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4:29:07

따로국밥

🍚 밥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밥짓는 재료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은행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 (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국밥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밥
김밥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덮밥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피자 라이스 볼
볶음밥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비빔밥꼬막비빔밥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주먹밥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쌈밥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초밥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기타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 치밥 · }}}}}}}}}

한국의 국물 요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감잣국 · 계란국 · 고사릿국 · 고지국 · 국밥 · 굴국밥 · 김칫국 · 다슬깃국 · 닭개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떡국 · 떡만둣국 · 매생이국 · 몸국 · 묵국 · 뭇국 · 미역국 · 배추속댓국 · 보말국 · 북엇국 · 사골국 · 선짓국 · 소머리국밥 · 솎음배춧국 · 쇠고깃국 · 수구레국밥 · 수제비 · 순댓국 · 술국 · 숭엇국 · 시래깃국 · 쑥국 · 아욱국 · 우거짓국 · 육개장 · 접짝뼈국 · 재첩국 · 조깃국 · 콩국 · 콩나물국 · 콩나물국밥 · 탕국 · 토란국 · 평양온반 · 해장국 · 호박국 · 홍어앳국 · 효종갱 · 뼈다귀해장국
갈낙탕 · 갈비탕 · 감자탕 · 거갑탕 · 곰탕 · 꽃게탕 · 꿩탕 · 내장탕 · 누룽지탕 · 닭곰탕 · 닭도리탕 · 대구탕 · 도가니탕 · 들깨탕 · 매운탕 · 물곰탕 · 보신탕 · 삼계탕 · 백숙 · 새우탕 · 설렁탕 · 승기악탕 · 신선로 · 아귀탕 · 알탕 · 어탕 · 얼추탕 · 연포탕 · 오리탕 · 용봉탕 · 용압탕 · 임자수탕 · 잡탕 · 조개탕 · 짱뚱어탕 · 지리 · 초계탕 · 추어탕 · 추포탕 · 토끼탕 · 해물탕 · 홍합탕
찌개 고추장찌개 · 김치찌개 · 동태찌개 · 된장찌개 · 닭한마리 · 부대찌개 · 비지찌개 · 순두부찌개 · 짜글이 · 청국장찌개 · 갈치찌개 · 막장찌개
전골 어복쟁반 · 조방 낙지볶음
냉국 가지냉국 · 더덕냉국 · 미역냉국 · 오이냉국 · 우무냉국 · 콩나물냉국 · 화채
}}}}}}}}} ||

파일:대구음식 브랜드 대찬맛 로고.jpg대구10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 전역
누른국수 · 뭉티기 · 복어 불고기 · 야끼우동
파일:중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중구
납작만두 · 따로국밥 · 동인동 찜갈비 · 막창구이
파일:서구(대구광역시) CI_White.svg
서구
무침회
파일:달성군 CI_White.svg
달성군
논메기 매운탕 }}}}}}}}}
파일:대구 따로국밥.jpg
1. 개요2. 상세3. 비유

1. 개요

국밥의 일종으로 대구광역시 향토음식의 하나다. 대구에서 소고기국밥 혹은 육개장이라 하면 대개 이 대구식 따로국밥을 가리킨다.

타지역 소고기국밥이나 육개장에 비해 들어가는 건더기가 간단한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딱 필수재료인 소고기[1], 무, 파 3가지만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2][3]이며, 그래서 무와 파가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 국물 맛이 상당히 시원달큰하다.

2. 상세

일반적인 국밥과 다르게 국과 밥을 따로 담아내고, 가격도 약간 비쌀 때가 있다. 옛날 양반들이 국에다 밥을 말아먹는 것을 천박하게 여겨 따로 주문한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또 다른 설로는 애초에 국에 밥을 말아 나오는 국밥의 경우에는 들어가는 밥의 양을 확인하기가 힘들다는 점을 이용해서 양을 속여파는 가게가 많이 생기자 밥 양을 손님이 직접 확인하고 먹을 수 있게 따로 제공했다는 설도 있다. 이 때문인지 대구에서는 같은 국밥이라도 따로국밥으로 주문할 경우 약간 비싼 가격만큼 곱배기처럼 밥과 국의 양이 좀 더 푸짐하다는 인식도 있었다. 하지만 토렴 문서에서 알 수 있듯, 조선시대에는 아무리 양반이라도 밥을 따듯하게 줄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양반이 먹었다는 설명은 현대에 마케팅 측면에서 개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소 뼈와 소 무릎뼈를 13~14시간동안 고아서 국물을 만든 후 쇠고기와 선지를 넣고 1~2시간 동안 더 끓인다. 여기에 소금·후추·파·고춧가루·마늘 등의 양념을 넣고 다시 30분 정도 끓여서 국과 밥을 따로 담아낸다. 스타일에 따라서 무와 대파를 잔뜩 썰어넣어서 채소에서 배어나온 물 때문에 국밥치고는 맛이 상당히 달아지는 경우가 있다.

요즘이야 어지간한 국밥집들은[4] 공깃밥을 따로 주는 식으로 상을 내놓으니 '국밥이 원래 국하고 밥 따로 주는거 아닌가?'하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것은 공깃밥이 보편화된 한국의 외식 역사에서 생긴지 40~50년 정도로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조리법이다. 이전까지는 온장기술이 떨어져서 상온에서 쉬이 상하고 식으면 딱딱하게 굳는 밥을 항상 따뜻하게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항상 따뜻한 국에 말아먹는다는 개념을 이용한 토렴이라는 방식으로 밥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써서 제공했다. 그정도로 국과 밥을 따로 주면서 따뜻하게 먹을 수 있는 경우는 흔치 않았기 때문에 따로국밥이 더 비싸고 대우받는 음식이었던 것.

2020년대에는 따로 토렴식이라고 적힌 경우가 아니면 국밥집들 대부분이 따로국밥으로 내올 정도로 일반화된 상태다.

3. 비유

비유적 의미로 원래 함께 있어야 하는 것들이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특정 무리 가운데 어느 하나만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의외로 수수께끼로도 유행했는데, 따로국밥이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이 먹는 밥이라고 일컬었다고 한다.

[1] 장조림 고기처럼 세로로 찢은 소고기가 아니라, 무조건 뭉텅이로 숭덩숭덩 자른 소고기 덩어리를 넣는다.[2] 마늘도 국을 끓일 때 넣지 않고, 돼지국밥을 먹을 때 각자 새우젓이나 다대기로 간을 하듯이 먹기 직전에 다진마늘을 기호에 맞게 첨가하는 식이다.[3] 고사리, 토란, 콩나물, 버섯 같은 기타 재료가 들어가는 순간 대구식이 아닌 타지역 스타일로 여긴다. 다만 인터넷의 발달로 국내 여러 지역의 조리법 교류가 이뤄진 지금은 이런 부재료들이 들어가는 소고기국을 대구에서도 가정 차원에서는 두루 해먹고 있다.[4] 심지어 재래시장 등지에서도 토렴으로 국밥을 내 주는 곳은 많이 줄어드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