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23:37:54

글램 록


록 음악의 역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 팀 버클리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 아이언 버터플라이 · 팀 버클리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MGMT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 팀 버클리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레드 제플린 · 크림 · 야드버즈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 재니스 조플린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딥 퍼플 · AC/DC · 에어로스미스 · · 키스 · 밴 헤일런 · 스콜피온즈 · 건즈 앤 로지스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 보스턴
아트 록 비틀즈데이비드 보위벨벳 언더그라운드비치 보이스록시 뮤직프랭크 자파토킹 헤즈라디오헤드세인트 빈센트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팝 록 비틀즈 · 비치 보이스 · 폴 매카트니빌리 조엘U2 · 플리트우드 맥더 폴리스 · 폴 사이먼 · 시카고 · 오아시스 · 트레인 · · 콜드플레이 · 원리퍼블릭켈리 클락슨해리 스타일스
소프트 록 비틀즈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카펜터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로드 스튜어트 · 피터 가브리엘 ·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쟁글 팝 버즈콕스 · 스미스 · R.E.M. · 벨 앤 세바스찬 · 더 페인스 오브 빙 퓨어 앳 하트
아레나 록 레드 제플린저니U2본 조비보스턴건즈 앤 로지스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 오지 오스본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유럽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키스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슬레이어 · 앤스랙스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 엠페러 · 임모탈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 오비츄어리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둠 메탈 캔들메스 · 커씨드럴
프로그레시브 메탈 드림 시어터 · 러시 · · 크림슨 글로리 · 더 마스 볼타 · 퀸즈라이크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 · 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심포닉 메탈 나이트위시 · 다크무어 · 세리온 · 크레이들 오브 필스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 드라우닝 풀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버즈콕스 · 그린 데이 · 에이브릴 라빈 · Sum 41 · 오프스프링 · 블링크-182 · mgk · 뉴 파운드 글로리 · 심플 플랜
이모 Sunny Day Real Estate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폴 아웃 보이 · 파라모어 · 지미 잇 월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유투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 페어 우부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티어스 포 피어스 · 펫 샵 보이즈 · 엘비스 코스텔로 · 블론디 · 더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게리 뉴먼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펫 샵 보이즈 · 뉴 오더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알이엠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즈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 쓰리 데이즈 그레이스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 버브
포스트 브릿팝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알이엠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 더 디스멤버먼트 플랜 ·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라디오헤드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토터즈 · 시규어 로스 · 톡 톡 · 바크 사이코시스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스토너 록 · 일렉트로닉 록 · 댄스 록 · 라가 록 · 일본 록 · 매스 록 · 스페이스 록 · 슬로코어 · 하이퍼 록 }}}}}}}}}
글램 록
Glam Rock
<colbgcolor=#000><colcolor=#d4af37> 기원 장르 로큰롤, 버블검 팝, 아트 록, 하드 록, 사이키델릭 록
지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등장 시기 1970년대 초반
시초작 노래 Hot Love (1971.2.12. 티렉스)
앨범 Electric Warrior (1971.9.24. 티렉스)
시대 1960년대 후반 – 2000년[1]
전성기 1970년대 초반 – 1970년 후반
사용 악기 보컬, 일렉트릭 기타, 베이스 기타, 드럼, 피아노, 키보드, 색소폰, 신디사이저
파생 장르 펑크 록, 고딕 록, 포스트 펑크, 뉴 로맨틱, 비주얼계
퓨전 장르 글램 펑크, 글램 메탈
관련 장르 하드 록, 프로토 펑크, 아트 록
대표 음악가 티렉스, 데이비드 보위, 록시 뮤직

1. 개요2. 특징3. 역사4. 영향5. 평가6. 주요 아티스트7. 참고 자료

1. 개요

1970년대 영국유럽에서 유행하던 록 음악의 장르. 글리터 록(Glitter rock) 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글램 록으로 알려진 글램 록(Glam Rock)은 1970년대 초반 영국에서 등장한 록 음악의 하위 장르로, 음악뿐 아니라 패션·시각적 스타일·정체성 퍼포먼스까지 포괄하는 총체적 문화 현상이었다. 이 장르는 전통적인 록의 마초성과 진지함을 뒤틀며, 중성적이고 과장된 복장, 번쩍이는 메이크업, 성적 모호성, 연극적 무대 연출 등을 통해 강한 시각적 인상을 남겼다.

2. 특징

글램 록(Glam Rock)은 1970년대 초 영국에서 등장한 록 음악의 하위 장르로, 전통적인 록 사운드에 연극적 퍼포먼스와 시각적 과장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음악적으로는 로큰롤하드 록의 중간 지점에 위치하면서도, 사이키델릭 록의 몽환성과 프로토 펑크, 쇼크 록의 자극적인 무대미학에서 영향을 받았다. 일렉트릭 기타신디사이저를 중심으로 한 강렬한 리프와 직선적 리듬은 글램 록의 핵심적 음악 언어를 구성하며, 사운드와 비주얼의 결합이라는 대중음악사의 중요한 전환점을 상징한다.
글램 록은 음악적 요소 외에도 시각성과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도입하였다. 무대 위에서 글램 아티스트들은 반짝이 의상, 하이힐, 극단적 메이크업, 여성적인 몸짓과 목소리 등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이는 당시 대중문화에서 보기 드문 젠더 밴딩(gender bending)과 페르소나의 연기(performance of identity)로 이어졌다.

가사컨셉은 종종 외계적 존재, 퇴폐적 환상, 허무주의, 롤플레잉 자아를 주제로 하며, 음악 자체를 현실을 초월한 자기 연출의 공간으로 확장시켰다. 이러한 특성은 훗날 뮤직비디오, K-POP, 비주얼계 록, 현대 스타의 캐릭터성 등에 뚜렷한 유산을 남겼다.

3. 역사

글램 록의 대표곡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Get It On
티렉스 (1971)
Life on Mars?
데이비드 보위 (1971)
Virginia Plain
록시 뮤직 (1972)
All the Young Dudes
모트 더 후플 (1972)
Walk on the Wild Side
루 리드 (1972)
School's Out
앨리스 쿠퍼 (1972)
Personality Crisis
뉴욕 돌스 (1973)
This Town Ain't Big Enough for Both of Us
스파크스 (1974)
Killer Queen
(1974)
Animal Nitrate
스웨이드 (1993)
}}}}}}}}} ||
글램 록의 시초는 일반적으로 마크 볼란이 이끄는 T. Rex의 싱글 〈Hot Love〉(1971)와 앨범 《Electric Warrior》(1971)로 본다. 이후 데이비드 보위는 Ziggy Stardust라는 외계인 페르소나를 바탕으로 록을 연극적 무대로 전환시키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하며, 글램 록을 단순 장르가 아닌 총체적 예술 운동(Total Art Movement)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특히 비주얼적인 면에서는 보위와 그의 파격적인 앨범 Ziggy Stardust의 영향이 컸는데, 이는 당대부터 1970년대 후반 이후의 MTV 세대의 음악 문화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록시 뮤직, 슬레이드, 스위트, 게리 글리터, 무드, 모터헤드(초기 활동), 엘튼 존(초기 활동) 등도 이 흐름에 가담하며 영국 대중음악계를 장악했다.

글램 록은 영국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나, 보수적인 1970년대 미국 대중문화에서는 대중적 지지를 얻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뉴욕 돌스, 루 리드, KISS, 앨리스 쿠퍼 등의 미국 아티스트들도 글램 록의 요소를 차용했으나, 주류 진입은 제한적이었다. 1977년 이후 펑크 록의 부상과 함께 글램 록은 점차 시대적 관심에서 멀어졌고, 다수의 밴드는 뉴 웨이브, 신스팝, 아트 록 등으로 이동하였다.

4. 영향

글램 록은 단기간의 유행을 넘어 대중문화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데이비드 보위는, ‘Ziggy Stardust’와 같은 페르소나를 통해 음악연극, 패션을 융합한 총체적 퍼포먼스 문화를 창조했으며, 이를 통해 대중음악 무대를 하나의 예술적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보위의 작업은 성별 경계와 자아 정체성의 유동성을 탐구하며, 음악가가 단순한 연주자가 아닌 예술가이자 연기자로서의 역할을 확립하는 데 크나큰 공헌을 했다. 그의 혁신은 글램 록뿐 아니라 록 오페라, 뮤직비디오, 컨셉 앨범, 그리고 오늘날의 시각 중심 팝 문화와 K-POP까지 이어지는 대중음악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보위의 유산은 대중음악의 경계를 확장하고, 아티스트가 자기 표현의 다양한 방식을 자유롭게 실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영원한 가치를 지닌다.

5. 평가

글램 록은 음악의 영역을 넘어 시각 예술, 패션, 정체성 실험의 장으로 대중음악을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장르사적으로 매우 독보적인 위치를 점한다. 대표적인 아티스트로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는 1970년대 글램 록의 중심 인물로서, 대중음악공연 예술의 경계를 획기적으로 확장한 혁신적 예술가이다. 그의 ‘Ziggy Stardust페르소나는 음악적 자아와 연극적 캐릭터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최초의 시도 중 하나로, 이는 아티스트의 정체성과 표현 방식을 다층적·유동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보위는 음악, 무대 연출, 패션, 시각 예술을 통합하여 대중음악 공연을 하나의 총체적 예술(‘total artwork’)로 승격시켰으며, 이를 통해 음악가가 예술가이자 연기자로서의 복합적 정체성을 획득하는 전범을 제시하였다. 그렇게 다층적 정체성은 현대 대중음악 스타들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된다.

그의 실험은 록 오페라, 컨셉 앨범, 뮤직비디오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팝 문화 전반에 걸친 시각적·문화적 담론 형성에 공헌하였다. 더 나아가 보위의 작업은 현대 대중음악에서 젠더 표현과 자아 정체성 탐구가 예술적 표현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는 데 중추적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이는 21세기 팝 스타들의 자기 연출과 아이덴티티 확장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비록 글램 록의 상업적 전성기는 짧았지만, 이 장르와 활약 아티스트들이 제시한 비주얼 중심의 음악 표현 방식과 페르소나 개념은 이후 대중음악 전체를 재정의하는 결정적 전환점으로 간주된다.

6. 주요 아티스트

7. 참고 자료


[1] 스웨이드의 데뷔 이후 인지도있는 가수,밴드는 사실상 없고 유명한 글램 록 가수들도 늙거나 죽어 글램 록은 더 이상 보기가 어렵다.[2] 1970년대 초중반인 Ziggy Stardust부터 Diamond Dogs까지의 시기.[3] Panic At the Disco 2022년 발매 앨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