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1:37:24

국장(직위)


1. 개요2. 구분3. 창작 매체

1. 개요

국장(局長)은 기관이나 조직에서 한 ()을 맡아 다스리는 직위, 또는 그 직위에 있는 사람이다.

2. 구분

2.1. 국가기관공공기관

2.2. 민간단체

민간단체에서는 주로 '사무국장'을 뜻한다.

신문사방송사언론사에도 보직 혹은 직급으로 편집국장 내지는 보도국장, 아나운서국장등이 존재한다. 신문사 편집국장과 방송사 보도국장 & 아나운서국장 등은 일반 직원이 오를 수 있는 임원 이하 최고위 직급이며 기자아나운서들을 총괄 관리하는 자리로서 기자 생활의 정점에 위치하는 직위다. 국장 위로는 본부장이 있는데 임원에 해당된다. 언론사 내에서 국장의 하위 직급으로는 각 부서의 부서장 역할을 하는 부국장이 있으며 '국차장'이라는 희귀한 직급도 있다. 국차장은 국장과 비슷한 직급이기는 한데 부국장보다는 높은 위치로 국장 T/O가 1명으로 한정될 경우 국장의 차석이 되는 최선임 간부 기자에게 주어지는 직급이다.[5]

광고업계에서는 부장보다 높고 이사상무보다 낮은 중간관리직의 최고봉으로 존재한다. 대신 이쪽 업계에는 과장이 없는 경우가 보통인 것을 보면 그냥 이름만 다른 부장이라 볼 수도 있다.

2.3. 아카라이브

나무라이브, 마이너타운 시절에는 채널에 대한 모든 권한(국장 위임 포함)을 가진 채널의 소유권자를 국장, 그 국장의 아래에서 채널의 운영 권한 중 일부를 가지고 채널을 관리하는 사람을 부국장이라고 했었다.

사이트 이름이 아카라이브로 변경된 이후에는 해당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졌다. 다만, 한동안은 닉네임 옆에 있는 빨간 딱지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국장', 파란 딱지 위에 올리면 '부국장'이라고 표시되기는 했었으며, 어느 시점부터는 채널 매니저로 바뀌었다.

3. 창작 매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3급 공무원의 경우는 부국장 급인 ~심의관 등의 보직을 받는 경우도 있다.[2] 모든 지검까지는 필수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지청에 설치된 것은 아니고, 인력이 어느 정도 되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인력이 적은 지청은 사무장이 있다.[3] 지청 사무국장의 경우 비고공단 3급이다. 예를 들어 대전지검 천안지청 사무국장이 비고공단 3급 검찰부이사관이 임명된다.[4] 모 검찰수사관이 쓴 검찰수사관 소개 서적에 따르면 3급이 지검 사무국장, 2급이 고검 사무국장, 1급이 대검 사무국장이라고 한다.[5] 다만 요즘은 직제를 간편화 시키기 위해, 사용하진 않는다. 대신 (국장급 대우, 본부장급 대우)라는 편법을 써서 챙겨준다.어차피 그 연차면 다 알고 지내는 사이라 적당히 서로 다 챙겨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