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6 21:43:54

오경석(조선)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6050200631_1.jpg
吳慶錫
1831년 3월 5일(음력 1월 21일)~1879년 10월 7일(음력 8월 22일)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조선 말기의 개화 사상가. 역관 출신으로, 본관은 해주(海州)다. # 자는 원거(元秬). 호는 역매(亦梅), 진재(鎭齋), 천죽재(天竹齋). 조선 시대 전체를 통틀어 허준과 함께 중인 신분으로 당상관에 오른 둘뿐인 인물이다.

2. 생애

1831년 3월 5일 한성부에서 사역원 교수를 지낸 아버지 오응현(吳應賢)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의무(李義懋)의 딸 사이의 5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866년에 고종명성황후와 혼인하자 왕비 책봉을 위해 주청사가 베이징으로 갔다. 정사 유후조(柳厚祚), 부사 서당보(徐堂輔), 서장관 홍순학(洪淳學)[1]으로 이뤄진 일행인데 역관 오경석은 프랑스 정보 수집이라는 중요한 임무를 맡아 곧 닥쳐올 병인양요에서 프랑스군은 이 없어 외상으로 3개월분 물자만 확보한 상태여서 장기전을 못한다는 결정적인 보고를 흥선대원군에게 급행으로 올렸다.[2]

오경석은 주청사 귀국 이후 병인양요가 끝날 때까지도 남아 정보 활동을 계속하여 <양요기록>을 남기는데, 오경석 사진도 주청사 때 찍을 수 있었다.

조선 말기 박규수(朴珪壽)의 개화 사상에 영향을 주었는데 1870년 초부터는 최한기, 유홍기(劉鴻基)와 함께 박규수의 사랑방에서 김옥균(金玉均), 박영효(朴泳孝) 등 양반 자제들에게 개화 사상을 교육하였으며 강화도 조약 체결 과정에도 일정 부분 관여하였다. 1879년 사망했다.

3. 여담



[1] 서장관 홍순학이 남긴 <연행가>는 조선의 대표적인 강편 기행 가사이다.[2] 프랑스군은 3개월분의 물자밖에 없고 국내 사정상 장기전할 의지도 없었지만 조선군은 그조차도 없었으며 조선군이 부족해 사냥꾼 의병을 동원했다.[3] 이 사진들 중 독사진을 찍은 사람이 있는데 조선 후기 이조판서경기도 관찰사까지 지냈던 이의익으로 사진을 찍을 당시 70대 초반의 나이였으며 1794년(정조 18년)에 태어난 사람이다. 사진이 우리나라에 늦게 들어온 걸 생각하면 정말 신기한 사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8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