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5:28:20

엘튼 존

Elton John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0;"
파일:엘튼 존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000000 {{{#!folding [ 정규 앨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mptysky.jpg
파일:1586469366EJalbumFrontCover.jpg
파일:R-13940010-1564512125-1629.jpg
파일:Elton-John-Madman-Across-The-Water-1.jpg
파일:Honky Chateau.jpg
Empty Sky
1969.06.06
Elton John
1970.04.10
Tumbleweed Connection
1970.10.30
Madman Across the Water
1971.11.05
Honky Château
1972.05.19
파일:external/albumcoverhalloffame.files.wordpress.com/eltondontshoot1.jpg
파일:external/myspiltmilk.com/20140310-elton-x1800-1394485893.jpg
파일:external/e513fecdfc0a5575d1d9844009472efabb9fc1eb675c539a291803ac2688ac9b.jpg
파일:elton-john-1.jpg
파일:external/farm8.staticflickr.com/13605940484_b15dfbd1ba_b.jpg
Don't Shoot Me I'm Only the Piano Player
1973.01.22
Goodbye Yellow Brick Road
1973.10.05
Caribou
1974.06.24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
1975.05.19
Rock of the Westies
1975.10.04
파일:bluemoves.jpg
파일:singleman.jpg
파일:ejvictim.jpg
파일:21at33.jpg
파일:external/4.bp.blogspot.com/Elton%2BJohn%2B1%2B-%2BFront.jpg
Blue Moves
1976.10.22
A Single Man
1978.10.16
Victim of Love
1979.10.13
21 at 33
1980.05.13
The Fox
1981.05.20
파일:jumpup.jpg
파일:2l40.jpg
파일:Elton-John-Breaking-Hearts-album-cover-820.jpg
파일:external/2.bp.blogspot.com/MUDD161.jpg
파일:leatherjackets.jpg
Jump Up!
1982.04.09
Too Low for Zero
1983.05.30
Breaking Hearts
1984.06.18
Ice on Fire
1985.11.04
Leather Jackets
1986.10.15
파일:regstrikesback.jpg
파일:completethombellsessions.jpg
파일:sleepingwiththepast.jpg
파일:external/wp-images.emusic.com/elton-john-the-one.jpg
파일:external/retro.recordsale.de/elton_john-duets.jpg
Reg Strikes Back
1988.06.20
The Complete Thom Bell Sessions
1989.02.01
Sleeping with the Past
1989.08.29
The One
1992.06.15
Duets
1993.11.22
파일:madeinengland.png
파일:thebigpic.jpg
파일:songsfromthewestcoast.jpg
파일:2004 Peachtree.jpg
파일:captainandkid.jpg
Made in England
1995.03.20
The Big Picture
1997.09.22
Songs from the West Coast
2001.10.01
Peachtree Road
2004.11.08
The Captain & the Kid
2006.09.16
파일:eltonleonunion.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ltonjohn_thedivingboardcover.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onderful_Crazy_Night.jpg
파일:sgtzippo.jpg
파일:Elton-John-Lockdown-Sessions.jpg
The Union
2010.10.19
The Diving Board
2013.09.16
Wonderful Crazy Night
2016.02.05
Regimental Sgt. Zippo
2021.06.12
The Lockdown Sessions
2021.10.22
}}}}}}}}}}}}
{{{#!folding [ 비정규 음반 ]
{{{#!folding [ 주요 노래 ]
{{{#!folding [ 관련 문서 ]
}}}}}} ||
엘튼 존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엘튼 존의 수훈 및 헌액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엘튼 존
ELTON JOHN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음악 심볼.jpg 음악
입성날짜 1975년 10월 23일
위치 6915 Hollywood Blvd. }}}}}}}}}


파일:songwriters-hall-of-fame-logo_770_441_90_s.jpg 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름 엘튼 존
ELTON JOHN
멤버 (엘튼 존)
입성 연도 1992년 출처 참조 }}}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름 엘튼 존
ELTON JOHN
헌액 부문 공연자 (Performers)
멤버 (개인자격)
입성 연도 1994년
후보자격 연도 1994년
후보선정 연도 1994년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H 파일:CHCompanionofHonour.jpg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아놀드 토인비
(1956)
패트릭 블래킷
(1965)
막스 페루츠
(1975)
존 길구드
(1977)
프레더릭 생어
(1981)
칼 포퍼
(1982)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스티븐 호킹
(1989)
조지프 니덤
(1992)
알렉 기네스
(1994)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리처드 돌
(1996)
데이비드 호크니
(1997)
크리스 패튼
(1997)
에릭 홉스봄
(1998)
존 메이저
(1999)
도리스 레싱
(2000)
외국인
아마르티야 센
(2000)
해럴드 핀터
(2002)
주디 덴치
(2005)
이안 맥켈런
(2008)
마이클 하워드
(2011)
피터 힉스
(2012)
매기 스미스
(2014)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조지 오스번
(2016)
폴 매카트니
(2017)
J. K. 롤링
(2017)
델리아 스미스
(2017)
마거릿 애트우드
(2018)
엘튼 존
(2019)
폴 스미스
(2020)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폴 너스
(2022)
메리 퀀트
(2023)
이언 매큐언
(2023)
안나 윈투어
(2023)
웨일스 공비 캐서린
(2024)
셜리 배시
(2024)
고든 브라운
(2024)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

그 외 서훈 및 학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Ordre des Arts et des Lettres) 오피시에 (1993년)
왕립음악원 명예회원 (1997년)
런던 대학교 명예 음악박사 (2002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Ordre National de la Légion d’honneur) 슈발리에 (2019년)
국가인문학 훈장(National Humanities Medal) (2022년)
}}} ||
엘튼 존의 주요 수상 및 선정 내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EGOT 달성자
파일:_Emmy_.png 파일:_Grammy_.png 파일:Oscar.png 파일:_Tony_.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모든 시상식의 경쟁 부문에서 수상한 경우
<rowcolor=#fff> 1962 1977 1977 1991 1994
리처드 로저스 헬런 헤이즈 리타 모레노 존 길구드 오드리 헵번
<rowcolor=#fff> 1995 1997 2001 2001 2002
마빈 햄리시 조너선 터닉 멜 브룩스 마이크 니콜스 우피 골드버그
<rowcolor=#fff> 2012 2014 2018
스콧 루딘 로버트 로페즈 존 레전드 앤드루 로이드 웨버 팀 라이스
<rowcolor=#fff> 2020 2022 2023 2024
앨런 멩컨 제니퍼 허드슨 비올라 데이비스 엘튼 존
명예상, 공로상 등 비경쟁 부문 수상을 포함한 EGOT 달성자
<rowcolor=#fff> 1970 1990 2011 2014 2016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라이자 미넬리 제임스 얼 존스 해리 벨라폰테 퀸시 존스
<rowcolor=#fff> 2023
프랭크 마셜 }}}}}}}}}


역대 아메리칸 뮤직 시상식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MA_Logo.png
최우수 팝/록 남성 아티스트상
제3회
(1976년)
제4회
(1977년)
제5~7회
(1978년~80년)
존 덴버 엘튼 존 배리 매닐로
(3년 연속 수상)

역대 브릿 시상식
파일:external/www.jdhlifestyle.co.uk/BRIT-Awards-2014-Logo.jpg
우수 기여상
제5회
(1985년)
제6회
(1986년)
제7회
(1987년)
폴리스 엘튼 존, 왬! 에릭 클랩튼
제14회
(1994년)
제15회
(1995년)
제16회
(1996년)
밴 모리슨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영국 최우수 남성 솔로 아티스트상
제9~10회
(1989년~90년)
제11회
(1991년)
제12회
(1992년)
필 콜린스
2년 연속 수상
엘튼 존
프레디 머큐리상
제16회
(1996년)
제18회
(1998년)
제19회
(1999년)
The Help Album 엘튼 존 Jubilee 2000
브릿 아이콘상
엘튼 존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4.3.3|그래미 어워드 레전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rowcolor=#b69858>1990199119921993
앤드루 로이드 웨버, 라이자 미넬리, 스모키 로빈슨, 윌리 넬슨아레사 프랭클린, 빌리 조엘, 조니 캐시, 퀸시 존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
<rowcolor=#b69858>1994199819992003
프랭크 시나트라, 커티스 메이필드루치아노 파바로티엘튼 존비 지스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평생 공로상 수상자}}}}}}}}}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5회 수상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주제가상 수상작
제51회
(1994년)
제52회
(1995년)
제53회
(1996년)
Streets of Philadelphia
브루스 스프링스틴
(필라델피아)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엘튼 존, 팀 라이스
(라이온 킹)
Colors of the Wind
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
(포카혼타스)
제76회
(2019년)
제77회
(2020년)
제78회
(2021년)
Shallow
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
안소니 로소먼도 & 앤드류 와이어트
(스타 이즈 본)
(I'm Gonna) Love Me Again
엘튼 존, 버니 토핀
(로켓맨)
Io sì (Seen)
니콜로 알리아르디,
라우라 파우지니, 다이앤 워런
(자기 앞의 생)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주제가상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Streets of Philadelphia
브루스 스프링스틴
(필라델피아)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엘튼 존, 팀 라이스

(라이온 킹)
Colors of the Wind
앨런 멩컨, 스티븐 슈왈츠
(포카혼타스)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Shallow
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
앤소니 로소먼도 & 앤드루 와이어트
(스타 이즈 본)
(I'm Gonna) Love Me Again
엘튼 존, 버니 토핀
(로켓맨)
Fight for You
디마일, H.E.R., 티아라 토마스
(유다 그리고 블랙 메시아)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폴 매카트니
발트 3국
디지 길레스피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퀸시 존스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엘튼 존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조니 미첼
피에르 불레즈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브루스 스프링스틴
에릭 에릭슨
레이 찰스
라비 샹카르
스티비 원더
이안니스 크세나키스
밥 딜런
아이작 스턴
버트 배커랙
로버트 무그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미리엄 마케바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키스 재럿 비비 킹
리게티 죄르지
지우베르투 지우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레드 제플린
발레리 게르기예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소니 롤린스
스티브 라이히
핑크 플로이드
르네 플레밍
피터 가브리엘
호세 안토니오 아브레우 & 엘 시스테마
비요크
엔니오 모리코네
크로노스 콰르텟
패티 스미스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폴 사이먼
요요마
유수 은두르
카이야 사리아호
척 베리
피터 셀라스
에밀루 해리스
에벌린 글레니
맥스 마틴
체칠리아 바르톨리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스팅
웨인 쇼터
메탈리카
아프가니스탄 국립 음악 연구소
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안네 소피 무터
플레잉 포 체인지
안나 네트렙코
다이앤 워런
없음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이기 팝
앙상블 앵테르콩탱포랭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파일:빌보드 뮤직 어워드 로고.svg
탑 핫 100 노래상
제7회
(1996년)
제8회
(1997년)
제9회
(1998년)
Macarena - 로스 델 리오 Candle in the Wind 1997 - 엘튼 존 Too Close - 넥스트

역대 토니 시상식
파일:tonyawards.png
음악상 수상작
제53회
(1999년)
제54회
(2000년)
제55회
(2001년)
Parade]br]제이슨 로버트 브라운 Aida
엘튼 존/팀 라이스
The Producers
멜 브룩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99년 배철수의 음악캠프에서 전문가 81명/청취자 1,556명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Top 10 선정.
※ 전문가 81명↓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핑크 플로이드
6위7위8위9위10위
엘튼 존 밥 딜런 롤링 스톤스 에릭 클랩튼 마돈나
※ 청취자 1,556명↓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너바나
6위7위8위9위10위
레드 제플린 에릭 클랩튼 마돈나 ABBA 핑크 플로이드
※ 전문가 + 청취자 종합↓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레드 제플린 너바나
6위7위8위9위10위
핑크 플로이드 마돈나 에릭 클랩튼 밥 딜런
출처 }}}}}}}}}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0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1978년 <colbgcolor=#fff,#1f2023>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 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 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 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 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 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 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 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 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 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 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 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 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 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 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 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 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 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푸아티에, 닐 사이먼
1996년 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 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 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 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 ||
21세기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000>2001년<colbgcolor=#fff,#1f2023>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 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 제임스 브라운, 캐롤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 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 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 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 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 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 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 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 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 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 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 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 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 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 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먼 리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 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 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 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 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 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 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
}}}}}}}}} ||

파일:A75A5D13-D37C-4A62-94E4-4B9BA96D570A.pn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이클 잭슨레드 제플린롤링 스톤스밥 딜런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프린스엘비스 프레슬리제임스 브라운스티비 원더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밥 말리데이비드 보위더 후너바나비치 보이스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돈나핑크 플로이드U2마빈 게이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브루스 스프링스틴더 클래시AC/DC벨벳 언더그라운드척 베리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닐 영아레사 프랭클린엘튼 존라디오헤드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존 레논블랙 사바스건즈 앤 로지스티나 터너조니 캐시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폴 매카트니플리트우드 맥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킹크스폴리스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밴 헤일런메탈리카레이 찰스조니 미첼알 그린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라몬즈JAY-Z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팔리아멘트-펑카델릭샤데이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빌리 조엘비욘세리틀 리처드퍼블릭 에너미피터 가브리엘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키스스투지스칩 트릭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림제네시스노토리어스 B.I.G.토킹 헤즈도어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저스틴 팀버레이크콜드플레이오티스 레딩투팍 샤커데프 레파드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R.E.M.재니스 조플린밴 모리슨더 큐어러시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Run-D.M.C.레너드 스키너드주다스 프리스트에미넴메리 제이 블라이즈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ABBA스틸리 댄어스 윈드 & 파이어커티스 메이필드더 밴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N.W.A.조지 마이클비 지스비스티 보이즈엘비스 코스텔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그린 데이LL Cool J펄 잼머라이어 캐리아웃캐스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저니프리텐더스디페시 모드홀 앤 오츠앨리샤 키스
출처}}}}}}}}}

파일:NME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가수(보컬리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2011년 영국의 대중음악 전문지 NME에서 대중들을 상대로 '가장 위대한 가수 Top 20' 투표를 진행. 1,000만 표 이상이 모여 순위를 정했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마이클 잭슨 프레디 머큐리 엘비스 프레슬리 액슬 로즈 존 레논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데이비드 보위 로버트 플랜트 폴 매카트니 스티비 원더 아레사 프랭클린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매튜 벨라미 레이 찰스 짐 모리슨 밥 말리 엘튼 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커트 코베인 스티븐 타일러 믹 재거 마빈 게이 티나 터너
출처 }}}}}}}}}

파일:Heart logo.png
Heart 선정 영국 최고의 음악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영국의 라디오 방송국 Heart가 'Best of British: Musicians'를 선정.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비 지스 엘튼 존 케이트 부시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스팬도 발레 유리드믹스 필 콜린스 듀란 듀란 Wham!
}}}}}}}}}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밥 딜런롤링 스톤스데이비드 보위브루스 스프링스틴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라디오헤드레드 제플린닐 영프린스비치 보이스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R.E.M.엘비스 프레슬리칸예 웨스트더 후U2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마일스 데이비스벨벳 언더그라운드너바나더 클래시지미 헨드릭스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마빈 게이핑크 플로이드엘비스 코스텔로스티비 원더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마돈나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더 스미스마이클 잭슨밴 모리슨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토킹 헤즈켄드릭 라마아케이드 파이어아레사 프랭클린비요크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JAY-Z제임스 브라운톰 웨이츠존 콜트레인PJ 하비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킹크스퍼블릭 에너미버즈비스티 보이즈조니 미첼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벡 한센더 큐어존 레논도어즈LCD 사운드시스템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블러크라프트베르크레너드 코헨픽시즈루 리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조니 캐쉬소닉 유스록시 뮤직오아시스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듀크 엘링턴더 밴드아웃캐스트다프트 펑크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사이먼 앤 가펑클프랭크 시나트라척 베리프랭크 오션비욘세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조이 디비전AC/DC윌코오티스 레딩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뉴 오더메탈리카화이트 스트라입스라몬즈더 폴리스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스투지스브라이언 이노엘튼 존뱀파이어 위켄드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섹스 피스톨즈매시브 어택레이 찰스스틸리 댄블랙 사바스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케이트 부시악틱 몽키즈찰스 밍거스패티 스미스포티스헤드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건즈 앤 로지스페이브먼트수프얀 스티븐스알 그린펑카델릭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파일:Acclaimed-Music-Logo-Dark.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1970년대 아티스트
20위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 밥 딜런 엘비스 프레슬리 롤링 스톤스 척 베리
6위7위8위9위10위
지미 헨드릭스 제임스 브라운 리틀 리처드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밥 말리 비치 보이스 버디 홀리 레드 제플린 스티비 원더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샘 쿡 머디 워터스 마빈 게이 벨벳 언더그라운드 보 디들리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오티스 레딩 U2 브루스 스프링스틴 제리 리 루이스 패츠 도미노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라몬즈 프린스 더 클래시 더 후 너바나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조니 캐시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에벌리 브라더스 닐 영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마돈나 로이 오비슨 존 레논 데이비드 보위 사이먼 앤 가펑클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도어즈 밴 모리슨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퍼블릭 에너미 버즈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재니스 조플린 패티 스미스 Run-D.M.C. 엘튼 존 더 밴드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파일:롤링 스톤 로고.svg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08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000,#ddd ※ 롤링 스톤이 2008년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아레사 프랭클린 레이 찰스 엘비스 프레슬리 샘 쿡 존 레논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마빈 게이 밥 딜런 오티스 레딩 스티비 원더 제임스 브라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폴 매카트니 리틀 리처드 로이 오비슨 알 그린 로버트 플랜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믹 재거 티나 터너 프레디 머큐리 밥 말리 스모키 로빈슨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조니 캐시 에타 제임스 데이비드 보위 밴 모리슨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재키 윌슨 행크 윌리엄스 재니스 조플린 니나 시몬 프린스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하울링 울프 보노 스티브 윈우드 휘트니 휴스턴 더스티 스프링필드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닐 영 엘튼 존 제프 버클리 커티스 메이필드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척 베리 조니 미첼 조지 존스 보비 밴드 커트 코베인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팻시 클라인 짐 모리슨 버디 홀리 도니 해서웨이 보니 레이트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롤링 스톤이 2015년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송라이터를 선정한 순위다.
41위42위43위44위45위
맥스 마틴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조니 캐시 지미 웹 로비 로버트슨
46위47위48위49위50위
노먼 휘트필드 &
바렛 스트롱
닐 다이아몬드 엘튼 존 & 버니 토핀 돈 헨리 & 글렌 프리 빌리 조엘
모든 순위는 문서 참조.
같이 보기: 명반, 아티스트, 기타리스트, 가수, 드러머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06년 빌보드에서 판매량과 차트 성적 등 상업성을 기준으로 1955년부터 2006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하여 각 시대를 관통한 탑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2006년 선정 당시 2000년대 탑 아티스트는 넬리였으나 2009년 재집계하여 에미넴으로 최종 확정됐다. 출처1 출처2
<rowcolor=#fede58>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엘튼 존 마이클 잭슨
<rowcolor=#fede58>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2020년대
머라이어 캐리 에미넴 드레이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스 브룩스 엘튼 존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머라이어 캐리 허브 앨퍼트 테일러 스위프트 시카고 마이클 잭슨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로드 스튜어트 에미넴 휘트니 휴스턴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빌리 조엘 마돈나 산타나 이글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밥 딜런 스티비 원더 셀린 디옹 에릭 클랩튼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존 덴버 핑크 플로이드 자넷 잭슨 프린스 캐롤 킹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마일리 사이러스 니켈백 팀 맥그로 밴 헤일런 비치 보이스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U2 아델 엘비스 프레슬리 브리트니 스피어스 어셔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템테이션스 린킨 파크 JAY-Z 앨런 잭슨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건즈 앤 로지스 샤니아 트웨인 캐리 언더우드 몽키즈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 슈프림즈 앨리샤 키스 메탈리카 데프 레파드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 린다 론스태드 저니 메리 제이 블라이즈 제쓰로 툴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 포리너 존 멜렌캠프 사이먼 앤 가펑클 케니 체스니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 앤디 윌리엄스 조지 스트레이트 백스트리트 보이즈 마이클 볼튼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 라이오넬 리치 아레사 프랭클린 요세프/캣 스티븐스 밥 시거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rowcolor=#fff>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f>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rowcolor=#fff>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 롤링 스톤스 폴 매카트니 비 지스 어셔
<rowcolor=#fff>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 슈프림즈 프린스 홀 앤 오츠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 올리비아 뉴튼 존 아레사 프랭클린 마룬 5 마빈 게이
<rowcolor=#fff>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브루노 마스 다이애나 로스
<rowcolor=#fff>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 템테이션스 도나 서머 비치 보이스 라이오넬 리치
<rowcolor=#fff>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잭슨 파이브 보이즈 투 멘
<rowcolor=#fff>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 브렌다 리 더 위켄드 비욘세 크리스 브라운
<rowcolor=#fff>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브라이언 아담스 셰어 블랙 아이드 피스
<rowcolor=#fff>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 핑크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레이디 가가
<rowcolor=#fff>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본 조비 처비 체커
<rowcolor=#fff>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 포리너 쿨 & 더 갱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리키 넬슨
<rowcolor=#fff>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 저스틴 팀버레이크 코모도스 이글스 TLC
<rowcolor=#fff>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 에미넴 배리 매닐로 디안 워윅 넬리
<rowcolor=#fff>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 포스트 말론 아리아나 그란데 에벌리 브라더스 칸예 웨스트
<rowcolor=#fff>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 R. 켈리 제임스 브라운 폴라 압둘 켈리 클락슨
<rowcolor=#fff>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 에드 시런 린다 론스태드 리처드 막스 데스티니스 차일드
<rowcolor=#fff>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 JAY-Z 미라클스 디온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닐 세다카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포인터 시스터스 존 덴버
출처}}}}}}}}}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엘튼 존 엘비스 프레슬리 스티비 원더 마이클 잭슨 폴 매카트니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어셔 프린스 로드 스튜어트 드레이크 마빈 게이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필 콜린스 빌리 조엘 라이오넬 리치 브루노 마스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케니 로저스 브라이언 아담스 조지 마이클 바비 빈튼 존 멜렌캠프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처비 체커 레이 찰스 크리스 브라운 리키 넬슨 저스틴 팀버레이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폴 앵카 배리 매닐로 넬리 바비 다린 R. 켈리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제임스 브라운 에미넴 리처드 막스 칸예 웨스트 JAY-Z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밥 시거 닐 세다카 저스틴 비버 브루스 스프링스틴 존 덴버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50 센트 플로 라이다 앤디 깁 로이 오비슨 디온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빌리 오션 토미 제임스 존 레논 브룩 벤턴 마이클 볼튼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릴 웨인 바비 브라운 에드 시런 루다크리스 에릭 클랩튼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쟈니 리버스 글렌 캠벨 릭 스프링필드 T.I. 더 위켄드
출처 }}}}}}}}}}}}

{{{#!wiki style="margin: 0 -10px"
{{{#000,#fff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1px"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5위
비틀즈 롤링 스톤스 엘튼 존 머라이어 캐리 마돈나
<rowcolor=#fff> 6위 7위 8위 9위 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마이클 잭슨 테일러 스위프트 스티비 원더 시카고
<rowcolor=#fff>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휘트니 휴스턴 폴 매카트니 엘비스 프레슬리 자넷 잭슨 로드 스튜어트
<rowcolor=#fff>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드레이크 프린스 리아나 빌리 조엘 가스 브룩스
<rowcolor=#fff>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허브 앨퍼트 에미넴 어셔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닐 다이아몬드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슈프림즈 이글스 비 지스 비치 보이스 플리트우드 맥
<rowcolor=#fff>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산타나 템테이션스 셀린 디옹 아레사 프랭클린 홀 앤 오츠
<rowcolor=#fff>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델 비욘세 에릭 클랩튼 라이오넬 리치 레드 제플린
<rowcolor=#fff>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브루노 마스 존 덴버 마룬 5 올리비아 뉴튼 존 본 조비
<rowcolor=#fff>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필 콜린스 다이애나 로스 밥 딜런 존 멜렌캠프 JAY-Z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55위
도나 서머 니켈백 보이즈 투 멘 카펜터즈 저스틴 비버
<rowcolor=#fff> 56위 57위 58위 59위 60위
레이디 가가 포리너 브리트니 스피어스 핑크 앨리샤 키스
<rowcolor=#fff> 61위 62위 63위 64위 65위
케이티 페리 마일리 사이러스 잭슨 파이브 어스 윈드 앤 파이어 마빈 게이
<rowcolor=#fff> 66위 67위 68위 69위 70위
U2 린다 론스태드 밴 헤일런 밥 시거 에어로스미스
<rowcolor=#fff> 71위 72위 73위 74위 75위
블랙 아이드 피스 넬리 캐롤 킹 저스틴 팀버레이크 몽키즈
<rowcolor=#fff> 76위 77위 78위 79위 80위
케니 로저스 하트 팀 맥그로 배리 매닐로 R. 켈리
<rowcolor=#fff> 81위 82위 83위 84위 85위
저니 사이먼 앤 가펑클 마이클 볼튼 에드 시런 켈리 클락슨
<rowcolor=#fff> 86위 87위 88위 89위 90위
핑크 플로이드 메리 제이 블라이즈 칸예 웨스트 쓰리 도그 나이트
<rowcolor=#fff> 91위 92위 93위 94위 95위
코모도스 폴라 압둘 브라이언 아담스 크리스 브라운 건즈 앤 로지스
<rowcolor=#fff> 96위 97위 98위 99위 100위
데프 레파드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린킨 파크 제임스 테일러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rowcolor=#fff> 101위 102위 103위 104위 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폴 사이먼 백스트리트 보이즈 릴 웨인 캐리 언더우드
<rowcolor=#fff> 106위 107위 108위 109위 110위
앤디 윌리엄스 스틱스 조지 마이클 셰어 TLC
<rowcolor=#fff> 111위 112위 113위 114위 115위
샤니아 트웨인 두비 브라더스 포 시즌스 피터 폴 앤 메리 케니 체스니
<rowcolor=#fff> 116위 117위 118위 119위 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 50 센트 레이 찰스 제네시스 더 폴리스
<rowcolor=#fff> 121위 122위 123위 124위 125위
래스컬 플래츠 루다크리스 글로리아 에스테판 조지 해리슨 앨런 잭슨
출처 }}}}}}}}}}}}

}}} ||
파일:미국 국기.svg
음악가별 미국 내 총 음반 판매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위 – 9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위 비틀즈 <colcolor=#333,#fff>183,000,000+장
2위 가스 브룩스 157,000,000+장
3위 엘비스 프레슬리 139,000,000+장
4위 이글스 120,000,000+장
5위 레드 제플린 112,500,000+장
6위 마이클 잭슨 89,000,000+장
7위 빌리 조엘 86,500,000+장
8위 엘튼 존 79,000,000+장
9위 AC/DC 75,000,000+장
9위 핑크 플로이드 75,000,000+장
9위 머라이어 캐리 75,000,000+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2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b133e> 12위 브루스 스프링스틴 <colcolor=#333,#fff>71,000,000+장
13위 에어로스미스 69,500,000+장
13위 조지 스트레이트 69,500,000+장
15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68,500,000+장
16위 롤링 스톤스 66,500,000+장
17위 마돈나 64,500,000+장
18위 메탈리카 63,000,000+장
19위 에미넴 61,500,000+장
20위 휘트니 휴스턴 61,000,000+장
21위 밴 헤일런 56,500,000+장
22위 플리트우드 맥 54,500,000+장
23위 셀린 디옹 53,000,000+장
24위 저니 52,500,000+장
25위 U2 52,000,000+장
26위 이하로는 출처를 참고하십시오.
}}}}}}}}}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List of best-selling music artis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2억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순수 음반 판매량이 아닌, 뮤직비디오 스트리밍, 싱글 다운로드와 스트리밍, 정규, EP, 컴필레이션 앨범 등의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이 포함된 국가별 앨범 인증단위를 기준으로 계산하였다.[1] 출처는 위키백과이다. 위키백과 자료 설명 글에 "글로벌 음반 판매량을 기록한 기관이 없기 때문에 이 정보는 공식적으로 기재할 수 없습니다."라고 언급되었다.[2]
비틀즈 엘비스 프레슬리 마이클 잭슨 마돈나 엘튼 존
최대 600,000,000장[3] 500,000,000장 최대 400,000,000장[4] 최대 300,000,000장[5] 최대 300,000,000장[6]
<rowcolor=#FFD700> 레드 제플린 리아나 핑크 플로이드 비 지스 에미넴
최대 300,000,000장[7] 250,000,000장 최대 250,000,000장[8] 220,000,000장 220,000,000장
머라이어 캐리 <rowcolor=#FFD700> 테일러 스위프트 휘트니 휴스턴 이글스
22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200,000,000장
롤링 스톤스 <rowcolor=#FFD700> 셀린 디옹 AC/DC
200,000,000장 최대 200,000,000장[9] 최대 200,000,000장[1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1억 5천만 이상 판매한 음악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D700> 드레이크 가스 브룩스 칸예 웨스트 빌리 조엘 저스틴 비버
170,000,000장 170,000,000장 160,000,000장 16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에드 시런 브루노 마스 브루스 스프링스틴 U2 에어로스미스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rowcolor=#FFD700> 필 콜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ABBA 프랭크 시나트라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150,000,000장
[ 각주 ]

[1] 그러나 미국의 인증은 소속사에서 수동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위의 자료는 더 정확성을 잃게 된다.[2] #[3] 최소 500,000,000장 –[4] 최소 350,000,000장 –[5] 최소 275,000,000장 –[6] 최소 250,000,000장 –[7] 최소 200,000,000장 –[8] 최소 200,000,000장 –[9] 최소 175,000,000장 –[10] 최소 150,000,000장 –
1억 5천만 미만부터는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같이보기 : 세계 음악가 음반 판매량 / 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 / 2 (영국 / 미국 / 일본), 연도별 최다 판매 앨범
}}}}}}}}} ||

}}} ||
엘튼 존
Elton John
파일:1314448654.jpg
이름 엘튼 허큘리스 존
Elton Hercules John
출생 1947년 3월 25일 ([age(1947-03-25)]세)
대영제국 잉글랜드 미들섹스주 피너
(現 잉글랜드 그레이터 런던 해로우구 피너)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작위 기사 (Knight Bachelor)
직업 음악가, 사회 운동가, 프로듀서, 기획자, 라디오 진행자
서명
파일:external/eltonjohnmusicislove.lalique.com/ej-signature-black.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개명 전 본명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
Reginald Kenneth Dwight
악기 보컬, 건반 악기
장르 , 팝 록, , 소프트 록
활동 1962년 ~
데뷔 1968년 싱글 I've Been Loving You
1969년 정규 1집 Empty Sky
민족 영국인
신체 172cm
소속 그룹 블루솔로지 (1962-1967)
종교 무종교[1]
별명 Rocket Man, Captain Fantastic
레이블 필립스, 콩그레스, DJM, 유니, MCA, 로켓, 아일랜드, 머큐리, 인터스코프, 데카, 캐피틀, EMI
소속사 유니버설 뮤직 그룹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
재산 $480 Million (약 5천억 원)[2]
부모 스탠리 드와이트 시니어 (1925-1991)
실라 에일린 페어브라더 (1925-2017)
계부 프레더릭 페어브라더 (1922-2010)
배우자 레나테 블라우엘 (1953년생) / (1984-1988)
데이비드 제임스 퍼니시 (1962년생) / (2014-)
자녀 장남 재커리 잭슨 리번 퍼니시존 (2010년생)
차남 일라이자 조셉 대니얼 퍼니시존 (2013년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ejaflogo.pn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텀블러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 ||

1. 개요2. 생애
2.1. 1947~19692.2. 1970~19912.3. 1992~20092.4. 2010~
3. 음악 특징
3.1. 음악성3.2. 상업적 성공3.3. 버니 토핀3.4. 악기3.5. 의상3.6. 내한 공연
4. 그 외 활동
4.1. 왓포드 FC4.2. 자선 활동4.3. 개인사
5. 인간관계6. 대중매체에서7. 디스코그래피8. 필모그래피
[clearfix]

1. 개요

영국가수/작곡가, 피아니스트, 사회 운동가, 프로듀서, 기획자, 라디오 진행자, 왓포드 FC 前 회장이자 종신 명예 회장이다.

2. 생애

2.1. 1947~1969

1947년 3월 25일, 영국 런던(당시 미들섹스주) 피너에서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로 태어났다. 어머니 실라 에일린 해리스는 전직 공무원이었고 영국 공군 대위였던 아버지 스탠리 드와이트는 기악 밴드 '밥 밀러 앤 더 밀러멘'에서 트럼펫 연주자로 활동했었다. 3살부터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한 레지 드와이트는 1958년에 왕립음악원을 입학했으며 5년 뒤 중퇴했다.[3] 재즈, 트래디셔널 팝, 스키플 등 다양한 음악을 들으면서도 빌 헤일리 앤 히스 코메츠, 엘비스 프레슬리, 제리 리 루이스, 리틀 리처드 같은 뮤지션들의 로큰롤 음악에 매료하여 음악가의 꿈을 키웠다. 실라 해리스와 스탠리 드와이트는 1962년 이혼했고 스탠리 드와이트는 연구기술자 에드나 클라프와 재혼하여 4명의 아들을 두었다. 실라 해리스는 건축업자 프레더릭 페어브라더와 재혼했고 레지 드와이트는 어머니, 의붓아버지와 함께 지냈다.[4]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archive_006.jpg
1965년 블루솔로지, 가장 오른쪽이 레지 드와이트(엘튼 존)이다.
1962년, 레지 드와이트는 런던 노스우드 힐스 호텔의 술집에서 피아니스트로 고용되면서 자신이 쓴 곡들을 포함하여 컨트리와 블루스, 폴카, 전통 펍 음악 등 다양한 곡들을 연주했다. 같은 해에 친구들과 함께 R&B 밴드 '블루솔로지(Bluesology)'를 결성했고 밴드에서 키보디스트로 활동했다. 앞서 '콜벳스(The Corvettes)'라는 밴드를 결성했으나 블루솔로지로 재결성했다.[5] 레지 드와이트는 런던 웨스트엔드의 출판사 밀스 뮤직에서 1년간 배달원으로 일하면서도 블루솔로지와 함께 각종 유흥업소에서 공연을 하며 생계를 이어갔다. 블루솔로지는 패티 라벨 앤 더 블루 벨스, 아이즐리 브라더스 등 미국의 소울/R&B 뮤지션들의 공연들에서 백업 밴드로 활동했고, 1965년 7월 Come Back Baby, 1966년 2월 Mr. Frantic, 1967년 10월 Since I Found You Baby까지 세 장의 싱글들을 발매했다. 그러나 싱글들은 모두 상업적으로 실패했고 밴드 활동에 불만을 품었던 레지 드와이트는 1967년 12월 블루솔로지를 탈퇴했다.[6] 이후 블루솔로지는 1968년 해체되었다.

1967년 6월 17일자 NME 잡지에 실린 신인 작사/작곡가를 모집한다는 리버티 레코드의 구인 광고를 본 레지 드와이트는 해당 광고를 쓴 A&R 프로듀서 레이 윌리엄스에게 연락했고, 리버티 레코드에서 오디션을 봤다. 한편 같은 광고를 본 영국 링컨셔 출신의 작사가 버니 토핀은 직접 쓴 가사들을 레이 윌리엄스에게 보냈다.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의 잠재력을 느낀 레이 윌리엄스는 ScarecrowA Dandelion Dies in the Wind를 포함한 버니 토핀의 가사들을 레지 드와이트에게 전달했고, 레지 드와이트는 전달받은 가사들에 작곡한 곡들을 입히면서 버니 토핀과의 협업을 시작했다. 리버티 레코드는 당시 무명이었던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을 받아주지 않았지만 레이 윌리엄스는 사무적인 관계를 가졌던 사업가 딕 제임스의 음반사 DJM(Dick James Music) 레코드를 추천해 주며 도와주었다. 레지 드와이트와 버니 토핀은 DJM 레코드의 스튜디오에서 처음 만나기 전까지 서로의 얼굴도 모른 채 20곡 정도를 작곡했다. 그리고 1967년 11월, DJM 레코드와 계약을 맺었다.[7]
파일:external/si.wsj.net/BN-JI319_NYSCEN_P_20150710155018.jpg
엘튼 존과 버니 토핀 (1970년 영국 런던)
다른 이름으로 활동하기로 마음먹은 레지 드와이트는 블루솔로지의 색소포니스트였던 재즈 뮤지션 '엘튼' 딘(Elton Dean)의 이름, 블루솔로지와 함께 카바레 투어를 돌았던 영국의 블루스 가수 롱 '존' 볼드리(Long John Baldry)의 이름에서 각각 한 단어씩 가져온 예명 '엘튼 존(Elton John)'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1968년 3월 1일 발매한 솔로 데뷔 싱글 I've Been Loving You부터 이 예명을 사용했다. 한동안 예명으로 사용하다가 1972년 1월 7일, 레지널드 케네스 드와이트에서 '엘튼 허큘리스 존(Elton Hercules John)'으로 법적 개명했다. 중간 이름 허큘리스BBC의 1960-70년대 시트콤 〈스텝토 앤 선〉에 등장한 말(馬)의 이름에서 가져왔다.[8]

1968년부터 대중적인 팝 음악을 작업하라는 임무를 받은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다른 가수들에게 줄 곡들을 쓰는 작사/작곡가 직원으로 수개월간 일했다. 1967년 11월부터 1968년 5월까지 녹음한 첫 번째 앨범 Regimental Sgt. Zippo는 발매가 취소되었고 2021년 6월에 정규 34집으로 발매했다. 당시 수백 곡 이상 작곡했지만 대부분 발매하지 않았고 2020년 박스 세트 Elton: Jewel Box에 50곡 정도 수록했다.[9]

1969년 1월 발매한 싱글 Lady Samantha와 5월 발매한 후속 싱글 It's Me That You Need에 이어 정규 1집 Empty Sky를 6월 6일 발매했다. 그러나 《Empty Sky》는 앞서 발매한 두 싱글과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이 시기 엘튼 존은 동료 뮤지션들의 음반에 참여하는 세션 뮤지션으로도 활동했고, 각종 팝 히트곡들을 커버하며 저예산으로 작업되던 컴필레이션 앨범들에 참여했다. 1969년에 잠시 존재했던 기악 밴드 '브레드 앤 비어 밴드'와 팝 밴드 '아고시'에도 합류했다.[10]

2.2. 1970~1991

1967년과 1968년부터 음반 작업을 함께한 베이시스트 디 머리, 드러머 나이절 올슨과 함께 엘튼 존 밴드를 결성하여 1970년 봄부터 순회공연을 시작했다. 그해 8월 25일 미국 캘리포니아웨스트 할리우드의 트루버도어 클럽 공연을 시작으로 첫 번째 미국 순회공연을 진행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1970년 4월 발매한 정규 2집 Elton John은 영국 5위, 미국 빌보드 200 4위 등 기록했고 《Elton John》의 두 번째 싱글 Your Song은 영국 7위, 미국 빌보드 핫 100 8위 등 기록하며 세계 각지에서 차트 진입에 성공했다. 이어서 1970년 정규 3집 Tumbleweed Connection과 1971년 Friends 사운드트랙, 라이브 앨범 17-11-70, 정규 4집 Madman Across the Water까지 4장의 앨범들을 연속으로 발매했고 1971년 제13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3개 부문에 후보 지명되는 등 뮤지션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11]

1960년대 데뷔 초기에는 사이키델릭 록과 포크 팝의 영향을 받은 음악을 시도했고 1970년대 초기 앨범들에서는 컨트리 록/루츠 록과 심포닉 록을 시도했으며, 1972년 5월 발매한 정규 5집 Honky Château부터는 한층 대중적인 팝 록으로 전향했다. 1973년 10월 발매한 정규 7집이자 첫 번째 더블 앨범 Goodbye Yellow Brick Road는 전 세계적으로 3,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었다. 1975년 5월 발매한 정규 9집이자 1960년대 무명 시절을 다룬 자전적 앨범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는 빌보드 200 역사상 첫 번째 데뷔 1위 앨범이라는 기록을 세웠고, 동년 10월 발매한 정규 10집 Rock of the Westies는 두 번째 빌보드 200 데뷔 1위 기록을 세웠다. 《Honky Château》부터 《Rock of the Westies》까지 3년간 7장이 빌보드 200에서 연속으로 1위를 기록했다.[12]
파일:064939409e5d740951eb5a1a70a9f0c6.jpg
1974년 〈Caribou〉 순회공연에서
1970년대 초반부터 중반까지 Tiny Dancer, Levon, Rocket Man, Honky Cat, Crocodile Rock, Daniel,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Goodbye Yellow Brick Road, Step into Christmas, Candle in the Wind, Bennie and the Jets,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The Bitch Is Back, Philadelphia Freedom, Someone Saved My Life Tonight, Island Girl, 1973년 설립한 음반사 로켓 레코드 컴퍼니의 소속 가수였던 키키 디와 부른 Don't Go Breaking My Heart,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등 주요 히트곡들을 배출했다.

1975년 3월 개봉한 뮤지컬 영화 토미에 출연하여 '핀볼 위저드' 역을 맡으면서도 더 후의 1969년 곡 Pinball Wizard를 커버했다. 1975년 10월 23일에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입성했고, 10월 25일과 10월 26일 다저 스타디움에서 공연을 두 차례 열었을 때 10만 명 이상의 관객들이 참석했다. 당시 전 세계 음반 판매량의 2%가 엘튼 존의 몫이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을 정도로 수많은 인기를 구가하고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1970년대를 대표하는 뮤지션들 중 한 명이라는 평가를 받았다.[13] 그러나 수년간 쉴 새 없이 이어온 활동으로 인해 지쳐가고 있었다.[14]

1976년 10월 발매한 정규 11집이자 두 번째 더블 앨범 Blue Moves에서는 프로그레시브 록과 심포닉 록, 퓨전 음악 등 초기 앨범들처럼 실험적인 음악을 시도했다. 1977년에는 소울 앨범 The Thom Bell Sessions를 녹음했는데 1979년 6월에 EP로 발매했고, 1989년 2월에 정규 22집 The Complete Thom Bell Sessions로 발매했다.

1977년 11월 3일 웸블리 아레나에서 자선 공연을 열었을 때 공연 은퇴를 선언했지만 1978년 3월에 싱글 Ego를 발매하고 동년 10월에 정규 12집 A Single Man을 발매하면서 복귀했고, 1979년부터 은퇴 선언을 번복하고 다시 순회공연을 시작했다. 1979년 5월에는 이스라엘러시아를 방문하여 순회공연을 진행한 첫 번째 서구권 록 뮤지션들 중 하나로 이름을 올렸다.[15] 그 무렵 1967년부터 10년 가까이 쉬지 않고 작사/작곡 협업을 이어왔던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서로에게 약간의 자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잠시 갈라서기도 했다. 엘튼 존은 《A Single Man》부터 영국의 작사가이자 뮤지션 게리 오스본과 함께 몇 년간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고, 버니 토핀은 앨리스 쿠퍼멜리사 맨체스터 등 뮤지션들과 협업했다. 이후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1980년 정규 14집 21 at 33부터 다시 협업을 시작했다.[16]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Song for Guy, Mama Can't Buy You Love, Victim of Love, Little Jeannie, Nobody Wins, Blue Eyes,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I'm Still Standing, Sad Songs (Say So Much), That's What Friends Are For, Nikita, Heartache All Over the World, I Don't Wanna Go On with You Like That, Healing Hands, Sacrifice 등 다양한 히트곡들을 배출했고 정규 앨범도 꾸준히 발매했다. 이 시기에 발매한 대부분의 앨범들은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를 받으며 음악적으로 침체를 겪었으나, 1989년 8월 발매한 정규 23집 Sleeping with the Past부터 길었던 침체에서 벗어났다. 1991년 10월에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25주년을 기념한 헌정 앨범 Two Rooms: Celebrating the Songs of Elton John & Bernie Taupin이 발매되었다.

2.3. 1992~2009

1990년에 재활 치료를 받으며 알코올과 약물 중독에서 벗어났고, 1992년 6월 발매한 정규 24집 The One으로 복귀했다. You Gotta Love Someone, 조지 마이클과 부른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The One, The Last Song, Simple Life, 키키 디와 부른 콜 포터 커버곡 True Love, Believe, Made in England, Blessed, 루치아노 파바로티와 부른 Live Like Horses, 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 리앤 라임즈와 부른 Written in the Stars 등 히트곡들을 1990년대 후반까지 배출했고 1993년 정규 25집 Duets, 1995년 정규 26집 Made in England, 1997년 정규 27집 The Big Picture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4년 6월 개봉한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장편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에서 한스 짐머, 팀 라이스와 함께 음악을 맡았고, 라이온 킹/사운드트랙과 주제가 Circle of Life, 삽입곡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모두 큰 성공을 거두었다. 사운드트랙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1,5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었다. 1995년 제67회 아카데미 시상식과 제52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으로 주제가상을 수상했다. 이후 팀 라이스와 함께 원작 애니메이션을 재구성한 1997년 뮤지컬이자 역사상 가장 높은 흥행을 거둔 디즈니 시어트리컬 프로덕션의 뮤지컬 라이온 킹주세페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를 재구성한 1998년 아이다 뮤지컬, 2000년 3월 개봉한 드림웍스 애니메이션의 장편 애니메이션 엘도라도에서도 음악을 맡으며 수년간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다.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b5d70b436c2a9f5a8ff3ed62b917eeb4.jpg
엘튼 존 (1992년 프랑스 파리)
절친한 사이였던 다이애나 스펜서가 1997년 8월 31일 프랑스 파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하고 며칠 뒤, 1973년 곡 "Candle in the Wind"를 다이애나 스펜서를 추모하는 Candle in the Wind 1997으로 개사했다. 이 개사한 곡을 그해 9월 6일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거행된 장례식에서 불렀고, 9월 13일 "Something About the Way You Look Tonight"과 함께 더블 싱글로 발매했다. 이 더블 싱글은 전 세계적으로 1위를 기록했고 3,3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되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5,000만 장 이상의 판매량이 집계된 빙 크로스비의 1942년 곡 White Christmas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싱글이자 가장 빠르게 팔린 싱글로 집계되었고 2007년 기네스북에도 등재되었다.[17]

1996년 '음악과 자선 활동에 헌신한 공적'을 인정받아 대영제국 훈장 3등급(CBE)을 받았다. 1998년 신년 서훈 명단에 역시 음악과 자선 활동 공훈으로 기사작위(Knight Bachelor) 대상자에 오르며 기사작위를 받았다. 2020년에는 영국 1.5등급 훈장에 해당하는 서훈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를 받았다.[18]

1999년에는 〈아이다〉 뮤지컬의 콘셉트 앨범 Elton John and Tim Rice's Aida와 코미디 영화 〈뮤즈〉의 사운드트랙 The Muse를 발매했고 2000년에는 애니메이션 〈엘도라도〉의 사운드트랙 앨범 The Road to El Dorado를 발매하는 등 사운드트랙 작업에 매진했다. 2000년 영화 빌리 엘리어트를 재구성한 2005년 뮤지컬 빌리 엘리어트에서 해당 영화의 작가 리 홀과 함께 음악을 맡았고, 앤 라이스뱀파이어 연대기를 재구성한 2005년 레스타 뮤지컬에서는 버니 토핀과 함께 음악을 맡았다. 〈아이다〉와 〈빌리 엘리어트〉는 호평을 받았고 세계적으로 흥행에도 성공한 반면, 〈레스타〉는 혹평을 받았고 흥행 실패로 일찍이 막을 내렸다.

2001년 10월 발매한 정규 28집 Songs from the West Coast부터는 초기 작품들처럼 피아노와 밴드 연주에 초점을 맞춘 음악을 하기 시작했다. I Want Love, This Train Don't Stop There Anymore, Original Sin, 이탈리아의 팝페라 가수 알레산드로 사피나와 부른 Your Song, 블루와 부른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Are You Ready for Love 리믹스 곡, All That I'm Allowed, Ghetto Gospel, Electricity, Tiny Dancer (Hold Me Closer) 등 각종 히트곡들을 2000년대 후반까지 배출했다. 《Captain Fantastic and the Brown Dirt Cowboy》의 후속 앨범이자 정규 30집 The Captain & the Kid를 2006년 9월 발매했다.

2.4. 2010~

미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엘튼 존의 우상들 중 한 명인 리언 러셀과 함께 작업한 앨범이자 정규 31집 The Union을 2010년 10월 발매했고,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빌보드 200에서 3위를 기록하며 1997년 정규 27집 The Big Picture 이후로 13년 만에 미국에서 10위권 진입한 정규 앨범이자, 1976년 정규 11집 Blue Moves 이후로 34년 만에 5위권 진입한 정규 앨범이 되었다. 이후 발매한 2013년 정규 32집 The Diving Board, 2016년 정규 33집 Wonderful Crazy Night도 좋은 반응을 얻었고 리언 러셀과 함께 부른 곡들 If It Wasn't for Bad, Hey Ahab, 솔로 곡들 Home Again, Looking Up, A Good Heart 등 곡들을 싱글로 발매했다.

호주의 댄스 뮤직 그룹 '파나우(Pnau)'는 1969년부터 1977년까지의 엘튼 존 곡들을 신스팝누디스코 음악으로 리믹스한 앨범 Good Morning to the Night을 2012년 7월 발매했다. 《Good Morning to the Night》은 영국에서 데뷔 1위를 기록했고 타이틀 트랙 Good Morning to the NightSad를 싱글로 발매했다. 이후 파나우는 2020년부터 두 번째 리믹스 작업을 했고 두아 리파가 참여한 곡 Cold Heart를 2021년 싱글로 발매했다.[19] 이 곡은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파일:external/2.bp.blogspot.com/eltonbernieleon.jpg
버니 토핀, 엘튼 존, 리언 러셀 (2010년 5월 5일 로스앤젤레스)
2011년에는 매니지먼트 회사 로켓 뮤직 엔터테인먼트 그룹을 설립했다. 그해 2월에는 로켓 픽처스, 터치스톤 픽처스 제작 및 배급을 맡은 장편 애니메이션 노미오와 줄리엣이 개봉했고, 버니 토핀과 함께 쓴 주제가 Hello, Hello레이디 가가와 함께 불렀다. 2018년 3월 개봉한 후속편 셜록 놈즈에서도 버니 토핀과 함께 음악을 맡았다. 2015년 7월부터 애플 뮤직에서 라디오 방송 '로켓 아워'를 진행하면서 다양한 음악을 재생하고 칭찬을 아끼지 않는 편이며, 노엘 갤러거, 데이먼 알반, 올리 알렉산더, 리나 사와야마, 찰리 푸스, 로열 블러드, 줄리안 레논 등 뮤지션들과 인터뷰도 자주 가졌다. 2018년에는 인디 록 밴드 세이수미를 소개했다.[20]

2018년 1월, 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를 끝으로 투어 활동에서 은퇴하겠다고 선언했다. 〈Farewell Yellow Brick Road〉는 2018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고관절 수술 회복으로 인해 후반기 공연 일정들이 2022년 1월부터 2023년 7월까지 연기되었고, 2023년 7월 8일 스웨덴 스톡홀름 공연을 끝으로 투어 활동에서 은퇴했다. 엘튼 존은 마지막 투어를 마치고 나서 다시 공연을 하게 된다면 자주 부르지 않은 곡들로 구성된 특별한 공연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21] 2018년에는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의 협업 50주년을 기념한 헌정 앨범들 RevampRestoration이 발매되었다.
파일:elton-john-golden-globe-1578277773-640x439.jpg
2020년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 참석한 엘튼 존
뮤지컬 전기 영화 로켓맨이 2019년 5월 22일(영국), 5월 31일(미국), 6월 5일(한국) 개봉했다. 버니 토핀이 작사하고 엘튼 존이 작곡한 주제가 (I'm Gonna) Love Me Again은 영화에서 엘튼 존 역을 맡은 태런 에저턴과 불렀다. 엘튼 존과 버니 토핀은 이 주제가로 2020년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주제가상을 수상했고, 태런 에저턴은 이 영화로 골든 글로브 뮤지컬/코미디 부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19년 7월 개봉한 라이온 킹 실사 영화에 참여하여 팀 라이스와 함께 엔드 크레딧 삽입곡 Never Too Late를 작곡했고, 동년 10월에는 자서전 〈Me〉를 출간했다. 이후 자서전은 2020년 10월에 증보판으로 재출간했다.[22]

2010년대 중-후반부터 2022년까지 엘튼 존은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샤이나 타부와 함께 로렌 와이스버거의 2003년 소설 및 2006년 영화를 재구성한 2022년 뮤지컬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음악을 작곡했고, 미국의 팝 록 밴드 '시저 시스터즈'의 멤버이자 싱어송라이터 제이크 셰어스와 함께 미국의 전도사이자 LGBT 인권 운동가 태미 페이 메스너(1942~2007)의 삶을 다룬 2022년 뮤지컬 〈태미 페이〉 음악을 작곡했다.[23]

코로나19로 인해 〈Farewell Yellow Brick Road〉의 후반기 일정들을 연기했을 때 작업한 합동 앨범이자 정규 35집 The Lockdown Sessions를 2021년 10월에 발매했다. 두아 리파가 참여한 파나우의 리믹스 곡 "Cold Heart", 찰리 푸스와 함께 쓰고 부른 After All, 스티비 원더와 부른 Finish Line, 에드 시런과 함께 쓰고 부른 크리스마스 곡 Merry Christmas, 브리트니 스피어스가 참여한 리믹스 곡 Hold Me Closer 등 다양한 곡들을 2020년대 초반에 발매했다.

3. 음악 특징

3.1. 음악성

클래식, 로큰롤, 소울, 블루스, 가스펠의 영향을 받으며 종합시키고, 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피아노가 중심을 이루는 음악이 특징이다. 사이키델릭 록, 프로그레시브 록, 글램 록, 하드 록, 포크 록, 컨트리 록, R&B, 재즈, 뉴 웨이브, 레게, 디스코, 필라델피아 소울, 라틴 팝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하면서도 단기간 내 수많은 작품을 만들어내는 창작력으로 대중성과 상업성을 유지하고 있다. 활동 초기에는 테너 창법이었고 1970년대 후반부터 소울에 한층 가까운 음색으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1986년 성대결절로 인해 1987년에 성대 수술을 받았고, 그 이후에도 수술 이전의 창법을 유지했으나 1990년대부터 바리톤으로 창법을 바꾸었다.[24]

1960년대 무명 시절에 직접 가사를 쓴 곡들만 해도 십수 곡 정도 있고 인기스타 반열에 오른 이후에도 작사에 참여한 경우도 있지만, (The Witch’s House, I've Been Loving You, Border Song,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The Goaldiggers Song, Flinstone Boy, Memory of Love 등) 일반적으로 가사는 작사가에게 맡기고, 작곡과 연주를 맡으며 음악 그 자체에만 집중한다. 그래서 엘튼 존은 싱어송라이터보다는 '가수/작곡가(singer and composer)'로 분류된다. 버니 토핀과 팀 라이스, 리 홀 등 작사가들이 쓴 가사를 보며 20~30분 이내에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작곡하고 녹음도 신속히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5]

3.2. 상업적 성공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둔 뮤지션들 중 한 명이다. 2억 장 이상의 음반 판매량, 추정치로 2억 5천만 장에서 3억 장에 이르는 음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음반을 판매한 영국 솔로 뮤지션이다. 가장 많은 판매량이 집계된 앨범들로 1973년 정규 7집 Goodbye Yellow Brick Road(3,000만 장)와 1974년 컴필레이션 앨범 Grestest Hits(2,400만 장)가 있고, 가장 많이 팔린 싱글로는 1997년 곡 Candle in the Wind 1997(3,300만 장)이 있다.

빌보드가 선정한 시대별 아이콘에서 1970년대 아이콘으로 엘튼 존을 선정했고, 빌보드 200에서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200선에서 5위, 빌보드 핫 100 100선에서 3위에 선정했다. 빌보드 125주년 기념 올타임 아티스트 125선에서 3위, 빌보드 핫 100 60주년 기념 남성 아티스트 60선에서 1위에 선정했다.[26]

3.3. 버니 토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Elton_John_Bernie_Taupin_1971.jpg파일:external/a.abcnews.com/GTY-elton-john-bernie-taupin-jt-170316_12x5_1600.jpg
버니 토핀과 엘튼 존 (1971년) 버니 토핀과 엘튼 존 (2017년)
영국의 작사가 버니 토핀과는 1967년부터 장기간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룬 음악적 동반자이자 형제 같은 친구이다. '존-토핀'은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작사/작곡 콤비들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7] 엘튼 존은 팀 라이스와 게리 오스본 등 다양한 작사가들과 함께 작사/작곡 협업을 이루었지만 대부분의 작품들은 버니 토핀과 함께 작업했다. 버니 토핀은 자신들의 인생을 묘사한 자전적 가사와 미국 대중문화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각종 상상력을 담은 가사, 사회·정치적인 가사, 실존 인물의 삶을 다룬 가사 등 다양한 가사를 작사했다. 두 사람은 서로 성적으로 엮은 일도 없었을뿐더러, 음악 활동을 하면서 언쟁을 벌인 적도 없다고 밝혔다. 버니 토핀은 여성과 결혼만 네 차례 한 적 있는 이성애자이며, 2004년 재혼 이후로 두 딸을 두며 60대에 두 아들을 둔 엘튼 존과 마찬가지로 가정에 헌신한 걸로 알려졌다.[28]

버니 토핀이 먼저 가사를 쓰고 나서 엘튼 존에게 전달했고, 엘튼 존은 완성된 가사를 보며 피아노를 연주하면서 신속히 곡을 작곡했다. 버니 토핀은 작사만 맡고, 엘튼 존은 작곡만 맡으며 작사/작곡 영역이 각각 나눠져 있다. 엘튼 존이 작사에 참여한 적은 있었어도 버니 토핀이 작곡에 참여한 경우는 없다. 두 사람은 같은 장소에 있어도 각각 다른 방에서 곡들을 작업했고, 다른 지역에 있을 때는 버니 토핀이 가사를 엘튼 존에게 팩스 또는 이메일로 보내는 식으로 작업했다.[29]

3.4. 악기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million1.jpg
2011년 〈The Million Dollar Piano〉 공연에서 야마하 피아노를 연주하는 엘튼 존
클래식 음악과 가스펠, 블루스, 로큰롤의 영향을 받아 풍부한 화음을 넣으며 건반을 거세게 내리치고, 아르페지오와 브로큰 코드, 블루스 릭 위주의 화려한 피아노 연주법을 가지고 있다.[30] 공연에서는 Take Me to the Pilot, Burn Down the Mission, Levon, Honky Cat, Rocket Man, Bennie and the Jets, Mona Lisas and Mad Hatters (Part Two) 같은 곡들에 즉흥 연주를 덧붙이며 길게 연주했고, 대부분의 곡들에서 각종 꾸밈음을 추가했다. 앨범을 녹음했을 때는 피아노 이외에도 오르간하프시코드, 펜더 로즈 일렉트릭 피아노, 신시사이저, 멜로트론, 호너 클라비넷, ARP 스트링 앙상블 등 다양한 건반 악기를 연주했다.[31]

1970년부터 1986년까지의 대부분 공연들에서는 스타인웨이앤드선스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했고, 1988년부터 1993년까지 롤랜드 RD-1000 디지털 피아노를 연주했고, 1993년부터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1976년과 1986년 공연들에서는 어쿠스틱 기타를 연주한 적 있다.[32]

3.5. 의상

파일:external/www.eltonjohn.com/onStage_005.jpg파일:external/www.eltonjohn.com/1986b.jpg
1974년 〈Caribou〉 순회공연의 깃털 의상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공연의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의상
화려한 의상과 수많은 선글라스 및 안경으로 유명하다. 공연 중 피아노를 과격하게 연주하다가 의자를 걷어차고 폴짝 뛰거나, 피아노 위로 올라가는 쇼맨십을 1970년대부터 십수 년간 선보였다. 10대 때 우연히 버디 홀리의 모습을 보고 감명을 받은 계기로 안경을 쓰기 시작했다. 피아노는 매우 무거운 악기라서 연주를 하게 되면 항상 앉아만 있는 등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쇼맨십을 선보였고, 피아노 위에 발을 올리던 리틀 리처드와 피아노 위에서 뛰어내리던 제리 리 루이스를 보며 자랐기에 그에 버금가면서도 차별성이 있는 무언가를 선보이고 싶었다고 설명했다.[33]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는 콘택트렌즈를 착용했다.[34]

3.6. 내한 공연

2004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셋리스트
1. The Bitch Is Back
2. Bennie and the Jets
3. Levon
4. Daniel
5. Someone Saved My Life Tonight
6. Philadelphia Freedom
7. Rocket Man
8.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9. Singin' in the Rain
10. I Want Love
11. Tiny Dancer
12. Take Me to the Pilot
13.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14. Sacrifice
15. Candle in the Wind
16.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17. Are You Ready for Love
18. I'm Still Standing
19.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20. Crocodile Rock
21. Pinball Wizard
22. Your Song
23. Can You Feel the Love Tonight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베이스, 백 보컬 - 밥 버치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
키보드 - 가이 바빌론
}}}}}}}}} ||
내한 공연은 1989년 12월 16일과 17일 잠실 체조경기장에서 추진될 예정이었으나 취소되었고, 2004년 9월 17일 서울 올림픽 주 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공연은 SBS에서 기획을 했고 엘튼 존 측과 협의하에 카메라를 동원해 실황을 촬영하여 그다음 주인 추석 연휴 중에 녹화했고, 이날 부른 23곡 중에서 Rocket Man, Take Me to the Pilot,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I Want Love 등 8곡을 편집하여 15곡만 수록한 공연 실황 영상을 특집으로 방영했다.[35]

당일 날씨가 대체로 흐렸던 데다 공연 초반에 부슬비가 잠시 내렸다. 올림픽 주 경기장은 지붕으로 덮는 형태의 돔 스타디움이 아니기 때문에 운동장 쪽에 위치한 앞 좌석 쪽은 비를 피할 지붕 같은 게 없었다. 엘튼 존은 즉석에서 Singin' in the Rain을 연주하며 관객들의 폭소를 자아낸 덕분에 분위기가 진정될 수 있었고 이후 비는 그쳤다. 당시 모든 관객은 좌석에 앉아서 공연을 감상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공연 중반부부터 분위기가 달아오르더니 무대 위치상 거의 앞자리를 차지했던 VIP 및 A 구역 관객들이 무대 앞 공간에 우르르 몰려들면서 스탠딩 공연이 되어버렸다. Crocodile Rock을 불렀을 때 관객이 무대로 던진 전통 부채를 들고 관중들의 제창을 유도하는 등 모습을 보여주었다. Your Song을 부르기 앞서 다음번에는 실내에서 공연하겠다고 말했는데, 2012년 공연은 실내에서 진행했다.[36]
2012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셋리스트
1. The Bitch Is Back
2. Bennie and the Jets
3. Grey Seal
4. Levon
5. Tiny Dancer
6. Believe
7. Mona Lisas and Mad Hatters
8. Philadelphia Freedom
9. Candle in the Wind
10. Goodbye Yellow Brick Road
11. Rocket Man
12. Hey Ahab
13.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14. Funeral for a Friend/Love Lies Bleeding
15. Honky Cat
16. Sad Songs (Say So Much)
17. Daniel
18. Sorry Seems to Be the Hardest Word
19. Nikita
20.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21. I'm Still Standing
22. Crocodile Rock
23.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24. Your Song
25. Circle of Life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베이스, 백 보컬 - 맷 비저넷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
키보드 - 킴 불러드
첼로 - 투첼로스
백 보컬 - 타타 베가, 로즈 스톤, 리사 스톤, 진 존슨 위더스푼
}}}}}}}}} ||
2008년에 두 번째 내한 공연이 성사될 예정이었지만 무산되었다. 2012년 11월 27일 서울과 11월 29일 부산에서 두 번째 내한 공연이 잡혔다. 그러나 부산 벡스코 공연은 취소되었고, 11월 27일 서울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만 공연했다.[37]
2015년 공연 셋리스트 및 공연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The Bitch Is Back
2. Bennie and the Jets
3. Candle in the Wind
4. Levon
5. Tiny Dancer
6. Daniel
7. Philadelphia Freedom
8. Goodbye Yellow Brick Road
9. Rocket Man
10. I Guess That's Why They Call It the Blues
11. The One
12. Your Song
13. Sad Songs (Say So Much)
14. Don't Let the Sun Go Down on Me
15. I'm Still Standing
16. Your Sister Can't Twist (But She Can Rock n' Roll)
17. Saturday Night's Alright for Fighting
18. Crocodile Rock
엘튼 존 밴드
보컬, 피아노 - 엘튼 존
기타, 백 보컬 - 데이비 존스턴
베이스, 백 보컬 - 맷 비저넷
드럼, 백 보컬 - 나이절 올슨
퍼커션, 백 보컬 - 존 메이혼
키보드 - 킴 불러드
}}}}}}}}} ||
2015년 11월 27일, 세 번째 내한 공연은 서울 한남동의 소규모 공연장인 현대카드 언더스테이지에서 500명 관객을 대상으로 열렸다. 이런 형태의 공연은 2015년 〈All the Hits〉 투어가 진행된 세계 40여 개 도시 중에서도 유일했다. 전석 스탠딩이었고, 〈All the Hits〉 투어의 평균 셋리스트인 24곡 중에서 6곡을 제외하고 18곡만 불렀다. 공연 하루 전에는 윤하, 윤종신, 김수로 등 연예인들과 일부 관객을 대상으로 한 프라이빗 공연을 열었다. 한국을 방문한 김에 자신이 주주로 있는 코코넛 제품 브랜드 '잭스코코' 사업 등을 논의하고자 홍콩에 있는 잭스코코 본사에서 잭스코코 코리아를 설립한 박진영과 일정을 조율하기도 했다.[38]

4. 그 외 활동

4.1. 왓포드 FC

4.2. 자선 활동

4.3. 개인사

5. 인간관계

파일:elton_john_lennon.jpg파일:elton_john_paul_mccartney.jpg파일:elton-john-george-harrison.jpg파일:elton john_ringo starr.jpg
존 레논 (1974년) 폴/린다 매카트니 (1971년) 조지 해리슨 (1987년) 링고 스타 (1975년)

6. 대중매체에서

7. 디스코그래피

7.1. 음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엘튼 존/음반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문서가 분리된 곡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엘튼 존 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3. 영미 차트 성적

8. 필모그래피

영화
* 1972년 《본 투 부기》 - 본인
* 1975년 《토미》 - 핀볼 위저드
* 1997년 《스파이스 월드》 - 본인
* 2002년 《컨트리 베어스》 - 정원사
* 2009년 《브루노》 - 본인
* 2017년 《킹스맨: 골든 서클》 - 본인

음악 및 기획
* 1970년 《더 게임스》 - From Denver to L.A.
* 1971년 《프렌즈》 - 음악
* 1975년 《토미》 - Pinball Wizard
* 1982년 《해변의 연인들》 - Take Me Down to the Ocean
* 1989년 《고스트버스터즈 2》 - Love Is a Cannibal
* 1990년 《폭풍의 질주》 - You Gotta Love Someone
* 1990년 《록키 5》 - "The Measure of a Man"
* 1992년 《푸른 골짜기》 - Some Other World
* 1992년 《리썰 웨폰 3》 - Runaway Train (엘튼 존/에릭 클랩튼)
* 1994년 《라이온 킹》 - 음악
* 1999년 《뮤즈》 - 음악
* 2000년 《엘도라도》 - 음악
* 2001년 《위민 토킹 더티》 - 기획, "Sofa Love"
* 2003년 《모나리자 스마일》 - "The Heart of Every Girl"
* 2008년 《오스트레일리아》 - "The Drover's Ballad"
* 2011년 《노미오와 줄리엣》 - 음악, 기획
* 2017년 《아메리칸 에픽》 - "2 Fingers of Whiskey" (엘튼 존/잭 화이트)
* 2018년 《셜록 놈즈》 - 음악, 기획
* 2019년 《로켓맨》 - 기획, 음악
* 2019년 《라이온 킹》 - 음악

[1] 다만 데이비드 베컴의 자녀에 대한 성공회 유아세례식에서 대부모로 서준 에피소드를 미루어보면 명목상으로는 성공회 신자로 보인다.[2] Elton John Net Worth | TheRichest[3]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4 페이지
Sir Elton: The Definitive Biography, 17 페이지
Elton John: The Biography, 17~18 / 29~33 페이지
Sixty things for Sir Elton's 60th
[4] Elton John: The Biography, 27 페이지[5] His Song: The Musical Journey of Elton John, 6~7 페이지
Elton John: The Biography, 30~33 / 39 페이지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70 페이지
[6] 자서전 Me, 7 페이지[7] The Ad That Rocketed Two Careers…50 Years On, 1997년 10월 4일 빌보드
EJ BT Interview 1990,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Prologue: Young Man’s Blues (1947-1969)
[8] 엘튼 존의 1972년 연대기, 증명사진
The London Gazette, 11th January 1972
Elton John: The Biography, 75 / 137~138 페이지
[9] Elton: Jewel Box 라이너 노트
Tin Pan Alley: The Rise of Elton John, 110~120 페이지
Elton John: The Biography, 80~83 페이지
[10] 엘튼 존이 참여한 다른 가수들의 음반들, '세션 뮤지션 활동' 관련 정보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1: It's A Little Bit Funny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12~13 페이지
[11] The Troubadour - 50 Years On, 1971년 그래미 어워드[12] Elton John: On the Yellow Brick Road, Elton John: “Goodbye Yellow Brick Road” (1973)
엘튼 존의 빌보드 차트 역사, Elton Expands 'Captain Fantastic' With Live Tracks
FEATURES‘Rock Of The Westies’: Yet Another Peak In Elton John’s Stunning Career
[13] Elton John - Hollywood Walk of Fame in 1975, Dodger Stadium 1975 – Game On!
관련 자료: 엘튼 존의 1975년 행적 1부, 엘튼 존의 1975년 행적 2부, Elton John - A Very Special Popular Music Artist
[14] 자서전 Me, 141~142 페이지
How an 'Exhausted' Elton John Still Hit No. 1 With 'Island Girl'
[15] Elton’s 1979 Tour of the USSR – A Look Back, 이스라엘 공연 셋리스트, 러시아 공연 셋리스트[16]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36: Back in the U.S.S.A.[17] Guinness Book of Records, 2007 Edition, 187 페이지[18] 런던 가제트, 페이지 9, 런던 가제트, 페이지 2
엘튼 존 인스타그램의 축하 게시글
[19] Pnau and Sir Elton are Teaming Up Again
Pnau’s Nick Littlemore Talks Elton John Collaboration, New Empire of The Sun Music
[20] A Guide to “Elton John’s Rocket Hour” on Beats 1 Radio, ‎Rocket Hour on Apple Music
“끝내주죠” 엘튼 존-해외 매체가 극찬한 부산 밴드 ‘세이수미’
[21] 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 발표 영상 (2018년 1월 24일 뉴욕 고담홀)
Farewell Yellow Brick Road 투어 상세 정보, An Evening with Elton John
[22] 'Me' by Elton John, House: Songwriter Previews New Chapter in Paperback Edition of Me[23] Jake Shears Writing Lyrics for Elton
The Devil Wears Prada - Broadway In Chicago
Elton John Is Bringing a Tammy Faye Musical to the London Stage
[24] 1965년부터 2013년까지의 보컬 변천사
E2부터 D6까지의 곡들 음역대 모음
[25] Elton John: In His Own Words, 35 페이지
Elton John: The Biography, 144 페이지
[26] 빌보드 집계 각 시대 최고 가수들,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200선,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100선
빌보드 올타임 아티스트 125선, 남성 아티스트 60선
[27] 관련 자료: The 10 greatest songwriting partnerships ever, ranked[28] 2017년 11월 12일 BBC Radio 2 인터뷰
Bernie Taupin Recalls the Start of His Friendship with Elton John: 'We Were All Each Other Had'
[29] He’s a Little Bit Funny: Elton John, or how to survive twenty-five years at the top[30] 관련 자료: Best Rock n Roll Pianists top 10, The 15 greatest rock'n'roll pianists... Ever!
관련 자료: Here’s why Elton John is a piano genius
[31] 1~3집, 5~9집, 11~12집, 16~21집, 23~29집, 34~35집 라이너 노트[32] 1976년 8월 7일 미국 버펄로 공연: Love Song (어쿠스틱 기타) / 1986년 8월 21일 미국 캔자스시티 공연: Love Song (어쿠스틱 기타)
1986년 12월 14일 호주 시드니 공연: Bennie and the Jets (스타인웨이 그랜드 피아노)
1989년 6월 6일 영국 방송 공연: Sad Songs (Say So Much) (롤랜드 RD-1000 디지털 피아노)
1994년 9월 22일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연: Levon (야마하 그랜드 피아노)
[33] The Union 다큐멘터리 (2011)
Elton John The Nation's Favourite Song (2017)
[34] Elton John: The Biography, 31 페이지
Captain Fantastic: The Definitive Biography of Elton John in The '70s, 챕터 33: Ego
[35] 1989년 8월 29일자 동아일보 기사
2004년 9월 17일 공연 영상
[36] Singin' in the Rain (2004년 9월 17일 서울)
Crocodile Rock (2004년 9월 17일 서울)
Your Song (2004년 9월 17일 서울)
[37] Elton Coming to South Korea
엘튼 존, 부산 공연 취소! 서울 내한 공연은 예정대로
[38] 엘튼 존 한국 온다…다음달 27일 소극장 공연, (리뷰) 엘튼 존 500명 소극장 콘서트, 오디세이아 쓰다
윤종신, 엘튼 존과 함께 한 놀라운 밤~, 내한하는 엘튼 존, 박진영 만난다…"코코넛 사업 논의"
[39] 엘튼 존 홈페이지의 '왓포드' 관련 정보, [이성모의 영국축구 이야기 06] 엘튼 존과 왓포드 FC의 '우정' 이야기
Elton John: The Biography, 214~215 페이지
[40] 엘튼 존 에이즈 재단, 엘튼 존 홈페이지의 '자선 활동' 관련 정보[41] Elton John Oscar Party Raises Almost 6 Million For Fight Against AIDS
25 Years of Elton John's Oscar Parties: An In-Depth History
[42] Elton John goes back to his musical roots with his long-lost pop idol, Leon Russell
The Story of Elton John’s 1975 Suicide Attempt
로켓맨 - 1975년 자살 시도 장면, 로켓맨 - 1968년 자살 시도 삭제 장면
[43] 1976년 10월 롤링 스톤, The Seductions of Biography, 23 페이지, 29 페이지
Unforgettable People (VI): Renate Blauel
[44] Elton John: The Biography, 305~309 페이지
자서전 Me, 200~203 페이지
[45] How Elton John Found Long-Term Recovery from Cocaine, Elton John's Past Struggles With Drugs and Alcohol
Elton John: The Biography, 317 페이지, 엘튼 존과 라이언 화이트의 우정
[46] 10 Years Ago: Elton John and David Furnish Make It Legal, Sir Elton John and David Furnish marry
데이비드 퍼니시 인터뷰 (2022년 1월 5일), 자서전 Me, 320~325 페이지
Elton John's Sons Make Rare Appearance at Oscars Viewing Party with Godmother Lady Gaga
[47] Why Elton John can't let go of the 'son' he had to leave behind[48]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42 페이지
자서전 Me, 145~147 페이지
[49] Elton John: The Biography, 21~22 / 86~87 / 125 / 357 페이지
Elton John Has Over 130,000 CDs And Vinyl Records So When Are We Coming Over
[50] 관련 자료: John Lennon Elton John: Were Beatles star and Sir Elton friends? 'Whirlwind romance'[51] Elton John: In His Own Words, 107 페이지
Rocket Man: Elton John From A-Z, 95 페이지
Rod Stewart and Elton John text each other to compare album sales as part of rivalry
[52] Elton John shares beautiful story about Freddie Mercury's battle with AIDS
Freddie Mercury's heartbreaking final note for pal Elton John days before he died
[53] Inside Elton John and Princess Diana's close friendship
관련 자료: Inside Princess Diana and Elton John's Tight — but Often Complicated — Friendship
[54] Flashback: Eminem and Elton John Join Forces at the 2001 Grammys
'Eminem Was Never Homophobic': How Elton John Helped Rap's Biggest Star
2017년 12월 인터뷰, 2018년 10월 인터뷰
Eminem: Elton John got me off drugs
[55] 오스본 패밀리 시즌4 6회 (2005)
GQ 2021년 3월 인터뷰
[56] IMDb - 더 머펫 쇼 시즌 2 에피소드 14 관련 정보
1977: Goaldigger's Chronology, Jim Henson: The Biography
Leon "Doctor" Eltonjohn Dontshoot (The Piano Player)
[57] 트레이 파커 인터뷰[58] 이 대사는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에서 에그시가 틸디 공주를 구출할 때 했던 대사의 오마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