덱에선 1턴에 2번까지 쓸 수 있어 전투를 통한 추가 제거도 노릴 수 있다. 블리자드 벨이 패 / 필드에 있다면 상대 메인 페이즈에 발동해 전개를 방해할 수 있고, 같은 방식으로 상대에게 데미지를 주는 카드과 연계할 수도 있다.

다만 효과 데미지를 주는 카드는 효율이 나쁜 카드가 많고, WW에서만 봐도 상대 턴에 능동적으로 효과 데미지를 주는 카드가 많지 않아 정작 이 효과로 어드밴티지를 벌기 어렵다. 전투를 통해서도 발동할 수 있지만 타이밍이 너무 늦어진다. 본인의 타점도 레벨 8 치곤 아주 높은 편이 아니라 믿음직스럽지 못하다. 소재 제약이 없는 바람 속성 범용 레벨 8 싱크로 몬스터엔 강력한 카드가 딱히 없어서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을 소환할 여건이 안 되거나, 프리즈 벨로 전투 내성을 주고 싶을 때에 쓰게 된다. 소환 자체는 아이스 벨이나 글라스 벨 1장만 패에 잡아도 가능하므로, 소환을 위한 최소한의 몬스터에 추가로 효과 데미지를 주는 함정 카드를 다수 투입하는 식으로 번 위주의 구성을 할 수도 있다.

모습은 원래 레벨 7이었던 윈터 벨이 업그레이드된 모습이면서 융합카드였던 크리스탈 벨이 정화된 듯한 모습. 색이 흰색과 푸른색 기조로 변하여 인상이 맑아지고 얼음이 늘어난 걸 제외하면 디자인의 차이가 없다. 그래서인지 공격력 / 수비력도 완전히 같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블레이징 보텍스 BLVO-KR043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얼티미트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JP043 울트라 레어
시크릿 레어
얼티미트 레어
프리즈마틱 시크릿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EN043 울트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7. 마법 카드

7.1. WW의 방울 소리

파일:WWの鈴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한글판 명칭=<ruby>WW<rp>(</rp><rt>윈드 위치</rt><rp>)</rp></ruby>의 방울 소리,
일어판 명칭=<ruby>WW<rp>(</rp><rt>ウィンド・ウィッチ</rt><rp>)</rp></ruby>の<ruby>鈴音<rp>(</rp><rt>すずおと</rt><rp>)</rp></ruby>,
영어판 명칭=Windwitch Chime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바람 속성 몬스터밖에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와는 카드명이 다른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덱에서 WW를 특수 소환하는 마법 카드. 동명 소환이 불가능하고 바람 속성만 특수 소환 가능하다는 제약이 있지만, 노 코스트 덱 특수 소환 효과는 말이 필요 없을 정도로 강력하다. 정작 이 카드 자체를 서치할 방법은 없는 게 아이러니하다.

몬스터에게 효과가 편입 된 탓에 OCG화되지 못한 두 카드인 바람을 알리는 방울 소리의 이름, WW가 부르는 소리의 이름 및 일러스트를 합친 것이 특징. 일러스트에선 아이스 벨의 뒤를 글라스 벨이 따라가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블레이징 보텍스 BLVO-KR059 레어 한국 한국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JP059 레어 일본 세계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EN059 슈퍼 레어 미국 미국 최초 수록

8. 서포트 카드

8.1. 빙풍의 리프레인

파일:氷風のリフレイ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빙풍의 리프레인,
일어판 명칭=<ruby>氷風<rp>(</rp><rt>ひょうふう</rt><rp>)</rp></ruby>のリフレイン,
영어판 명칭=Icy Breeze Refrai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효과2=●자신 묘지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효과3=●자신의 "WW(윈드 위치)" 몬스터의 효과 발동에 체인하여 상대가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2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일반 함정 카드.

첫 번째 효과는 WW 소생 효과. 간단한 1:1 교환 소생 효과로 활용도가 높다.

두 번째 효과는 WW의 효과 발동에 체인한 상대 효과 무효. 패 트랩이나 무덤의 지명자 등을 막을 수 있다. 다만 일반 함정 카드라 발동 타이밍이 늦으면서, 카운터 함정에 대항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카드의 최대 단점은 테마 서포트 함정임에도 서치 방법이 없다는 것. 서치가 가능했다면 다이아몬드 벨을 세운 상태에서 상대 턴에 발동해 아이스 벨을 소생시켜 번데미지로 파괴효과를 격발시킬 수 있어 나름 호궁합이 되었을 것이다. 실제로 덱의 매수가 적은 듀얼링크스에서는 이 카드가 패에 잡힐 가능성도 꽤 높은 편.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카드 번호 레어도 발매 국가 기타 사항
블레이징 보텍스 BLVO-KR072 노멀 한국 한국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JP072 노멀 일본 세계 최초 수록
Blazing Vortex BLVO-EN072 노멀 미국 미국 최초 수록

9. OCG화되지 않은 카드

9.1. 바람을 알리는 방울 소리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indCallingBellChime-JP-Anime-AV.png
한글판 명칭 바람을 알리는 방울 소리(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風を告げる鈴の音
영어판 명칭 Wind-Calling Bell Chime(비공식 번역명)
일반 마법
①: 패의 레벨 4 이하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상대에게 공개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와 같은 이름의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OCG화되면서 아이스 벨의 효과에 편입됐다.

9.2. WW가 부르는 소리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alloftheWindWitch-JP-Anime-AV.png
한글판 명칭 [ruby(WW, ruby=윈드 위치)]가 부르는 소리(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WW, ruby=ウィンド・ウィッチ)]の呼び声
영어판 명칭 Call of the Wind Witch(비공식 번역명)
속공 마법
①: 자신 / 상대 배틀 페이즈에, 자신 필드의 "WW(윈드 위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레벨 이하의 레벨을 가진 몬스터 1장을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공격할 수 없다.
OCG화되면서 윈터 벨의 효과에 편입됐다.

10.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유희왕 5D's에서 본 카드군과 이니셜이 같은 WW(화이트 워리어즈) 카드군이 등장했다.[기존] 상향 이전에는 "덱으로 되돌리고"[3] 동기인 LL도 비슷한 위치의 인디펜덴트 나이팅게일이 있긴 한데, 이 쪽은 융합 소재인 어셈블리 나이팅게일 카드가 "1장 뿐+제한 1 카드+LL 덱의 중핵"이라 안 쓰인다.[4] 베이고맥스/타케톰보그는 못 써먹고 일소권은 일반적으로는 블리자드 벨한테 들어가니 실질적으로 써먹을 만한 용병 튜너는 카르터보 하나 정도. 퀵 싱크론은 플뢰르 드 슈바리에 외에는 레벨 조건 때문에 다른 싱크로 몬스터는 못 불러내고 슈바리에가 그렇다고 딱히 좋은 카드도 아니니 채용하지 않는다.[5] 일단 아이스 벨의 디메리트로 인해 레벨 5 이상의 싱크로 몬스터만 불러낼 수 있으니 레벨 4 이하 싱크로 몬스터는 채용 불가. 그렇게 되면 제일 편하게 부를 수 있는 레벨대는 자연스럽게 7 아니면 8이니 액셀 싱크로 몬스터도 불가능.[6] 레벨 11 싱크로 몬스터인 HSR/CW 라이더는 상대 턴에는 분리 효과만 남아 있거니와 소환 조건 때문에 글라스+레벨 7 싱크로 몬스터 또는 카르터보+레벨 8 싱크로 몬스터로 가야 한다. 1턴째에는 그만큼 불러내기 까다로운 카드.[7] 본 영창 중 '내면의 소리'라는 구절은 패러사이트 퓨저너를 상징하는 구절이기 때문에 고정 영창이 아니지만, 게임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이를 고정 영창으로 취급해 해당 구절까지 모두 포함하여 영창한다.[8] '吹き抜けよ'는 '지나가는 바람'을 의미하는 단어로, 눈과 얼음이 힘으로서 마치 바람처럼 자신에게 불라는 내용을 영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