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4:28:53

포스트 브릿팝


록 음악의 역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로큰롤 척 베리 · 엘비스 프레슬리 · 리틀 리처드 · 버디 홀리 · 제리 리 루이스
서프 록 더 벤처스 · 섀도우즈 · 듀언 에디 · 딕 데일 · 비치 보이스
브리티시 인베이전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더 후 · 애니멀스 · 킹크스 · 크림 · 좀비스 · 스몰 페이시스 · 야드버즈
포크 록 밥 딜런 · 비틀즈 · 버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마스 앤 파파스 · 조니 미첼 · 닐 영 · 러빈 스푼풀 · 레드 제플린 · 팀 버클리
사이키델릭 록 비틀즈 · 도어즈 · 버즈 · 지미 헨드릭스 · 핑크 플로이드 · 제퍼슨 에어플레인 · 재니스 조플린 · 아이언 버터플라이 · 팀 버클리
네오 사이키델리아 플레이밍 립스 · 프라이멀 스크림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애니멀 콜렉티브 · 보어덤스 · 테임 임팔라
크라우트록 · 노이! · 아몬 뒬 II · 파우스트 · 포폴 부
베를린 스쿨 탠저린 드림 · 클라우스 슐체
익스페리멘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프랭크 자파 · 캡틴 비프하트 · 디스 히트 · 스완스 · 팀 버클리
노이즈 록 벨벳 언더그라운드 · 소닉 유스 · 하다카노 라리즈 · 후시츠샤
노 웨이브 글렌 브랑카 · 스완스 · 소닉 유스
개러지 록 소닉스 · 러브 · 서틴스 플로어 엘리베이터스 · 더 킹스멘 · 스투지스
루츠 록 블루스 록 애니멀스 · 롤링 스톤스 · 에릭 클랩튼 · 레드 제플린 · 크림 · 야드버즈 · 피터 그린 · 로리 갤러거 · 다이어 스트레이츠 · 재니스 조플린
하트랜드 록 닐 영 · 브루스 스프링스틴 · 톰 페티
컨트리 록 더 밴드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롤링 스톤스 · 이글스 · 듀언 올맨
서던 록 레너드 스키너드 · 올맨 브라더스 밴드
하드 록 더 후 · 롤링 스톤스 · 지미 헨드릭스(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크림 · 레드 제플린 · 딥 퍼플 · AC/DC · 에어로스미스 · · 키스 · 밴 헤일런 · 스콜피온즈 · 건즈 앤 로지스
어덜트 오리엔티드 포리너 · 저니 · 토토 · 데프 레파드 · 빌리 스콰이어 · 보스턴
프로그레시브 록 무디 블루스 · 킹 크림슨 · 핑크 플로이드 · 제네시스 · 예스 · 에머슨 레이크 앤 파머 · 제쓰로 툴(프로그레시브 포크) ·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
글램 록 티렉스 · 데이비드 보위 · 록시 뮤직 · 루 리드 · 게리 글리터 · 뉴욕 돌스
소프트 록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닐 영 · 폴 사이먼
팝 록 비틀즈 · 존 레논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아바 · 플리트우드 맥 · 듀란 듀란 · 필 콜린스 · 피터 가브리엘 · 로드 스튜어트 · 조지 마이클 ·
파워 팝 배드핑거 · 빅 스타 · 라즈베리스 · 칩 트릭 · 위저 · 틴에이지 팬클럽
피아노 록 제리 리 루이스 · 리틀 리처드 · 엘튼 존 · 빌리 조엘 · 벤 폴즈
헤비 메탈 아이언 버터플라이 · 레드 제플린 · 블랙 사바스 · 딥 퍼플 · 오지 오스본
NWOBHM 주다스 프리스트 · 아이언 메이든 · 데프 레파드 · 색슨 · 베놈 · 모터헤드
글램 메탈 (팝 메탈) 데프 레파드 · 머틀리 크루 · 밴 헤일런 · 본 조비 · 유럽 · 미스터 빅 · 스콜피온즈 · 신데렐라 · 키스 · 포이즌 · 하노이 록스 · 스키드로우
파워 메탈 헬로윈 · 블라인드 가디언 · 스트라토바리우스 · 감마레이 · 랩소디 · 앙그라 · 아반타시아 · 에드가이 · 카멜롯 · 드래곤포스 · 소나타 악티카
익스트림 메탈 스래시 메탈 메탈리카 · 메가데스 · 슬레이어 · 앤스랙스
블랙 메탈 메이헴 · 다크스론 · 버줌 · 엠페러 · 임모탈
데스 메탈 데스 · 카르카스 · 모비드 엔젤 · 오비츄어리
고딕 메탈 마이 다잉 브라이드 · 파라다이스 로스트 · 시어터 오브 트래저디 · 라크리모사
둠 메탈 캔들메스 · 커씨드럴
프로그레시브 메탈 러시 · 제쓰로 툴 · 크림슨 글로리 · Vanden Plas · 퀸즈라이크 · 드림 시어터 · 비트윈 더 베리드 앤 미 · 섀도우 갤러리
익스트림 프로그레시브 메탈 메슈가(Djent) · 오페스 · 고지라
멜로딕 데스 메탈 인 플레임스 · 앳 더 게이츠 · 다크 트랭퀼리티 · 아치 에너미 · 칠드런 오브 보덤
네오 클래시컬 메탈 레인보우 · 리치 블랙모어 · 잉베이 말름스틴 · 아텐션
그루브 메탈 판테라 · 램 오브 갓
심포닉 메탈 나이트위시 · 다크무어 · 세리온 · 크레이들 오브 필스
얼터너티브 메탈 Alter Bridge · 헤일스톰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뉴 메탈 Korn · 림프 비즈킷 · 머드베인 · 린킨 파크 · 시스템 오브 어 다운 · 파파 로치 · 슬립낫 · 데프톤즈 · 드라우닝 풀
펑크 록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더 클래시
포스트 펑크 조이 디비전 · 퍼블릭 이미지 리미티드 · 와이어 · 유투 · 텔레비전 · 갱 오브 포 · 페어 우부
고딕 록 바우하우스 · 수지 앤 더 밴시스 · 더 큐어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트록스 · 인터폴 · 프란츠 퍼디난드 · 예예예스 · 악틱 몽키즈
뉴웨이브 듀란 듀란 · 티어스 포 피어스 · 엘비스 코스텔로 · 블론디 · 더 폴리스 · 토킹 헤즈 · XTC · 카스
댄스 록 데이비드 보위 · 듀란 듀란 · 토킹 헤즈 · 뉴 오더
신스팝 크라프트베르크 · 티어스 포 피어스 · 디페시 모드 · 뉴 오더
하드코어 펑크 블랙 플래그 · 마이너 스렛 · 데드 케네디스 · 미스피츠 · 배드 브레인스
포스트 하드코어 빅 블랙 · 허스커 두 · 미니트맨 · 푸가지
팝 펑크 버즈콕스 · 그린 데이 · 에이브릴 라빈 · Sum 41 · 오프스프링 · 블링크-182 · 머신 건 켈리 · 뉴 파운드 글로리 · 심플 플랜
이모 Sunny Day Real Estate · 마이 케미컬 로맨스 · 폴 아웃 보이 · 파라모어 · 지미 잇 월드
그라인드코어 네이팜 데스 · 애널 컨트
메탈코어 불렛 포 마이 발렌타인 · 브링 미 더 호라이즌 · 컨버지 · 어벤지드 세븐폴드 · 딜린저 이스케이프 플랜
하이퍼 록 100 gecs · They Are Gutting a Body of Water
데스코어 화이트채플 · 수어사이드 사일런스 · 본 오브 오시리스 · 로나 쇼어
얼터너티브 록 쟁글팝 더 스미스 · 알이엠 · 필리스 · 아즈텍 카메라
노이즈 팝 지저스 앤 메리 체인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요 라 텡고 · 페이브먼트
드림 팝 콕토 트윈즈 · 스피리추얼라이즈드 · 갤럭시 500 · 러시 · 매지 스타 · 비치 하우스
슈게이즈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라이드 · 슬로다이브 · 버브
그런지 너바나 · 펄 잼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인 체인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포스트 그런지 니켈백 · 크리드 · 도트리 · 푸 파이터즈 · 쓰리 데이즈 그레이스
브릿팝 오아시스 · 블러 · 펄프 · 스웨이드 · 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 슈퍼 퍼리 애니멀즈 · 버브
포스트 브릿팝 콜드플레이 · 트래비스 · · 스노우 패트롤
인디 록 더 스미스 · 알이엠 · 픽시즈 · 리플레이스먼츠 · 모데스트 마우스 · 빌트 투 스필 · 요 라 텡고 · 더 디스멤버먼트 플랜 · 아케이드 파이어
슬래커 록 비트 해프닝 · 다이노소어 주니어 · 페이브먼트 · 가이디드 바이 보이시즈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매싱 펌킨스 · 라디오헤드 · 뮤즈 · 이매진 드래곤스
포스트 록 스완스 · 갓스피드 유! 블랙 엠퍼러 · 슬린트 · 토터즈 · 시규어 로스 · 톡 톡 · 바크 사이코시스
가스펠 메탈 · 바이킹 메탈 · 스토너 록 · 아레나 록 · 일렉트로닉 록 · 라가 록 · 아트 록 · 일본 록 · 매스 록 · 스페이스 록 · 슬로코어 }}}}}}}}}

포스트 브릿팝
Post-Britpop
<colbgcolor=#012169><colcolor=#fff> 기원 장르 얼터너티브 록, 브릿팝
지역
[[영국|]][[틀:국기|]][[틀:국기|]]
등장 시기 1990년대 후반
시대 1998년 - 현재(?)
전성기 1999년 - 2006년
사용 악기 보컬,일렉트릭 기타,베이스 기타,드럼,신디사이저,피아노,어쿠스틱 기타
관련 장르 인디 록


1. 개요2. 역사3. 특징4. 아티스트 목록

[clearfix]

1. 개요

포스트 브릿팝은 1990년대 후반에 영국에서 등장한 얼터너티브 록의 하위 장르이다. 브릿팝(Britpop)의 다음(Post)에 등장했다하여 포스트 브릿팝으로 이름이 붙여졌으며 브릿팝의 영향을 받았다는 뜻은 아니다. 물론 브릿팝의 영향력을 완전히 무시할수는 없겠으나,[1] 기본적으로는 서로 다른 장르인데 한국의 리스너들이나 심지어는 평론가들도 포스트 브릿팝 밴드들까지 묶여서 브릿팝으로 퉁치는 때가 많다.

포스트 그런지,포스트 펑크 리바이벌,뉴 메탈 등과 함께 록 음악 전성기의 마지막 장을 장식한 장르들 중 하나이다.

2. 역사

브릿팝은 1990년대 중반 3~4년 남짓한 짧고도 폭발적인 전성기를 누린 후 빠르게 무너졌고, 그 자리를 라디오헤드The Bends(1995), OK Computer(1997)와 버브Urban Hymns(1997)[2]로 대표되는 우울하고 서정적인 사운드가 인기를 얻게 된다.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받은 트래비스의 2집 The Man Who(1999)와 콜드플레이의 1집 Parachutes(2000)가 상업적 성공을 거두면서 유사한 스타일의 두 밴드는 새천년을 열어갈 신진으로 주목받으며 브릿팝의 다음 세대, 즉 포스트 브릿팝으로 불리게 된다. 이후 트래비스와 콜드플레이 두 밴드를 비롯해, , 스노우 패트롤, 스테레오포닉스, 스타세일러등의 밴드들도 덩달아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여기서 뮤즈가 언급되는 경우가 있는데, 1집 시절의 뮤즈가 이들과 한 묶음으로 묶여서 라디오헤드 따라하는 애들(일명 '라디오헤즘') 취급당했던건 사실이다(...) 그러나 1집 자체도 하드 록 성향이 강해 다른 밴드들과는 이질적인 경향이 있었고, 2집부터는 독자적인 노선을 개척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포스트 브릿팝이란 장르에 대한 정의가 어느정도 정리된 후로는 뮤즈를 '음악적으로는' 포스트 브릿팝 밴드로 분류하지는 않는 편이다. 다만 록 음악의 역사를 서술한다던가 할때, 90년대말 라디오헤드로부터 시작되는 브릿팝의 사조변화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뮤즈라는 밴드가 '이름을 빼먹기는 난감한데 구태여 부연설명을 하기는 좀 미묘한' 그 정도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이럴 때는 '편의상' 포스트 브릿팝으로 뭉뚱그려서 설명하는 편이다.[3]

하지만 200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포스트 브릿팝은 점차 진부하고 지루하다는 평을 듣기 시작했고, 스트록스, 악틱 몽키즈, 화이트 스트라입스 등을 위시로 한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과의 경쟁에서 결국 패배했다. 콜드플레이를 비롯한 많은 밴드들이 팝적인 요소나 일렉트로니카를 접목시켜 진로를 변경했으며, 그렇지 않은(못한) 밴드들은 2010년대에 이르러 대부분 활동을 중단했다. 이후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또한 채 3년을 버티지 못하고 2008년을 지나 쇠퇴하면서, 록 음악은 2025년 현재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침체기를 열게 된다.

3. 특징

상술했듯 형성과정에 있어서 라디오헤드The Bends, OK Computer 두 앨범과 버브Urban Hymns 앨범의 영향력을 크게 받았다.두 밴드는 브릿팝과 포스트 브릿팝을 잇는 교두보 역할을 했지만, 라디오헤드는 다음 앨범인 Kid A에서 720도 턴을 시전하며 완전히 독자 노선으로 틀어버리고, 버브는 불과 2년 후인 1999년 해체했기 때문에 포스트 브릿팝 밴드로는 분류되지 않고, 이후 포스트 브릿팝의 사조는 트래비스와 콜드플레이가 주도하게 된다.

U2의 영향력 또한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U2의 기타리스트 디 에지의 테크닉보다 멜로디와 텍스처를 중시하는 기타 사운드는 많은 포스트 브릿팝 밴드의 기타리스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콜드플레이가 초창기에 U2와 유사하다는 소리를 정말 많이 듣기도 했다.

전체적으로 브릿팝에서 소위 '영국색'을 크게 빼고 미국적인 색깔과 인디 록의 영향을 크게 불어넣었다. 때문에 평균적인 브릿팝 밴드들보다 국제적으로, 특히 미국 시장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

경쾌하고 밝은 분위기가 주였던 브릿팝과는 달리, 포스트 브릿팝은 가사든 멜로디든 서정적이고 우울한 분위기가 깔려있는 편이다. 보컬들도 대부분 파워풀한 스타일과는 거리가 있지만 대신 호소력있고 감정전달에 능한 창법을 구사하는 편이다.

대부분의 밴드들이 건반, 즉 피아노나 신디사이저의 건반 악기 사용에 적극적이고 신디사이저를 사용해도 클래식한 피아노 사운드로 멜로디를 꾸리는 것을 선호한다. 킨의 경우는 아예 기타리스트가 없고(!) 피아노로 다 해먹는 피아노 록 밴드였다.

기타 팝(guitar pop)적인 요소도 강해서 트래비스나 스타세일러는 일렉트릭 기타와 어쿠스틱 기타 사운드를 자유자재로 바꿔가며 사용했고, 콜드플레이나 스노우패트롤같은 다른 밴드들도 먼저 건반과 어쿠스틱 기타 사운드로 곡 분위기를 잡은 후 클라이막스 부분을 일렉트릭 기타로 확 터트리는 식의 구성을 즐겨 사용했다.

물론, 상술한 내용들은 저 멀리 한국까지도 이름이 잘 알려진 밴드들에 대한 이야기이고, 피더(Feeder)처럼 펑크(punk)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밴드들도 있었다.

4. 아티스트 목록

여담으로 미국의 더 프레이, 원리퍼블릭이나 아일랜드의 더 스크립트, 폴란드의 미슬로비츠처럼 포스트 브릿팝과 상당히 유사한 스타일의 음악을 구사하는데 영국 국적이 아니라서 일반적인 얼터너티브 혹은 인디 록으로 분류되는 밴드들이 있다. RYM 유저들은 국적 따위 쿨하게 무시하고 이들을 포스트 브릿팝 장르로 집어넣어버렸다(...)

[1] 오아시스나 블러같은 거목들은 당연히 후배들에게 있어 우상이나 다름없는 존재였고, 이들중엔 트래비스처럼 오아시스의 서포트 밴드로 활동한 이들도 있다.[2] 지금이야 라디오헤드OK Computer가 더 높은 평가를 받지만 당시엔(1997~98년도) 적어도 영국에서는 '버브가 세계 최고' 라 평할 정도로 버브와 그들의 세번째 앨범 Urban Hymns는 높은 평가를 받았었다. 버브의 프론트맨 리차드 애시크로프트가 신드롬이라 표현할 정도로 반응도 뜨거웠고 판매량도 어마어마했으며 (10x Platinum) 대표곡인 Bitter Sweet Symphony는 미국에서도 먹혔고 나이키 광고에까지 사용되기도 했었다. 실제로 98 브릿어워드를 석권했던 건 라디오헤드가 아니라 버브였다. 영국 내에서만큼은 미래를 바라봤던 라디오헤드보다는 좀 더 영국적인 전통을 이어나간 버브의 영향력이 더 컸다는 것이다.[3] 멀리 갈것 없이 나무위키의 록 음악/역사문서가 그렇다.[4] 대체로 북아일랜드에서 자신들을 대표하는 밴드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