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 몬스터는 스타더스트 드래곤, 서브 에이스는 정크 워리어. 정크 카드군, 튜너로 사용하는 싱크론 카드군, 싱크론 카드군을 통해 뽑아내는 워리어 싱크로 몬스터가 덱의 주된 축을 맡고 있다.
주된 플레이스타일은 메인 덱의 저레벨 몬스터를 여럿 꺼내 싱크로 몬스터를 꺼내는 것. 1장만으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여럿이 모이면 시너지를 발휘하는 유세이의 메인 덱 몬스터들은 유대와 결속을 중요하게 여기는 유세이의 가치관과 일맥상통한다.
세계관에서 하나밖에 없는 카드들을 빼면, 유세이의 카드는 전부 남이 버린 것을 주워서 얻은 것이다. 그렇다보니 어떤 놈이 좋은 카드마저 버리냐면서 팬들에게는 웃음 포인트가 된 점. 이것을 유희왕 태그 포스 6에서 실제로 해 본 것이 사람은 듀얼할 수 있는가다.
어디까지나 애니메이션의 연출을 우선해야되니 범용성 낮고 구린 카드들도 많지만, 싱크로 소환이 도입된 시기부터 점점 전개를 필두로 한 파워 인플레가 가속된 OCG 환경을 반영하듯 유세이의 덱에는 우수한 성능을 지닌 카드들이 다수 있다. 특히 정크도플은 원작에 등장한 카드 위주로 굴리면서도, 주인공의 테마로서는 처음으로 티어권에 입성한 덱이다.
아래에 서술한 카드 외에도 라이딩 듀얼에서 라이딩 듀얼 전용 Sp(스피드 스펠)을 다수 사용했으나,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카드이므로 이 문서에는 기술하지 않는다. 2화에서 덱 하나를 케이스에 넣고 다른 덱을 꺼내는 걸 보면 라이딩 듀얼 전용 덱과 스탠딩 듀얼 전용 덱이 따로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싱크로 전개 위주의 플레이를 하는 원작과 달리 게임에서는 고철의 허수아비, 매시브 워리어, 실드 윙 같은 수비 카드를 총동원하며 버티는 플레이를 하기 때문에 특히나 짜증나는 상대이다.(...)
자신의 배틀 페이즈 중에만 발동 할 수가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상대의 덱 위로 부터 카드를 1장 넘긴다. 넘긴 카드가 몬스터 카드였던 경우, 그 몬스터를 상대 필드 위에 공격표시로 특수 소환해, 선택한 자신의 몬스터와 강제적으로 전투를 실시한다. 이 전투에 의해 상대 몬스터가 파괴되었을 경우, 이 카드의 효과는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넘긴 카드가 몬스터 카드 이외였던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전투로 파괴되었을 때, 그 몬스터 1장에 대해 1장,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를 파괴해 발동한다. 이 턴, 전투에 의해 파괴되고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 모두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소환해, 이 턴에 받은 전투 데미지 분의 라이프 포인트를 회복한다.
자신 필드위의 몬스터가 상대 플레이어에 전투 데미지를 주었을 때, 자신의 덱으로 부터 카드를 1장 드로한다. 드로 한 카드가 함정 카드 였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해 묘지로 보내, 드로한 함정 카드를 패에서 발동한다. (발동 조건이 알맞지 않는 경우, 드로한 함정 카드는 파괴해 묘지로 보낸다.) 또, 드로 한 카드가 함정카드 이외 였던 경우, 그 드로한 카드를 파괴해 묘지로 보낸다.
발동 후 이 카드는 장착 카드 취급이 되어,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에 장착한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시하지 않는 경우, 그 전투에 의해 발생하는 자신에게로의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장착 몬스터가 공격 받았을 때, 그 수비력을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이 넘고 있으면, 그 수치만큼 자신은 전투 데미지를 받는다. 또,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 파괴되는 경우, 대신에 이 카드를 묘지로 보낼 수가 있다.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데미지 계산 시에만 500 포인트 올린다. 선택한 몬스터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여 엔드 페이즈시까지 1000 포인트 내린다.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그 몬스터의 공격력은 300포인트 올라간다. 이 효과로 공격이 올라간 싱크로 몬스터 1장이 상대의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했을 때, 그 수비력을 공격력이 넘고 있으면, 그 수치만큼 상대 라이프에 전투 데미지를 준다.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앞면수비 표시 몬스터 1장의 수비력보다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가 상대 필드 위에 공격표시로 소환, 반전 소환, 특수 소환 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가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수비 표시 몬스터의 수비력은 배가 된다. 이 카드는 발동 후 2회째의 자신의 스탠바이 페이즈시에 파괴된다.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묘지에 보낸다. 선택한 몬스터의 싱크로 소재가 자신 필드 위에 갖추어져 있는 경우, 그것들의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이 턴의 엔드페이지까지, 선택해 묘지에 보낸 싱크로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이 올라간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이 턴 공격하는 것이 할 수 없다.
자신 필드 위에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선택한 싱크로 몬스터를 엑스트라 덱에 되돌려, 그 몬스터의 싱크로 소환에 사용한 소재 몬스터 1조가 자신의 묘지에 갖추어져 있으면, 그 소재 몬스터 1조를 자신 필드 위에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엔드페이즈시에 파괴된다.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소환되었을 때, 그 몬스터와는 다른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를 게임으로부터 제외해, 그 레벨 ×100포인트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게 준다. 이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서 제외한 몬스터는, 다음의 턴의 스탠바이 페이즈시에, 공격력을 그 레벨 ×100포인트 올라가 자신 필드위로 돌아간다.
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1장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이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레벨 8 이상의 몬스터를 파괴해 묘지에 보냈을 경우, 그 몬스터는 공격력을 800 포인트 내려, 배틀 페이즈 중에 한번 더 공격할 수가 있다.
발동 시,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의 수만큼 이 카드에 체인 카운터를 얹는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존재하는 한, 서로의 몬스터는 공격 선언을 실행할 수 없다. 상대 턴 종료 시, 이 카드에 놓인 체인 카운터를 1개 제거한다. 체인 카운터가 없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를 자신의 엑스트라 덱에 되돌린다. 되돌린 몬스터의 레벨과 같은 레벨의 다른 싱크로 몬스터 1장을 자신의 엑스트라 덱으로부터 선택해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에 성공한 싱크로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발동 후 이 카드는 장착 카드가 되어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에게 장착한다. 효과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0으로 하는 것으로, 그 효과 데미지를 0으로 할 수 있다. 장착 몬스터가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다. 그 후, 필드 위에 존재하는 장착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해 발동한다.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자신 필드위에 존재하는 싱크로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분 올라간다. 이 카드를 파괴하는 일로, 배틀페이즈를 종료할 수가 있다.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한, 싱크로 몬스터는 공격하는 것이 할 수 없다.
[1] 홍보용 특별편에서 등장. 애니메이션 본편에서는 미사용.[2]코즈믹 블레이저 드래곤 대신 애니에서 등장한 유세이의 리미트 오버 액셀 싱크로 몬스터.[3]Z-one의 시대의 역사에 기록된 유세이의 델타 액셀 싱크로 몬스터. 작중에서는 이름으로만 언급된다.[4] 유일한 융합 몬스터. 딱 한 번 사용되고 잊혀졌으며 심지어 작중에선 거의 편법 취급이다.[5] 작품 초반에 야나기한테 받은 카드인데 결국 한 번도 쓰지 않았다가 듀얼오페라에서 잭과의 듀얼 중 사용했다.[6] 패에서 보였지만, 쓰진 않았다.[S]C·스네이크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D]C·드래곤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S]C·스네이크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D]C·드래곤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D]C·드래곤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20] 효과 몬스터라는 점을 제외하면 심하게 가려져서 정체를 알 수 없다.[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S]C·스네이크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3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1]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0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P2]포이즌 체인의 효과로 덱에서 버려진 12장 중 하나.[36] 미 OCG화 카드. TF 전용[37] 유세이 덱 테마라기보다는 극중 유세이가 새로운 힘으로서 융합을 고안했기에 이에 맞춰서 싱크로의 융합이라는 컨셉으로 나온 카드이다. 작품의 전개에 맞춰 나온 카드이기 때문인지 융합의 일러스트에는 스타더스트와 레드 데몬즈가 퓨전하는 것으로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