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테마 일람''' |
|
|
정크도플 관련 카드군 | ||
정크 | 워리어 | 정크 워리어 서포트 |
싱크론 | 스타더스트 | 스타더스트 드래곤 서포트 |
붉은 용 / 싱크로 / 시그널 카운터 |
정크 | |||||
싱크로 체이스 | |||||
<colbgcolor=#FDEEE1> 한국어판 명칭 | 정크 | ||||
일어판 명칭 | ジャンク | ||||
영어판 명칭 | Junk | ||||
속성 | 종족 | 관련 카테고리 | |||
땅 위주[1] | 전사족 위주[2] | 효과, 튜너 싱크로, 링크 |
1. 개요
애니메이션 관련 틀 모음 |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원작 사용자는 유희왕 5D's의 후도 유세이, 쿠즈야마 테츠조.테츠조의 덱을 보며 유세이가 '할아버지도 나와 같은 정크 덱인가?'라고 말한 것을 보면 본인은 자신의 덱을 정크 덱으로 여기고 있다. 유세이는 "쓸모없는 카드는 없다"는 신조를 가지고 있으며 버려진 카드를 주워서 자신의 덱을 만들었는데, 이 점을 부각시키는 것이 이 정크(쓰레기) 카드군이다.
"정크"라고는 해도 정크 컬렉터 정도를 제외하면 디자인에서 쓰레기의 요소를 찾을 수는 없고, 나사 등 기계로서의 요소가 더욱 부각된다. 하지만 그런 외형과 달리 대부분 전사족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기본적으로 싱크로 몬스터 시리즈로, 메인 덱 몬스터는 정크 싱크론과 서번트, 컬렉터로 3장만이 투입되었다. 대신 정크 싱크론은 유세이 덱의 얼굴 마담이며 다른 싱크론들이 터보, 니트로, 로드, 드릴 워리어처럼 전용 워리어 계통만 불러냈던 것과 달리 정크는 여러 종류의 몬스터를 소환해 그의 대표 카드군이라는 느낌을 줬다.
코믹스에서는 반대로 싱크로 몬스터는 등장하지 않으며, 대신 메인 덱에 싱크론과 워리어 비튜너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정크 몬스터만을 투입하여 듀얼을 하였다.
이런 연유로 카드풀의 대부분은 코믹스 테마에 가까우며 그마저도 원작 재현용 효과에 머물기 때문에 9기의 제트 싱크론 이후로는 유의미한 서포트 카드가 나오지 않고 있다. 도리어 정크 스피더의 리턴값이 지나치게 높다는 점 때문에 이후의 지원들은 정크 시리즈를 지원하기보다 에이스 몬스터의 카드명을 직접 지정하는 식[3]의 방향으로 우회해서 주는 일이 많았고, 특히 파워 오브 펠로우즈 이후에는 사실상 테마의 명맥이 종료되었다.
3. 효과 몬스터 (튜너)
3.1. 레벨 1
3.1.1. 정크 메일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3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VJMP-JP227 신양수 바로메트 | VJMP-JP228 섬도희-아자레아 | VJMP-JP229 초중무사 도우C-N | VJMP-JP230 세인크리드 매지션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VJMP-JP234 혈육의 제물 | VJMP-JP235 킬러 포테이토 | VJMP-JP236 댄디 화이트라이언 | VJMP-JP237 초미래융합-오버퓨처 퓨전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241 빙마룡 브류나크 | VJMP-JP242 레스큐 고슴도치 | VJMP-JP243 정패룡-브레이즈 | VJMP-JP244 펜듈럼 위치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231 | 버닝 드래곤 | |||
VJMP-JP232 | 삼안의 사령 | |||
VJMP-JP233 | 로즈 파피용 | |||
VJMP-JP238 | 정크 드래곤센트 | |||
VJMP-JP239 | 정크 메일 | |||
VJMP-JP240 | 매직 엘프 버건디 |
← 2022년ㆍ2024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메일,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メイル,
영어판 명칭=Junk Mail,
레벨=1,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400, 수비력=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재로 한 싱크로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2=②: 이 턴에 묘지로 보내져 있지 않은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하고\, 원래의 카드명에 "워리어"\, "싱크론"\, "스타더스트"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싱크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코믹스 28화에서 크로우 호건과 상대할 때 사용한 몬스터. 라이트닝 워리어의 싱크로 소재로 사용되어 전투 내성을 주었으며 이 효과의 적용시 메일이라는 이름답게 라이트닝 워리어의 갑옷이 되었다.
①의 효과는 원작의 효과를 그대로 가져온 소소한 전투 내성.
②는 OCG화 되면서 추가된 효과인데 묘지로 보내진 턴에 발동하지 못하고 발동조건까지 있기 때문에 그로우업 벌브 나 레볼루션 싱크론에 밀린다.
차별점이라면 전사족이기 때문에 증원과 정크 몬스터이므로 제트 싱크론으로 서치가 가능하다는 정도. 대상 내성이나 효과 내성 부여 였다면 그나마 사용처가 있었을텐데 현재 환경에서 사용하기에는 많이 아쉬운 카드이다.
3.2. 레벨 2
3.2.1. 정크 앵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4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VJMP-JP084 기아기아앙그라 | VJMP-JP085 라이트로드 아처 페리스 | 없음 | VJMP-JP086 환상의 흑마도사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없음 | VJMP-JP89 EM 실버 크로우 | 없음 | VJMP-JP92 엘리멘틀 히어로 Core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093 DDD 노도왕 시져 | 없음 | VJMP-JP094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 | 없음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087 | 라인몬스터 스피어 휠 | |||
VJMP-JP088 | 천륜의 장송사 | |||
VJMP-JP090 | 프리미티브 버터플라이 | |||
VJMP-JP091 | 정크 앵커 |
← 2013년ㆍ2015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앵커,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アンカー,
영어판 명칭=Junk Anchor,
레벨=2,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외1=이 카드는 "싱크론" 튜너 대신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패를 1장 버리고\, 튜너 이외의 자신 묘지의 "정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고\, 그 몬스터와 이 카드만을 소재로서\, "싱크론" 튜너를 소재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의 싱크로 소환을 실행한다. 그때의 싱크로 소재 몬스터는 묘지로는 가지 않으며 제외된다.)]
V점프 정기 구독 특전으로 등장한 정크 몬스터.
퀵 싱크론마냥 다른 싱크론을 대신해 싱크로 소재로 할 수 있으며, 패 1장을 코스트로 묘지의 정크와 함께 제외되면서 싱크론을 소재로 하는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머리 모양과 컬러링이 울트라맨 느낌이 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V점프(2014년 5월) 1년 정기 구독 특전 | VJMP-JP09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Crossed Souls | CROS-EN09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37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3.3. 레벨 3
3.3.1. 정크 싱크론
3.3.2. 정크 체인저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튜너=,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체인저,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チェンジャー,
영어판 명칭=Junk Change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필드의 "정크"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이하의 효과에서 1개를 선택하여 발동할 수 있다.,
효과2=●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1개 올린다.,
효과3=●대상 몬스터의 레벨을 1개 내린다.)]
정크 몬스터의 레벨을 조정해 다양한 레벨의 싱크로 소환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카드.
이 카드가 튜너이기에 정크 서번트와 함께라면 레벨 6~8 싱크로 소환이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Premium Pack 18 | PP18-JP002 | 노멀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Premium Gold: Infinite Gold | PGL3-EN002 | 골드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프리미엄 팩 11 | PP11-KR002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4. 효과 몬스터 (非 튜너)
4.1. 레벨 1
4.1.1. 정크리보
4.2. 레벨 2
4.2.1. 정크 컨버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정크 컨버터,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コンバーター,
영어판명칭=Junk Converter,
속성=땅,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2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에서 이 카드와 튜너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싱크론"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자신 묘지의 튜너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이 턴에\,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의 효과는 발동할 수 없다.)]
①의 효과는 자신과 튜너를 패에서 버리는 것으로 싱크론 몬스터를 서치하는 기동효과. 1장 손실이 일어나니 서치 대상을 통해 어드밴티지를 되찾는 게 좋다. 서치 대상의 우수 후보로는 정크 싱크론이 있으며, 이 카드를 되살려 싱크로 소환할 수 있는 데다 이 카드의 ②의 효과로 코스트로 삼은 튜너를 소생시킬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싱크로 소재로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튜너를 소생시키는 유발효과. ①의 코스트로 쓴 튜너나 싱크로 소재로 쓴 튜너를 소생시키는 게 기본 사용법이 되겠다. 연속 싱크로 소환으로 연계해 고레벨 싱크로 몬스터를 쉽게 부를 수 있게 되는 건 물론,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이나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처럼 싱크로 몬스터를 싱크로 소재로 지정하는 몬스터를 꺼내기가 더 쉬워진다. 정크 스피더의 효과에 하루 우라라나 임펄스를 맞지 않도록 체인을 꼬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이름 및 디자인의 모티브는 컨버터.
애니에서 등장한 적 없는 OCG 오리지널 카드이지만,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의 모습을 재현할 수 있는 카드이기도 하다. 해당 상황을 모티브로 삼은 싱크로 체이스보다도 더 노골적인데, 스피드 스펠이 아닌 일반 마법을 사용하기 어려운 라이딩 듀얼에서는 싱크로 체이스보다 이 카드가 더 효과적이기 때문.
싱크론덱의 새로운 전개의 핵심으로 이카드로 정크스피더를 뽑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후도 유세이의 스킬 중 하나로 듀얼 시작부터 이 카드가 묘지에 있는데, 정크 싱크론과의 콤보로 한 턴 만에 슈팅 스타 드래곤을 소환할 수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듀얼리스트 팩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 DP23-KR02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レジェンドデュエリスト編6- | DP23-JP02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Legendary Duelists: Magical Hero | LED6-EN024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3. 레벨 3
4.3.1. 정크 디펜더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디펜더,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ディフェンダー,
영어판 명칭=Junk Defender,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500, 수비력=1800,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직접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를 패에서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자신 / 상대 턴에 1번\,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수비력은 턴 종료시까지 300 올린다.)]
에라타 (공통) (2014.07.10) | 誤 : [텍스트] 엔드 페이즈시까지 正 : [텍스트] 턴 종료시까지 |
사실상 배틀 페이더의 하위 호환. 배틀 페이더와는 달리 이 녀석은 배틀 페이즈를 종료하지 않고 그냥 특수 소환되기 때문에 나오자마자 상대에게 맞아죽을 수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수비력은 2100이니 사이버 드래곤까지는 어떻게든 막을 수 있는 수준. 마침 공격력도 500이므로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생할 수도 있다.
다음 시리즈에서 등장한 가가가 가드너와 비슷한 듯 다른 느낌으로 운용할 수 있다. 딱 사이버 드래곤 정도까지 막는 건 이 카드가 더 유용하겠으나 가가가 가드너는 전투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레벨 4라 소환과 사용 빈도가 높은 랭크 4의 엑시즈 몬스터를 소환하기 편리하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레벨 3, 공격력 500, 순간 수비력 2100까지 운용 가능하다는 점을 차이로 두어야 한다.
상대 턴에 소환된 후 뻐겼다면 다음 턴에 정크 싱크론을 소환하여 효과로 레벨 2 몬스터를 특수 소환했다면 정크 디스트로이어를 싱크로 소환할 수 있다.
디자인은 영락 없는 간멘으로 나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프로모션 팩 2012 vol.2 | PR02-KR01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V 점프 카드 페스타 2010 프로모션 카드 | VJCF-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수록 |
점프 페스타 2011 프로모션 팩 | JF11-JP005 | 노멀 | 일본 | |
프로모션 팩 2 | PR02-JP005 | 노멀 | 일본 | |
Photon Shockwave | PHSW-EN097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23 | 노멀 | 미국 |
4.3.2. 정크 포워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포워드,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フォアード,
영어판 명칭=Junk Forward,
레벨=3,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900, 수비력=15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특수 소환 가능 몬스터 중 특이하게 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없어도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다. 레벨 3이므로 정크 가드너, 드릴 워리어 등의 싱크로 소재로 하기 편리하다. 그 외에도 랭크 3 엑시즈 소환 덱에 투입되기도 한다.
간단한 특수 소환 조건이 주목받아 링크 소환 덱에도 투입되기도 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프리미엄 팩 6 | PP06-KR02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프리미엄 팩 13 | PP13-JP001 |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4.4. 레벨 4
4.4.1. 정크 블레이더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블레이더,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ブレーダー,
영어판 명칭=Junk Blade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0,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정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400 올린다.)]
에라타 (공통) (2014.07.10) | 誤 : [텍스트] 엔드 페이즈시까지 正 : [텍스트] 턴 종료시까지 |
코믹스 등장 카드. 공격력을 올리는 효과는 없는 것보다는 낫지만, 정크 덱을 짜지 않는 이상은 쓰기 힘든 효과다.
다만 정크 컬렉터와 함께 전사족이라는 점을 높이 사서, 매지컬 익스플로전 덱에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또한 제외 효과는 묘지에 정크 몬스터만 충분하다면 큰 공격력 상승을 노릴 수도 있으며 이 후 이차원으로부터의 귀환과의 연계도 생각해볼만하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프리미엄 팩 6 | PP06-KR019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리미티드 에디션 17 | LE17-JP004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4.4.2. 정크 서번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서번트,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サーバント,
영어판 명칭=Junk Servant,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500, 수비력=100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정크"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정크가 존재할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 정크 싱크론과 함께 레벨 7~9 싱크로 소환을 하거나, 마침 레벨 4 정크 블레이더와 함께 랭크 4 엑시즈 소환을 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하다.
유희왕 5D's에서는 정크 싱크론을 소환한 후 특수 소환되어 정크 버서커의 싱크로 소재가 되었고, 정크 버서커의 효과 발동을 위해 제외되었다.
참고로 정크 포워드→정크 싱크론→정크 서번트 순서로 소환할 경우, 간단히 레벨 10 싱크로 소환이 가능해진다. 정크 싱크론의 효과를 사용하면 레벨 12 싱크로 소환도 가능.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익스트림 빅토리 | EXVC-KR00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EXTREME VICTORY | EXVC-JP00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Extreme Victory | EXVC-EN00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4.3. 정크 브레이커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5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없음 | VJMP-JP095 얼티마야 촐킨 | VJMP-JP096 카오스 엠페러 드래곤 -종언- | VJMP-JP097 RR-트리뷰트 레이니어스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없음 | VJMP-JP100 혜안의 마술사 | 없음 | VJMP-JP105 절망신 안티호프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106 각성의 암흑 기사 가이아 | VJMP-JP107 염마룡왕 레드 데몬 캘러미티 | VJMP-JP108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 VJMP-JP109 초중검성 무사-C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098 | 카이저 씨스네이크 | |||
VJMP-JP099 | 정크 브레이커 | |||
VJMP-JP101 | 인페르니티 비숍 | |||
VJMP-JP102 | 고고고 아리스테라&데크시아 | |||
VJMP-JP103 | 사신관 칠람 사바크 | |||
VJMP-JP104 | 갤럭시 웜 |
← 2014년ㆍ2016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브레이커,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ブレイカー,
영어판 명칭=Junk Breaker,
레벨=4,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800, 수비력=10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의 자신 메인 페이즈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모든 앞면 표시 몬스터의 효과를 턴 종료시까지 무효로 한다.)]
카드 브레이커를 정크화시킨 디자인의 몬스터. 하지만 효과랑 능력치가 카드 브레이커랑 비교도 안되게 좋다. 무려 일반 소환 하고 효과 발동하면 모든 몬스터한테 명왕결계파를 날리는데, 그냥 평범한 4레벨 몬스터인 이 카드를 굳이 일반 소환권 써가며 소환해야 한다는게 문제.
효과명은 Hammer of Slumber.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V점프 1년 정기 구독 특전 | VJMP-JP099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프리미엄 팩 Vol.11 | PP11-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4.5. 레벨 5
4.5.1. 정크 컬렉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컬렉터,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コレクター,
영어판 명칭=Junk Collector,
레벨=5, 속성=빛, 종족=전사족, 공격력=1000, 수비력=2200,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필드의 이 카드와 자신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일반 함정 카드 발동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어둠의 함정과는 달리 함정 카드의 효과를 복사하는 효과는 몬스터 효과이기 때문에, 왕궁의 포고령이 있더라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공격력이 1000이라서 리쿠르트가 잘 되고, 리미트 리버스나 고철의 상으로도 소생이 가능하다.
이 카드의 재정은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와 같다. 발동 조건은 무시하지 못하며, 코스트와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고 기재된 맹세 효과와 "이 카드의 발동 후 ~"라고 개재된 디메리트는 무시한다는 재정. 만약 이 카드로 마요괴변생의 효과를 발동하려 한다면, 자신의 묘지나 제외된 카드 중에 대상이 될 "마요괴" 몬스터가 반드시 있어야 하지만, 발동 전후로 자신은 마요괴가 아닌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해도 전혀 상관 없으며, 코스트로서 패 1장을 버릴 필요도 없다.
비슷하게 함정 카드의 효과를 베끼는 어둠의 함정은 코스트는 무시해도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까지는 무시하지 못 하는데,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다름 아닌 이 카드가 '카드의 발동'이 아닌 '효과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기 때문. 어둠의 함정은 일반 함정 카드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카드를 발동'하는 것으로 효과를 베끼게 되고, 이 과정에서 '카드를 발동'했기 때문에 어둠의 함정은 자연스레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를 피할 수가 없다. 하지만 이 카드는 필드에 나와 있다가 '효과를 발동'해서 함정 카드를 카피하는 것이지 '카드를 발동'해서 카피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를 베끼고 싶어도 베낄 수가 없는 것이다. 그 결과 이러한 재정 차이가 벌어지게 되는 것. 앞서 말한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 또한 똑같은 논리로 붉은 눈 융합 등의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 ~" 맹세 효과를 무시한다.[4]
하지만 이 카드의 텍스트는 여전히 문제가 있는데, 9기 이후로 한 번도 재록되지 않아 어둠의 함정과 똑같은 "이 카드의 효과는 ~ 같아진다"라는 텍스트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어둠의 함정은 카드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고, 이쪽은 효과의 발동으로 효과를 베끼는 엄연히 다른 효과인데, 이 카드의 텍스트가 갱신되지 않는 바람에 유저들 사이에선 종종 혼란이 발생한다. 그나마 마스터 듀얼 일본어판에서만 행해진 대규모 12기 텍스트 조정에서 "이 효과는 ~ 같아진다"로 텍스트가 수정되어 혼란을 피했다.
묘지에 이미 이 카드가 있다면 매지컬 실크햇로 이 카드를 소생시키기 위한 고철의 상 1장과 발동하고 싶은 함정 카드 1장을 선택해서 묘지로 보내서 쓰는 방법도 있다. 부비트랩 E와 같이 쓸 경우, 간접적으로 지속 함정도 쓸 수 있게 된다.
길항승부와의 궁합은 강력해서 무슨 일이 있어도 1장은 남기게 된다는 길항승부의 단점은 이 카드만 필드에 있는 상태에서 그 효과를 카피한다면 완전히 상쇄되어 상대의 필드 클린을 가능케 한다.
유희왕 5D's 72화에 등장. 터보 싱크론의 효과로 패에서 특수 소환되어, 효과로 묘지의 긴급동조의 효과를 복사해 터보 워리어의 싱크로 소환에 일조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프리미엄 팩 6 | PP06-KR005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듀얼 디스크 유세이 Ver.DX | DDY2-JP0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2018 Mega-Tins | CT15-EN007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4.5.2. 정크 드래곤센트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3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1월호 | 2월호 | 3월호 | 4월호 | |
VJMP-JP227 신양수 바로메트 | VJMP-JP228 섬도희-아자레아 | VJMP-JP229 초중무사 도우C-N | VJMP-JP230 세인크리드 매지션 | |
5월호 | 6월호 | 7월호 | 8월호 | |
VJMP-JP234 혈육의 제물 | VJMP-JP235 킬러 포테이토 | VJMP-JP236 댄디 화이트라이언 | VJMP-JP237 초미래융합-오버퓨처 퓨전 | |
9월호 | 10월호 | 11월호 | 12월호 | |
VJMP-JP241 빙마룡 브류나크 | VJMP-JP242 레스큐 고슴도치 | VJMP-JP243 정패룡-브레이즈 | VJMP-JP244 펜듈럼 위치 | |
정기구독 특전 | ||||
VJMP-JP231 | 버닝 드래곤 | |||
VJMP-JP232 | 삼안의 사령 | |||
VJMP-JP233 | 로즈 파피용 | |||
VJMP-JP238 | 정크 드래곤센트 | |||
VJMP-JP239 | 정크 메일 | |||
VJMP-JP240 | 매직 엘프 버건디 |
← 2022년ㆍ2024년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드래곤센트,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ドラゴンセント,
영어판 명칭=Junk Dragonlet,
레벨=5,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1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방법에 의한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밖에 할 수 없으며\,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린다.)]
자신 필드에 싱크로 몬스터가 존재하면 특수 소환이 가능하기에 엑시즈나 링크, 혹은 튜너가 있다면 추가 싱크로로 연결하기 좋다.
2번 효과는 자신의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800 올리는 효과. 싱크로 소재로 묘지로 보내진 후에도 사용이 가능하며 소소하게 타점을 불려준다.
원작에선 코믹스 파이브디즈에서 유세이가 크로우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몬스터. 라이트닝 워리어의 공격력을 올려 반격의 기회를 만들었다. 콘센트인 이유도 전기 공격을 하는 라이트닝 워리어의 컨셉에 맞춘 듯.
수록 시리즈 |
2023-09-21 |
VJMP-JP238 | Vジャンプ 定期購読特典 2023年 秋 |
2024-02-09 |
PHNI-EN099 | PHANTOM NIGHTMARE |
2024-08-13 |
24PP-KRB15 | 프리미엄 팩 2024 2nd WAVE |
4.6. 레벨 6
4.6.1. 정크 자이언트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자이언트,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ジャイアント,
영어판 명칭=Junk Giant,
레벨=6, 속성=땅, 종족=기계족, 공격력=2000, 수비력=2400,
효과1=①: 상대 필드에 레벨 5 이상의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소재로 한 싱크로 소환은 무효화되지 않고\, 그 싱크로 소환 성공시에 상대는 마법 / 함정 / 몬스터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상대 필드에 고레벨 몬스터가 있다면 노 코스트 노 디메리트로 특수 소환할 수 있으며, 자신을 소재로 하는 싱크로에 무효화 및 체인을 불가능하게 해 준다.
Earth Machine 덱에서 긴급 다이어로 이 카드와 매지컬 하운드를 동시에 덱특소해 체인불가 필드 클린을 날리는 블랙 로즈 드래곤 소환하는 식으로 채용하기도 한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PREMIUM PACK 17 | PP17-JP001 | 노멀 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프리미엄 팩 Vol.10 | PP10-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5. 싱크로 몬스터
5.1. 레벨 5
5.1.1. 정크 워리어
5.1.2. 정크 스피더
5.2. 레벨 6
5.2.1. 정크 가드너
정크 가드너 | ||
<nopad> | ||
질풍의 사자에 강철의 소원이 깃들 때, 그 소원은 철벽의 방패가 된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疾風の使者に鋼の願いが集う時、その願いは鉄壁の盾となる!光差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나와라, 「정크 가드너」! シンクロ召喚!現れろ、「ジャンク・ガードナー」! -극장판 유희왕: 초융합! 시공을 초월한 유대/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 ||
질풍 같은 사자에게 강철 같은 신념이 전해질 때, 그 신념은 단단한 방패가 된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나와라, 「정크 가드너」!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가드너,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ガードナー,
영어판 명칭=Junk Gardna,
레벨=6,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1400, 수비력=2600,
소재="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자신 / 상대 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표시 형식을 변경한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정크 가드너 일어판 명칭 ジャンク・ガードナー 영어판 명칭 Junk Gardna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땅 전사족 1400 2600 "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상대 턴에 1번,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공격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이 카드가 파괴되었을 때, 상대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극장판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에서 후도 유세이가 패러독스와의 듀얼 중 사용한 정크 싱크로 몬스터. 무비 팩에서 OCG화되었다.
이름대로 수비적인 효과를 지닌 싱크로 몬스터. 공격력이 낮아 기본적인 전투력은 낮지만, 수비력이 높고 표시 형식 변경 효과가 있어서 전투로 죽을 일은 거의 없으며, 효과를 자신 턴에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쓰쿠요미처럼 제왕, 담드같이 수비력이 낮은 몬스터들을 처리하는 게 가능. 사이버 베리어 드래곤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완벽한 상위 호환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카드를 공격 표시로 놔둘 경우 상대가 몬스터를 2장 이상 전개하면 전투로 파괴당하겠지만 그 경우에도 최소한 유언계 효과로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돌리는 것은 가능.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하는 효과는 필드에서 발동하는 효과와는 달리 자신의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돌리는 것도 가능하다.
참고로 초보자들이 헷갈릴 수 있는데 표시 형식 변경이라는 건 앞면 표시로만 변경이 가능하다. 뒷면 수비 표시로 돼있는 몬스터를 앞면 공격 표시로 돌릴 수는 있지만 이미 앞면으로 돼있는 카드를 뒤집을 수는 없으니 참고하자.
정크 싱크론을 소재로 지정하는 레벨 6 몬스터라는 것도 주목할 점. 하지만 퀵 싱크론으로 소환하기에는 드릴 워리어같은 걸출한 애들이 있어서 우선도가 떨어진다.
작중에서는 유세이의 첫 턴부터 나와 공격력 4000의 Sin 레인보우 드래곤을 수비 표시로 해 공격을 무효로 했지만,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에게 파괴된다. 이후 파괴된 자신 효과로 Sin 사이버 엔드 드래곤을 수비 표시로 하고 기적의 낙조로 부활해 유우키 쥬다이의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와 같이 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 나이트의 융합 소재가 되어 수비 표시가 된 Sin 몬스터 2장를 파괴하는 공을 세웠다.
후반에는 패러독스의 공격에 쥬다이가 네오스 나이트를 융합 해제하면서 등장, Sin 붉은 눈의 흑룡을 수비 표시로 하여 블랙 매지션 걸을 지켜주었다. 하지만 Sin 트루스 드래곤의 효과로 블랙 매지션 걸과 함께 파괴되었지만 유세이의 스타더스트 미라지의 효과로 다른 몬스터들과 부활한다.
소소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 패러독스에게 무시당하긴 했지만, 수비적인 성향을 살려 꾸준히 킬을 피해낼 수 있었다. 스타더스트 드래곤은 최후반부에 와서야 되찾은 관계로 극장판 유세이의 주력 몬스터라고 할 수 있을 듯. 정작 유희왕 5D's 본편에서 사용되는 모습은 나오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기준 유세이의 엑스트라 덱 카드 중 유일하게 소환 영창이 '하나된(集いし)'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유희왕 시공을 초월한 우정 MOVIE PACK | YMP1-KR006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遊戯王 ~超融合!時空を越えた絆~ MOVIE PACK | YMP1-JP006 | 시크릿 레어 | 일본 | 일본 최초 수록 |
Yu-Gi-Oh! 3D BONDS BEYOND TIME MOVIE PACK | YMP1-EN006 | 시크릿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5.3. 레벨 7
5.3.1. 정크 아처
정크 아처 | ||
<nopad> | ||
결집한 외침이 메아리의 화살이 되어 하늘을 가른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叫びが、こだまの矢となり空を裂く! 光さ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나와라, 「정크 아처」! シンクロ召喚!いでよ、「ジャンク・アーチャー」!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 ||
하나된 외침이 울려퍼지는 화살이 되어 허공을 가른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나와라, 「정크 아처」!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
유희왕 OCG의 듀얼리스트 팩 커버 카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GX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 ||||||||||||||||||||||
주다이 편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만죠메 편 부스터 모델 : 만죠메 쥰 | 주다이 편 2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헬 카이저 편 부스터 모델 : 마루후지 료 | ||||||||||||||||||||
엘리멘틀 히어로 스팀 힐러 | 암드 드래곤 LV10 | 엘리멘틀 히어로 블랙 네오스 | 사이버 다크 드래곤 | ||||||||||||||||||||
에드 편 부스터 모델 : 에드 피닉스 | 주다이 편 3 부스터 모델 : 유우키 쥬다이 / 패왕 | 요한 편 부스터 모델 : 요한 안데르센 | |||||||||||||||||||||
엘리멘틀 히어로 샤이닝 피닉스 가이 |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엘리멘틀 히어로 플라즈마 바이스맨 | 보옥수 루비 카번클 보옥수 토파즈 타이거 보옥수 앰버 맘모스 보옥수 코발트 이글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5D's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 |||
유성 편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 유성 편 2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 유성 편 3 부스터 모델 : 후도 유세이 | 크로우 편 부스터 모델 : 크로우 호건 |
스타더스트 드래곤 니트로 워리어 정크 워리어 |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 정크 아처 퀵 싱크론 | 빅 원 워리어 브라이 싱크론 | BF-여명의 코치 BF-정예의 제피로스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ZEXAL~9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 ||
유마 편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 카이트 편 부스터 모델 : 텐조 카이토 | 유마 편 2 고고고&도도도 부스터 모델 : 츠쿠모 유마 |
가가가 매지션 도도도 워리어 베이비 트래곤 No.39 유토피아 | 크리포톤 휘광자 파라디오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고고고 골렘-GF 도도도 갓사 도도도 위치 맥 폭탄 |
료·리오 남매 편 부스터 모델 : 카미시로 료가 / 카미시로 리오 | 배틀 시티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카이바 세토 | 파라오의 기억 편 부스터 모델 : 무토우 유우기 |
가드 펭귄 No.73 격롱신 어비스 스플래시 No.94 극빙희 크리스탈 제로 | 없음 | 침묵의 검사-사일런트 스워드맨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죠노우치 카츠야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2 부스터 모델 : 페가수스 J. 크로포드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3 부스터 모델 : 카이바 세토 |
붉은 눈의 흑인룡 붉은 눈의 철기사-기어프리드 | 밀레니엄 아이즈 새크리파이스 | 푸른 눈의 카오스 드래곤 푸른 눈의 솔리드 드래곤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4 부스터 모델 : 쿠자크 마이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5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바쿠라 | 레전드 듀얼리스트 편 6 부스터 모델 : 어둠의 유우기 |
해피 퍼퓨머 해피 오라클 | 커스 네크로피어 말살의 사악령 원한의 사악령 |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속성의 듀얼리스트 편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0.5px;" | ||
명암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어둠의 마리크 | 질풍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유고 | 심연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낫슈 |
라의 익신룡 갓 슬라임 | 크리스탈클리어윙 싱크로 드래곤 | 네필 어사일럼 헤트 나이트 CX-네필 어사일럼 카오스 나이트 |
휘석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루아 | 폭염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Soulburner | 휘광의 듀얼리스트 편 부스터 모델 : 미자엘 |
파워 툴 브레이버 드래곤 | 샐러맨그레이트 레이징 피닉스 | No.107 갤럭시아이즈 타키온 드래곤 신영금룡 드래글룩시온 |
}}}}}}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아처,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アーチャー,
영어판 명칭=Junk Archer,
레벨=7,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2300, 수비력=2000,
소재="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제외한다. 이 효과로 제외한 몬스터는\,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상대 필드로 되돌아간다.)]
듀얼리스트 팩 - 유세이 편 2에서 등장한 싱크로 몬스터. 디자인은 용자 라이딘의 패러디.
정크 싱크론을 소재로 쓸 것을 반드시 요구하나, 정크 워리어와 달리 레벨이 7이라 정크 싱크론의 자체 효과만으로는 뽑아낼 수 없다. 퀵 싱크론을 사용하면 5+2로 보다 쉽게 소환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 지정해 1턴 동안 제외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걸리적거리는 몬스터 하나를 잠깐 치워 공격을 집중하거나, 엑시즈 소재처럼 한 번 필드를 이탈하면 무력화되는 수단을 견제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등장 초기에는 퀵댄디처럼 퀵 싱크론을 주력으로 사용하는 덱에서 채용되었지만, 이후 정크 버서커 등 더 강한 7레벨 싱크로 몬스터가 여럿 추가되면서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서는 사실상 유세이의 진 에이스라고 해도 될 정도로 소환률이 굉장히 높다. 어느 정도냐면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뽑아낼 수 있는 상황에서 굳이 이걸 소환할 정도. 다른 싱크로가 더 도움이 되는 상황에서도 이걸 고집해서 삽질을 하는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한 턴 내에서 최대한 상대에게 큰 데미지를 주도록 설계되어 있는 AI 특성 상, 직접 공격을 노릴 수 있는 이 카드를 우선하여 소환하는 바람에 생기는 일. 여튼 플레이어에게 딱히 반가운 일은 아니니, 파트너 덱 편집이 가능해지면 정크 아처를 빼고 다른 고성능 싱크로 몬스터를 넣어주는 것이 좋다.
첫 등장은 렉스 고드윈전. 매 턴 효과로 태양룡 인티 또는 월영룡 쿠이라를 제외해 직접 공격의 활로를 뚫어보려 했으나, 매번 막히다가 카운터 함정에 효과가 무효화되고 파괴된다. 두 번째 등장은 후도 유세이와 이자요이 아키 간의 친선 라이딩 듀얼에서 짧게 등장. 이후에는 팀 유니콘과의 친선 라이딩 듀얼에서도 등장했다. 안드레의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을 파괴하는 등 나름 활약했지만, 부활한 그린 바분에게 파괴당했다. 이후 등장은 없다.
이 카드는 뜬금없이도 아크 크레이들 편이 방영된 후 재주목을 받게 되는데, 대상 지정 내성을 가지지 않은 시계신 몬스터를 제외 효과로 파해할 수 있어 Z-one 전에서 활약할 수 있었던 몬스터였기 때문. 실제로 유세이의 필드에 레드 데몬즈 드래곤과 블랙 페더 드래곤, Z-one의 필드에는 시계신 라치온 1장만이 있는 상황에서 Sp-엔젤 배턴을 이용해 정크 싱크론과 리제네 워리어[5]를 뽑았을 때, 정크 아처를 불러냈다면 라치온을 제외하고 직접 공격을 날려 바로 승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세이는 블랙 로즈 드래곤을 뽑아 함정 카드와의 연계로 겨우 1500 데미지만을 주고 턴을 넘겨버렸고, 바로 다음 턴에 Z-one은 시계신 사디온으로 라이프를 도로 회복해버렸다. 유세이의 전술을 보고 굉장하다며 반응하는 동료들은 덤. Z-one 전은 모든 시그너 드래곤과 함께 슈팅 퀘이사 드래곤을 뽑는 것이 주안점이었기 때문에 작품 내적으로는 정크 아처를 무시할 수밖에 없었고, 작품 외적인 시선으로 보면 의구심이 남게 된 케이스다.
또한 애니판 기황제 상대로도 강력한 효과인데, 대상 지정 내성이 없는 기황제 본체를 제외해버리면 나머지 파츠들은 전부 자기 효과로 자괴하기 때문.
같은 사례로는 기황제를 상대할 때 사용하지 않은 터보 워리어나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가 있다.
공격명은 스크랩 애로우(Scrap Arrow), 효과명은 디멘션 슛(Dimension Shoot).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NPC 유성 전용 카드로 사용되다가 FUTURE HORIZON에서 SR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소환 대사는 '空' 부분을 'そら'로 훈독하였으나 이후 패치로 원작과 동일하게 'くう'로 음독하도록 수정되었다.
5.3.2. 정크 버서커
정크 버서커 | ||
| ||
결집한 분노가 망하의 전사에 귀신을 깃들인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怒りが忘我の戦士に鬼神を宿す。光さ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포효하라, 「정크 버서커」! シンクロ召喚!吠えろ、「ジャンク・バーサーカー」!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 ||
결집한 분노가 공포의 힘을 일깨운다! 으르렁대라, 「정크 버서커」! 恐怖の力を呼び覚ます!唸れ、「ジャンク・バーサーカー」! -익스트림 빅토리 CM 中 후도 유세이- | ||
하나된 분노가 잠든 전사의 영혼을 일깨운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외쳐라! 「정크 버서커」!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
||<table align=center><-3><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000><table bgcolor=#fff,#191919><bgcolor=#000><color=#fff> 유희왕 OCG의 7기 부스터 팩 커버 카드 ||
<nopad> '''[[듀얼리스트의 혁명| 듀얼리스트의 혁명 ]]''' |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폭풍의 스타스트라이크 ]]''' |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스톰 오브 라그나로크 ]]''' | ||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 파동룡기사 드래고에퀴테스 ]] | 슈팅 스타 드래곤 | 극신성제 오딘 | ||
<nopad> 익스트림 빅토리 | <nopad> '''[[제너레이션 포스| 제너레이션 포스 ]]''' | 빛의 충격파 | ||
정크 버서커 | [[No.17 레비아단 드래곤| No.17 레비아단 드래곤 ]] |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
{{{#!wiki style="margin:-16px -11px" | 오더 오브 카오스 | 갤럭틱 오버로드 | ||
CNo.39 유토피아 레이 |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네오 갤럭시아이즈 포톤 드래곤 ]] | }}} | ||
← 6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ㆍ8기 부스터팩 커버 카드 → |
내수판 | 수출판 |
한글판명칭=정크 버서커,
일어판명칭=ジャンク・バーサーカー,
영어판명칭=Junk Berserker,
속성=바람, 레벨=7, 공격력=2700, 수비력=1800, 종족=전사족,
소재="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정크"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은\,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내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하는 데미지 스텝 개시시에 발동한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 [ 원작 효과 ]
한글판 명칭 정크 버서커 일어판 명칭 ジャンク・バーサーカー 영어판 명칭 Junk Berserker 싱크로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7 바람 전사족 2500 1800 "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자신의 묘지에 있는 "정크"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한다. 제외한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상대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내린다.
묘지의 정크 몬스터를 제외하고 그 공격력만큼 상대 몬스터를 약체화시키는 기동효과, 전투시 수비 표시 몬스터를 데미지 계산 실행 없이 파괴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최상급 싱크로 효과 몬스터.
레벨 7 싱크로 몬스터 중에서는 스크랩 데스데몬과 나란히 하는 공격력으로, 정크 몬스터 중에서는 원래 공격력으로 따지면 1위. 레벨 7 정크 싱크로 몬스터이면서 정크 아처보다 훨씬 나은 공격력을 가지고 있다. 묘지의 정크를 제외해 그 몬스터의 공격력 만큼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을 떨구는 효과도 있다. 현재 효과로 내릴수 있는 최대 공격력은 묘지의 이녀석을 제외했을 때의 2700이다.
하지만 이쪽은 싱크로 몬스터라 실질적으로 정크 덱이 아니면 사용하기가 어려울 테고, 대부분 제외하는 대상은 튜너 몬스터인 정크 싱크론이 될 것이다. 또한 같은 팩에서 나오는 정크 서번트와 콤보로 써도 좋을 듯 하다. 즉, 일반적으로는 공격력 4000까지의 몬스터와 전투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될 듯하다.
이 효과는 영구적으로 공격력을 깎는데다가, 횟수제한이 없어서 1턴에 여러번 사용할 수 있다. 묘지에 정크 몬스터가 잔뜩 쌓이는 경우는 드물어서 큰 의미는 없다.
또한 수비 몬스터를 공격하면 데미지 계산을 실행하지 않고 파괴하는 드릴로이드스러운 효과를 가지고 있다. 덕분에 마슈마론, 영혼을 깎는 사령도 문제없이 부수는 게 가능. 이 카드의 등장으로 링크 몬스터인 정크 커넥터 등장 전까지 정크 아처는 거의 잉여화되고 말았다. 퀵 싱크론으로 같은 조건으로 나오는 니트로 워리어와는 라이벌. 정크계통이 덱에 더 많으면 이 카드가, 별로 없으면 니트로 워리어가 낫다.[6]
원작에서는 유희왕 5D's 아크 크레이들 편 144화에서 후도 유세이가 안티노미와의 듀얼에서 사용. 정크 서번트에 정크 싱크론으로 싱크로 소환되어, TG 하이퍼 라이브러리언을 공격하나, 함정 카드 배틀 스턴 소닉으로 공격이 막히고, 다음 턴에 등장한 TG 블레이드 건맨의 공격으로 파괴된다.
부스터 팩의 메인 몬스터면서 활약상은 정말 처참하기 짝이 없으며, 일러스트도 흉악한 낯짝에 복부에 얼굴이 달려있는 등 이래저래 미묘하다. 같은 팩에 나온 라이프 스트림 드래곤이나 TG 할 버드 캐논 등 팩 메인으로 나올 당위성은 이 카드보다 더 충분한 카드들이 있는데 이 카드가 메인 부스터 팩의 홀로그래픽 레어까지 먹어서 불만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 이 카드의 작중 활약상이나 카드 자체의 위상을 보면 슈퍼 레어도 과분한 수준. 웬만한 경우 일반 팩의 간판 몬스터는 피니셔로 활약하거나 적 캐릭터의 비장의 카드인 경우가 많지만, 공격이나 효과 모두 의미 없이 1턴만에 광탈한 이 카드가 팩의 간판 몬스터가 된 것은 꽤나 희귀한 사례이기도 하다.
유세이의 몬스터가 계속 그랬듯이 메카닉물의 오마주라는 말이 있다. 가오가이가와 그렌라간에 이어 이번엔 진 겟타와 닮았다. 흉악하면서도 얼굴 같지 않은 얼굴, 붉은 색의 몸, 악마 같은 날개와 거대한 도끼계열의 무기, 거기에 무게감이 넘치는 듯이 거대한 팔다리 등등.
여담으로, 일본판과 영문판의 일러스트가 다르다. 일본판의 경우 배에 붙어있는 얼굴이 허리부근에 붙어있는데, 영문판의 경우에는 허리부분의 원래 위치는 노랗게 바꾸고 가슴쪽으로 올라왔다. 한글판의 경우 울레, 얼티 사양은 영문판을 따르지만 홀로그래픽의 경우에는 일본판의 일러스트를 따르고 있다.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EXTREME VICTORY | EXVC-JP03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Extreme Victory | EXVC-EN03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시크릿 레어 고스트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43 | 슈퍼 레어 | 미국 | |
익스트림 빅토리 | EXVC-KR037 | 울트라 레어 얼티밋 레어 홀로그래픽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5.4. 레벨 8
5.4.1. 정크 디스트로이어
정크 디스트로이어 |
|
결집한 투지가 노도의 마신을 부른다. 빛이 비추는 길이 되어라! 集いし闘志が怒号の魔神を呼び覚ます。光さす道となれ! 싱크로 소환! 분쇄하라, 「정크 디스트로이어」! シンクロ召喚!粉砕せよ、「ジャンク・デストロイヤー」! -유희왕 5D's/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후도 유세이- |
하나된 투지가 성난 마신을 일깨운다! 밝은 빛의 길이 되어라! 싱크로 소환! 나와라, 「정크 디스트로이어」! -유희왕 듀얼링크스 中 유성더빙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싱크로=, 효과=,
한글판 명칭=정크 디스트로이어,
일어판 명칭=ジャンク・デストロイヤー,
영어판 명칭=Junk Destroyer,
레벨=8, 속성=땅, 종족=전사족, 공격력=2600, 수비력=2500,
소재="정크 싱크론"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 이상,
효과1=①: 이 카드를 싱크로 소환했을 때\, 그 싱크로 소재로 한 몬스터 중\, 튜너 이외의 몬스터의 수까지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최대로 파괴할 수 있는 카드는 기본 5장. 싱크로 머티리얼과 소재 몬스터의 레벨을 1로 조정하는 등의 절차를 이용하면 이론상으로는 그 이상을 노릴 순 있다.
현재는 정크도플이 선턴에 다수의 퍼미션을 늘어놓는 극단적인 전개 전술을 지향함에 따라, 단순 파괴밖에 할 수 없는 디스트로이어는 채용되지 않는다. 새털라이트 워리어라는 역할이 겹치는 카드가 나오기도 했다.
작중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유희왕 5D's 101화에서 팀 유니콘의 브레오와의 듀얼에서 사용. 환혹의 트리콜로르와 디스트럭션트리거를 파괴해 덱 파괴로 턴을 끌던 브레오의 필드를 격파하고 직접 공격으로 승리했다. 이어진 진과의 듀얼에서는 라이트닝 트라이콘의 공격으로 파괴되고 스타더스트 드래곤 소생의 코스트가 된다. 플라시도와의 듀얼에서도 기황제 와이젤∞의 직접 파괴를 노렸으나 분기-디버전스에 의해 막힌 뒤 스타 시프트의 코스트로 덱으로 되돌아간다.
공격명은 디스트로이 너클(Destroy Knuckle). 4개의 너클로 주먹을 날려 적을 타격한다. 효과명은 타이달 에너지(Tidal Energy). 가슴에서 파도를 뿜어 필드를 파괴한다. 플라시도와의 듀얼에서는 주먹으로 카드를 파괴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여기까지 오면 더 이상 정크 싱크론이나 정크 워리어의 외형은 흔적도 남아 있지 않게 된다. 뭔가 슈퍼로봇스러운게 굉장히 간지난다. 팬아트도 슈퍼로봇스럽게 그려진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CPU 듀얼리스트로 나와서 퀵댄디 덱을 굴린다. 대사를 보면 생긴것처럼 호탕한 형님 같은 성격.
수록 팩 일람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스타터 덱 2010 | YSD5-KR041 | 울트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스타터 덱 2010 | YSD5-JP041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0 Vol.1 | 20TP-JP107 | 노멀 | 일본 | |
Duelist Toolbox | 5DS3-EN039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5.4.2.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
6. 링크 몬스터
6.1. 링크 2
6.1.1. 정크 커넥터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정크 커넥터,
일어판명칭=ジャンク・コネクター,
영어판명칭=Junk Connector,
속성=어둠, 레벨=2, 공격력=1700, 종족=전사족,
link1=, link3=,
소재=튜너 1장 이상을 포함하는 전사족 / 기계족 효과 몬스터 2장,
효과1=①: 1턴에 1번\,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 및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만을 소재로서 싱크로 소환을 실행한다.,
효과2=②: 링크 소환한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 효과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정크"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여 특수 소환한다.)]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에 이어 싱크로 소환을 지원하는 2번째 링크 몬스터. 앞서 나온 하리파이버와는 다르게 종족 / 몬스터 종류 제한이 추가로 걸렸지만, 튜너만으로 링크 소환이 가능하다는 점은 동일하다.
1번 효과는 이 카드의 링크 앞의 몬스터들을 싱크로 소재로 하는 긴급동조와 거의 같은 프리체인형 유발 즉시 효과. 효과 특성상 '튜너 + 튜너 이외의 몬스터 1장'을 소재로 사용하는 싱크로 소환만 가능한 대신, 배틀 페이즈는 물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도 발동 가능하므로, 상대 효과로 싱크로 소재가 견제받을 때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를 실행하는 용도로도 쓸 수 있다.
2번 효과는 정크 덱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후속을 준비할 경우 정크 디스트로이어 이외의 몬스터를 뽑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장 괜찮은 건 제외 효과를 가진 정크 아처. 싱크로 소환으로 취급하므로 묘지로 가거나 제외되어도 문제 없이 부활이 가능하다.
정크 테마명을 가지고 있음을 감안해도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에 비해 카드의 매력이 전혀 없어서 거의 사용되지 않은 카드다. 1번 효과로 실시하는 싱크로 소환이 기존에 싱크로 소환을 하는 것보다 번거롭고 카운터를 맞기가 쉽기 때문이다. 능동적으로 추가 전개를 도울 수 있는 하리파이버와는 달리 이 카드는 상대에게 파괴당해야 한다는 것도 크다. 그나마 투입하는 경우는 10기 신 마스터 룰 당시에 하리파이버가 제한되자 링크 마커용으로 채용한 케이스 정도였으며 2020년 4월 마스터 룰이 개정되어 링크 소환 도입 이전처럼 융합 / 싱크로 / 엑시즈 소환을 링크 마커와 상관없이 할 수 있게 된 뒤에는 채용이 거의 없어지다시피 했다. 하리파이버가 금지된 이후도 별반 다를 건 없는데, 정크 스피더의 제약이 맹세라 이 카드를 소환한 턴에는 싱크론 몬스터를 부르는 1번 효과를 못 사용한다.
파워 오브 펠로우즈 신지원이 공개되면서 그나마 사용법이랄 것이 생겼는데, 이 카드를 상대의 공격력 1700 이상 몬스터에게 자폭돌격시키는 것으로 정크 워리어 익스트림을 비교적 간단하게 불러 기습 킬각을 보는 것이 가능해졌다. 다만 이 카드는 싱크론 덱의 핵심 제약과 정면으로 대치된다는 근본적인 태생이 문제고, 익스트림 자체가 그다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는 점에서 실전성은 낮다.
수록 시리즈 |
2017-12-16 |
PP20-JP003 | PREMIUM PACK 2020 |
2018-08-13 |
PP13-KR003 | 프리미엄 팩 Vol.13 |
2018-08-31 |
CT15-EN010 | 2018 Mega-Tins |
7. 서포트 카드
7.1. 제트 싱크론
7.2. 중강갑 워리어
7.3. 스타더스트 어썰트 워리어
7.4. 고철의 코끼리상
8. 몬스터 이외의 "정크" 카드
"정크" 카드군은 몬스터만을 지정하기에 테마에서 마법, 함정에 접속할 수 없다.- 함정 카드
9. OCG화되지 않은 카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크(유희왕)/OCG화되지 않은 카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5장을 제외하면 모두 땅 속성이다. 정작 메이저인 정크 싱크론과 정크 워리어는 어둠 속성.[2] 정크 자이언트, 정크리보, 정크 드래곤센트는 기계족.[3] 던 오브 마제스티에서는 스타더스트 드래곤,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는 붉은 용, 파워 오브 펠로우즈에서는 정크 워리어의 카드명으로 테마를 구분한다.[4] 맹세 효과의 종류에는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과 같은 텍스트도 있는데, 이 맹세 효과의 경우는 무시하지 못한다. 누메론 다이렉트의 발동시의 효과를 누메론 네트워크나 데스티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로 베껴도 맹세 효과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 대표적인 예시. 사실 예시라 하기도 뭣한 게 이런 경우는 누메론 다이렉트가 유일하며, 일반적으로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텍스트는 장착/지속/필드 마법 같은 지속물의 효과나 특이한 조건(묘지에서 발동한다거나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발동한다거나)에서 발동하는 효과에만 적용되어 있어 '발동시의 효과'를 카피하는 몬스터들이 "이 효과를 발동하는 턴 ~"이라는 맹세 효과 텍스트와 연관될 일은 거의 없다.[5] 미 OCG화 카드. 효과로 패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필드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6] 니트로 워리어는 수비 몬스터를 무조건으로 부수는 효과는 없으나, 전투 성공 시 앞면 수비 몬스터를 공격표시로 변경해 전투할 수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정크 가드너, version=76,
title2=정크 디스트로이어, version2=76,
title3=정크 아처, version3=99,
title4=정크 버서커, version4=73,
title5=정크 컨버터, version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