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5:46:16

새말IC

새말 나들목
Saemal Interchange
새말 요금소
Saemal Tollgate
인천 방면
원주IC
← 12.8 km
파일:Expressway_kor_50.svg 강릉 방면
둔내IC
17.1 km →
횡성휴게소(양방향)▶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우항리
관리기관
영동선 한국도로공사 강원본부 원주지사
개통
1971년 12월 1일
접속도로
[[442번 지방도|
442
]](한우로)

1. 개요2. 구조
2.1. 강릉 방향2.2. 인천 방향
3. 역사4. 특징
[clearfix]

1. 개요

영동고속도로 29번.[1]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우천면 영동고속도로 143 (우항리 360-3)에 위치한 영동고속도로의 나들목이다.

2. 구조

2.1. 강릉 방향

2.2. 인천 방향

3. 역사

4. 특징

==# 둘러보기 틀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파일:Expressway_kor_50.svg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창JC(파일:Expressway_kor_110.svg) - 월곶JC - 군자JC(파일:Expressway_kor_153.svg) - 군자TG - 서안산IC - 안산SA - 안산IC - 안산JC(파일:Expressway_kor_15.svg) - 둔대JC(파일:Expressway_kor_15.svg) - 군포IC - 동군포IC - 부곡IC - 북수원IC -
동수원IC - 신갈JC(파일:Expressway_kor_1.svg) - 마성IC - 서용인JC(파일:Expressway_kor_400.svg) 용인IC - 용인SA - 양지IC - 덕평IC - 덕평자연SA - 호법JC(파일:Expressway_kor_35.svg) - 이천IC - 여주SA - 여주JC(파일:Expressway_kor_45.svg) - 여주IC -
문막SA인천방향 - 문막IC - 문막SA강릉방향 - 만종JC(파일:Expressway_kor_55.svg) - 원주JC(파일:Expressway_kor_52.svg) - 원주IC - 새말IC - 횡성SA - 둔내IC - 동둔내IC - 면온IC - 평창IC -
평창SA - 속사IC - 진부IC - 대관령IC - 강릉대관령SA - 강릉JC(파일:Expressway_kor_65.svg)
}}}}}}}}}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횡성 · 둔내
도로 고속도로 영동선 (새말IC, 둔내IC, 동둔내IC) · 중앙선 (횡성IC)
국도 5 · 6 · 19 · 42
지방도 406 · 409 · 411 · 420 · 442 · 494
버스 버스 터미널 횡성 · 둔내 · 새말 · 안흥 · 횡성휴게소
시내버스 횡성군 농어촌버스
항공 공항 원주(횡성)공항 }}}}}}}}}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1] 변경전 23번.[2] 서울~새말間 嶺東高速道路 개통, 1971-12-01, 경향신문[3] 횡성 나들목은 이 나들목이 개통되고 30년이 지난 2001년에 개통되었다.[4] 횡성군, 새말IC→동횡성IC 변경 요구, 2009-06-02, 연합뉴스[5] 이 나들목과 비슷하게 중간단계 종점이 유동인구가 적은 지역에 나들목으로 설치되는 사례는 그나마 동홍천 나들목 정도가 있으나, 동홍천 나들목의 경우 44번 국도와의 연계를 통해 인제군으로 연결되는 관문 역할을 하는 만큼 교통의 당위성에 있어서 이 나들목보다 그 중요도가 훨씬 높다. 덤으로 나들목 이름도 이 나들목과는 다르게 기초자치단체+방위명을 사용해 지었다.[6] 2001년 전 구간 확장시까지 임시로 운영한 '월정요금소'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