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5:14:41

비닐밥

🍚 밥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밥짓는 재료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국밥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김밥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덮밥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볶음밥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비빔밥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비닐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주먹밥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쌈밥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초밥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기타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 치밥 · }}}}}}}}}
파일:군대 짜요짜요.jpg 파일:비닐밥.jpg
1. 개요2. 장단점3. 먹게 되는 상황4. 조합5. 반응6. 유사 음식7. 기타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에서 훈련 시 편의성을 극단적으로 고려한 취식 방법이다. 부대마다 짜요짜요, 짜요, 봉지밥, 짜밥, 쭈밥, 짜묵, # 등 명칭에 소소한 차이가 있다.

만드는 법은 당일 식단표에 나온 메뉴를 조리한 후에 비빈 다음 위생봉투(비닐)안에 때려넣으면 끝. 즉, 원리상 비빔밥을 비닐에 넣은 것에 가깝다. 단지 재료가 원래는 비빔밥을 목적으로 준비된 게 아니라는 (중대한) 차이가 있을 뿐... 먹는 방법은 봉투를 풀거나 찢어서 손으로 받치고 먹거나 숟가락을 사용하는 등 천차만별이다.

2. 장단점

행보관과 조리병 입장에서는 밥과 반찬을 일일히 신경써줄 필요 없이 때려박아서 만들면 되므로 만들기도 편하고 미리 봉투에 담아놓기만 하면 배식할 필요도 없고 식사인원을 모을 필요도 없으며 분대별로 한명 씩만 와도 간편하게 배식이 가능하니 정말 편하다. 또한 식기를 관리할 필요도 없다.

식사하는 입장에서도 식기를 준비할 필요도 없고 그냥 대충 어디에서라도 먹을 수 있으며 식사 후 처리시에는 설거지 없이 그냥 비닐봉투만 처리하면 되니 매우 간편하다.

단점은 이런 음식이 그렇듯, 미세 플라스틱환경 호르몬에 쉽게 노출된다는 것이다. 특히 내용물을 섞기 위해 비닐봉투를 손으로 조물락 조물락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밥에 섞여 들어가는 미세 플라스틱의 함량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3. 먹게 되는 상황

주로 육군해병대에서 자주 이루어지고 공군 출신은 해병대에 배치된 해군 의무 인력들 아니면 수십년 근무해도 단 한 번도 접하지 않는 게 대부분이다.

2020년대에는 훈련간 온식[1] 배급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되도록 식당차를 끌고가거나 미리 만들어둔 뒤 음식과 식판, 식기를 트럭째로 싣고 가서 식판에 비닐을 씌운 뒤 평소처럼 배식하고 먹도록 한다. 다만 그조차도 귀찮은 간부나 일부 용사들은 비닐만 받아서 대충 섞어주이소 하고 자진해서 비닐밥을 먹을 때도 있다.

4. 조합

기본적으로 식단표에 따라 재료가 정해지나, 비닐밥에 적합하지 않은 메뉴일 경우 다른 시간대나 날짜의 식단으로 지휘관의 재량으로 변경하기도 한다. 또한 창고에 꽁쳐놓은 김자반을 꺼내서 섞어 줄 수도 있다.

제육이나 닭볶음 등의 국물이 흥건해서 비벼먹기 좋은 메뉴가 나오는 날이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국물이나 소스가 많지 않은 돼지김치볶음이나 참치볶음 같은 경우 퍽퍽하거나 싱거워서 말 그대로 짬밥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PX에서 산 부식 맛다시, 참치캔 등을 준비했다면 훨씬 먹기 좋아진다. 문제는 이러한 행위를 통제하는 간부가 많다는 것과[2][3] 자신이 선임 눈치봐야하는 짬밥이라면 몰래 먹어야 한다는 것이 단점.

5. 반응

여러모로 군필자들이 현역 시절에 경험한 일 중 반응이 갈리는 것 중 하나다. 음식물 쓰레기개밥 같은 외형 + 비닐을 조물거리며 먹을 때의 촉감 + 비닐에 얼굴을 쳐박고 먹어야 한다는 이유 등이 합쳐지며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도 그럭저럭 만족하고 먹는 경우도 많다. 일단 압도적인 편의성이 장점이다. 바쁘고 숨 쉬는 것조차 귀찮고 피곤한 야전훈련 및 작업에서 식판이나 반합에 비닐 씌워서 땅바닥에 앉아서 밥 먹는 것이 생각보다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조리병들은 빠르게 배식 끝내고 정리 가능해서 좋아한다. 게다가 혹한기 훈련 같은 겨울에는 일반적인 배식을 하면 밥은 금방 식고 국에는 살얼음까지 끼니, 뭉쳐져 있어 따뜻함이 보다 오래 유지되는 비닐밥이 차라리 나은 경우도 있다. 개밥 같아지는 맛도 한국에는 원래 잡다한 반찬들을 다 비벼먹는 비빔밥 문화가 있어 익숙하다 보니[4] 고추장 베이스의 맛다시가 있다면 괜찮은 수준이다. 물론 춥고 배고픈 훈련 때 먹으니까 먹을 만한 거지, 제대 후 사회에 나가서도 이런 걸 먹고 싶을 리는 없긴 하다.

부대에 따라 다르지만 일부 간부들은 간부로서의 위엄과 품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훈련 나갔을 때 병사들을 강제로 시켜서 식판에 비닐 씌우고 밥과 반찬을 담아오게 시키는 경우도 있다. 일부 부대에서는 식중독 등 비위생적이라는 이유로 비닐밥을 금지하고 반드시 반합에 비닐을 씌워 먹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병사와 자주 부대끼는 소위/중위 등의 소대장이나 하사/중사 정도의 초급 부사관/장교의 경우는 비닐밥을 먹기도 한다. 상사, 대위 정도 뿐 아니라 높이 가면 주임원사사단장 정도 되는 간부라도 눈치 보이거나 특권 의식에 혐오감을 갖는 경우는 자진해서 들과 똑같은 거 먹는 경우도 은근히 많다. 사실 하사부터 높으신 분까지 주먹밥에 국물이나 얼른 먹고 일하는게 낫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제일 최선은 훈련 환경에서도 간편하게 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겠지만 그럴 형편이 안 되니 밥 먹는 시간이나 줄이자는 생각이다.

6. 유사 음식

사실 주먹밥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오늘날의 주먹밥은 일본에서 유래한 삼각김밥[5]과 더불어 소풍 등 야외활동 감성을 위한 별식 정도의 느낌이지만 본래는 전쟁이나 장거리 이동 등 음식을 정식으로 차려 먹기 힘든 환경에서 바로 먹을 수 있게 고안된 음식이었다. 게다가, 외기에 노출돼 있고 맨손으로 집어먹는 주먹밥보다 비닐밥이 여러모로 더 위생적이기도 하다. 단, 비닐 쓰레기가 대거 발생한다는 차이는 있다.

비빔밥비닐봉투에 넣으면 이런 형태가 된다. 먹어보고 싶다면 일반 가정에서도 쉽게 따라할 수 있다. 전주비빔밥 삼각김밥을 비닐봉투에 넣고 뭉치면 얼추 맛이 비슷하다.굳이 그렇게 먹는 사람이 있을진 모르겠지만

중탕하는 방식으로 식품용 비닐 안에 밥을 지을 수 있다. 식품용 비닐 두 겹에 쌀과 물을 1:1 정도로 넣고 적당한 냄비에 물과 함께 약한 불로 가열해서 밥으로 만든다. 비닐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포인트. 목제 찜판처럼 비닐과 직접 닿지 않도록 냄비 바닥에 받칠 수 있으면 더 좋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식품용 비닐봉지(크*백 등)는 전자레인지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증 내열 온도가 120도이며 중탕용 물에 소금을 넣는 등 끓는점을 올리지 않았다면 충분히 안전하지만 걱정된다면 내열 온도가 더 높은 비닐봉지를 찾아보도록 하자. 또한 밖에서 시도하기 전에 집 등에서 실제로 시험해보면서 적절한 불 세기나 취식 방법 등을 익히는 것이 좋다. 냄비를 써도 비닐 외에는 음식물이 닿지 않기 때문에 설거지거리를 만들지 않아 때문에 세제 사용이 제한되는 캠핑에서 유용하며, 재해 등 비상시에도 설거지거리를 줄이면서 레토르트 식품을 데우는 물을 이용해서 취사하기에도 좋다. 다만 어지간해서는 그냥 햇반 사 가는 게 속편하다.

7. 기타

훈련시 식단으로 식판 > 반합 > 전투식량 > 비닐밥 순으로 맛이 좋고 사람다운 식사가 가능하나 처리가 귀찮다는 반비례적인 관계가 존재한다.


[1] 따뜻한 밥. 여기서는 전투식량 등이 아닌 식당에서 조리된 음식[2] 물론 부대 운용비 or 자신의 사비를 들여 저 재료들을 준비시키는 인심 좋은 간부도 있다. 일부 부대에서는 아예 행보관이나 주임원사가 직접 나서서 김가루, 비빌 때 쓸 양념, 참기름 등을 조달해오기도 한다.[3] 일단 훈련소에서는 훈련병 신분으로 맛다시를 구할 수도 없거니와 보통 야외 훈련중 식사 시간에도 FM대로 식판에 비닐 깔고 먹게하기에 대부분 자대 전입 후 첫 훈련에 접하게 된다.[4] 일반 가정집에서 종종 만들어 먹는 비빔밥도 비빕밥 용 재료를 따로 준비하기보다는 적당히 남는 반찬을 양푼에 쓸어담아서 고추장에 비벼먹는 것이 보통이다.[5] 이 또한 탄생 경위가 주먹밥과 별반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