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21:07:03

김정희

추사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정희(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colbgcolor=#f5f5f5,#2d2f34> 김정희
金正喜
파일:추사 김정희 초상.jpg
당대 명화가이자 추사의 제자였던 이한철[1]이 그린 초상화. 보물 547호.
원춘(元春)·추사(秋史)#
완당(阮堂), 보담재(寶覃齋) 등[2]
본관 경주 김씨 상촌공파[3]
출생 1786년(정조 10년) 6월 3일
조선 충청도 예산현 입암면 용궁리[4] [5]
사망 1856년(철종 7년) 11월 7일[6] (향년 70세)
조선 경기도 과천현 동면 주암동리 과지초당[7]
국적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부모 부친 - 김노경(金魯敬, 1766 ~ 1837)
모친 - 기계 유씨 유준주(兪駿注)의 딸
형제자매 남동생 - 김명희(金命喜, 1788 ~ 1857),
김상희(金相喜)
기타 가족 영조(英祖, 1694~1776, 외고조부)
화순옹주(和順翁主, 1720 ~ 1758, 외증조모)[8]
부인 예안 이씨 - 이병현(李秉鉉)의 딸
자녀 (서자) - 김상우(金商佑 또는 金商禹)
측실 한씨 소생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5. 관련 문서6. 관련 기관

[clearfix]

1.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역사학자·금석학자·서예가·화가이다. 추사체라는 글씨나 금석문의 대가 정도로 많이 알려졌으나 후학도 많고 관직에도 나가서 중요한 역할을 많이 했다. 본관은 경주, 자는 원춘(元春)·추사(秋史), 호는 완당(阮堂)·예당(禮堂)·시암(詩庵)·과파(果坡)·노과(老果)·농장인(農丈人)·보담재(寶覃齋)·담연재(覃硏齋)·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등.

본관은 노론 벽파 명가인 경주 김씨로, 영조의 딸 화순옹주의 법적 증손주인데 화순옹주는 생전 자식이 없었고 김정희의 조부가 양자로 들어간 것이기 때문에[9] 직접 피가 이어지지는 않는다. 같은 경주 김씨정순왕후와는 먼 친척뻘인데 김정희의 양증조부 김한신은 정순왕후의 7촌 숙부이다.

2. 생애

정조 10년(1786) 충청도 예산현 입암면 용궁리(현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서 김노경과 기계 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어릴 때 큰아버지 김노영이 아들이 없어 양자로 입양되었다. 어머니 기계 유씨가 임신한지 24개월(혹은 14개월) 만에 출산했다는 전설이 있다. 젖을 떼자마자 을 가지고 놀았는데 부친 김노경이 붓을 빼앗으려 하자 사력을 다해 붓을 쥐어 공중에 대롱대롱 매달릴 정도로 붓에 애착이 강했다고 한다. 이를 보고 주변에서는 훗날 명필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7세 때 '입춘대길(立春大吉)'이라 한문으로 쓴 글을 문 앞에 붙여 놓으니, 지나가던 남인의 영수인 채제공이 보고는 명필이라고 칭찬했다는 영재로[10] 그의 영특한 재능을 보고 감탄한 박제가에게 제자로 가르침을 받았다. 정조 때 집안 친척들이 많이 죽었지만 1800년(정조 24년) 음6월 정조가 승하하고 순조가 즉위하자 같은 경주 김씨 일파이자 먼친척인 정순왕후 김씨에 의해 아버지 김노경이 종3품까지 벼슬이 오른다.

어머니를 결혼 직후인 1801년(순조 원년)에 잃고 20살 때 아내, 계모, 스승 박제가도 잃었으며 3년상 후 1809년(순조 9년) 생원시에 장원 급제하였다. 1810년(순조 10년) 아버지 김노경이 청나라에 동지사 겸 사은사로 사신행을 떠날 때 아버지의 시중을 드는 호위 자제 군관으로 따라갔다. 60일 동안 청나라에 머물면서 청나라 최고의 학자 옹방강(翁方綱), 완원(阮元) 등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고증학을 배웠는데, 완원은 자기가 지은 《소재필기(蘇齋筆記)》를 처음으로 김정희에게 무상 기증까지 했다. 이후 벼슬에 나오지 않으면서 <실사구시론>과 같은 책을 썼으며 1816년(순조 16년) 무학대사고려 태조 왕건의 비로 알려졌던 북한산 비봉의 비를 신라 시대의 진흥왕 순수비라고 고증했던 선대 학자들의 고증이 올바름을 확실하게 했다.[11] 그리고 또다른 순수비인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도 머나먼 개마고원에 있어서 직접 찾아가 수습하지는 못했지만 함경도 관찰사로 부임하는 지인에게 부탁해 깨진 파편을 수습하고 원위치를 부탁, 비각을 세우고 현판을 만들어 보내는 등 황초령비의 보존에도 김정희의 공이 컸다.

1819년(순조 19년)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로 합격하여 병조 참판에까지 올랐고, 1827년(순조 27년) 친구 조인영[12]의 조카손주인 효명세자를 가르치는 필선이 되었다. 하지만 1830년(순조 30년) 순조 임금의 외아들인 효명세자가 죽자 안동 김씨김우명탄핵하여 파면되고 아버지는 귀양을 갔다. 아마도 김우명이 공주목 비인현감으로 있을 때 파직된 일로 앙갚음을 한 듯하다. 김정희는 아버지의 복귀를 위해 명성을 떨치던 중임에도 직접 격쟁을 하기도 했다. 1834년(순조 34년), 순조가 승하하던 해(1834년)에 복귀되어 아버지와 함께 조정으로 돌아왔다. 순조는 귀양을 보낼 때도 '조정에서 나오는 말이 쫓아내라 몰아내라 이딴 거밖에 없구나.왔다 하는 투로 말했다. 안동 김씨 기세에 눌렸지 순조도 그다지 내키지는 않았다는 이야기.

1835년(헌종 원년) 풍양 조씨정권을 잡자 복귀해 성균관 대사성이 되었다.[13] 하지만 관직 생활도 오래가지 못했다. 복귀한 지 5년이 지나 1840년(헌종 6년) 윤상도의 옥에 관련되어 고초를 겪었다.[14] 이때 김정희는 고문을 심하게 받아 목숨이 위태로워지자 친구인 우의정 조인영이 '추사를 살려달라.' 하는 상소를 올린 덕분에 죽음을 면한 대신 제주 대정현[15]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8년간 유배생활을 하였는데, 귀하게 자란 도련님이라 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지 "저번에 보내온 음식들은 태반이 썩었다. 좋은 음식 좀 보내라."하고 재혼했던 부인에게 편지를 보내기도 하였다. 먼 제주도까지 보내야 했으니 음식이 제대로 도착하는게 이상하다. 설상가상으로 재혼한 부인도 1842년(헌종 8년) 11월에 죽었는데 부인이 병들었다는 소식에 김정희는 걱정하는 편지를 보냈지만 편지를 썼을 때는 이미 부인이 죽은 뒤였다. 2달이 지나 뒤늦게 부인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김정희는 슬퍼하며 '내생에 다시 부부가 되어 이번에는 자신이 먼저 죽어 배우자를 먼저 떠나보내는 슬픔을 알게 하고 싶다.'는 애절한 를 쓰기도 하였다. 유배기간에 추사체를 만들었는데 2014년 1월 28일 방영된 KBS <다큐공감>에서 위의 일화가 소개되었다.[16] 당시 김정희가 먹었을 음식인 강조밥(좁쌀만으로 지은 밥)과 생된장을 백종원이 직접 먹어보는데 '매우 거칠고 일반인들이 감히 먹기 힘든 음식'이라는 반응이었다.

안동 김씨풍양 조씨의 세도 대립 사이에서 일종의 중간 관리자 역을 하던 영의정 권돈인과도 친했는데 헌종(경릉)을 옮기는 문제로 1851년(철종 2년)에 같이 파직되어[17] 추운 지방인 함경도 북청도호부로 유배를 갔다. 67살이란 늙은 나이였는데 유배기간 동안 고대 석기를 연구했으며, 「석노가」(石砮歌)에서 그는 귀신의 조화로 보던 돌도끼나 돌화살촉을 생에도구이자 무기임을 밝혀내고 토성 유적과 갈라서 보자고 주장했다.[18] 그렇게 한 해를 보내고 1852년(철종 3년) 겨울에야 풀려났는데 이로써 3년+8년+1년으로 도합 총 12년 유배.

북청부에서 돌아온 뒤 김정희는 과거 아버지가 경기 과천에 마련해둔 과지초당(瓜地草堂)에 머물면서 후학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냈다. 71살 되던 1856년(철종 7년) 승복을 입고 봉은사에 들어갔다가 그해 음력 10월 10일(양력 11월 7일) 과천으로 돌아와 세상을 떠났다. 죽기 전날까지 집필을 했다고 하는데 김정희의 마지막 작품은 봉은사의 판전 현판으로 세상을 떠나기 4일 전에 쓴 글이라고 한다.[19] 김정희가 얼마나 작품에 열정적이었던지 평생 동안 벼루 10개에 구멍을 내고 붓 1000자루를 닳게 했다고 한다.[20]

3. 기타

4. 대중매체

파일:대원군 김정희.png}}} ||
파일:빅토3 김정희 1.2.4.png}}} ||

5. 관련 문서

6. 관련 기관



[1] 이한철은 이외에도 철종과 헌종, 고종의 어진을 담당했으며 흥선대원군의 초상화도 그렸다. 특유의 단아하면서 부드러운 모습이 일품인데 윤승운 화백은 맹꽁이 인물열전에서 이 초상화를 보며 평생 고생은 하나도 안 하신 듯한 온화한 얼굴이라며 촌평을 내렸다. 이 초상화 외에도 전해지는 초상화가 몇 점 더 있는데 하나는 추사의 제자 소치 허련이 스승을 그린 초상화가 있다. 밑에 나오는 영상 섬네일의 초상화가 바로 그것이다. 또 하나는 추사가 말년에 직접 그린 자화상이 있다. 고되고 기나긴 유배 생활로 하도 고생을 했는지 이 초상화와 달리 수척하고 늙은 모습이 고스란히 묻어 나왔다.[2] 예당(禮堂)·시암(詩庵)·과파(果坡)·노과(老果)·농장인(農丈人)·보담재(寶覃齋)·담연재(覃硏齋)·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등 다수 있다. 완당은 자신이 존경했던 청나라의 학자인 완원(阮元)의 이름을 따서 지은 호라고 한다. 유홍준이 쓴 김정희 평전의 제목도 '완당평전'. 말년에는 노과를 즐겨 썼다. 확인된 것만 총 72개에 실제로는 100개 이상의 호를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로, 한국사에서 아호가 가장 많은 사람으로 꼽힌다. 이렇게 아호가 많은 이유는 그림마다 매번 다른 별명을 썼기 때문이라고 한다.[3] 경주 김씨 상촌공파 16세손 '喜'자 항렬이다.[4]대한민국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5]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충남 예산이 아닌, 서울 명동 부근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6] 음력 환산시 조선 철종(재위 7년)조, 10월 10일[7]대한민국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과지초당[8] 친 혈연 관계는 아니지만, 추사 김정희의 조부가 화순옹주의 대와 제사를 지내기 위해 양자로 편입해 들어갔기 때문에, 항렬과 법적(명목), 재산 상속상으로 친(親) 혈연관계는 맞다.[9] 다만, 김한신의 형의 아들 즉 친조카이다. 조선 후기에는 항렬을 맞추는 한에서 훨씬 먼 친척도 양자로 들였는데, 최대한 가까운 친척인 3촌 조카를 고른 것이다.[10] 채제공과 관련된 야사가 있는데 정치적 반대파라 평상시에 말도 섞지 않던 채제공이 자신의 집에 온 것에 놀라서 김정희의 아버지가 연유를 물으니 채제공은 김정희의 글을 보고 "이 아이는 필시 명필로 이름을 세상에 떨칠 것이오. 허나 만약 글씨를 잘 쓰게 되면 반드시 운명이 기구할 것이니 절대로 붓을 잡게 하지 마시오."하고 예언했다고 한다. 예언이 적중하기라도 했을까? 김정희는 부모를 일찍 잃고 아내들과도 사별하며 고문당하고 귀양을 2번이나 가는 등 매우 순탄치 못한 삶을 살았다.[11] 이때 김정희는 북한산 순수비의 탁본을 떠서 금석과안록에 해석문을 첨부하고 비석의 옆면에는 자신이 해석하였음을 새겼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원본 옆면을 보면 당시에 새긴 기록이 있다.[12] 풍양 조씨 세도가 일원이다. 즉 신정왕후 조씨의 오라비가 된다.[13] 1837년(헌종 3년) 아들과 함께 고생했던 아버지 김노경이 끝내 사망했다. 그런데 두산백과에는 김노경이 1840년(헌종 6년) 유배 후 사사당했다고 나오는년, 사실은 죽고 나서 밑에 나오는 윤상도의 옥에 연루돼 1840년 관작이 추탈되었다. 위키백과한민족문화대백과에는 1837년(헌종 3년)에 사망했다고 제대로 명시되었다.[14] 순조 때 윤상도가 호조판서 박종훈, 유수 신위, 어영대장 유상량탐관오리라고 비난하며 탄핵한 사건이다. 윤상도는 상소문에서 거친 언행으로 안동 김씨 세도 일족의 비리까지 말하며 비난했다. 이에 안동 김씨 일족이 분노하여 윤상도는 오히려 모지게 고문당한 다음 귀양갔다가 아들과 함께 끔찍하게 능지처참되었다. 김정희는 윤상도의 상소 초안을 맡아준 일로 연루되었다.[15] 현재의 제주도 서귀포시 서부 지역이다. 조선시대 제주도에는 제주목, 대정현, 정의현 등 3개 고을이 설치되었는데, 제주목은 현재의 제주시와 관할구역이 같고, 대정현과 정의현은 각각 서귀포시 서부와 동부에 해당한다. 대정현과 정의현의 읍치(邑治, 관아 소재지)는 각각 현재의 대정읍표선면이었다. 현대에는 제주도 지역으로의 유배를 편의상 '제주도 유배'라고 뭉뚱그려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선시대에는 제주목, 대정현, 정의현이 전라도에 속한 별개의 고을이었기 때문에 이 세 지역으로 유배함은 법리적으로는 각각 다른 것이었다.[16] 관련 영상 : #.[17] 사실 권돈인은 이것뿐 아니라 진종(정조의 양부) 조천 문제에서 의견을 낸 것도 문제가 되었다.[18] 실제로 북한의 도유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적인 시각을 가진 고고학자로 김정희를 제시했고 이는 대한민국 학계에서도 대체로 인정하는 편이다. 사실 김정희는 북청부에서 한 조사만이 아니라 이전 경주의 신라 왕릉을 어찌 인식했는지 보면 상당한 고고학적 재능이 있었다.[19] 현재까지도 잘 보존되어 걸려 있다.[20] 김정희가 사망하고 다음 해 김노경과 김정희 부자는 사후 신원복권되었다.[21] 사실 이하응과 김정희는 피는 섞이지 않았지만 족보상으로 5촌 진이당숙(아버지의 이종 사촌)과 조카 사이였다. 김정희의 양어머니(실제로는 큰어머니) 홍씨와 은신군의 부인이자 이하응의 양할머니 홍씨가 서로 자매이기 때문. 김정희와 이하응이 5촌 관계인 것은 남양 홍씨 집안 기준이며 김정희의 양증조모가 영조의 딸 화순옹주이기 때문에 전주 이씨 집안 기준으로 볼 때는 족보상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고손자인 이하응과 10촌 형제가 된다.[22] 남성 불자를 뜻하는 말로 흔히 대중매체에 쓰이는 처사는 잘못된 표현이다. 처사라는 말은 서경덕이나 조식 같은 초야에 묻혀 사는 학식높은 선비를 이르는 말로 불교와 사이가 나빴던 유학자들이 알면 펄쩍 뛸 일.[23] 그럴만도 한게 김정희의 비판 발언 중 백파긍선에게 "망증" 운운하고 백파긍선은 "아몰랑"하는 등 상당히 거친 면도 있었다.[24] 다만 김정희 본인은 후폭풍을 우려해서인지 옹정제가 쓴 글이라는 것은 숨겼다.[25] 그는 예산에서 태어난 후 어린 시절을 증조부였던 월성위 김한신이 거주한 오늘날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의동 일대에 살았는데 근처 월성위궁에 있던 백송을 보고 좋았을 것으로 보인다.[26] 실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송은 12그루 정도 되는데 이 중 북한에 있는 개성 백송을 제외한 6그루는 해제되어 현재 남아있는 백송은 5그루(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서울 종로구 수송동 조계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신대리,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27] 스승 김정희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보필했던 제자로 근대 남도 화단의 태두라고 일컬어지는 인물이다. 이름을 련(鍊)에서 유(維)로 개명하여 허유라고 불리기도 한다.[28] 세대적으로 김정희는 정약용의 1세대 아래 정도 뻘이고, 개화파의 시조로 평가받고 김정희와 교분이 깊던 박규수나 오경석 등은 김정희의 1세대 아래 뻘이다.[29] 陽朱陰王. 낮에는 주자(성리학)를 따르지만 밤에는 왕수인(양명학)을 따른다는 말이다. 한마디로 속으로는 양명학에 동의하면서 숨기고 몰래 공부했다는 이야기.[30] 이광사의 아버지 이진검과 백부 이진유가 신임옥사 당시 소론의 행동대장으로 노론 축출에 앞장섰기 때문에 이후 권세를 잡은 노론에 찍혀서 이광사와 아들 이긍익(〈연려실기술〉의 저자)까지 연좌제로 피해를 입었다.[31] 이삼만은 특히 이광사의 글씨체를 보고 서예를 익혔기에 추사가 싫어할 만했다. 이삼만은 어릴 적 부유한 집안이었으나 아버지가 뱀에 물려 죽자 가세가 많이 기울었다. 그 후 이삼만은 부친의 원수를 갚기 위해 뱀만 보면 그 자리에서 죽여버려 그 살기에 눌린 뱀들도 얼씬하지 못했다. 전주 지방에서는 뱀을 퇴치하기 위해 이삼만의 이름이 씐 종이를 부적 삼아 문에 붙이고 그의 이름을 3번 외치면 뱀으로부터 피해를 입지 않는다고 믿었다.[32] 처음에는 그 모양이 너무 후줄근해서 주민들이 욕을 많이 했다고 한다.[33] 그런데 양웅을 들먹이는 것도 사실 은근 비꼬는 얘기이다. 양웅은 전한-신-후한 교체기 때 인물로 박식하고 문장에 능한 인물이였으나 왕망과 결탁해 어용문인 노릇을 한 사람이기에 후대에 많은 비난을 받았다.[34] 유홍준의 〈완당평전〉에는 그의 은사인 동주 이용희의 강연 이야기가 나오는데 여기서 "김정희는 까다로와도 보통 까다로운 사람이 아니었다." 하면서 강연을 시작한다. 유홍준이 이용희에게 물으니 "위창 노인이 역매(오경석의 호) 어르신에게 들었다."라고 했다 한다.[35] 충남 유형 문화재 43호, 1976년 1월 8일 지정[36] 흔히 제주향수선화라고 부르는데 지금도 꽤 흔한 품종으로, 제주도에서는 말 그대로 잡초처럼 널려있다.[37] 몽은 말(馬), 마농은 마늘을 뜻하는 제주어다. 현재 몽마농은 겹꽂으로 된 수선화를 가리킨다. 제주도에는 금잔옥대, 몽마농 둘 다 있다.[38] 예산군의 지역 특산물인 사과로 만든다.[39]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류정현 역, 2000년 KBS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는 경순왕 역, 2005년 MBC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김윤환 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