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2:49:43
유희왕 의 최상급 일반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트라이혼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トライホーン・ドラゴン 영어판 명칭 Tri-Horned Dragon 의식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8 신마족 드래곤족 2850 2350 머리에 나있는 3개의 뿔이 특징인 악마용.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의 원작자 타카하시 카즈키 가 게임 제작을 위해 디자인한 카드 중 하나로, 원작 코믹스 18권에서 디자인 컨셉아트를 확인할 수 있다. 의식 마법 '세 뿔의 의식'을 통해 의식 소환되는 몬스터로, 의식 마법 제물이 고정되어있었던 암계결투기와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에서는 그렘린 , 사이거 , 밀림의 흑룡왕 을 제물로 요구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부터는 밀림의 흑룡왕+그 외 제물 2장이 되었으며,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 에서는 커스 오브 드래곤 , 그렘린 , 데블 드래곤 으로 되어있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트라이혼 드래곤, 일어판 명칭=トライホーン・ドラゴン, 영어판 명칭=Tri-Horned Dragon, 레벨=8, 속성=어둠,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850, 수비력=2350, 효과외1=머리에 나있는 3개의 뿔이 특징인 악마용.)] 본래 대회나 이벤트 등에서 받는 프로모션 카드 였지만, 후에 프리미엄 팩 3으로도 발매되었다. 한국에서는 최초의 부스터 팩인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에 0번 카드로 수록. 그런데 이블 나이트 드래곤 과 함께 일련번호가 없다. 공격력이 2850이라는 독특한 수치이며, 이런 공격력을 보유한 몬스터 카드는 폭룡검사 이그니스터P , 메멘토 혼 드래곤 정도밖에 없으며 심지어 메멘토 혼 드래곤은 아예 이 카드를 리메이크한 것이다. 일단 공격력이 2800을 넘는 만큼 고요우 가디언 이나 다크 암드 드래곤 처럼 높은 공격력을 보유한 몬스터들도 전투로 이기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실 공격력이 미묘하게 부족한 편이다. 게다가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 중에서는 푸른 눈의 백룡 이 있고, 어둠 속성 드래곤족으로 차별화하려니 다크 호루스 드래곤 이 있으며, 어둠 속성 바닐라 중에서도 코스모 퀸 의 하위 호환이다. 그래도 전체적으로 어둠 속성,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란 고유의 조합을 살려 서포트는 잘 받을 수 있다. 우선 코스모 퀸과 마찬가지로 어둠의 유혹 , 범골의 의지 , 트레이드 인 의 패 교환 카드 3종류에 대응한다. 그리고 고대의 룰 , 붉은 눈의 암흑 메탈 드래곤 , 용마인 킹드라군 , 은룡의 굉포 로도 소환 가능하다.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에서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가 상당히 강화되었기에 공격력은 50 낮아도 코스모 퀸에 비해 그리 꿀리지 않는 편. 종말의 기사 , 다크 그레퍼 , 트레이드 인 , 고등의식술 , 용의 계곡 등의 다양한 수단으로 묘지에 묻어버린 뒤에 다크니스 메탈이나 정통한 혈통 등으로 소생시키는 짓거리도 가능. 굳이 어드밴스 소환을 하겠다면, 다크 플레임 의 더블 코스트를 이용하거나 종언의 화염 을 쓰는 것도 가능하다. 일단 한번 나오고 나면 어드밴스 드로우 , 말뼈의 대가 , 마의 덱 파괴 바이러스, 어둠의 덱 파괴 바이러스 의 코스트로 활용할 수 있다. 사실 레벨8에 흑룡보다 능력치도 좋아서, 붉은 눈의 흑룡 전용 카드나 튜너 를 쓰지 않는다면, 붉은 눈보다도 더 우선시되어 쓸 수 있다. 어둠 속성 레벨8이라는 점 덕분에 성각 덱에서 No.22 프랑켄 을 써볼 수 있게 해준다. 참고로 푸른 눈의 백룡 보다 공격력과 수비력 모두 각각 150씩 낮다.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도마 편 에서는 쿠자크 마이 의 회상중에 등장한 듀얼 대회 결승전 상대가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마이가 발동한 은막의 거울벽 에 의해 공격력이 절반으로 떨어졌다가 돌진 으로 공격력을 다시 강화하는 듯 했으나, 이후 마이가 천사의 손거울 을 체인하여 발동하는 바람에 결국 해피 레이디·SB 에 의해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드로우 수행 중이던 타이잔 타이라 가 폭포에서 뽑은 카드 중 하나로 등장. 이후 만죠메 쥰 의 형 쵸사쿠가 갖고 있는 레어 카드들 중에 포함된 것으로도 나온다.유희왕 5D's 에서는 주인공인 후도 유세이 가 타카스 와의 듀얼에서 사용한 죄수들의 카드 기증을 통해 만든 덱에 있는 카드 중 하나로 등장. 사용되지는 못하고 타카스의 C·스네이크 의 효과로 인해 그대로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다. 이후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를 발동했는데, 어째선지 트라이혼 드래곤보다도 훨씬 공격력이 낮은 더 킥맨 을 되살리는 데 사용했고, 효과로 데몬의 도끼 를 장착시켰음에도 여전히 공격력이 이 카드보다 낮아서 결과적으로 플레잉 미스가 되어버렸다.닌텐도 DS 용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8 에서는 초기 덱에서 가장 공격력이 강한 카드로서 들어있다. 초기 덱에는 길 잃은 아기양 과 정통한 혈통 , 어둠의 양산공장 등 이 카드와 잘 맞는 카드들이 들어있어서 쓰기가 어렵지는 않지만, 게임 시작하자마자 샵에 가서 맨 첫번째 팩만 뜯어도 푸른 눈의 백룡 이 나오기 때문에 심하면 듀얼 한번 해보기도 전에 하위 호환이 된다(…) 게다가 저 팩에는 성스러운 마술사 와 싸이크론 이 들어있는지라 안 뜯을 이유가 없다. 수록 시리즈 1999-08-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II 闇界決闘記 決闘者伝説 in TOKYO DOME 大会入賞者特典カード 2000-08-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3-04 | PREMIUM PACK 3 2011-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9-JP007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1 Vol.3 2013-07-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T03-JP001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3 Vol.3 2024-02-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DPP-JP013 | PREMIUM PACK-決闘者伝説 QUARTER CENTURY EDITION- 2002-03-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B-000 | 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2012-10-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YW-EN157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23-04-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B-EN000 | LEGEND OF BLUE EYES WHITE DRAGON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3-12-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OB-K000 | 푸른 눈의 백룡의 전설 2012-04-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2-KR007 | 토너먼트 팩 Vol.12
3. 관련 카드3.1. OCG화된 카드 한글판 명칭 세 뿔의 의식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三本角, ruby=さんぼんつの)]の[ruby(儀式, ruby=ぎしき)] 영어판 명칭 Curse of Tri-Horned Dragon 의식 뿔을 가진 몬스터를 제물로 삼아 세 뿔을 가진 자를 소환한다. (DM2 ) 밀림의 흑룡왕 등을 제물로, 세 뿔의 용을 불러낸다. (DM3 ~DM8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에서부터 등장한 트라이혼 드래곤의 전용 의식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