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22:37:05

철도/영향을 받은 지역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철도
1. 개요2. 철도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
2.1. 국내2.2. 국외
2.2.1. 아시아2.2.2. 유럽2.2.3. 미국
3. 철도의 영향력이 약한 지역
3.1. 국내
3.1.1. 충청도3.1.2. 경상도3.1.3. 전라도
3.2. 국외
4. 애매한 지역
4.1. 경상도4.2. 전라도

1. 개요

철도의 영향력을 받은 지역을 서술한 문서.

아래 항목 중에는 아무 것도 없던 곳이 철도가 생겨 발전한 경우도 있지만, 이미 규모가 커서 철도가 생기고 그 결과 더 커진 경우도 존재한다.

2. 철도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

2.1. 국내

2.1.1. 수도권(대한민국)


2.1.2. 강원특별자치도

2.1.3. 충청도




2.1.4. 경상도




2.1.5. 전라도


2.2. 국외

2.2.1. 아시아

2.2.2. 유럽

2.2.3. 미국

3. 철도의 영향력이 약한 지역

3.1. 국내

3.1.1. 충청도



3.1.2. 경상도



3.1.3. 전라도



3.2. 국외

4. 애매한 지역

4.1. 경상도



4.2. 전라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수서평택고속선이 성남 지하를 통과하나 역은 없다. 다만 가까운 수서동수서역이 있으며 수인분당선을 타고 수원역에서 일반열차를 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판교역에 중부내륙선 KTX가 다니게 되었다.[2] 엄밀히 따자면 진안동[3] 차량기지는 병점에 생기지만, 정작 병점역은 가까운 수원역이 있다는 이유로 GTX-C가 정차하지 않을 것 으로 보인다.[4] 다만 안양역은 열차 정차 편수가 많지는 않아서 주로 영등포역을 이용한다.[5] 여기에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 지선이 분기하게 되면서 영호남에서 수도권을 가기 위해서는 필수로 거쳐야 하는 지역이 되었다.[6] 계룡 구간은 2025년, 옥천 구간은 2026년에 개통된다.[7] 행정구역 상으로는 아산시에 있지만 천안과 거의 붙어있고, 생활권 또한 천안이다. 또한 천안역 기준 전철로 3정거장만 가면 아산역(천안아산)이 나온다.[8] 현 위치도 원래부터가 아니라 한 번 이설했다.[9] 경강선 개통 이후로는 원주시가 제천시 대신 수도권에서 강원 동해안으로 하는 중요 경유지 역할을 하고 있다.[10] 이후로는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거제시 순이다.[11] 행정구역 상으로는 순천시 황전면이나 다리 하나만 건너면 바로 구례이다.[12] 원래 시내의 양대 터미널에서 센트럴시티행 고속버스가 일 5회나 다녔을 정도로 버스와 철도의 경합지역이었는데 이용객이 확 줄어서 지금은 강진, 장흥행과 합쳐져 시외버스 서울호남-장흥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를 일 3회 경유하는 것이 전부이고, 인천, 부천, 성남, 수원행 시외버스는 폐지되어 버렸다.[13] 그래도 우한 일대에 손권이 대신들인 육손 등과 함께 위나라로부터 벗어나 오나라를 건국해 칭제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딱 거기까지였고 근대 시대가 오기 전까지는 더 이상의 발전이 없었다.[14] 물론 오카야마는 도카이도-산요 지방에서 산인지방 방면 환승도 어마어마 하다.[15] 단, 조치원읍 한정으로는 철도 강세 지역이다.[16] 다른 세 곳은 충주, 청주, 홍주(현 홍성군)[17] 이와 관련하여 본래 경부선&호남선은 공주를 지나갈 예정이었으나 공주 유생들의 강력한 반대로 인해 공주 대신 대전에 철도를 설치하였고 그것이 대전과 공주의 운명을 뒤바꿔버렸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사실 이건 근거 없는 이야기이다. 당시에 전쟁으로 인하여 경부선과 호남선의 공주시 경유를 생각할 겨를조차 없었다. 애초에 공주시의 지리적인 입지를 생각한다면 성장하기가 쉽지 않은 도시로서 괜히 저 먼 옛날에 백제 성왕이 수도를 사비(부여)로 천도한 게 아니다.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로.[18] 사실 충북선은 1970년대에 도심 외곽으로 이설했고, 특히 청주역은 이설을 2번이나 한 역사가 있어서 현재는 시내와 꽤 떨어진 곳에 위치하게 되면서 명칭에 비해서 이용객이 저조했으며, 오송역은 청주시보다는 세종시의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이 때문에 청주시 측에서는 오송역의 수요 감소를 우려하여 세종역 유치에 부정적인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19] 그래도 화순군 능주면에서 화순읍을 지나 광주역으로 가는 지원152번이 30분 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20] 경주 역시 경동선 사철이 깔리던 시기와 국유화 후 일제가 단계적으로 이설을 실시하며 한창 철도를 깔던 때가 문화 통치를 시전중이던 시기라 비록 경주 월성황룡사지 등 주요 문화재 훼손이 있었지만 적어도 왕릉만큼은 웬만해선 절대 건드리지 않았으며 살짝 비켜가도록 설치하였다. 광복 이후의 대한민국도 최근 들어서야 겨우 유네스코의 이설권고를 받자 철로 이설을 위한 건설에 돌입하여 2021년 12월 28일 개통했으며, 구 선로는 폐선되어 현재 시내 전구간 선로철거 및 문화재발굴조사가 진행중이다.[21] 다만 이는 경주시 내 역사 유적의 존재로 인해 유네스코에서 직접 내려온 권고이며, 비록 유네스코 권고가 법적 구속력은 없기 때문에 무시해도 별다른 불이익은 없지만 자국의 문화유산마저 개발 논리를 기반으로 뭉개버리는 게 국제적으로 보기 좋은 모습일 리가 없기 때문에 이를 따른 것이다.[22] 호남고속선 개통 이전 호남선 철도는 논산천안고속도로를 이용했던 고속버스에 완전히 밀렸다. 호남고속철도가 완전히 개통된 지금도 서울강남 - 광주간 고속버스 배차가 전국 1위일 정도.[23] 본래 광주광역시 구도심의 중심부에 자리했고, 5.18 민주화운동의 장소로서 상징성도 있었지만, 경전선 광주 도심 구간의 이설과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KTX가 폐지되었고, 지금은 광주역에서 출발하는 ITX-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가 전부이다.

분류