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밥의 종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밥짓는 재료 |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 |
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 ||
김밥 |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 ||
덮밥 | 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 ||
볶음밥 |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 ||
비빔밥 | 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 ||
주먹밥 |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 ||
쌈밥 |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 ||
초밥 |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 ||
기타 |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죽 · 치밥 · 떡 | }}}}}}}}} |
[clearfix]
1. 개요
스테인리스 공기에 담은 쌀밥을 말한다. 사이시옷 없이 '공기밥'이라고 쓴 비표준 표기도 널리 쓰이고 있다.일반적인 식당에서는 국밥같이 메뉴를 시키면 제공된다. 고깃집의 찌개 종류처럼 따로 돈을 내고 주문할 수도 있다. 하술하듯 박정희 정부 시절 정책의 영향으로 대다수 밥을 파는 식당의 판매기준도 통일되어있고 제공 방식도 동일하다.
2. 역사
역사적으로 한반도에서는 큼직한 그릇에 밥을 수북히 쌓아올린 고봉밥을 먹는 것이 전통이었다. 농업 노동 등으로 인해 열량 소모가 높았고, 밥 외에는 딱히 열량을 얻을 수단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다 박정희 정부 시기 들어 혼분식 장려 운동의 일환으로 쌀 소비량 감소를 위해 규격이 정해진 공깃밥이 도입되었다. 1960~70년대 경제개발로 인해 임금 수준이 올라가면서 외식 수요도 올라가기 시작했기 때문인데, 그 와중에 식당마다 밥 양으로 경쟁하여 되려 밥 양이 늘어나기까지 했다. 당시 쌀 자급능력을 높이기 위해 생산독려를 하고 있었는데 현저히 많은 음식점의 밥 양은 과식과 음식쓰레기를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라, 식당에서 팔 수 있는 밥의 양을 조절하는 정책을 펼치게 된다.
1973년 1월 양택식 서울시장이 제정한 표준식단이 완성되고, 1974년 12월 4일부터 음식점에서 돌솥밥 판매를 금지하고 스테인리스 밥공기에만 밥을 담아 팔 수 있도록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그리고 1976년 6월 29일부터 구자춘 서울시장에 의해 규격도 정해져 이를 위반하면 1회 위반에 1개월 영업정지, 2회 위반에 허가 취소의 행정조치를 가했었다. 1981년 천명기 보건사회부장관의 훈령으로 전국적으로 의무화 되면서 전국의 모든 밥을 취급하는 식당에서 공깃밥은 통일된 양과 공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관련 기사 정리
이러한 관행이 쌀소비량 감소로 쌀이 남게 된 이후로도 유지되고 있는데 공기 자체가 금속재질이다보니 깨질 염려가 없다는 점 때문인듯하다.
3. 가격과 규격
1976년 지정된 규격은 지름 10.5cm, 높이 6cm였다. 이 그릇의 5분의 4 정도 밥을 담아야 했다. 2012년부터는 그보다 조금 작은 지름 9.5cm, 높이 5.5cm 크기의 스테인리스 밥공기를 사용하는 집들도 늘고 있다.관련 기사 이 때는 그릇을 꽉 차게 밥을 담는다. 안에 든 밥 무게는 약 200g이다.햇반과 같은 즉석밥도 공깃밥의 용량과 비슷한 210g이 기본 크기이다.
1990년대 초만 해도 500원이었지만 물가 상승으로 1,000원으로 올라갔다. 이후 2010년대까지 30여년 동안 물가는 매우 올랐지만 공깃밥 1000원은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쌀은 대부분 국내에서 생산되며 국산 쌀의 수요 또한 국내에 전부 집중되어 있고, 고물가와는 별개로 쌀 가격은 작황이나 수요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격상승폭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다못해 바가지요금으로 악명높은 계곡 불법 식당들조차 공깃밥만큼은 대부분 1,000원을 유지했다. 그 정도로 공깃밥 1000원은 불문율이자 국룰에 가까웠다.
2020년대 들어 고물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2020년부터 1,500 ~ 2,000원을 받는 식당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1#2 외식물가가 급격하게 변동된 2023년부터는 2,000원인 식당이 본격적으로 조금씩 보이는 편이며, 뉴스에서도 다루기 시작했다. # 2024년부터 강남구 등 물가가 비싼 곳에서는 3,000원을 받는 식당도 나오고 있다. # 30년 가까이 1,000원이었으니 이제 슬슬 오를 때도 된 것 같지만 처음 보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놀라워한다. 배달의민족으로 공깃밥의 가격은 일부 1,700원을 받는 곳도 있는 등 공깃밥 1,000원의 시대는 지나가고 있다.
3.1. 양 줄이기
공깃밥을 담을 때 꼼수를 부려 양을 줄이는 곳이 많다. 뚜껑에 밥 안 묻게 한다는 이유 혹은 보기 좋게 한다는 이유로 밥을 낮게[1] 담아주거나, 주걱으로 푸슬푸슬하게 날려서 쌀밥 사이사이 공간을 만든 후 담는 경우[2], 외곽을 낮게 하고 가운데만 높게 한 후 담는 경우다. 보기에는 좋지만 양이 푸짐하게 담는 것보다 현저하게 작다. 특히 고기집 공깃밥 같은 경우 이런 행위가 심해서 공깃밥 한 개로는 양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아예 밥공기 용량이 다른 경우도 있다. 밥공기 자체는 그냥 보면 비슷한 크기지만 이중벽으로 되어 있어서 용량이 작다.
4. 여담
- 가능하면 항상 따뜻한 공깃밥이 나와야 하기 때문에 대규모 식당에서는 공깃밥 전용 공정이나 온장고, 보온 전용 밥솥같은 물건들이 존재한다.
- 흰 쌀밥이 나오는 것이 보통이지만 흑미 등의 잡곡을 섞은 공깃밥을 파는 식당도 많이 있다.
- 국밥 등을 먹을 때 공깃밥을 세게 흔들어서 뭉치게 한 후 바로 뚝배기에 넣으면 깔끔하게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